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761U -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761U
KR20000007761U KR2019980019261U KR19980019261U KR20000007761U KR 20000007761 U KR20000007761 U KR 20000007761U KR 2019980019261 U KR2019980019261 U KR 2019980019261U KR 19980019261 U KR19980019261 U KR 19980019261U KR 20000007761 U KR20000007761 U KR 200000077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radle
adjusting device
wind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4168Y1 (ko
Inventor
이명원
Original Assignee
이명원
이화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원, 이화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명원
Priority to KR2019980019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16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168Y1/ko

Link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드럼과 접촉구동하는 보빈이 거치된 크래들에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구비하여 권취시 보빈의 자중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하여 항상 일정한 권취장력부여를 그 목적으로;
상기 크래들(2)은 힌지고정된 부위에 상,하 하우징(21,22)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내방으로 압축스프링(23)을 개제한 크래들장력조절장치(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24)는 그 일측은 크래들(2)과 힌지고정하고, 타측은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상에 장착된 텐션브라켓(26)과 고정되며, 상기 텐션브라켓(26)은 반원형의 요입홈(27)을 다수 개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배치하여 장력조절장치(24)의 원형체결돌기(28)와 결합되고, 상기 텐션브라켓(26)일측에는 그 형상이 박판의 금속편을 원호형으로 가공한 것으로 일측은 프레임(10)의 내측에 힌지샤프트(30)로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홈(31)이 형성된 텐션링크(29)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링크(29)는 텐션브라켓(26)이 장착된 가이드레일(32)상측에 장착된 링크스프링(33)상단면과 접속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은 균일한 권취장력의 부여로 연사작업시 해사성이 향상되며, 절사 및 미연을 방지하여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본 고안은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와인더를 통하여 합사완료된 실을 일정량 권취하는 보빈의 거취대인 크래들을 개선하여 권취성능의 향상을 이루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와인드라함은 연사공정의 전공정으로 연사(撚絲)를 필요로하는 원사(原絲)를 일정무게와 형태로 보빈에 귄취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단일 종류의 실만을 와인딩한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 다양한 직물지의 수요를 충당하기위해 다른 성질의 실을 동시에 연사하기위해 2가지 이상의 다른 성질의 실을 동시에 권취하여 연사가 가능하도록하는 더블와인더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상기 더블와인더는 크게 피딩부와 권취부로 형성되며,
상기 피딩부는 여러 가닥의 롤형태를 지닌 원사를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권취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구동모터, 피딩로울러, 가이드로울러와 공급되는 실의 적정환경제공을 위한 각종 센서들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피딩부의 각 구성품에 의해 공급된 다수 가닥의 실은 피딩부선단에 구비된 합사장치를 거쳐 권취부로 이송된다.
상기 권취부는 일정량의 원사를 특정형태로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하단에는 마찰력에 의한 회전력 전달을 이루는 권취드럼이 구비되고,
상기 보빈은 그 형상이 개략 "ㄷ"형으로 일측은 개방되어 보빈을 안치하고, 타측은 폐쇄되어 와인더본체와 힌지체결되는 크래들(cradle)에 회전자유롭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취부는 피딩부를 통하여 공급된 합사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이 크래들에 의해 고정된 보빈과 접속구동하여 보빈에 합사를 권취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의 회전력은 하단에 형성된 권취드럼과의 자중에 의한 마찰력뿐인데, 이는 와인딩작업이 진행할수록 보빈에 권취되는 합사의 무게에 따라 보빈의 자중이 변화하여 마찰력의 편차를 초래하였다.
마찰력은 F=μP
F;마찰력,
μ;마찰계수,
P:수직력
과 같은 콜롬브(coulomb)의 법칙과
"접촉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비례하고, 접촉면적과는 관계없다."라는 아몬트-쿠론의 법칙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합사의 무게가 증가할 수롤 권취드럼과 보빈의 마찰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마찰력의 편차는 연사작업시 실에 작용된 불균일한 와인더의 권취장력으로 연사성능이 저하되고, 미연(未撚)이 발생하여 제직시 불량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권취드럼과 접촉구동하는 보빈이 거치된 크래들에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구비하여 권취시 보빈의 자중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하여 항상 일정한 권취장력부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이 적용된 권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이 적용된 권취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권취부
2;크래들
4;합사
11;권취드럼
24;크래들장력조절장치
26;텐션브라켓
27;요입홈
29;텐션링크
33;링크스프링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이 적용된 권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이 적용된 권취부의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이종(異種)의 실을 동시에 연사하는 연사가공의 전공정으로 다수 가닥의 실이 상호 헤쳐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양과 형태로 권취하는 더블와인더는 권취드럼과 보빈, 크래들로 형성된 권취부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부(1)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평판형 부재를 절곡하여된 프레임(10)상에 중앙으로 권취드럼(11)의 구동력발생을 위한 구동모터(12)가 주동풀리(13)를 형성하여 장착되고, 그의 상단측방으로 원통형의 권취드럼(11)이 구비된다.
