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778U -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778U
KR20000006778U KR2019980018023U KR19980018023U KR20000006778U KR 20000006778 U KR20000006778 U KR 20000006778U KR 2019980018023 U KR2019980018023 U KR 2019980018023U KR 19980018023 U KR19980018023 U KR 19980018023U KR 20000006778 U KR20000006778 U KR 200000067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assembled
screw
skid pip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2226Y1 (ko
Inventor
이춘길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8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26Y1/ko

Links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드 파이프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모터(16)가 장착되는 승하강대(12)를 갖추며, 회전구동되는 제 1스크류(12a)에는 상,하부지지대(13),(14)가 조립되고, 각 레일(13b),(14b)에는 지지롤러(17)가 설치되고, 제 2스크류(18)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활주이동되는 상,하부이동블록(17a),(17b)을 갖춘 본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대(13)의 일측에 위치블록(21)이 장착되고, 래크(23)를 갖는 아암(22)과 결합되며, 핸들(25)이 상단부에 장착된 제 3스크류(24)를 갖춘 위치조절부(20);와, 공급블록(31)에는 피니언기어(33)를 갖추고, 제 2모터(32)의 회전롤러(35)와 가압롤러(34)사이에 물려지는 용접선(90)이 감긴 와이어릴(36)을 설치하고, 광센서(37)를 갖는 용접선공급부(30);와, 사각바(41)는 수직바(41a)에 조립되고, 이와 일체로 연결된 고정판(42)에는 가압스프링(43b)이 몸체에 조립되고, 제 3모터(43)와 편심캠(42b)이 각각 장착되는 제 4스크류(43a)를 갖추며, 상기 고정지지판(41b)과 복수개의 추적롤러(47)가 장착되는 롤러브라켓(44)사이에는 복귀스프링(45b)을 갖는 캐리어바(45)와 안내봉(46)을 각각 장착한 위이빙부(40);와, 고정블록(52)에는 기어부(53a)를 형성한 용접구(53)를 회전축(55)에 조립되고, 피니언기어(54)를 갖추며, 상기 용접구(53)에 오토건(51)을 갖춘 용접부(50);를 포함하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본 고안은 스키드 파이프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가열로에서 열처리되는 슬라브 및 빌렛트를 이동시키는 스키드파이프의 용접시 발생되는 응력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고, 보다 쉽고 안전하게 연속적인 자동용접으로 작업자의 업무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 및 선재공장에서 슬라브, 빌렛트를 압연하기전에 가열로내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중 상기 슬라브, 빌렛트를 이동시키는 스키드파이프(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용접장치(100)로서 용접연결되는바, 종래에는 스키드파이프(2)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따라 그 연결부인 용접부(101)에 변형방지용 리브(110)를 다수 부착시킨다. 그리고, 스키드파이프(2)의 일측단부는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포지셔너(positioner)(120)에 고정시키고, 타측단부는 지지롤러(130)상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용접기의 메인스위치를 온(on)시키고, 가스봄베( bomb )의 밸브를 개방하면 유량조절기에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유량조절기에서 제어된 가스는 호스를 통해 용접토오치(140)에 공급되어 용접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포지셔너(120)의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와 같이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지지롤러(130)상에 올려진 상기 스키드파이프(2)를 일방향 회전시킨다.
이러한 스키드파이프(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작업자는 상기 용접토오치(140)를 잡고서 스위치(142)를 온시키면, 와이어공급장치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와이어는 용접토오치(140)측으로 연속공급되고, 상기 와이어가 용접토오치(140)를 통과하는 순간 전류를 공급받게 되어 상기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에 접촉되면 아아크가 발생되면서 용접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유량조절기에서 제어된 가스가 용접부(101)에 공급된다.
이러한 아아크 발생과 가스공급으로서 이루어지는 용접부(101)의 용접진행이 상기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에 부착된 변형방지용 리브(110)에 도달되면, 아아크발생을 일단 끊고, 상술한 바와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용접부구간을 반복하여 용접작업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작업은,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에 장착되는 변형방지용 리브(110)의 착탈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자의 업무량을 증가시켜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와이어공급장치로서 용접토오치(140)까지 와이어공급거리가 매우 멀어 와이어의 잔량이 많아 자재손실이 크며, 와이어공급중단에 따른 용접작업중단 및 이로 인한 용접부(101)의 결함이 발생될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용접토오치(140)를 직접 취부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변형방지용 리브의 부착필요없이 스키드파이프의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자동용접하고, 용접선의 잔량발생을 줄일수 있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부분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위치조절부, 용접선공급부 및 위이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내지(c)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위이빙부를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작업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작업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스키드파이프 10 ..... 본체부
13 ..... 상부지지대 14 ..... 하부지지대
16 ..... 제 1모터 17a,17b ...... 상,하이동블록
20 ..... 위치조절부 22 ...... 아암
30 ..... 와이어공급부 31 ...... 공급블록
32 ..... 제 2모터 34 ...... 가압롤러
35 ..... 회전롤러 36 ...... 와이어릴
40 ..... 위이빙부 41 ...... 사각바
41a .... 수직바 41b ..... 고정지지판
43 ..... 제 3모터 43a ..... 제 4스크류
50 ..... 용접부 51 ...... 오토건
