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816A - 다공성 백웹 및 리브를 구비한 배터리 분리기 - Google Patents

다공성 백웹 및 리브를 구비한 배터리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816A
KR20000010816A KR1019980708952A KR19980708952A KR20000010816A KR 20000010816 A KR20000010816 A KR 20000010816A KR 1019980708952 A KR1019980708952 A KR 1019980708952A KR 19980708952 A KR19980708952 A KR 19980708952A KR 20000010816 A KR20000010816 A KR 20000010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backweb
separator
battery separator
va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355B1 (ko
Inventor
제임즈 영
프란시스 이. 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쿤츠 조엘
암테크 리서치 인터내셔널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츠 조엘, 암테크 리서치 인터내셔널 엘엘씨 filed Critical 쿤츠 조엘
Publication of KR2000001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지 만액식 납 축전지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분리기(10)는 다공성이며 내산성이고 백웹(20)의 적어도 한 평면(12)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14a 내지 14g)를 갖는 엠보싱할 수 있는 물질인 백웹(20)을 포함한다. 그 리브는 백웹(20)의 폭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백웹(20)의 길이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리브는 마루(22a 내지 22d)와 골(23a 내지 23d)이 교대로 구성되어 엠보싱된 주름진 구조이다. 그 마루와 골은 분리기의 길이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정렬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직각으로 되어 있다. 대립하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30, 32)로 형성된 닙을 통해 백웹(20)을 통과시킴으로써 그 리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배터리 분리기 백웹(20)상에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다공성 백웹 및 리브를 구비한 배터리 분리기
전지 만액식 납 축전지에서 양극 및 음극 즉 금속판은 배터리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다. 배터리 분리기는 전형적으로 리브를, 즉 분리기의 적어도 한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러한 리브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형성된다: 리브는 분리기의 백웹(backweb)과 함께 일체 성형될 수 있다; 리브는 이후에 백웹과 같거나 다른 물질의 비드로서 백웹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리브는 백웹을 엠보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리브는 금속판사이의 적절한 간격과 자유 전해질이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전지 만액식 납 축전지 제작자에 의해 사용되는 현재 배터리 분리기는 미공성 폴리에틸렌 형태이다. 이 형태의 분리기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러(특히 비결정 실리카), 가소제(특히 프로세싱 오일), 및 산화방지제, 윤활제, 카본 블랙과 같은 어떤 미미한 성분으로 구성되는 구성물을 구비한다.
미공성 폴리에틸렌 분리기 물질은, 통상적으로 가열된 압출기를 통해 성분을 통과시키고, 압출기를 통해 형성된 압출물을 거푸집을 통해 통과시켜 연속 웹을 형성하기 위해 가열된 2개의 캘린더 롤에 의해 형성된 닙(nip)으로 전달하며, 용매를 사용하여 웹으로부터 프로세싱 오일의 실질적인 양을 추출하고, 추출된 웹을 건조시키며, 웹을 소정의 폭을 갖는 레인으로 자르고, 그 레인을 감아서 제작된다.
이러한 분리기 및 그 제조방법이 미국특허번호 제 3,351,495호에 설명되어 있다.
미공성 폴리에틸렌 분리기는 특히 소정의 두께,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고 백웹의 한 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병렬 리브를 갖는 백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리브는 분리기 물질의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다. 그런 종래 기술의 분리기의 부분적인 투시도가 도 7에 도시된다. 배터리 제작자는 백웹의 두께, 리브의 높이 및 간격을 분리기 제작자에게 상세히 표시하였다; 그 명세서는 배터리 제작자가 원하는 어떤 배터리 특성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어있다.
분리기 웹의 전체로서 형성되기 위해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출물에 홈이 새겨지는 것을 통해 닙을 형성하는 가열된 2개의 캘린더 롤중 1개를 제공함으로써 그런 리브는 미공성 폴리에틸렌 분리기 제작동안에 형성된다.
리브 크기 및 리브 간격에 대해 배터리 제작자가 원하는 다른 많은 특성이 있다.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분리기 물질을 제작함에 있어서, 리브 크기 및 리브 간격에 대한 거의 모든 변화에는, 종래 주문에 응하기위해 사용되어온 새겨진 롤을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새로운 주문에 응하는데 필요한 리브 크기 및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이하게 구성된 새겨진 롤을 삽입하기 위해 분리기 제작자가 생산 라인을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 정지시간동안 제작 시간은 손실되고 라인 가동동안 추가로 남는 물질이 생성된다.
