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491A -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491A
KR20000007491A KR1019980026861A KR19980026861A KR20000007491A KR 20000007491 A KR20000007491 A KR 20000007491A KR 1019980026861 A KR1019980026861 A KR 1019980026861A KR 19980026861 A KR19980026861 A KR 19980026861A KR 20000007491 A KR20000007491 A KR 2000000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uction
vacuum cleaner
bedding
absorb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석
최용복
윤주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2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491A/ko
Publication of KR2000000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2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wheels on which the nozzle travels over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구체의 이동과 동시에 동작하면서 청소대상인 침구류의 표면을 타격하여 상기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 제거를 원활히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저면에는 주흡입구(61a)가 형성된 흡입구몸체(61)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저면이 외부로 부터 일정부분 노출된 회동축(62)과, 상기 회동축의 양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전후이동시 지면과 접촉하며 구름을 행하는 바퀴(63)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62)의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하며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력을 지니고 있는 복수개의 연질봉(110)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저면에는 상기 연질봉(110)의 회동을 간섭할 수 있도록 구속판(120)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62)의 회동시 각 연질봉(110)이 구속판(120)에 탄력상태로 구속되었다가 구속해제됨을 반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구류의 청소시에 있어서 상기 침구류에 묻어 있는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침구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침구류나 구석진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종래 구조는 하부커버(1a)와 상부커버(1b)에 의해 본체(1)를 이루고 있고, 상기 본체를 이루는 상부커버(1b)의 삽입공(2)에는 흡입호스(3)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호스(3)의 타단에는 콘트롤부를 갖는 손잡이(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에는 연장관(5)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5)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가능한 흡입구체(6)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체(1)를 구성하는 하부커버(1a) 내에는 모터(7)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커버(1b)의 전방 내면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대부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9)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a)에 설치된 팬(8)의 전방에는 모터보호필터(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커버(1a)의 후면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a)의 후면 내측에는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걸러주도록 배기필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6)의 종류를 선택하여 상기 연장관(5)의 끝단에 연결한 후 상기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흡입호스(3)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4)를 잡고 상기 손잡이(4)에 구비된 콘트롤부의 흡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의 하부커버(1a)에 부착된 모터(7)가 구동하여 팬(8)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손잡이(4)를 이용하여 청소를 원하는 위치에 흡입구체(6)를 위치시켜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6)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본체내 집진봉투(9)로 유입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내 팬(8)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5)과 흡입호스(3)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본체(1) 내부로 들어가는데, 이 때 본체(1)를 이루는 상부커버(1b) 내에는 입구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삽입공(2) 형성부분과 접촉된 상태로 집진봉투(9)가 끼워져 있으므로 본체(1) 내부로 들어가는 대부분의 이물질이 상기 집진봉투(9)에 집진되고 나머지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만이 계속되는 팬(8)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집진봉투(9)를 빠져나와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부커버(1a)의 후면 내측에 설치된 배기필터(12)를 통과하므로 집진봉투(9)에서 집진되지 않은 미세먼지의 대부분이 상기 배기필터(12)에서 걸러지고, 이에 따라 약간의 초미세 먼지가 포함된 공기만이 상기 하부커버(1a)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가 침구류 혹은 커튼 및 쇼파등과 같이 유연한 성질을 지닌 곳의 청소를 원할 경우에는 흡입구체(6)를 침구용으로 교체한 후 상기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청소를 행하면 된다.
이 때, 침구류를 청소하기 위한 흡입구체(6)는 일반 장소의 청소를 위한 흡입구체의 형태와는 다른 구성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침구용 흡입구체(6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침구용 흡입구체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흡입구체(60)의 외부를 이루며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지는 흡입구몸체(61)와,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축(62)과, 상기 회동축의 양 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바퀴(63)와, 상기 흡입구몸체(61)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그 후면에 고정됨과 함께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5)과 연결되는 연결관(64)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몸체(61)는 그 저면에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로 외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주흡입구(6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상부면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한 통공인 바이패스공(61b)이 그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양측을 관통하여 장착된 회동축(62)은 상기 흡입구몸체(61)의 저면에 형성된 주흡입구(61a)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62)의 일부분은 상기 주흡입구(61a)를 통해 외부로 부터 일정부분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구전용 흡입구체(60)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침구류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침구전용 흡입구체(60)의 연결관(63)을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장관(5)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팬(8)이 회전하게 되어 흡입구체(60)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를 이용하여 상기 침구용 흡입구체(60)를 침구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청소를 필요로하는 위치 즉, 침구의 표면위에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침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침구전용 흡입구체(60)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침구용 흡입구체는 흡입구몸체(61)에 장착된 바퀴(63)에 의해 침구 표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체(60)에 형성된 주흡입구(61a)를 통해 대부분이 흡입됨과 함께 바이패스공(61b)을 통해서도 그 일부가 유입된다.
