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791A -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791A
KR20000009791A KR1019980030426A KR19980030426A KR20000009791A KR 20000009791 A KR20000009791 A KR 20000009791A KR 1019980030426 A KR1019980030426 A KR 1019980030426A KR 19980030426 A KR19980030426 A KR 19980030426A KR 20000009791 A KR20000009791 A KR 2000000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balance
washing machine
casing
sliding member
unbalanc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후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791A/ko
Publication of KR2000000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을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하측 연부에 결합되며, 하향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소정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함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싱의 유동시 상기 언밸런스감지부와 접촉 및 이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탈수작업시 세탁기의 언밸런스를 보다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민감하게 언밸런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본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53)과, 외부케이싱(53)의 상부에 안착결합되는 톱커버(55)와, 외부케이싱(53)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52)을 갖는다. 여기서, 톱커버(55)의 전방영역에는 세탁행정을 조작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도시않은 조작패널이 형성되어 있고, 톱커버(55)의 중앙영역에는 세탁물의 인출 및 수용을 위한 도어(5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51)내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57)가 복수의 서스펜션(54)에 의해 현가지지되어 있으며, 터브(57)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스핀바스켓(58)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바스켓(58)내의 저부에는, 세탁행정시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스핀바스켓(58)과 일체로 회전하는 펄세이터(59)가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터브(57)의 하부 일측에는 펄세이터(59)와 스핀바스켓(58)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64)가 설치되어 있으며, 펄세이터(59)와 스핀바스켓(58)의 회전축상에는 구동모터(64)로부터의 구동력을 펄세이터(59) 및/또는 스핀바스켓(58)으로 전달하는 샤프트조립체(6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기의 탈수행정이 수행되면, 먼저 터브(57)내의 세탁수가 배수되며, 세탁수위에 따른 일정 배수시간이 경과하면, 펄세이터(59)와 스핀바스켓(58)이 일체로 회전하여 탈수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탈수작업시 스핀바스켓(58)내의 세탁물이 편중되어 있을 경우, 탈수작업 초기에 스핀바스켓(58)의 회전축에 대한 좌우방향 유동으로 인해 터브(57)가 유동하게 된다.
터브(57)의 유동이 심화되면 터브(57)가 외부케이싱(53)의 내벽면에 설치된 도시않은 언밸런스감지센서(65)와 접촉하게 되며, 언밸런스감지센서(65)로부터의 감지여부에 따라 스핀바스켓(58)과 펄세이터(59)의 회전이 정지되고, 외부로 청각적 신호를 나타내어 언밸런스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언밸런스 풀림작업에 돌입하며, 언밸런스 풀림작업시 먼저 스핀바스켓(58)내로 일정 시간동안 재급수한 다음, 펄세이터(59)를 수회 회전시켜 세탁물의 엉킴을 풀게 된다. 그런 다음, 다시 배수작업을 수행하고, 탈수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언밸런스감지센서(65)는, 터브(57)의 유동이 심화되어 터브(57)가 언밸런스감지센서(65)에 접촉하였을 경우에만 언밸런스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언밸런스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밸런스를 보다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세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밸런스감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세탁기의 유동시 언밸런스감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터브 8 : 스핀바스켓
10 : 제어부 15 : 경보발생부
20 : 언밸런스감지장치 21 : 지지부재
22 : 수용부 23 : 결합부
24 : 인장스프링 25 : 언밸런스감지부
30 : 슬라이딩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싱을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연부에 결합되며, 하향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소정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함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싱의 유동시 상기 언밸런스감지부와 접촉 및 이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언밸런스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일정 설치구간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언밸런스감지부의 설치구간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경보발생부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발생부는 청각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내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케이싱을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연부에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언밸런스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이 일정 진폭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이 일정 진폭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내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7)가 도시않은 복수의 서스펜션에 의해 현가지지되어 있으며, 터브(7)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스핀바스켓(8)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바스켓(8)내의 저부에는, 세탁행정시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스핀바스켓(8)과 일체로 회전하는 도시않은 펄세이터가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는,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3)과, 외부케이싱(3)의 상부에 안착결합되는 톱커버(5)와, 외부케이싱(3)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2)을 갖는다. 여기서, 톱커버(5)의 전방영역에는 세탁행정을 조작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조작패널(4)이 형성되어 있고, 톱커버(5)의 중앙영역에는 세탁물의 인출 및 수용을 위한 도어(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판(2)은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에는 세탁시 스핀바스켓(8)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언밸런스감지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며 하향개구된 수용부(22)가 형성된 지지부재(21)와, 본체(1)가 안착되는 바닥면에 접하며 수용부(22)내에 수용되어 본체(1)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30)를 가진다. 