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024U -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024U
KR20000008024U KR2019980019603U KR19980019603U KR20000008024U KR 20000008024 U KR20000008024 U KR 20000008024U KR 2019980019603 U KR2019980019603 U KR 2019980019603U KR 19980019603 U KR19980019603 U KR 19980019603U KR 20000008024 U KR20000008024 U KR 200000080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rge
emergency rescue
auxiliary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1835Y1 (ko
Inventor
채병연
Original Assignee
채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연 filed Critical 채병연
Priority to KR2019980019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8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835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비상구조매트로 탈출한 피난자가 다시 비상구조매트의 바닥면으로 떨어져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이 연통되게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에 상면 포지가 부착되며, 상기 각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에는 하면 포지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수직기둥의 중간 부분에 중간 포지가 부착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과 수평기둥 사이의 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유통공이 천공된 측면 포지가 부착되어 상기 중간 포지의 상하측에 공기실이 형성된 비상구조매트에 있어서, 상기 하면 포지(140)의 상면과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충격방지포지(182)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충격방지포지(182)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공기유통공(162)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의 보조 측면포지(184)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조공기실(186)이 구성되는 3차충격흡수층(180)과; 상기 3차충격흡수층(180)의 보조공기실(186)내에 비상구조매트(100)의 설치시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공기실(186)내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방지포지(182)에 충격력이 작용되더라도 보조공기실(186)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조정장치(190)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
본 고안은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의 화재 등으로 비상탈출하는 피난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비상구조매트에 피난자가 떨어진 상태에서 공기의 과도한 배출로 인해 피난자가 바닥면에 다시 떨어져 입는 상해가 방지되도록 개선한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 비상탈출용의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비상구조매트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주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비상구조매트(10)는 각 모서리에 골격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직기둥(12)과 수평기둥(14)이 연통되게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4)에 상면 포지(16)가 부착되며, 상기 각 수직기둥(1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4)에는 하면 포지(18)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수직기둥(12)의 중간 부분에는 중간 포지(20)가 부착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2)과 수평기둥(14) 사이의 네측면에는 각각 측면 포지(22)가 부착되어, 상기 중간 포지(20)의 상,하측에는 공기실(24,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조매트(10)의 하측 수평기둥(14)에는 공기주입구(26)와, 배기밸브(28) 및 안전밸브(2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면 포지(22)에는 상기 공기주입구(26)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수직기둥(12) 및 수평기둥(14)이 팽창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각 포지(16,18,20,22)에 의해 형성된 공기실(24,24')에 유입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다수 개의 공기유통공(22a)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직 및 수평기둥(12)(14)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포지(22)에 천공된 공기유통공(22a)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비상구조매트(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 포지(16)에 피난자가 떨어지게 되면 중간 포지(20)의 상측 공기실(24)내에 채워진 공기가 배출되면서 1차적인 충격력이 흡수되고 이어서 중간 포지(20)의 상면에 피난자의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하측 공기실(24')의 공기가 공기유통공(22a)으로 배출되어 2차적으로 충격력이 흡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구조매트(10)는 고층건물에서 비상탈출한 피난자가 상면 포지(14)에 떨어진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게 되면 피난자의 자중에 의해 각 공기실(24,24')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통공(22a)을 통해 급속하게 배출되므로 피난자의 신체가 바닥면으로 떨어져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상구조매트로 탈출한 피난자가 다시 비상구조매트의 바닥면으로 떨어져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 모서리에 골격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직기둥과 수평기둥이 연통되게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에 상면 포지가 부착되며, 상기 각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에는 하면 포지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수직기둥의 중간 부분에 중간 포지가 부착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과 수평기둥 사이의 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유통공이 천공된 측면 포지가 부착되어 상기 중간 포지의 상하측에 공기실이 형성된 비상구조매트에 있어서, 상기 하면 포지의 상면과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충격방지포지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충격방지포지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의 보조 측면포지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조공기실이 구성되는 3차충격흡수층과; 상기 3차충격흡수층의 보조공기실내에 비상구조매트의 설치시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공기실내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방지포지에 충격력이 작용되더라도 보조공기실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상기 보조 측면포지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조정장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정장치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상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되는 공기유입공과, 상기 공기유입공이 차단되도록 그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의 내면에 상단이 부착되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비상구조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비상구조매트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비상구조매트, 110:수직기둥,
120:수평기둥, 130:상면 포지,
140:하면 포지, 150:중간 포지,
160:측면 포지, 162:공기유통공,
170,170':공기실, 180:3차충격흡수층,
182:충격방지포지, 184:보조 측면포지,
186:보조공기실, 190:공기조정장치,
192:공기유입공, 194:차단막.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에 골격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직기둥(110)과 수평기둥(120)이 연통되게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20)에 상면 포지(130)가 부착되며,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20)에는 하면 포지(140)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중간 부분에 중간 포지(150)가 부착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10)과 수평기둥(120) 사이의 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유통공(162)이 천공된 측면 포지(160)가 부착되어 상기 중간 포지(150)의 상하측에 공기실(170)(170')이 형성된 비상구조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하면 포지(140)의 상면과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충격방지포지(180)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충격방지포지(182)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공기유통공(162)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의 보조 측면포지(184)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조공기실(186)이 구성되는 3차충격흡수층(180)과, 상기 3차충격흡수층(180)의 보조공기실(186)내에 비상구조매트(100)의 설치시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공기실(186)내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방지포지(182)에 충격력이 작용되더라도 보조공기실(186)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조정장치(190)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정장치(190)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상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되는 공기유입공(192)과, 상기 공기유입공(192)이 차단되도록 그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의 내면에 상단이 부착되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막(194)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주입식 튜브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주입구(미도시)와 배출밸브(미도시)를 적용하여 상기 3차충격흡수층(180)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상기 수직 및 수평기둥(110)(1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이며, 210은 상기 수직 및 수평기둥(110)(120)에 주입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이고, 220은 상기 수직 및 수평기둥(110)(120)에 주입된 공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기를 공기주입구(200)에 결합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수직 및 수평기둥(110)(120)가 팽창되면서 상면 포지(130)와 중간 포지(150)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실(170)(170') 내부에 부압(負壓)이 작용되어 공기유통공(16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비상구조매트(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이때 3차충격흡수층(180)의 보조 공기실(186)에도 부압이 작용되므로 공기유입공(19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채워지게 되고, 이와 같은 공기의 유입이 완료되면 차단막(194)이 상기 공기유입공(192)을 차단하여 막게 된다.