게다가, 폴리에틸렌 형태의 분리기에서 일체 성형된 리브는 백웹과 함께 적출과정을 겪고, 이것은 동일한 평면적을 차지하는 백웹부분보다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 리브는 백웹보다 더 많은 프로세싱 오일을 보유하며, 이에따라 분리기의 전체 전기저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종래 기술의 리브만큼 금속판사이의 좋은 간격을 제공하고 분리기에서 보다 적은 부피를 차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브를 갖는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웹의 형성에 따라 분리기상에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의 리브를 갖는 배터리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런 분리기상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간단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지 만액식 납 축전지에서 사용하기위한 배터리 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그 분리기를 만드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기 물질의 상위 평면의 부분 투시도.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그려진 분리기의 단면도에서의 가장장리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라인 3-3을 따라 그려진 분리기의 단면도에서의 가장자리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일 리브의 최상위 평면도.
도 5는 복수개의 엠보싱 휠을 사용하는 2개의 엠보싱 롤의 정면도.
도 6은 2개의 인접하는 엠보싱 휠의 측면도.
도 7은 백웹과 전체 형성된 분리기 및 백웹으로부터 연장되고 전체 형성된 리브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 분리기의 부분 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리브 구성을 위한 여러개의 대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리기의 상위 평면의 부분적인 최상위 평면도.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적의 모드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기(10)의 최상위의 일부 투시도이다. 복수개의 리브(14a 내지 14j)는 분리기(10)의 상위 평면(1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리브(14)는 분리기(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분리기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16 및 18)와 평행하다.
도 2는 도 1의 라인2-2을 따라 그려진 분리기(10)의 일부 가장자리 도이다. 리브(14)는 분리기(10)의 백웹(20)의 상위 평면(12)상에 있다. 리브(15)는 백웹(20)의 하위 평면(13)상에 돌출되어 있다. 리브(14 및 15)는 그 폭이 동일하며 같은 수직면에 있다.
리브(14 및 15)의 단면의 가장자리 일부가 도 3에 도시된다. 명백하듯이, 리브(14)는 마루와 골(각각 22a와 23a, 22b와 23b, 22c와 23c, 22d와 23d 등)을 번갈아 포함하는 주름진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리브(15)는 마루와 골(각각 24a와 25a, 24b와 25b, 24c와 25c, 24d와 25d 등)을 번갈아 포함하는 주름진 구조이다. 하나의 평면상에서의 마루는 다른 평면상에서 골을 형성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또한 형성한다. 예를 들어, 리브(14)의 마루(22a)의 하면은 리브(15)의 골(25a)을 형성한다.
도 4는 리브(14)의 최상위 일부가 확대된 정면도이다. 명백하듯이, 리브(14)의 마루(22) 및 골(23)은 리브(14)의 길이방향의 측벽(26 및 28)과 직각이고 따라서 분리기(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측면 가장자리(16 및 18)와도 직각이다.
마루(22 및 24)의 길이, 즉, 리브(14)의 한 측벽(26)으로부터 다른 쪽 측벽(28)으로의 마루(22 및 24)의 길이는, 원하는 리브 폭에 맞춰 선택된다. 이 치수는 일반적으로 약 0.020 내지 약 0.060인치 사이일 것이다.
마루의 도수, 즉, 리브 길이 단위당 마루 수는 바람직하게 인치당 약 5 내지 약 25 개일 것이다.
백웹(20)의 평면(12 및 13)에 대한 각 마루(22 및 24)의 높이는 원하는 리브 높이에 맞춰 선택된다. 이 치수는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0.10 인치일 것이다.
인접하는 리브간 거리는 일반적으로 약 0.25 내지 약 1.0인치일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기의 폭은 배터리 제작자에 의해 자유로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폭의 범위는 약 2 내지 약 12인치 사이일 것이다.
분리기(10)의 백웹(20)의 두께의 범위는 전형적으로 약 0.002 내지 약 0.025인치일 것이다.
