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114U -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114U
KR20000008114U KR2019980019713U KR19980019713U KR20000008114U KR 20000008114 U KR20000008114 U KR 20000008114U KR 2019980019713 U KR2019980019713 U KR 2019980019713U KR 19980019713 U KR19980019713 U KR 19980019713U KR 20000008114 U KR20000008114 U KR 20000008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ata
autonomous
storage
input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수
Original Assignee
배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수 filed Critical 배준수
Priority to KR2019980019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114U/ko
Publication of KR20000008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14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유,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을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입력하여 녹음시킨 후, 착신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가 저장시킨 소리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차별화 되는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용 데이터로 변조하는 소리데이터 입력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리데이터 입력부에서 변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부로부터 읽혀진 소리데이터를 원래의 소리데이터로 복조하는 음성데이터 합성부와, 음성데이터 합성부에서 복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소리데이터 출력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율저장용 키신호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녹음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착신음이 자율저장 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 자율 저장된 경우 자율 저장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본인만이 알 수 있는 고유한 착신음을 저장시켜 둔 상태에서 착신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자율 저장된 착신음을 출력함으로써, 통신 단말기가 많이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다른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착신음과 혼동을 피할 수 있어 착신음이 발생할 때마다 통신 단말기를 확인해야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본 고안은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 무선 통신 단말기(전화기, 휴대폰, 카폰, 무선호출기 등을 의미한다.; 이하 '통신 단말기'라 칭함)의 착신음을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입력하여 녹음시킨 후, 착신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가 저장시킨 소리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차별화 되는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기의 발달로 유, 무선 통신기기의 생활화가 확산되어 개개인들은 유,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기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휴대폰의 경우만 보더라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머지 않아 국민의 대다수가 휴대폰을 소지하는 시대가 올 것임 알 수 있다.
하지만 휴대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의 경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착신신호에 따라 외부로 착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초창기의 통신 단말기는 모두 동일한 착신음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통신 단말기로 착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각자가 지니고 있는 통신 단말기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후 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업체측에서는 클래식부터 민요까지 다양한 종류의 멜로디 데이터를 저장시켜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저장된 멜로디 데이터중 하나의 멜로디 데이터를 설정하여 착신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멜로디 데이터 중 사용자가 사용하고 싶은 멜로디 데이터를 선택하여 착신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출력장치는 하나의 착신음만을 발생하는 초창기의 통신 단말기에 비하면 다른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착신음과 차별화시킬 수 있었으나 완전히 해소할 수 없으므로 통신 단말기를 많이 지니고 있는 지하철과 같은 공간에서는 여전히 다른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착신음과 혼동이 되어 착신음 발생시 통신 단말기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유, 무선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을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입력하여 녹음시킨 후, 착신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가 저장시킨 소리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 차별화되는 착신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인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을 자율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수신된 경우 착신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소리데이터 입력부 110 : 저장부
120 : 착신신호 수신부 130 : 음성데이터 합성부
140 : 소리데이터 출력부 150 :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마이크 혹은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용 데이터로 변조하는 소리데이터 입력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리데이터 입력부에서 변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부로부터 읽혀진 소리데이터를 원래의 소리데이터로 복조하는 음성데이터 합성부와, 음성데이터 합성부에서 복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소리데이터 출력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율저장용 키신호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녹음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착신음이 자율 저장 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 자율 저장된 경우 자율 저장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소리데이터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저장시키고자 하는 소리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용 데이터로 변조시킨 후 후단으로 출력한다.
저장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리데이터 입력부(100)에서 변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저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데이터 합성부(1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부(110)로부터 읽혀진 소리데이터를 원래의 소리데이터로 복조시킨 후 후단으로 출력한다.