이는 상기 바이패스공(61b)이 항상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침구류의 청소가 행하여 지고 있는 도중에서는 상기 침구류의 재질이 주로 천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로 상기 침구류의 일부가 흡입되어 주흡입구(61a)를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청소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됨에도 불구하고 진공청소기의 본체(1)내에는 팬(8)이 계속해서 회전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흡입구체(60)의 흡입구몸체(61)내에는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에는 상기 흡입구몸체(61) 상부면에 형성된 바이패스공(61b)을 통해 외부공기가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음에 따라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흡입구체(60)내부의 압력상승이 방지됨과 함께 침구류가 상기 주흡입구(61a)에서 쉽게 떨어져 원활한 청소의 진행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침구류의 청소를 위한 흡입구체는 단순한 흡입력만을 발휘하여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침구류의 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나 머리카락같은 각종 이물질의 흡입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동일위치에서의 청소작업을 수회 반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침구류의 청소전에 상기 침구류를 털어서 상기 침구류 내부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혹은 상기 침구표면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털어낸 다음 상기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흡입구체의 이동시 침구류와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며 상기 침구류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털어주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저면에는 주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몸체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저면이 외부로 부터 일정부분 노출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양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몸체의 전후이동시 지면과 접촉하며 구름을 행하는 바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하며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력을 지니고 있는 복수개의 연질봉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연질봉의 회동을 간섭할 수 있도록 구속판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 각 연질봉이 구속판에 탄력상태로 구속되었다가 구속해제됨을 반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흡입구체의 전,후진시를 나타낸 도 6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연질봉 111. 질량체
120. 구속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 침구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 흡입구체의 전,후진시를 나타낸 도 6의 “A”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중 종래의 구성 및 작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중 일부를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구몸체(61)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동축(62)의 외주면에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연질봉(110)을 형성하고, 회동축(62)이 외부로 부터 노출된 흡입구몸체(61)의 저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그 전방 및 후방측에 구속판(120)을 각각 고정한다.
이 때, 상기 각 구속판(120)은 회동축의 회동에 따른 연질봉(110)의 회동시 상기 연질봉(110)의 끝부분이 상기 구속판(120)의 끝단에 걸려 일정한 구속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질봉(110)의 끝단에는 일정질량을 가지는 질량체(111)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구속판(120)의 끝단인 연질봉(110)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침구용 흡입구체(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침구류(이불, 커텐, 카페트등)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침구류전용 흡입구체(60)에 형성된 연결부(64)를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장관(5)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팬(8)이 회전하며 흡입구체(60)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침구의 표면에 상기 흡입구체(60)를 위치시킨 후 도 7의 좌측편 그림과 같이 상기 흡입구체(60)를 전진하게 되면 상기 흡입구체(60)를 구성하는 바퀴(63)가 상기 침구의 표면과 접촉하며 구름에 따라 상기 각 바퀴(63)를 연결하도록 장착된 회동축(62)은 상기 흡입구체(60)의 전방측을 향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6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연질봉(110) 역시 상기 회동축(62)과 동일한 회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연질봉(110)의 끝단은 흡입구체(60)를 구성하는 그릴부(61)의 주흡입구(61a) 전면에 형성된 구속판(120)에 걸려 구속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속된 연질봉(110)은 상기 흡입구체(60)의 계속적인 전진에 의해 어느 순간 즉, 상기 연질봉(110)이 구속판(120)에 의해 구속되는 정도가 최대가 되는 순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연질봉(110)의 끝부분은 구속판(120)의 라운딩부위를 미끄러 지게 됨과 함께 그 구속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속에 의한 연질봉(110)에 내포된 탄성력 및 상기 연질봉(110) 끝단에 형성된 질량체(111)의 자중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침구의 표면을 강하게 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구의 표면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 등은 상기 연질봉(110)의 두들김에 의해 침구의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고, 또한 이 때에는 상기 흡입구체(60)의 주흡입구(61a)로 부터 계속적인 흡입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상기와 같이 침구의 표면에서 떨어진 각종 이물질 등은 흡입구체(60)를 통해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통과하여 본체(1)내의 집진봉투(9)에 집진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흡입구체(60)를 구성하는 회동축(62)에 다수의 연질봉(11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흡입구체(60)를 전진시키는 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도 7의 우측편 그림과 같이 흡입구체의 후진시에도 상기 흡입구체(60)의 전진시와 마찬가지로 연질봉의 구속 및 구속해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 짐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침구류 표면의 두들김작용을 행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구체의 각 바퀴를 연결하는 회동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연질봉을 형성하고, 상기 연질봉이 흡입구체의 전,후이동에 의해 탄력을 발휘하여 침구표면을 강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체 저면에 구속판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구체의 이동 즉, 바퀴의 구름에 따라 회동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연질봉이 각 구속판의 구속 및 구속해제에 의한 침구표면의 타격으로 인해 상기 침구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빈 공간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저면에는 주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구몸체와, 상기 흡입구몸체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저면이 외부로 부터 일정부분 노출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양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몸체의 전후이동시 지면과 접촉하며 구름을 행하는 바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에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하며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력을 지니고 있는 복수개의 연질봉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연질봉의 회동을 간섭할 수 있도록 구속판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동시 각 연질봉이 구속판에 탄력상태로 구속되었다가 구속해제됨을 반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연질봉의 끝단에 일정질량을 가지는 질량체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구속판은 회동축과 연동하는 연질봉의 전,후 회동을 각각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의 전,후측에 각각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19980026861A 1998-07-03 1998-07-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00007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861A KR20000007491A (ko) 1998-07-03 1998-07-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861A KR20000007491A (ko) 1998-07-03 1998-07-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91A true KR20000007491A (ko) 2000-02-07

Family

ID=1954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861A KR20000007491A (ko) 1998-07-03 1998-07-03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50727A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GB2251178A (en) Vacuum cleaner
US20060185119A1 (en)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A2440905C (en) Dual agitator drive system with worm gear
KR2000000749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3066544B2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KR20000030910A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JP381559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725264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CN214180296U (zh) 除螨仪刷头及吸尘器
JPS6110595Y2 (ko)
JP3446304B2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JPS608839Y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H026901Y2 (ko)
KR100222651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169070Y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구석 청소장치
JPH1011331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S6138513Y2 (ko)
KR920001663B1 (ko) 진공청소기의 구석청소가 용이한 흡입구
KR100262727B1 (ko) 진공청소기의직물청소용흡입구체결구조
KR20017037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3858215B2 (ja) 床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