본 발명의 리브를 형성하는 주름진 구조의 단면도가 도 1 내지 도 4에 삼각형으로 도시되며, 엠보싱 가공된 각 돌출부는 쐐기 형태로 형성된다. 쐐기 형태의 엠보싱은 경사진 전벽, 경사진 후벽, 및 수직 측벽(26 및 2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마루는 각이 있기보다는 다소 둥근 형태이며, 또는 마루는 엠보싱동안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이후의 압입에 의해 평평해지는 마루 형태를 포함하여, 둥근 쐐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사한 쐐기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기를 사용하는 한가지 장점은, 리브는 접하는 마루와 골로 형성된 주름진 구조이기 때문에, 그 리브는 마루 영역에서만 금속판과 접촉하기에 전해질 및 충방전동안 나온 어떠한 가스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막히지 않는 환경을 분리기가 제공한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리브(예를 들어, 도 7을 참조)는 고체이고, 전해질 및/또는 가스 흐름에 대해 불투과성을 나타내는 리브의 전체 상위 표면적에서 양극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분리기를 사용하는 또다른 이점은 휘어지며 그리고/또는 평평해지는 리브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있다. 배터리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전지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고 (분리기 물질로) 교대로 봉해지며 봉해지지 않은 다수의 금속판은 함께 쌓아올려지고, 압축되며 배터리 케이스의 전지 위치영역내로 삽입된다. 분리기가 받는 압축력으로 인해 리브는 휘고 그리고/또는 평평해지는 종래 리브 구조를 갖게될 수 있으며, 특히 더 높은 전체 치수에서, 즉 리브 높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브 구성은 휘고 그리고/또는 평평해지는 리브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백웹(20)의 평면(12 및 13)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14 및 15)를 본 발명의 분리기가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리브가 오직 한쪽에서만 형성되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백웹(20)의 평면(12 및 13)상에서 각각 같은 높이를 갖는 리브(14 및 15)가 도시되지만, 한쪽에서의 리브 높이는 다른 쪽에서의 리브 높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게다가, 리브의 인접하는 마루의 높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기를 만드는데 적절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엠보싱 롤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엠보싱 휠(각각 31a 내지 31g, 및 33a 내지 33g)을 갖는 2개의 엠보싱 롤(30 및 32)의 정면도이다.
엠보싱 롤(30)상의 각 엠보싱 휠(31a 내지 31g)은 각각 엠보싱 롤(32)상의 엠보싱 휠(33a 내지 33g)와 정렬(align)된다.
각 엠보싱 휠(31 및 33)은, 본래, 복수개의 톱니(32 및 33) 각각을 갖는 톱니바퀴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휠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엠보싱 휠이란 표현에는 엠보싱 롤 또는 차축 또는 다중 열의 톱니를 갖는 엠보싱 롤상에 위치한 분리 톱니바퀴가 포함된다.
엠보싱 롤(30 및/또는 32)은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한다. 엠보싱 롤(30 또는 32)중 오직 한 개만이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나머지 롤이 그 구동된 엠보싱 롤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된 엠보싱 휠(31 및 33)의 톱니(32 및 34)는 서로 맞물리며, 도 6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엠보싱 롤(30 및 32) 사이로 닙을 통해 평평한 분리기 물질이 통과할 때 리브(14 및 15)를 평평한 분리기 물질로 엠보싱한다.
양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 높이는 동일하며, 톱니(32 및 34)는 그 높이가 같다.
한쪽 리브 높이는 다른 쪽의 리브 높이와 상이하고, 대응하여 톱니(32 및 34)의 높이는 상이하다.
분리기의 한 쪽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엠보싱 휠(31 또는 33)중 한 개는, 다른 쪽 엠보싱 휠이 수(male) 롤으로부터 연장되는 톱니 치수에 상응하는 치수의 홈을 갖는 암(female) 롤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톱니를 갖는 수 롤일 수 있다.
인접하는 마루가 분리기 백웹의 인접하는 평면상에서 상이한 높이를 갖는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제 1 엠보싱 롤로서 높이가 다양한 톱니를 갖는 수 롤을 사용하고 제 2 엠보싱 롤로서 고무 또는 다른 변형 물질로 형성된 매끄러운 롤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브의 형성은 엠보싱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백웹 물질의 소성 변형을 포함한다. 영구 변형은 물질이 항복점 이상으로 적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정의대로 소성 흐름을 겪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공의 붕괴에 따라 표면으로 이동되는 오일로 인해 소성 변형 영역에서 내산성이 향상되었다.
