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219A -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219A
KR20000008219A KR1019980027945A KR19980027945A KR20000008219A KR 20000008219 A KR20000008219 A KR 20000008219A KR 1019980027945 A KR1019980027945 A KR 1019980027945A KR 19980027945 A KR19980027945 A KR 19980027945A KR 20000008219 A KR20000008219 A KR 2000000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icrocomputer
button
car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219A/ko
Publication of KR2000000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특정한 자동차의 카-오디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0)와; 상기 배터리(80)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인가받아 5V의 마이컴동작전압으로 다운시켜 마이컴(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마이컴 전원인가부(90)와; 상기 마이컴 전원인가부(90)에서 공급되는 5V의 전원으로 동작되는 마이컴(100)과; 상기 마이컴(100)이 동작되는 상태를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원이 스위치 S1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정전압 레귤레이터(120)와; 상기 배터리(80)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5V로 다운시켜 스위칭부(140)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130)와; 상기 스위치 S1이 온되면 이를 마이컴(100)에게 알리기 위해 동작하는 스위칭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불특정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미리 셋팅시켜 놓고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 카-오디오 패널의 크기가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카-오디오(Car-Audio)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특정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의 메모리 및 스캔버튼 한개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주파수를 셋팅시켜 손쉽게 셋팅된 주파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자동차 시장에 나와있는 카-오디오에는 주파수를 셋팅시키는 버튼이 대략 6개 내지 8개 정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많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요즘의 카-오디오에서는 패널공간이 협소하므로 상기 카-오디오의 크기가 커질수 밖에 없다.
또한, 주파수를 셋팅시키는 버튼에 메모리된 주파수를 모를경우 주파수가 셋팅된 버튼에 기억된 주파수를 듣고 싶으면 하나하나 버튼을 누르면서 방송을 확인해야한다.
일반적인 카-오디오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특정한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나 운전자가 듣고자 하는 라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FM/AM버튼(1)과; 상기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나 운전자가 테잎을 듣고자 할 때 선택하는 테잎버튼(2)과; 운전자나 탑승객에 의해 상기 테잎버튼(2)을 눌러 테잎모드가 선택되면 불특정한 테잎이 삽입되는 부분인 테잎 투입구(3)와; 상기 테잎 투입구(3)를 통해 삽입된 테잎을 빼고자할 때 사용하는 이젝트 버튼(4)과; 상기 FM/AM버튼(1)을 이용하여 라디오 모드를 선택하면 듣고자 하는 주파수를 찾는 튜너(5)와; 상기 튜너(5)를 통해 선택된 주파수를 다수개 셋팅시키는 다수개의 메모리 및 스캔버튼(6)과; 상기 카-오디오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일반적인 카-오디오의 동작 과정은, 불특정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소정의 카-오디오에 전원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7)를 통해 현재 오디오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되고, FM/AM버튼(1)이나 테잎버튼(2)을 통해 운전자나 탑승객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어, 운전자나 탑승객이 FM/AM버튼(1)을 눌러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면 튜너(5)를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선정한다음 메모리 및 스캔버튼(6)을 이용하여 셋팅시키고, 다음부터는 셋팅된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을 계속적으로 들을수 있다.