상기 권취드럼(11)의 선단에는 종동풀리(14)가 장착되며, 상기 주동풀리(13)와 종동풀리(14)는 벨트(15)로 체결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상기 주동풀리(13)와 종동풀리(14)상간에는 텐션풀리(16)를 더 구비하여 장시간 작동에 의한 벨트처짐등을 보정한다.
상기 구동모터(12)의 일측에는 권취드럼(11)과 접촉구동하는 보빈(17)의 거치를 위한 크래들(2)이 장착되는데, 상기 크래들(2)은 그 형상이 개략 "ㄷ"형으로 일측을 폐쇄하여 프레임(10)을 관통하는 샤프트(20)와 힌지고정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2)은 힌지고정된 부위에 상,하 하우징(21,22)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내방으로 압축스프링(23)을 개제한 크래들장력조절장치(2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24)는 그 일측은 크래들(2)과 힌지고정하고, 타측은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상에 장착된 텐션브라켓(26)과 고정된다.
상기 텐션브라켓(26)은 반원형의 요입홈(27)을 다수 개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배치하며, 이와 체결되는 장력조절장치(24)에는 원형의 체결돌기(28)를 구비한다.
상기 텐션브라켓(26)의 요입홈(27)은 와인딩되는 실의 종류와 합사수에 따라 각각 달리적용된다.
상기 텐션브라켓(26)일측에는 장력조절장치(24)가 텐션브라켓(26)의 요입홈(27)의 각 위치에 고정시 변화하는 장력의 보정과 적정장력유지를 위한 크래들링크(29)가 형성되는데,
상기 크래들링크(29)는 그 형상이 박판의 금속편을 원호형으로 가공한 것으로 일측은 프레임(10)의 내측에 힌지샤프트(30)로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홈(31)이 형성된다.
상기 크래들링크(29)는 텐션브라켓(26)이 장착된 가이드레일(32)상측에 장착된 링크스프링(33)상단면과 접속회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크래들링크(29)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홈(30)은 크래들(2)에 형성된 스토퍼(34)가 링크(29)의 내측면을 활주하여 안착하는 곳으로 장력조절장치(24)가 텐션브라켓(26)의 최한단요입홈(27-5)에 체결될 경우와 일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텐션브라켓(26) 다수 개의 요입홈(27)중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27-3)과 장력조절장치(24)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피딩부를 거쳐 공급된 합사(4)는;
상기 크래들(2)에 거치되어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11)과 접동하여 회전력을 유기하는 보빈에 권취된다.
상기 보빈은 초기권취된 합사(4)의 중량이 미미하여 자중을 제외하고는 드럼(11)에 가할 수 있는 마찰력이 없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초기 보빈의 마찰력이 자중에 지나지 않을 경우 크래들(2)의 선단에 구비된 장력조절장치(24)는 상,하 하우징(21,22)에 내방수용한 스프링(2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크래들(2)에 일정 마찰력(F)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장력조절장치(24)에 의해 일정마찰력을 가진 보빈은 드럼(11)과의 초기 접지압이 증가하여 슬립(slip)에 의한 권취장력변형이 삭제된다.
상기와 같이 접지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와인딩이 진행되면서 보빈에는 권취되는 합사량이 증가하고, 이는 장력조절장치(24)에 의한 마찰력(F) 이외에도 자중(G)에 의한 마찰력(F)이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드럼(11)과 보빈에 작용하는 마찰력(F)이 자중(G)과 장력조절장치(24)로 중복되어 초기 권취시의 장력보다 증가하지만, 상기 보빈에 권취량 증가에 의한 외경확대로 크래들(2)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크래들(2)선단에 구비된 장력조절장치(24)를 가압하여 장력의 균형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장력조절장치(24)는 초기권취시에는 크래들(2)에 작용하는 마찰력(F)을 증가시키고, 와인딩이 진행되면서 순차적으로 마찰력(F)을 감소시켜 초기와 후기의 권취장력이 균일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장력조절장치(24)가 부가된 크래들(2)을 이용하여 와인딩이 완료된 후 다른 성질의 합사를 와인딩할 경우 이에 부합하는 장력조절장치(24)와 텐션브라켓(26)의 요입홈(27)을 결정하여 최상단 또는 최하단등에 체결하여 와인딩하므로 어떠한 실이나 가닥의 수에 한정되지않고 균일한 권취장력의 부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장력조절장치(24)와 텐션브라켓(26)의 요입홈(27)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크래들(2)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변화하고, 이를 보정하는 것이 크래들(2)일측에 구비된 텐션링크(29)이며,
상기 텐션링크(29)는 크래들(2)에 구비된 스토퍼(34)를 내측면으로 활주시켜 링크스프링(33)의 탄성력이 장력조절장치(24)의 마찰력(F)을 보정하여 크래들(2)에 작용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은 균일한 권취장력의 부여로 연사작업시 해사성이 향상되며, 절사 및 미연을 방지하여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평판형 부재를 절곡하여된 프레임(10)상에 중앙으로 권취드럼(11)의 구동력발생을 위한 구동모터(12)가 주동풀리(13)를 형성하여 장착되고, 그의 상단측방으로 원통형의 권취드럼(11)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드럼(11)의 선단에는 종동풀리(14)가 벨트(15)로 주동풀리(13) 및 텐션풀리(16)와 체결되고,