도 7은 백웹(46)의 상위 평면(44)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42)를 갖는 종래 기술의 분리기(40)의 투시도이다. 리브(42)는 백웹(46)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며, 배경 물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압출물의 캘린더링동안 형성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모드에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웹은 양쪽에서 평평하며 완성된 분리기(10)의 백웹(20)을 구성한다. 그러나, "평형" 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평형"이라는 정의내에서, 리브 제작의 캘린더링 페이즈동안 형성된 몇 개의 작은 리브를 갖는 웹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미공성 폴리에틸렌 분리기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전지 만액식 납 축전지 제작자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분리기 물질의 주요 형태이기에, 다공성이며, 내산성이며 영구히 엠보싱될 수 있는 어떠한 분리기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채워진 또는 채워지지 않은 막 및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로 짜지않은 웹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염화 비닐과 스티렌의 혼성중합체가 있다. 적절한 열경화성 구성물로는 페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이소프렌, 부타디엔, 스티렌, 및 유사한 열경화성 폴리머가 있다.
분리기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정렬된 마루와 골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는 도시되었다. 그러나, 마루와 골의 정렬은 분리기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을 형성하는 것과 같을 수 있으며, 그러한 각은 길이방향에 대해 180도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60도 미만이지만, 0도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약 20도보다 크다. 게다가, 분리기의 길이방향에 대해 몇 개 리브의 마루와 골의 정렬은 다른 리브의 마루와 골의 정렬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그러한 대체 구성의 예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다.
도 8은, 마루(122 및 124) 및 상응하는 골이 서로 교대로 각을 이루는 인접하는 리브(114a, 114b, 및 114c)에서 리브(114)가 엠보싱을 갖는 분리기(100)를 도시한다.
도 9는, 리브(214)의 마루가 마루 구성요소(222 및 224)로 구성된 셰브론(chevron) 패턴을 형성하는 분리기(200)를 도시한다.
도 10은, 리브(314)의 마루가 마루 구성요소(322 및 324)로 구성된 트랙터 트레드(tractor tread) 패턴을 형성하는 분리기(300)를 도시한다.
도 11은, 리브(414)의 마루가 마루 구성요소(422 및 424)로 구성된 연속되는 사인(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는 분리기(400)를 도시한다. 마루의 연속되는 사인 패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날카로운 대신 둥글 수 있다("S"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새겨진 캘린더 롤을 변경하기위해 제작과정을 간섭하지 않고 연속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한 시트의 미공성 물질을 배터리 분리기가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평평한 시트는 적절한 폭의 롤로서 배터리 제작자에게 공급될 수 있고 배터리 제작자는 본 발명에 맞춰 그 리브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한 리브는 금속판 봉입 작업 바로전에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인 폭, 상위 및 하위 평면, 및 적어도 한 개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최소한 3개)의 리브를 갖는 배터리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브는 분리기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리브는 마루와 골이 번갈아 가며 구성된 주름진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돌출된 각 엠보싱으로 형성된다.
분리기의 양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모드에서, 평면상에서 인접하며 돌출된 엠보싱(마루)은 분리기의 다른 평면에서 돌출되는 엠보싱(마루)을 형성하는 톱니모양(골)에 의해 분리된다. 리브가 분리기의 양쪽 평면으로부터 연장될 때, 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그 리브는 다른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 높이와 같거나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런 물질의 연속된 웹을 정렬된 엠보싱 휠의 복수개의 세트사이로 실질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길이, 그 길이방향과 수직인 폭, 및 상위 그리고 하위 평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분리기 웹에서 리브를 또한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정렬된 엠보싱 휠의 각 세트는 단일 리브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휠 세트는 리브간 필요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정렬된 엠보싱 휠의 각 세트는 웹의 길이방향으로 분리기 물질의 웹에서 복수개의 엠보싱을 형성한다.