또한, 운전자나 탑승객이 테잎버튼(2)를 이용하여 테잎모드를 선택하면 테잎 투입구(3)를 통해 원하는 테잎을 삽입시키고, 이후 테잎동작이 끝나면 이젝트 버튼(4)을 눌러 테잎을 꺼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오디오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및 스캔버튼은 그 수가 많아서 다수개를 장착할 경우 카-오디오 패널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각종 성능을 부가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카-오디오에 장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메모리 및 스캔버튼을 하나의 버튼으로 일체화시켜 카-오디오 패널의 크기를 작게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는, 불특정한 자동차의 카-오디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인가받아 5V의 마이컴동작전압으로 다운시켜 마이컴에 전원을 인가하는 마이컴 전원인가부와; 상기 마이컴 전원인가부에서 공급되는 5V의 전원으로 동작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이 동작되는 상태를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원이 스위치 S1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정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5V로 다운시켜 스위칭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스위치 S1이 온되면 이를 마이컴에게 알리기 위해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방법은, 불특정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의 메모리 및 스캔버턴을 운전자나 탑승객이 동작시키는 버튼동작단계와; 상기 버튼동작단계를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미만이 아니면 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났으면 현재주파수를 메모리 시키고, 끝나지 않았으면 다음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주파수 메모리단계와; 상기 주파수 메모리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었으면 스캔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수행되었으면 현재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수행되지 않았으면 셋팅된 주파수의 스캔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나지 않았으면 다시 스캔동작을 하고, 끝났으면 스캔시작시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주파수 스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카-오디오의 패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의 패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FM/AM버튼 2, 20 : 테잎버튼
3, 30 : 테잎 투입구 4, 40 : 이젝트 버튼
5, 50 : 튜너 6, 60 : 메모리 및 스캔버튼
7, 70 : 디스플레이부 80 : 배터리
90 : 마이컴 전원인가부 100 : 마이컴
120 : 제 1 정전압 레귤레이터 130 :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
140 : 스위칭부 S1 : 스위치
R1∼R8 : 저항 ZD1∼ZD3 : 제너다이오드
Q1∼Q5 : 트랜지스터 X-Tal : 수정발진기
C1∼C3 : 콘덴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의 패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특정한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나 운전자가 듣고자 하는 라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FM/AM버튼(10)과; 상기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나 운전자가 테잎을 듣고자 할 때 선택하는 테잎버튼(20)과; 운전자나 탑승객에 의해 상기 테잎버튼(20)을 눌러 테잎모드가 선택되면 불특정한 테잎이 삽입되는 테잎 투입구(30)와; 상기 테잎 투입구(30)를 통해 삽입된 테잎을 빼고자할 때 사용하는 이젝트 버튼(40)과; 상기 FM/AM버튼(10)을 이용하여 라디오 모드를 선택하면 듣고자 하는 주파수를 찾는 튜너(50)와; 상기 튜너(50)를 통해 선택된 주파수를 다수개 셋팅시키는 다수개의 메모리 및 스캔버튼(60)과; 상기 카-오디오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기능 블럭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특정한 자동차의 카-오디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0)와; 상기 배터리(80)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인가받아 5V의 마이컴동작전압으로 다운시켜 마이컴(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마이컴 전원인가부(90)와; 상기 마이컴 전원인가부(90)에서 공급되는 5V의 전원으로 동작되는 마이컴(1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0)이 동작되는 상태를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원이 스위치 S1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정전압 레귤레이터(120)와; 상기 배터리(80)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5V로 다운시켜 스위칭부(140)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130)와; 상기 스위치 S1이 온되면 이를 마이컴(100)에게 알리기 위해 동작하는 스위칭부(140)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특정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의 메모리 및 스캔버턴(60)을 운전자나 탑승객이 동작시키는 버튼동작단계(S1)와; 상기 버튼동작단계(S1)를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미만이 아니면 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났으면 현재주파수를 메모리 시키고, 끝나지 않았으면 다음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주파수 메모리단계(S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메모리단계(S2)에서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었으면 스캔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수행되었으면 현재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수행되지 않았으면 셋팅된 주파수의 스캔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나지 않았으면 다시 스캔동작을 하고, 끝났으면 스캔시작시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주파수 스캔단계(S3)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특정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소정의 카-오디오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고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잎버튼(20)을 누른상태에서 테잎 투입구(30)를 통해서 원하는 테잎을 삽입시킨후 음악을 들으며, 상기 테잎의 동작상태는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운전자나 탑승객이 볼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운전자나 탑승객이 다시 라디오를 듣고자 하면 FM/AM버튼(10)을 이용하여 라디오 모드를 선택한 후, 튜너(50)를 통해 원하는 주파수를 설정하여 들으면되고, 이때 라디오 모드의 동작상태는 역시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운전자나 탑승객이 자주듣거나 좋아하는 주파수를 미리 셋팅시키고자하면,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이용하여 사전에 셋팅시키는데 셋팅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카-오디오에는 모든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80)를 통해 13V의 전원을 공급받는데, 상기 카-오디오의 마이컴(100)은 5V의 전압이 입력되어야 동작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마이컴 전원인가부(90)에서 5V로 다운시켜 마이컴(10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후, 운전자나 탑승객이 예를들어 89.1㎒ FM 방송을 셋팅시켜 놓고 듣고자 하면, FM/AM버튼(10)을 누루고 튜너(50)로 주파수를 설정한후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누른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스위치(S1)는 온되면서 스위칭부(140)가 온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0)에서는 현재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누른 상태임을 인식하여, 설정된 시간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여기서 설정시간을 2초로 가정한다.
