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92A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92A
KR20000007692A KR1019980027145A KR19980027145A KR20000007692A KR 20000007692 A KR20000007692 A KR 20000007692A KR 1019980027145 A KR1019980027145 A KR 1019980027145A KR 19980027145 A KR19980027145 A KR 19980027145A KR 20000007692 A KR20000007692 A KR 2000000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ndow
room
mov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호
Original Assignee
이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호 filed Critical 이은호
Priority to KR101998002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92A/ko
Publication of KR2000000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창문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먼거리에서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문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부(1)의 하방에 설치되는 이동부(2)와,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날개(3)와, 상기 고정부(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3)에 연결되어 각 날개(3)를 회동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끈(7)과,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사이에 연결되어 각 날개(3)가 얹혀지는 복수개의 고정끈(8)과, 상기 고정부(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부(2)를 이동시키도록 고정부(1)와 이동부(2)를 연결하는 연결끈(9)을 감거나 푸는 2단릴(6)로 구비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2단릴(6)에는 연결끈(9)이 2단릴(6)에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상기 2단릴(6)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101)를 축결합하고, 상기 회전축(13)에는 지지끈(7)을 이동시켜 각 날개(3)를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모터(102)를 축결합하며, 상기 고정부(1)에는 리모콘(104)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 1, 2 구동모터(101)(102)로 전달하는 센서(10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라인드를 전자동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집의 창문이나 사무실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실내로 일정량의 햇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블라인드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이나 창문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와, 상기 고정부(1)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왕복이동되면서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거나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부(2)와,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날개(3)와, 상기 고정부(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날개(3)를 동시에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봉(4)과, 상기 각도조절봉(4)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각도조절봉(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웜(11)과, 상기 웜(11)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중앙부에 회전축(13)이 형성된 웜휠(12)과,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의 양측면에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쌍이 복수개가 고정부(1) 내에 설치됨과 함께 회전축(13)의 외주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도조절봉(4)의 회전방향에 따라 각 날개(3)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한 쌍중 어느 하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끈(7)과,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사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각 날개(3)가 얹혀지는 고정끈(8)과, 상기 고정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동부(2)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높이조절끈(5)과, 상기 높이조절끈(5)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높이조절끈(5)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동부(2)를 상하이동시키는 2단릴(6)과, 상기 고정부(1) 내에는 2단릴(6)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2단릴(6)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4)와, 상기 상기 각 날개(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구멍(10)과,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연결됨과 동시에 구멍(10)으로 삽입되어 높이조절끈(5)에 의해 회전되는 2단릴(6)의 외주연부에 감김과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부(2)를 상하왕복이동시키는 연결끈(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블라인드는 집의 창문이나 사무실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 등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실내로 일정량의 햇빛이 들어와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창문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의 상방에 위치되는 벽면이나 창문에 고정설치된 블라인드의 고정부(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블라인드의 이동부(2)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개(3)를 회동시키므로 상기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이 차단되거나 실내의 채광정도가 조절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블라인드의 이동부(2)가 고정부(1)에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부(2)를 창문의 하측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1)의 타측에 설치된 높이조절끈(5)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끈(5)에 의해 고정부(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2단릴(6)이 회전되는데, 상기 2단릴(6)의 외주연부에는 각 날개(3)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10)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부(1)와 이동부(2)를 연결하는 연결끈(9)이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연결끈(9)은 2단릴(6)에서 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부(1)와 근접되게 위치된 이동부(2)가 창문의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개(3)가 고정부(1)와 평행한 상태로 창문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각 날개(3) 사이를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온다.
이 때, 상기 고정부(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각도조절봉(4)을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조절봉(4)이 회전방향에 따라 각 날개(3)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각 날개(3)가 일정각도 회동되면 각 날개(3) 사이를 통해 일정량의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거나 또는, 상기 각 날개(3)가 일정부분 겹쳐지면 상기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즉, 각도조절봉(4)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1) 내에 위치된 각도조절봉(4)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웜(11)이 각도조절봉(4)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웜(11)과 맞물려 있는 웜휠(12)과 상기 웜휠(12)의 회전축(13)도 회전된다.
이 때, 고정부(1)와 이동부(2)의 양측면에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설치됨과 함께 회전축(13)의 외주연부에 연결된 지지끈(7)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축(13)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회전축(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사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각 날개(3)가 얹혀진 고정끈(8)은 상기 지지끈(7)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각 날개(3)도 일정각도로 기울어진다.