Claims (17)

  1. 다공성이고 내산성이며 엠보싱할 수 있는 물질인 백웹을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백웹은 길이,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인 폭, 상위와 하위 평면, 및 적어도 백웹의 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엠보싱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각 리브는 마루와 골이 교대로 구성된 주름진 구조이고, 상기 주름진 구조의 각 주름은 상기 엠보싱할 수 있는 백웹 물질로 형성되어 일체 성형되며, 상기 각 주름은, 경사진 전벽, 경사진 후벽, 상기 전벽과 후벽이 만나는 곳에서 형성되는 마루, 및 상기 전벽과 후벽에 연결된 상기 마루의 외부 말단에서 상기 전벽과 후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있는 측벽을 갖고, 측벽은 속이 비어있으며, 상기 마루와 골은 상기 백웹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할 수 있는 백웹 물질은 미공성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와 골은 실질적으로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의 도수는 인치당 약 5 내지 약 2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와 골은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 20도 내지 약 160도사이의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리브의 마루와 골은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에 대해 바로 인접하는 리브의 마루와 골의 각도와 상이한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한 개 걸러 리브로 구성되는 제 1 리브 세트의 마루와 골은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 20도 내지 약 90도사이의 각도로 있으며, 상기 제 1 리브 세트와 바로 인접하는 리브로 구성되는 제 2 리브 세트의 마루와 골은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 90도 내지 약 160도 사이의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리브의 마루와 골은 셰비론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리브의 마루와 골은 트랙터 트레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리브의 마루와 골은 연속되는 사인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백웹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12. 실질적으로 다공성이며 내산성이고 롤로부터 엠보싱할 수 있는 분리기 물질이며 평평하게 풀려있는 웹을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기상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은 상위 및 하위 평면을 갖고, 경로를 따라 웹이 제공되며, 상기 웹 물질의 적어도 한 평면을 레인내의 복수개의 엠보싱 영역에서 소성 변형을 받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좁은 레인에서 상기 웹을 엠보싱하여 상기 각 레인에서 상기 웹의 나머지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주름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주름진 구조는 상기 웹의 상기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와 평행하지 않은 마루와 골을 교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레인의 위치에 있으며 대립되는 엠보싱 휠의 쌍에 의해 형성된 닙으로 웹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엠보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물질은 미공성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길이방향의 축과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대립되는 엠보싱 롤 및 상기 엠보싱 롤중 적어도 한 개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엠보싱 휠을 갖는 상기 롤중 적어도 한 개는 상기 롤의 길이를 따라 엠보싱 위치만큼 떨어져 있는 상기 롤과 동축을 갖고, 상기 엠보싱 위치사이의 거리는 배터리 분리기 웹상에서 형성될 리브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웹상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엠보싱 롤은 대립되는 엠보싱 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웹상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립되는 엠보싱 휠은 복수개의 맞물리는 톱니를 갖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기 웹상에서 리브를 형성하는 장치.
KR10-1998-0708952A 1996-05-08 1997-05-05 배터리격리판 KR100440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6,764 1996-05-08
US08/646,764 US5679479A (en) 1996-05-08 1996-05-08 Battery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816A true KR20000010816A (ko) 2000-02-25
KR100440355B1 KR100440355B1 (ko) 2004-09-18

Family

ID=2459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952A KR100440355B1 (ko) 1996-05-08 1997-05-05 배터리격리판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679479A (ko)
EP (1) EP0898788A4 (ko)
JP (1) JP2000510276A (ko)
KR (1) KR100440355B1 (ko)
CN (1) CN1217822A (ko)
AR (1) AR007022A1 (ko)
AU (1) AU721178B2 (ko)
BR (1) BR9709129A (ko)
CA (1) CA2252946C (ko)
ID (1) ID17931A (ko)
IN (1) IN192226B (ko)
WO (1) WO1997042670A1 (ko)
ZA (1) ZA9738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00B1 (ko) * 2005-12-27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055A (en) * 1997-04-11 1999-04-13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US5789103A (en) * 1997-04-11 1998-08-04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US5985484A (en) * 1997-10-20 1999-11-16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ion
WO2000024067A1 (en) * 1997-10-20 2000-04-27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US6132899A (en) * 1997-10-20 2000-10-17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having different size rib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198620B1 (en) 1998-09-29 2001-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capacitor separator
AU1199399A (en) * 1998-10-21 2000-05-08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US6410183B2 (en) 1999-04-16 2002-06-25 Daniel E. Weerts Battery separator with improved shoulders
DE20015963U1 (de) * 2000-09-15 2001-10-18 Vb Autobatterie Gmbh Separator für Bleiakkumulatoren
CN100346504C (zh) * 2002-02-07 2007-10-31 Kvg技术股份有限公司 由吸收性网筛、电解质的过滤作用及吸收性网筛形成的具有凝胶电解质的铅蓄电池
US6641954B2 (en) 2002-03-29 2003-11-04 Entek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 with mud rest protectors