지지부재(21)의 상부에는 베이스판(2)과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21)에 형성된 수용부(22)의 내측벽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슬라이딩부재(3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 도체판인 언밸런스감지부(25)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부(22)내에 수용된 슬라이딩부재(30)는, 외부로부터 전원에 연결된 도체로 형성되며, 수용부(22)의 상부벽과 슬라이딩부재(3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4)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내로부터 연장된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리드선은 인장스프링(24)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3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1)와, 조작패널(4), 및 언밸런스감지장치(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15)를 통해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키고, 풀림작업(17)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기의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먼저 터브(7)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세탁수위에 따른 일정 배수시간이 경과하면, 펄세이터와 스핀바스켓(8)이 일체로 회전하여 탈수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탈수작업시 스핀바스켓(8)내의 세탁물이 편중되어 있을 경우, 탈수작업 초기에 스핀바스켓(8)의 회전축에 대한 좌우방향 유동으로 인해 터브(7)가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가 좌우방향으로 미소하게 유동하게 되며, 본체(1)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힘을 덜받는 영역에 위치한 지지부재(21)의 수용부(22)내에 수용된 슬라이딩부재(30)는 인장스프링(24)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2)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언밸런스감지부(25)와 이격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부재(30)와 언밸런스감지부(25) 사이에 흐르던 전류가 단전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10)에서는 경보발생부(15)를 통해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키고, 언밸런스 풀림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언밸런스 풀림작업시, 먼저 스핀바스켓(8)내로 일정 시간동안 재급수한 다음, 펄세이터를 수회 회전시켜 세탁물의 엉킴을 풀게 된다. 그런 다음, 다시 배수작업을 하고, 탈수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이러한 언밸런스감지장치(20)는, 본체(1)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의 미소한 유동을 감지하게 되므로, 터브(7)의 유동을 감지하는 종래의 언밸런스감지센서에 비해, 세탁기의 언밸런스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작업시 세탁기의 언밸런스를 보다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케이싱을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연부에 결합되며, 하향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소정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함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싱의 유동시 상기 언밸런스감지부와 접촉 및 이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유동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밸런스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일정 설치구간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언밸런스감지부의 설치구간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경보발생부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발생부는 청각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내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탄성부세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6. 케이싱을 갖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연부에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는 언밸런스감지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언밸런스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이 일정 진폭이상이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이 일정 진폭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방법.
KR1019980030426A 1998-07-28 1998-07-28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9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26A KR20000009791A (ko) 1998-07-28 1998-07-28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26A KR20000009791A (ko) 1998-07-28 1998-07-28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91A true KR20000009791A (ko) 2000-02-15

Family

ID=1954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426A KR20000009791A (ko) 1998-07-28 1998-07-28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7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6076A (zh) * 2019-11-13 2021-05-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6076A (zh) * 2019-11-13 2021-05-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3202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1186309B1 (ko) 드럼 세탁기
KR2016009413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5749A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JP3817522B2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09791A (ko) 세탁기의 언밸런스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H11197390A (ja) 洗濯機
JP2003245490A (ja) 洗濯機
KR20000009965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4072A (ko) 주파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세탁기
JPH11156084A (ja) 洗濯機
KR100326999B1 (ko) 복합센서를구비한세탁기
JPH05228294A (ja)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S626470B2 (ko)
KR200159468Y1 (ko) 세탁기의 내조 회전 제동장치
KR100233450B1 (ko) 세탁기
KR10027759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42574B1 (ko) 세탁기
KR20040047228A (ko) 세탁수의 경도측정이 가능한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20000034170A (ko) 세탁기의 수위제어방법
JP2693079B2 (ja) 洗濯機
KR19990030693A (ko)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KR19990039453A (ko)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9990039229A (ko) 세탁기
KR960041477A (ko) 세탁기의 세탁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