상기 각 날개(3)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회동되는 각 날개(3)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시키면 상기 이격된 각 날개(3) 사이를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각도조절봉(4)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상기 각 날개(3)가 회동되어 일정부분 겹쳐지게 됨에 따라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봉(4)을 회전시켜 상기 각 날개(3)를 원하고자 하는 각도로 기울이므로 상기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을 조절함에 따라 실내의 채광정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완전히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각도조절봉(4)을 회전시켜 기울어져 있는 각 날개(3)를 고정부(1)와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높이조절끈(5)을 잡아당기게 되면 높이조절끈(5)에 의해 2단릴(6)이 회전되므로 인하여 상기 2단릴(6)에 연결끈(9)이 감겨지게 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2)는 고정부(1) 측으로 이동된다.
즉, 고정부(1)에 근접되도록 상기 이동부(2)가 창문의 상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각 날개(3)가 겹쳐지므로 인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됨에 따라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블라인드는 창문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라인드의 이동부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고, 각 날개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 모든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창문 측으로 사람이 다가가서 상기 블라인드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창문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먼거리에서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문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각 날개를 회동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끈과, 상기 한 쌍의 지지끈 사이에 연결되어 각 날개가 얹혀지는 복수개의 고정끈과,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고정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감거나 푸는 2단릴로 구비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2단릴에는 연결끈이 2단릴에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상기 2단릴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를 축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지지끈을 이동시켜 각 날개를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모터를 축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리모콘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 1, 2 구동모터로 전달하는 센서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라인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블라인드를 작동시키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블라인드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블라인드를 작동시키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제 1 구동모터 102: 제 2 구동모터
103: 센서 104: 리모콘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블라인드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블라인드를 작동시키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창문의 상부에는 고정부(1)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의 하방에는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이동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는 상하로 회동되면서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날개(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에는 회전축(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3)에는 각 날개(3)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고정부(1)와 이동부(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끈(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사이에는 각 날개(3)가 얹혀지는 복수개의 고정끈(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에는 이동부(2)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를 연결하는 연결끈(9)을 감거나 풀도록 하는 2단릴(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2단릴(6)에는 연결끈(9)이 2단릴(6)에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상기 2단릴(6)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101)가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3)에는 지지끈(7)을 이동시켜 각 날개(3)를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모터(102)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에는 리모콘(104)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 1, 2 구동모터(101)(102)로 전달하는 센서(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집의 창문이나 사무실의 창문 등에 블라인드를 설치되어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실내로 일정량의 햇빛이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즉 상기 창문의 상방에 위치되는 벽면이나 창문에 고정설치된 블라인드의 고정부(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블라인드의 이동부(2)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개(3)를 회동시켜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블라인드의 이동부(2)가 고정부(1) 하방에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부(2)를 창문의 하측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리모콘(104)에 형성된 버튼 즉, 이동부(2)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을 눌러 상기 리모콘(104)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고정부(1)에 설치된 센서(103)로 보내므로 상기 센서(103)에서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103)에서 감지된 신호는 고정부(1)에 고정설치된 제 1 구동모터(101)로 보내지므로 상기 제 1 구동모터(101)는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데, 즉 상기 제 1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따라 제 1 구동모터(101)와 축결합된 2단릴(6)이 회전되므로 상기 2단릴(6)에 감겨져 있는 연결끈(9)이 풀려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2)는 창문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창문의 하측으로 이동부(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1)와 이동부(2)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개(3)는 고정부(1)와 평행한 상태로 창문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각 날개(3) 사이를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온다.
이 때, 창문에 각 날개(3)가 위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모콘(104)에 형성된 다른 버튼 즉, 각 날개(3)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을 눌러 상기 각 날개(3)를 회동시킨다.
즉, 상기 리모콘(104)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고정부(1)에 설치된 센서(103)로 보내므로 상기 센서(103)에서 신호를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센서(103)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고정부(1)에 고정설치된 제 2 구동모터(102)가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구동되는 제 2 구동모터(102)의 구동력에 따라 제 2 구동모터(102)와 축결합된 회전축(1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13)에 연결된 지지끈(7)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다시 설명하면, 고정부(1)와 이동부(2)의 양측면에 한 쌍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설치됨과 함께 회전축(13)의 외주연부에 연결된 지지끈(7)은 상기 제 2 구동모터(10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3)에 의해 블라인드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은 하방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지지끈(7) 중 어느 하나의 지지끈(7)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끈(7)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끈(7) 사이에 복수개가 연결되어 각 날개(3)가 얹혀진 고정끈(8)은 상기 지지끈(7)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각 날개(3)도 일정각도로 기울어진다.
