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819U -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819U
KR20000007819U KR2019980019331U KR19980019331U KR20000007819U KR 20000007819 U KR20000007819 U KR 20000007819U KR 2019980019331 U KR2019980019331 U KR 2019980019331U KR 19980019331 U KR19980019331 U KR 19980019331U KR 20000007819 U KR20000007819 U KR 20000007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housing
rotary cutter
cutter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1000Y1 (ko
Inventor
정성옥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2019980019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00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000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거된 어패류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조류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자원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패류 등과 같은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아래에 설치된 분쇄수단 및,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방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은,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반부의 내주에 덧대어진 고정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커터와 고정커터의 협력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이 분쇄되며, 상기 회전커터는 다각주형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마다 1개씩 부착된 다수의 커팅날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커터의 커팅날은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의 너머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커팅날과 상기 고정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쇄장치
본 고안은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닷물 오물처리 과정에서 수거된 어류와 조개류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사료화할 수 있는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국의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바닷물을 오물처리하여 순환수(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바닷물의 오물처리과정에서 취수구측의 각각의 스크린(screen)에는 어패류를 비롯한 각종 오물이 쌓이게 되며, 이런 각종 오물들은 수거되어 소정장소에 적재된다. 이렇게 각종 오물들이 적재되면, 가연성 오물과 불연성 오물로 분리수거하고 또한 자연건조하는 방식으로 오물들을 처리하고 있으나, 이런 관계로 미관을 헤치고 오물들의 부패로 인하여 심한 악취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분리된 어패류는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바다로 버리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바다 속에 어패류 층이 형성되어 자연이 훼손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수거된 어패류는 단백질, 회분, 칼슘,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닭 등 조류의 사료로 사용될 가치가 있는데도 그대로 버리므로써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거된 어패류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조류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자원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분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분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회전커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투입구 12 : 방출구
13 : 수집통 21 : 하우징
22 : 삼각주형 회전체 25 : 커팅날
26 : 슬롯 29 : 스크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어패류 등과 같은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아래에 설치된 분쇄수단 및,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방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은,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반부의 내주에 덧대어진 고정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커터와 고정커터의 협력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이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커터는 다각주형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마다 1개씩 부착된 다수의 커팅날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커터의 커팅날은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의 너머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커팅날과 상기 고정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커터는 그 길이가 다등분되게 분할된 다수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분할체는 기하학적 중심이 편심을 이루게 조립되어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분쇄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분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쇄장치의 회전커터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분쇄장치는 몸체부의 역할을 하는 지탱부재(10)를 포함한다. 이런 지탱부재(10)의 상부면에는 어패류 등과 같은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투입구(11)의 하부면에는 투입된 어패류를 분쇄하는 분쇄수단(2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분쇄수단(20)의 하부에는 분쇄되어 방출구(12)를 따라 방출된 어패류를 수집하는 수집통(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투입구(11)의 소정부위에는 어패류와 함께 투입된 불순물(비닐, 천 등)에 의해 분쇄수단(20)이 재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에, 이런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덮개(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투입구(11)는 어패류가 투입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탱부재(10)의 소정부위에는 분쇄수단(20)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모터에는 전원에 접속된 온오프 스위치(15)와 모터에 과부하 등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탱부재(10)의 하부면에는 롤러(16)가 부착되어 있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분쇄수단(20)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연통되어 있으며,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21)을 포함한다. 이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어패류를 분쇄하는 회전커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회전커터는 3개의 삼각주형 회전체(22)와, 이런 삼각주형 회전체(22)의 각각의 모서리에 부착된 커팅날(2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삼각주형 회전체(22)의 모서리부위에는 커팅날(25)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커팅날(25)에는 볼트가 끼워질 수 있는 슬롯(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슬롯(26)은 상기 삼각주형 회전체(22)의 모서리부위에 볼트결합된 커팅날(25)이 삼각주형 회전체(22)의 모서리 너머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삼각주형 회전체(2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위에는 샤프트(18)가 삽입될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구멍(27)의 상부에는 삼각주형 회전체(22)와 샤프트(18)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키이(key ; 19)가 삽입될 키이 삽입홀(2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샤프트(18)는 중앙부분이 소정크기만큼 편심되게 제작되어 있으며, 키이(19)가 끼워질 수 있는 키이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팅날(25)이 결합된 3개의 삼각주형 회전체(22)를 샤프트(18)에 끼운 다음 키이 삽입홀(28)과 키이홈(32)에 형성된 공간에 키이(19)를 끼워 결합하면, 서로 입접하는 두 개의 삼각주형 회전체는 기학학적 중심이 편심을 이루게된다. 