소리데이터 출력부(140)는 음성데이터 합성부(130)에서 복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율저장용 키신호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녹음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착신음이 자율저장 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 자율 저장된 경우 자율 저장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120은 착신신호 수신부로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에 이를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을 자율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수신된 경우 착신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에 착신음 자율저장용 프로그램이 따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술한 자율저장용 프로그램을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구동시켜 착신음 자율저장을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여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를 구현하게 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자율 저장용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10)하여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이를 인식하고, 통신 단말기의 전체 시스템이 자율저장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S220)한다.
상술한 단계(S220)의 판단 결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 소리데이터는 소리데이터 입력부(100)로 입력되고, 소리데이터 입력부(100)에 의해 저장용 데이터로 변조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부(110)로 출력되고, 저장(S230)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자율적인 의도에 따라 착신음을 녹음하는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통신 단말기의 전체 시스템이 통신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입력(S240)되는 경우 착신신호 수신부(120)는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착신신호를 인식한 후 착신음이 사용자에 의해 자율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S250)한다.
그리하여 상술한 단계(S250)의 판단 결과,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이 자율적으로 녹음되어 있는 경우 저장부(110)에 착신음으로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음성신호 합성부(1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원래의 소리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소리데이터 출력부(140)로 출력되어 증폭된 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S260)된다.
만약에, 상술한 단계(S250)의 판단 결과, 저장부(110)에 자율 저장된 착신음이 없는 경우 설정된 통상의 착신음중 사용자가 설정하여 둔 착식음을 발생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S270)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자율저장용 착신음은 자율저장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시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본인만이 알 수 있는 고유한 착신음을 저장시켜 둔 상태에서 착신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자율 저장된 착신음을 출력함으로써, 통신 단말기가 많이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다른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착신음과 혼동을 피할 수 있어 착신음이 발생할 때마다 통신 단말기를 확인해야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용 데이터로 변조하는 소리데이터 입력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리데이터 입력부에서 변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부;
    제어신호에 의해 저장부로부터 읽혀진 소리데이터를 원래의 소리데이터로 복조하는 음성데이터 합성부;
    상기 음성데이터 합성부에서 복조된 소리데이터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소리데이터 출력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율저장용 키신호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녹음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테나를 통해 착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착신음이 자율 저장 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 자율 저장된 경우 자율 저장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자율저장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착신음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KR2019980019713U 1998-10-15 1998-10-15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KR200000081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713U KR20000008114U (ko) 1998-10-15 1998-10-15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713U KR20000008114U (ko) 1998-10-15 1998-10-15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14U true KR20000008114U (ko) 2000-05-06

Family

ID=6970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713U KR20000008114U (ko) 1998-10-15 1998-10-15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1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528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한 벨소리 설정 방법
KR20070037267A (ko) * 2005-09-30 200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확인 휴대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528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한 벨소리 설정 방법
KR20070037267A (ko) * 2005-09-30 200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 확인 휴대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891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functions
JPH1051831A (ja) 無線メッセージ端末装置
JPH08125720A (ja) 受信機
RU9612286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записанного телеф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номера
KR20000008114U (ko)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자율 저장장치
JP4600321B2 (ja) 携帯電話機
JP3508828B2 (ja) 電話機
JP2957469B2 (ja) 携帯型無線電話機
JPH08223259A (ja) 携帯電話機
JP200311067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H09200303A (ja) 電話機
KR200179155Y1 (ko) 휴대폰의 통화녹음장치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KR970068392A (ko) 유ㆍ무선 자동 전화기의 음성 스케쥴 알람장치 및 방법
KR20040038016A (ko) 멜로디 연주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100283167B1 (ko) 음성인식전화기의음성메모장치
JPH09307605A (ja) 電話機端末装置
JP2005341329A (ja) 携帯電話端末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JPH1013499A (ja) オリジナル呼出音装置
JPH0335647A (ja) 留守番機能付電話
KR19990030720U (ko) 착신음 녹음 및 재생장치
JPH09200860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960011827B1 (ko) 전화기를 이용한 가라오케장치
JPH08265847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