상기 각 날개(3)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회동되는 각 날개(3)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시키면 상기 이격된 각 날개(3) 사이를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모터(102)를 계속해서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13)이 회전되므로 상기 지지끈(7)도 계속해서 이동되며, 상기 각 날개(3)가 어느 순간에서 일정부분이 겹쳐지게 되면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모터(102)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날개(3)를 원하고자 하는 각도로 기울이므로 상기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을 조절함에 따라 실내의 채광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창문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완전히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리모콘(104)을 사용하여 제 2 구동모터(102)를 구동시켜 기울어져 있는 각 날개(3)를 고정부(1)와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리모콘(104)을 조작하여 제 1 구동모터(10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 1 구동모터(101)에 축결합된 2단릴(6)이 회전되므로 인하여 상기 2단릴(6)에 연결끈(9)이 감겨지게 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2)는 고정부(1)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2)가 고정부(1)에 근접됨과 동시에 각 날개(3)가 겹쳐지므로 인하여 창문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창문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이동부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제 1 구동모터와, 창문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을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날개를 동시에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모터를 고정부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 1, 2 구동모터를 각각 구동시키도록 리모콘의 신호를 받아서 각 제 1, 2 구동모터로 보내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먼거리에서 리모콘의 조작만으로도 블라인드의 이동부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므로 창문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거나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되는 각 날개의 회동각도에 따라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량이 조절하여 상기 실내의 채광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라인드의 조작이 손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이동부 및 각 날개를 조작하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로 길게 늘어져 있는 각도조절봉과 높이조절끈이 필요없어 상기 블라인드를 설치시 실내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블라인드의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각 구동모터에 의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발생률이 적어 품질 향상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창문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각 날개를 회동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끈과, 상기 한 쌍의 지지끈 사이에 연결되어 각 날개가 얹혀지는 복수개의 고정끈과,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고정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감거나 푸는 2단릴로 구비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2단릴에는 연결끈이 2단릴에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상기 2단릴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를 축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지지끈을 이동시켜 각 날개를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모터를 축결합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리모콘에서 보내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 1, 2 구동모터로 전달하는 센서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19980027145A 1998-07-06 1998-07-06 블라인드 KR20000007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45A KR20000007692A (ko) 1998-07-06 1998-07-06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45A KR20000007692A (ko) 1998-07-06 1998-07-06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92A true KR20000007692A (ko) 2000-02-07

Family

ID=195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145A KR20000007692A (ko) 1998-07-06 1998-07-06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800B1 (ko) * 2002-06-17 2005-09-07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KR20200108534A (ko) 2019-03-11 2020-09-21 주식회사분도이엔지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800B1 (ko) * 2002-06-17 2005-09-07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KR20200108534A (ko) 2019-03-11 2020-09-21 주식회사분도이엔지 블라인드 일체형 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0899A1 (en) Motorized sheer shading system
US6655441B2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US20040194897A1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US6619365B1 (en) Plug-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KR20190110879A (ko) 태양 추종식 블라인드 장치
KR20200083009A (ko) 블라인드 구조를 갖는 스마트 방범창
KR20000007692A (ko) 블라인드
KR200261181Y1 (ko) 블라인더의 차단 각도 조절장치
JPH04228793A (ja) 電動ブラインドの羽根角度制御装置
KR20170068905A (ko)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JP2001248371A (ja) 電動シャッターのリモコン受信装置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JP2546405Y2 (ja) 電動ローマンシェード
JP2000073676A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及び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KR100532227B1 (ko) 전동블라인드용 각도조절장치
CN212436609U (zh) 一种基于传感器感应的卷帘装置
JP2584203B2 (ja) 電動ブラインド装置
JPH01190889A (ja) 電動ブラインド装置
KR100969129B1 (ko) 전동 블라인드 장치
JPH1030385A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JPH03221691A (ja) 電動ブラインド
JP2022070467A (ja) 庇兼用シャッター装置
KR20020085339A (ko) 수평 부착식 전동 롤스크린, 로만쉐이드 개폐장치
JP2660710B2 (ja) 電動式ローマンシェード
KR200225320Y1 (ko) 버티칼 타입 블라인드의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