상기 마이컴(100)이 운전자나 탑승객이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2초미만동안 누르고 있는지 판단하여, 2초 미만동안 누르고 있지 않음(2초이상)이 인식되면 설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읽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주파수 읽기 동작이 끝났음이 인식되면 현재 읽고 있는 주파수를 셋팅시키고, 주파수 읽기 동작이 끝나지 않았으면 현재 읽고 있는 주파수 말고 다음 주파수를 셋팅시킨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2초 미만동안 누르고 있음을 상기 마이컴(100)이 인식하면 셋팅된 주파수를 스캔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계속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60)을 누르고 있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누르고 있음이 인식되면 현재 주파수를 고정시켜 듣지만 누르고 있음이 인식되지 않으면 주파수를 스캔하는 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나지 않았으면 다시 스캔동작을 수행하고 끝났으면 스캔동작을 시작할때의 주파수를 셋팅시킨다.
이후, 원하는 주파수 셋팅작업이 끝난후, 운전자나 탑승객이 메모리 및 스캔버튼(60) 동작으로 원하는 방송을 듣을 수 있게되며, 상기 마이컴(10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진행상태는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0)이 스위치(S1)의 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140)가 신호를 입력시켜주며, 상기 스위칭부(140)에 5V의 전원을 공급하는 주체는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130)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은, 불특정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를 미리 셋팅시켜 놓고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스캔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 카-오디오 패널의 크기가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불특정한 자동차의 카-오디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인가받아 5V의 마이컴동작전압으로 다운시켜 마이컴에 전원을 인가하는 마이컴 전원인가부와; 상기 마이컴 전원인가부에서 공급되는 5V의 전원으로 동작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이 동작되는 상태를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원이 스위치 S1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정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3V의 전압을 5V로 다운시켜 스위칭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정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스위치 S1이 온되면 이를 마이컴에게 알리기 위해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2. 불특정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오디오의 메모리 및 스캔버턴을 운전자나 탑승객이 동작시키는 버튼동작단계와; 상기 버튼동작단계를 수행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미만이 아니면 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났으면 현재주파수를 메모리 시키고, 끝나지 않았으면 다음주파수를 메모리 시키는 주파수 메모리단계와; 상기 주파수 메모리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버튼을 누루고 있었으면 스캔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메모리 및 스캔버튼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수행되었으면 현재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수행되지 않았으면 셋팅된 주파수의 스캔동작이 끝났는지 판단하여 끝나지 않았으면 다시 스캔동작을 하고, 끝났으면 스캔시작시 주파수를 고정시키는 주파수 스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방법.
KR1019980027945A 1998-07-10 1998-07-10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KR20000008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945A KR20000008219A (ko) 1998-07-10 1998-07-10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945A KR20000008219A (ko) 1998-07-10 1998-07-10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19A true KR20000008219A (ko) 2000-02-07

Family

ID=1954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945A KR20000008219A (ko) 1998-07-10 1998-07-10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9789B2 (ja) 送信機
KR20000008219A (ko) 카-오디오의 주파수 셋팅장치 및 방법
KR20030010657A (ko) 수신된 프로그램 콘텐츠에 응답하여 활성화된엔터테인먼트 수신기 및 수신기를 동작하는 방법
JP2767112B2 (ja) 車載用受信装置
JP4001742B2 (ja) 車載映像音響機器
KR19980048144U (ko) 자동 온/오프되는 자동차용 오디오
KR100751945B1 (ko) 방송 예약 청취 방법 및 장치
KR19980054300A (ko) 라디오 방송 예약장치
KR19980069669A (ko) 자동차 오디오 메모리 장치
JP2000068793A (ja) 車載用放送チューナーのプリセット機構
JPH07170207A (ja) 電子機器
KR0149409B1 (ko) 라디오수신기의 프로그램 예약청취방법
KR19980050275U (ko) 카오디오 동작 제어장치
KR20000074072A (ko) 카오디오의 비에스엠 프리셋 메모리 방법
KR20000074051A (ko) 차량 오디오내 라디오의 자동 선국회로 및 방법
JP3571464B2 (ja) 文字多重放送受信機
KR970024557A (ko) 방송채널의 프리셋 메모리 자동선국방법
JPS63177621A (ja) 車載用ラジオ受信機の自動選局システム
KR20000008224A (ko) 카-오디오 방송프로그램 예약장치 및 방법
KR19980057950A (ko) 프리세트기능을 이용한 카오디오의 자동볼륨조절방법
JPS63187721A (ja) 交通情報局受信システム
JP2000286680A (ja) 選局装置
JPH0683025B2 (ja) 車載用オ−トプリセツト受信装置
KR19990002432A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라디오 프로그램 예약 방법
KR19990027558U (ko) 방송 주파수 자동 추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