KR20000012708U - 파형강판 시공기구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시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708U
KR20000012708U KR2019980025765U KR19980025765U KR20000012708U KR 20000012708 U KR20000012708 U KR 20000012708U KR 2019980025765 U KR2019980025765 U KR 2019980025765U KR 19980025765 U KR19980025765 U KR 19980025765U KR 20000012708 U KR20000012708 U KR 200000127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rrugated steel
corrugated
construction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1015Y1 (ko
Inventor
나승민
황민오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5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1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15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 파형강판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아암등에 장착되어 파형강판을 기계화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파형강판을 안정된 상태로 고정하여 파형강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파형강판 설치작업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파형강판 시공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에 파형강판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양측모서리에 각각 긴 영구자석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영구자석에 파형강판을 자력에 의해서 부착하도록 된 몸체부;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면에서 상기 파형강판의 파형형상에 따른 파형구조를 이루어 상기 파형강판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요홈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돌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캡부재를 갖추고, 상기 캡부재의 상부에는 포크레인의 붐대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1힌지대와, 이에 인접하여 포크레인의 유압실린더 로드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힌지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파형강판 시공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시공기구
본 고안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 파형강판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의 아암등에 장착되어 파형강판을 기계화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파형강판을 안정된 상태로 고정하여 파형강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파형강판 설치작업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파형강판 시공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은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뉜다. 그중에서 규모가 작은 파형강판을 사용하는 경우는, 파형강판을 공장에서 특정형상으로 선조립하고, 이와 같이 조립된 구조물을 현장으로 이동시키며, 현장에서는 기초만을 시공하고, 상기 기초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는 다르게 보다 파형강판의 규모가 큰 경우는 단위 파형강판들을 현장으로 옮긴 후, 현장에서 구조물의 형상에 맞게 조립도면에 따라 설치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파형강판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경우에는 파형강판들을 볼트로서 연결하기 위해 파형강판에 형성된 구멍에 고리를 연결하고, 상기 고리를 크레인등으로 들어서 구조물의 필요부분을 옮기고, 파형강판끼리 그 형상을 맞추어 볼트 조립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파형강판이 구조물에 맞게 각도나 위치를 갖는 것이 아니어서 작업자들은 그 주변에서 파형 강판을 구조물 형상에 맞게 인력으로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파형 강판조립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100)이 중량이고, 쉽게 위치이동이 어려운 것이어서 작업자는 파형강판(100)의 구멍에 끼워진 고리(110)들을 포크레인이나 크레인(120)이 들어서 파형강판(100)을 매달고, 작업자가 이들 파형강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을 정확하게 조립하는 데에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100)의 이동 및 위치조정시에 파형 강판과 파형강판사이의 부딧침으로 인한 충격 및 고리(110)와 파형 강판 구멍(100a)에서 발생하는 손상등으로 인하여 파형 강판(100)에 피복된 아연도금층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레인의 아암등에 장착되어 파형강판을 기계화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파형강판을 안정된 상태로 고정하여 파형강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한 파형강판 설치작업을 이룰수 있도록 개선된 파형강판 시공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판 시공기구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판 시공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 방향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판 시공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일반적인 파형강판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파형강판을 이동시키고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영구자석 10..... 몸체부
12.... 회전축 16..... 돌기
20..... 요홈부 30.... 연결부
32..... 캡부재 36.... 제 1힌지대
38..... 제 2힌지대 100... 파형강판
120.... 포크레인 122... 붐대
125.... 유압실린더 로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에 파형강판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양측모서리에 각각 긴 영구자석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영구자석에 파형강판을 자력에 의해서 부착하도록 된 몸체부;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면에서 상기 파형강판의 파형형상에 따른 파형구조를 이루어 상기 파형강판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요홈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돌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캡부재를 갖추고, 상기 캡부재의 상부에는 포크레인의 붐대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1힌지대와, 이에 인접하여 포크레인의 유압실린더 로드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힌지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시공기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판 시공기구(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에 파형강판(100)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형강판 시공기구(1)는 양측모서리에 각각 긴 영구자석(5)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영구자석(5)에 파형강판(100)을 자력에 의해서 부착하도록 된 몸체부(10)를 갖는 바, 상기 몸체부(10)는 중앙부분이 상부측으로 다소 절곡된 철구조물로서 이루어지고, 그 양측모서리에는 각각 긴 영구자석(5)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5)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홈부(20)는 상기 파형강판(100)의 파형형상에 따른 파형구조를 이루어 상기 파형강판(100)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5와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수 있다.