JP4589322B2 (ja) * 2003-08-09 2010-12-01 ダラミ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鉛蓄電池のためのセパレータ
US7687183B2 (en) * 2004-08-25 2010-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elements having improved compression over channels
DE102006014691B3 (de) * 2006-03-28 2007-08-16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Bleiakkumulator und Separator hierzu
JP5705402B2 (ja) * 2008-02-08 2015-04-22 ニチアス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成形板の製造方法
US8404378B2 (en) * 2009-04-30 2013-03-26 Daramic Llc Battery separator for a storage battery
US20110318629A1 (en) * 2010-06-25 2011-12-29 Ho Marvin C Separator for lead acid battery
US20130143726A1 (en) * 2010-12-09 2013-06-06 Everyday Haute, Llc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ruffles on a web
EP2783405B1 (en) * 2011-11-21 2020-04-15 Daramic, LLC Embossed separators, batteries and methods
JP6339077B2 (ja) 2012-08-22 2018-06-06 ダラミック エルエルシー 鉛酸電池用のゲル含浸不織布を用いた電池セパレータ
EP3090455B1 (en) * 2014-01-02 2020-01-15 Daramic, Llc Multilayer separator
WO2015148305A1 (en) 2014-03-22 2015-10-0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Battery separators having a low apparent density
US10230088B1 (en) 2015-01-30 2019-03-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electrode assembl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6134222A1 (en) 2015-02-19 2016-08-2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Battery separators comprising chemical additives and/or other components
EP3360177A4 (en) * 2015-10-07 2019-05-15 Daramic LLC LEAD-ACID BATTERY SEPARATORS HAVING ENHANCED PERFORMANCE AND BATTERIES AND VEHICLES HAV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KR20240013847A (ko) * 2017-06-20 2024-01-30 다라믹 엘엘씨 개선된 납축전지 분리기, 전지, 및 관련 방법
JP2021512460A (ja) * 2018-01-31 2021-05-13 ダラミック エルエルシー 改良された鉛酸電池セパレータ、弾性セパレータ、電池、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EP3821490A4 (en) 2018-08-10 2022-01-26 ESS Tech, Inc. METHODS AND SYSTEM FOR FABRICATING A REDOX FLOW BATTERY SYSTEM BY ROLLER TO ROLLER PROCESSING
DE102018215974B3 (de) * 2018-09-19 2020-03-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älzgieß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piral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352A (en) * 1972-06-01 1976-12-28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4153759A (en) * 1974-07-11 1979-05-08 Yuasa Battery Company Limited Storage battery, separator therefor and method of formation
US4387144A (en) * 1977-05-11 1983-06-07 Tullis Russell & Company Limited Battery separator material
JPS5425433A (en) * 1977-07-28 1979-02-26 Yuasa Batte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ell
US4228225B2 (en) * 1979-06-22 1994-03-29 Grace W R & Co Battery separator
US4368243A (en) * 1980-10-10 1983-01-11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4403024A (en) * 1982-01-11 1983-09-06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4369236A (en) * 1981-03-04 1983-01-18 W. R. Grace & Co. Battery separator
US4407063A (en) * 1981-04-03 1983-10-04 Johnson Peter E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battery plate envelopes
US4499040A (en) * 1981-04-20 1985-02-12 Nissen Chemical Industries Co., Ltd. Production of stamped plastic sheet
US4482617A (en) * 1982-12-10 1984-11-13 Usm Corporation Battery separators
US4619875A (en) * 1985-11-27 1986-10-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nti-stratification battery separator
US5266257A (en) * 1992-05-29 1993-11-30 Gencorp Inc. Method of making embossing rolls having indic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00B1 (ko) * 2005-12-27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8788A1 (en) 1999-03-03
AU3135397A (en) 1997-11-26
EP0898788A4 (en) 2003-05-07
IN192226B (ko) 2004-03-20
ID17931A (id) 1998-02-12
WO1997042670A1 (en) 1997-11-13
CN1217822A (zh) 1999-05-26
CA2252946C (en) 2002-12-10
KR100440355B1 (ko) 2004-09-18
AR007022A1 (es) 1999-10-13
CA2252946A1 (en) 1997-11-13
US5679479A (en) 1997-10-21
JP2000510276A (ja) 2000-08-08
BR9709129A (pt) 2000-01-11
AU721178B2 (en) 2000-06-22
ZA973834B (en)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355B1 (ko) 배터리격리판
US5985484A (en) Battery separation
US5789103A (en)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US6132899A (en) Battery Separator having different size rib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425477B1 (en) Battery separator for a storage battery
US5894055A (en) Battery separator
US7425387B2 (en) Separator for a lead storage battery
EP1493201B1 (en) Battery separator with mud rest protectors
WO2000023267A1 (en) Battery separator
US4547939A (en) Secondary batteries
WO2000024067A1 (en)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EP0121169B1 (en) Microporous separator for storage batteries and relative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e
MXPA98009038A (en) Bater separator
GB2097174A (en) Battery separator
MXPA99001085A (en)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fabricac
AT3466U1 (de) Akkumulatorensche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