이렇게 삼각주형 회전체(22)를 결합함으로써, 어패류를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렇게 어패류를 분쇄할 수 있는 회전력은 모터에 의해 발생하며, 이런 모터와 샤프트(18)는 V-벨트(31)로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칼날과 협력하여 어패류를 분쇄할 수 있도록 고정칼날의 역할을 하는 스크린(screen ;29)은 하우징(21)의 하반부의 내주면과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소정간격을 두고 스크린(29)을 결합하는 것은 이런 스크린(29)을 통해 배출된 분쇄물이 하우징(21)의 내주면을 따라 한 곳으로 수집되어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런 스크린(29)의 메시(mesh)는 4∼8㎜가 가장 적당하며, 그 이하일 경우에는 분쇄시 먼지가 형성될 우려가 있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자연분해되는 기간이 장기간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하반부에는 스크린(29)을 통해 배출되어 한 곳에 수집된 분쇄물을 수집통(13)으로 유도하는 방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방출구(12)는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길쭉한 슬롯으로서, 분쇄되는 분쇄입자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하부에는 방출구(12)를 따라 배출되는 분쇄물을 수집하는 수집통(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수집통(13)은 지탱부재(10)에 대해서 일반적인 서랍처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런 수집통(13)의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손잡이(30)가 부착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쇄장치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스위치(15)를 온(ON)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회전칼날이 회전하면서 고정칼날의 역할을 하는 스크린(29)과 협력하여 투입된 어패류를 분쇄한다. 이렇게 하여 스크린(29)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분쇄된 분쇄물은 스크린(29)을 통과하여 하우징(2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출구(12)를 따라 수집통(13)에 적재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따라 작업이 수행되다가 어패류가 아닌 불순물이 투입되어 회전칼날이 회전하지 못하면, 스위치(29)를 오프(OFF)한 후에, 덮개(17)를 열어 분순물을 제거한 후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류의 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크기의 어패류 분쇄물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어패류는 자연건조대에서 건조되어 수분함유량이 적고, 이렇게 건조된 어패류를 분쇄하는 본 고안의 분쇄장치는 자연건조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건조된 어패류를 바로 분쇄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쇄장치는 방치되던 어패류를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조류의 사료로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쇄장치를 사용하여 분쇄된 어폐류는 미세하여 폐기할 경우 자연소멸되는 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폐류를 분쇄하여 폐기함으로써 부피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분쇄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어패류 등과 같은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아래에 설치된 분쇄수단 및,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방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수단은,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반부의 내주에 덧대어진 고정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커터와 고정커터의 협력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이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는 다각주형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마다 1개씩 부착된 다수의 커팅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의 커팅날은 상기 회전체의 모서리의 너머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커팅날과 상기 고정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는 그 길이가 다등분되게 분할된 다수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분할체는 기하학적 중심이 편심을 이루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가 일정한 형상의 구멍이 조밀하게 천공된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는 상기 분쇄수단의 하우징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길쭉한 슬롯이고, 상기 스크린의 원하는 분쇄입자의 크기에 따라 구멍의 크기를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는 아래에는 분쇄된 폐기물을 수집할 수 있는 수집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장치.
KR2019980019331U 1998-10-09 1998-10-09 분쇄장치_ KR200251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331U KR200251000Y1 (ko) 1998-10-09 1998-10-09 분쇄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331U KR200251000Y1 (ko) 1998-10-09 1998-10-09 분쇄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19U true KR20000007819U (ko) 2000-05-06
KR200251000Y1 KR200251000Y1 (ko) 2002-04-22

Family

ID=6970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331U KR200251000Y1 (ko) 1998-10-09 1998-10-09 분쇄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0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204B1 (ko) * 2002-04-08 2004-03-16 주식회사 리싸이텍코리아 복합물 분리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으로 부터의 자원 재생방법
KR100460084B1 (ko) * 2002-05-28 2004-12-04 코리아유니크 주식회사 세단 기능이 첨가된 완충재 제조장치
KR100744895B1 (ko) * 2006-01-27 2007-08-01 동양매직 주식회사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204B1 (ko) * 2002-04-08 2004-03-16 주식회사 리싸이텍코리아 복합물 분리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으로 부터의 자원 재생방법
KR100460084B1 (ko) * 2002-05-28 2004-12-04 코리아유니크 주식회사 세단 기능이 첨가된 완충재 제조장치
KR100744895B1 (ko) * 2006-01-27 2007-08-01 동양매직 주식회사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000Y1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29756U (zh) 一种会计用碎纸机
CN108421609B (zh) 垃圾填埋场用垃圾粉碎处理装置
CN109127032A (zh) 一种碎纸机及其使用方法
KR200251000Y1 (ko) 분쇄장치_
CN201823578U (zh) 可回收用作饲料的餐厨垃圾的餐厨垃圾粉碎机
KR20120087417A (ko) 목재 파쇄기
CN111359866B (zh) 厨余垃圾处理机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029Y1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KR200262463Y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분리장치
KR100213985B1 (ko) 폐스치로폼 분쇄기
KR200601277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50095969A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WO2017127135A1 (en) Apparatus for shredding of waste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CN212370349U (zh) 一种厨余垃圾粉碎装置
CN212595941U (zh) 一种医疗废物破碎装置
CN110959388A (zh) 一种机电一体化植物秸秆高效粉碎装置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14326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분쇄장치
CN214159772U (zh) 一种建筑工程用废料处理装置
CN216459275U (zh) 一种服装面料绞碎装置
CN211838311U (zh) 厨余垃圾粉碎刮渣机构及厨余垃圾处理机
CN216063614U (zh) 移动式树枝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