한편, 각 공기실(170)(170')과 보조 공기실(186)에 공기가 채워져 그 설치가 완료된 비상구조매트(100)의 상면 포지(130)에 피난자가 떨어지게 되면 중간 포지(150)의 상측 공기실(170)내에 채워진 공기가 배출되면서 1차적인 충격력이 흡수되고, 이어서 중간 포지(150)의 상면에 피난자의 충격력이 작용되면서 하측 공기실(170')의 공기가 공기유통공(162)으로 배출되어 2차적으로 충격력이 흡수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난자가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게 되면 피난자의 자중에 의해 상기 하측 공기실(170')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통공(162)을 통해 급속하게 배출되므로 피난자의 신체가 3차충격방지층(180)의 충격방지포지(182)에 떨어져 접촉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피난자가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더라도 3차충격방지층(180)의 보조 공기실(186)내에 충진되어 차단막(194)에 의해 그 배출이 방지된 공기에 의해 완충되므로 또 다른 상해를 입지않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비상구조매트(100)를 보관하고자 할 때는 배기밸브(210)를 통해 수직기둥(110)과 수평기둥(120)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동시에 공기조정장치(190)의 차단막(194)을 내측으로 밀어 올려 보조 공기실(196)내의 공기를 배출시킨 다음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접어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에 의하면, 고층건물에서 비상탈출한 피난자가 비상구조매트에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입는 상해가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각 모서리에 골격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직기둥(110)과 수평기둥(120)이 연통되게 서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20)에 상면 포지(130)가 부착되며,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기둥(120)에는 하면 포지(140)가 부착되는 한편, 상기 각 수직기둥(110)의 중간 부분에 중간 포지(150)가 부착되고, 상기 각 수직기둥(110)과 수평기둥(120) 사이의 측면에 다수 개의 공기유통공(162)이 천공된 측면 포지(160)가 부착되어 상기 중간 포지(150)의 상하측에 공기실(170)(170')이 형성된 비상구조매트(100)에 있어서,
    상기 하면 포지(140)의 상면과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충격방지포지(182)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충격방지포지(182)의 가장자리 하측에는 상기 공기유통공(162)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의 보조 측면포지(184)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조공기실(186)이 구성되는 3차충격흡수층(180)과;
    상기 3차충격흡수층(180)의 보조공기실(186)내에 비상구조매트(100)의 설치시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공기실(186)내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방지포지(182)에 충격력이 작용되더라도 보조공기실(186)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공기조정장치(19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정장치(190)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184)상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되는 공기유입공(192)과;
    상기 공기유입공(192)이 차단되도록 그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보조 측면포지(182)의 내면에 상단이 부착되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막(19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조매트의 3차충격 방지구조.
KR2019980019603U 1998-10-14 1998-10-14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KR20025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03U KR200251835Y1 (ko) 1998-10-14 1998-10-14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03U KR200251835Y1 (ko) 1998-10-14 1998-10-14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24U true KR20000008024U (ko) 2000-05-06
KR200251835Y1 KR200251835Y1 (ko) 2002-04-13

Family

ID=6970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603U KR200251835Y1 (ko) 1998-10-14 1998-10-14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8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41B1 (ko) * 2013-11-22 2014-10-08 (주)서한에프앤씨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41B1 (ko) * 2013-11-22 2014-10-08 (주)서한에프앤씨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835Y1 (ko) 200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2184T3 (es) Estructura protectora
US3391414A (en) Athlete's pneumatic landing pit cushion
US3603430A (en) Pressure relief impact absorbing apparatus
GB2395742A (en) System for absorbing impact of falling person
ITMI20121904A1 (it) Dispositivo ammortizzatore
CN107953770A (zh) 一种汽车防泄漏油箱
KR200251835Y1 (ko)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JP3841314B2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
KR101307374B1 (ko) 폭발물용 방폭 튜브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0290251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JP3617730B2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用排気弁
KR0109433Y1 (ko) 구난용 에어쿳션
KR950000530Y1 (ko) 구난용 에어쿳션의 구조
US5768705A (en) Inflatable safety apparatus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JPH09262303A (ja) 高い建物からの人の落下、物の落下を下で受け止める空気袋。
KR200280654Y1 (ko) 구명용쿠션매트의프레임
CN210433860U (zh) 一种消防救生气垫
KR101447141B1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20000008025U (ko) 비상구조매트의 설치시간 단축용 공기유입장치
JP3480521B2 (ja) 緊急降下脱出用エアバック
WO2004067879A1 (en) Safety cushion apparatus
KR200318383Y1 (ko) 인명 구조용 낙하장치
KR102407370B1 (ko) 안전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