표 1
판두께 t(mm) 직선장 L(mm) 중심각 θ(deg) 단면적 A(㎠) 단면계수 Z(㎠) 단면2차모멘트 I(cm4)
2.73.24.04.55.36.07.0 47.4946.9646.1045.5544.6743.8742.72 88°49'89°10'89°44'90°06'90°42'91°15'92°03' 0.33480.39690.49650.55880.65860.74600.8710 0.36960.43570.54020.60490.70750.79640.9226 0.97401.15901.45871.64841.95622.23012.6293
즉, 상기 요홈부(20)의 피치(P)는 대략 150mm, 골깊이(S)는 50mm이며,파형의 직선길이(L)는 40 내지 48mm 이고, 중심각(θ)은 대략 88°내지 93°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를 포크레인(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부(30)를 갖추며, 상기 연결부(30)는 몸체부(1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돌기(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캡부재(32)를 갖추고, 상기 캡부재(32)의 상부에는 포크레인(120)의 붐대(122)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1힌지대(36)와, 이에 인접하여 포크레인(120)의 유압실린더 로드(125)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힌지대(38)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0)는 캡부재(32)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10)가 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됨은 물론, 제 1 및 제 2힌지대(36)(38)로 인하여 상기 포크레인(120)의 유압실린더 로드(125)가 작동되면, 도 1에서 점선 및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경사회동(Tilting)될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형강판 시공기구(1)는 파형 강판(100)을 영구자석(5)의 요홈부(20)에 의해 고정하고, 파형강판(10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고, 포크레인(120)의 붐대(122)에 연결하여 경사회동시켜서 이동시킬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5)부분은 파형 강판(100)의 파형에 알맞게 요홈부(20)가 형성됨으로서 파형강판(100)과 영구자석(5)의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안정된 부착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힌지대(36)(38)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포크레인(120)의 붐대(122)와 로드(125)에 연결되기 때문에 각 파형 강판(100)의 곡률에 관계 없이 작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30)는 몸체부(10)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파형강판(100) 구조물의 경사 및 주변 작업공간의 경사에 관계없이 회전하여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크레인(120)의 붐대(122)에 연결되는 부분은 종래의 포크레인(120) 붐대(122)의 연결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영구자석(5)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영구자석(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원을 작업자가 투입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도 대체가능하다. 상기 전자석과 관련된 상세한 구성사항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하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영구자석(5)을 이용하여 파형 강판(100)을 이동시키고, 구조물 형상에 맞게 옮길 수 있도록 각도조절 및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공성을 확보하고 또한 파형 강판(100)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파형 강판(100) 구조물의 시공시 수작업을 기계화하여 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파형 강판(100)에 대한 손상우려가 줄어들어 시공뿐만이 아니라 시공후의 구조물 성능도 양호하게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시에 파형강판(100)을 손쉽게 이동시키고 작업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양측모서리에 각각 긴 영구자석(5)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영구자석(5)에 파형강판(100)을 자력에 의해서 부착하도록 된 몸체부(10); 상기 영구자석(5)의 하부면에서 상기 파형강판(100)의 파형형상에 따른 파형구조를 이루어 상기 파형강판(100)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요홈부(20); 및,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돌기(16)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캡부재(32)를 갖추고, 상기 캡부재(32)의 상부에는 포크레인(120)의 붐대(122)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1힌지대(36)와, 이에 인접하여 포크레인(120)의 유압실린더 로드(125)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힌지대(38)를 구비한 연결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시공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5)은 전원을 작업자가 투입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시공기구.
KR2019980025765U 1998-12-21 1998-12-21 파형강판 시공기구 KR200211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65U KR200211015Y1 (ko) 1998-12-21 1998-12-21 파형강판 시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65U KR200211015Y1 (ko) 1998-12-21 1998-12-21 파형강판 시공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08U true KR20000012708U (ko) 2000-07-15
KR200211015Y1 KR200211015Y1 (ko) 2001-02-01

Family

ID=6950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765U KR200211015Y1 (ko) 1998-12-21 1998-12-21 파형강판 시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33B1 (ko) * 2007-01-19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엠 협잡물 제거장치
KR100791491B1 (ko) * 2007-01-19 2008-01-04 주식회사 케이엠 굴절형 협잡물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33B1 (ko) * 2007-01-19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엠 협잡물 제거장치
KR100791491B1 (ko) * 2007-01-19 2008-01-04 주식회사 케이엠 굴절형 협잡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015Y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1822B (zh) 一种预制墙板、组合墙和装配式建筑
KR200211015Y1 (ko) 파형강판 시공기구
CN213710432U (zh) 一种可调可拆的钢梁吊装定位装置
EP1693521A1 (en) Blade supporting structure for bulldozer
AU2006248816A1 (en) Guidance device for masts sliding one within the other telescopic arms and guidance method
JPH11193542A (ja) 建設機械用フロン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ブ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CN214532003U (zh) 一种实现预制柱快速安装的柱脚定位板
CN209907871U (zh) 一种砂浆喷抹机械臂及砂浆喷抹机
JP2008075372A (ja) 建設機械の間隙調整装置
CN215563372U (zh) 一种钢结构建筑的砌体外墙连接节点
CN220565763U (zh) 一种建筑工程用横梁加固装置
KR19990010469U (ko) 굴삭기의 선회프레임
CN219387806U (zh) 一种工程机械回转变幅机构
CN219711433U (zh) 一种装配式爬梯
CN216617537U (zh) 支撑组件和掘进机
CN214782151U (zh) 一种用于安装熔覆头的安装组件
CN213511483U (zh) 一种液压油缸万向支座
CN215977430U (zh) 适用于狭小空间作业的小臂、工作臂
CN214162776U (zh) 一种钢结构的定位安装机构
CN217398218U (zh) 吊具及作业机械
CN113982279B (zh) 基于履带式移动平台的钢筋夹取直立装置及方法
CN116335225B (zh) 一种提高工作空间的工作臂和工程机械车
CN212272066U (zh) 一种便携式摆臂装置
US20230235528A1 (en) Rotary frame and grade
CN214785199U (zh) 一种装配式预制叠合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