    상기 구동모터(12)의 일측에는 권취드럼(11)과 접촉구동하는 보빈(17)의 거치를 위해 그 형상이 개략 "ㄷ"형으로 일측을 폐쇄하여 프레임(10)을 관통하는 샤프트(20)와 힌지고정한 크래들로 형성된 더블와인더의 권취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은 힌지고정된 부위에 상,하 하우징(21,22)으로 분리구성되어 그 내방으로 압축스프링(23)을 개제한 크래들장력조절장치(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24)는 그 일측은 크래들(2)과 힌지고정하고, 타측은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상에 장착된 텐션브라켓(26)과 고정되며,
    상기 텐션브라켓(26)은 반원형의 요입홈(27)을 다수 개 구비하여 원호형으로 배치하여 장력조절장치(24)의 원형체결돌기(28)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브라켓(26)일측에는 그 형상이 박판의 금속편을 원호형으로 가공한 것으로 일측은 프레임(10)의 내측에 힌지샤프트(30)로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홈(31)이 형성된 텐션링크(29)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링크(29)는 텐션브라켓(26)이 장착된 가이드레일(32)상측에 장착된 링크스프링(33)상단면과 접속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KR2019980019261U 1998-10-02 1998-10-02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KR200204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61U KR200204168Y1 (ko) 1998-10-02 1998-10-02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261U KR200204168Y1 (ko) 1998-10-02 1998-10-02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61U true KR20000007761U (ko) 2000-05-06
KR200204168Y1 KR200204168Y1 (ko) 2001-03-02

Family

ID=6970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261U KR200204168Y1 (ko) 1998-10-02 1998-10-02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1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21B1 (ko) * 2004-09-15 2006-03-31 최병호 연사기용 텐션롤러
KR101419842B1 (ko) * 2013-06-17 2014-07-17 김영수 검단기의 원단 와인딩 장치
CN109626085A (zh) * 2018-04-25 2019-04-16 惠州市天誉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或超薄薄膜卷绕镀膜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21B1 (ko) * 2004-09-15 2006-03-31 최병호 연사기용 텐션롤러
KR101419842B1 (ko) * 2013-06-17 2014-07-17 김영수 검단기의 원단 와인딩 장치
CN109626085A (zh) * 2018-04-25 2019-04-16 惠州市天誉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或超薄薄膜卷绕镀膜装置
CN109626085B (zh) * 2018-04-25 2024-05-03 惠州市天誉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或超薄薄膜卷绕镀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168Y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565A (en) Creel relief device for a yarn winding apparatus
RU26173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ряжи к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е
KR100528717B1 (ko) 미싱
EP3020854B1 (en) Drafting device and spinning unit
FR2788789A3 (fr) Appareil d'alimentation en fil variable et constante
KR200204168Y1 (ko) 장력조절장치가 부가된 더블와인더용 크래들
KR100624997B1 (ko) 자체 보정형 필라멘트 인장력 제어 디바이스
ES2156056A1 (es) Dispositivo alimentador de hilo en una maquina textil y dispositivo tensor de cinta para el mismo.
JP2000314050A (ja) 織機の製織時におさえ耳糸の張力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EP2325356A1 (en) Belt type false twister
US5692367A (en) Device for damping the vibrations of a package on spinning, twisting or winding machines
US2600037A (en) Baller
US4140286A (en) Load reduction apparatus for a pivotal bobbin support arm
US2211434A (en) Feeding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strand wrapping machines
US20090028477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Creel
CN114538194B (zh) 一种变速卷绕机
KR0116717Y1 (ko) 장력조정장치가 부착된 원사공급로울러
US1513994A (en) Cord winder
SU15093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мотки нити
US3199808A (en) Apparatus for tensioning yarn
TWI708874B (zh) 用於牽引粗紡紗的牽引裝置
US640716A (en) Spinning-machine.
SU825711A1 (ru) Веретено двойного кручения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й нити 1
CN114314180A (zh) 一种纺织机械用导纱器
US427425A (en) Charles 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