52 ..... 고정블록 53 ...... 용접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스키드파이프의 용접부를 용접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상의 일측에 수직설치되고, 상단부에 제 1모터가 장착되는 승하강대를 갖추며, 상기 제 1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제 1스크류에는 상,하부지지대가 조립되고,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각 레일에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제 2스크류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활주이동되는 상,하부이동블록을 각각 갖춘 본체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일측에 위치블록이 장착되고, 래크를 갖는 아암과 결합되며, 핸들이 상단부에 장착된 제 3스크류를 갖춘 위치조절부;와,
상기 아암의 단부와 연결되는 공급블록에는 상기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제 2모터의 회전롤러와 가압롤러사이에 물려지는 용접선이 감긴 와이어릴을 릴브라켓에 설치하고, 광센서를 갖는 용접선공급부;와,
상기 공급블록에 연결되는 사각바는 고정지지판상에 설치되는 수직바에 조립되고, 이와 일체로 연결된 고정판에는 가압스프링이 몸체에 조립되고, 상,하단에 제 3모터와 편심캠이 각각 장착되는 제 4스크류를 갖추며, 상기 고정지지판과 복수개의 추적롤러가 장착되는 롤러브라켓사이에는 상기 편심캠과 단부가 접해지고, 복귀스프링을 갖는 캐리어바와 안내봉을 각각 장착한 위이빙부;와,
상기 캐리어바와 안내봉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록에는 기어부를 형성한 용접구를 회전축에 조립되고,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갖추며, 상기 용접구에는 상기 용접선이 투입되는 오토건을 갖춘 용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본체부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위치조절부, 용접선공급부 및 위이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내지(b)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위이빙부를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작업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를 도시한 작업를 도시한 작업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1)는 도 2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지셔너에 일측이 물려져 회전되는 스키드파이프의 용접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수 있고, 용접선의 잔량발생을 최소화시킬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는 본체부(10), 위치조절부(20), 용접선공급부(30), 위이빙부(40) 및 용접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용접대상물인 스키드파이프(2)가 올려지는 상기 본체부(10)는, 도 2,3 및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면이 평평한 베이스(11)상의 일측에 'ㄷ'자형의 승하강대(12)를 수직하게 고정설치하고, 그 상단부에는 구동축의 단부에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부재(16a)를 장착한 제 1모터(16)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재(16a)와 맞물리는 또다른 기어부재(12b)를 상단부에 장착한 제 1스크류(12a)는 상기 승하강대(12)에 수직하게 조립된다.
이러한 제 1스크류(12a)는 윈나사, 오른나사가 몸체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대(12)의 내측 활주면에 일단부가 조립된 상,하부지지대(13),(14)와 나합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모터(16)의 작동시 회전구동되어 상기 상,하부지지대(13),(14)를 내측으로 오므림작동시키거나, 외측으로 벌릴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대(13)의 하부면, 상기 하부지지대(14)의 상부면에는 각각 레일(13b),(14b)을 각각 돌설하고, 이에 핀부재(17c)로서 복수개의 지지롤러(17)를 장착한 한쌍의 상부, 하부이동블록(17a),(17b)을 활주이동가능하도록 각각 조립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이동블록(17a),(17b)의 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부지지대(13),(14)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 2스크류(18)는 상기 제 1스크류(12a)와 동일한 형태를 갖추어 타단부에 장착된 핸들(18a)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상,하부이동블록(17a),(17b)을 내측으로 서로 오므리거나, 외측으로 벌릴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공급블록(31)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20)는 도 2,3 및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3)의 일측에 장착되는 위치블록(21)과, 래크(23)를 상부면에 장착한 아암(22)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위치블록(21)은 'ㄱ'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암(22)과 결합되는 제 3스크류(24)를 갖추어 그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25)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아암(22)을 적절히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3스크류(24)의 상,하단에는 원할한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베어링부재(24a),(24b)를 각각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암(22)의 승하강과 더불어 이동되고, 용접선을 공급하는 용접선공급부(30)는 도 2,3 및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아암(22)의 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는 공급블록(31)과, 용접선(90)이 일정량 감긴 와이어릴(36)과, 제 2모터(32)를 갖추는바, 상기 공급블록(31)에는 상기 래크(23)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3)가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 2모터(32)의 회전롤러(35)와 핀부재(34a)에 조립된 가압롤러(34)를 갖추고, 그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릴(36)에 감긴 용접선(90)이 물려져 상기 제 2모터(32)의 구동시 상기 용접선(90)을 하방으로 연속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블록(32)에는 물려져 진행되는 용접선(90)의 유무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판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광센서(37)를 갖추어 구성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릴(36)이 설치되는 릴브라켓(36a)은 승하강대(12)의 상단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릴(36)과 조립되는 회전축(36b)을 갖는 면판(38)은 상기 릴브라켓(36a)에 승하강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고정설치된 플레이트(38c)와 상기 면판(38)사이에는 복수개의 감지스프링(38b)을 갖추며, 상기 면판(38)의 상단일측에는 릴브라켓(36a)의 리미트스위치(39)와 접해지는 터치바(38a)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에 따라, 용접선(90)의 풀림진행으로 인해서 와이어릴(36)의 중량이 점차 가벼워지면, 상기 면판(38)은 감지스프링(38b)의 탄성력에 의해서 점차 승강되고, 상기 용접선(90)의 전량풀림시 터치바(38a)와 리미트스위치(39)가 서로 접점되면서 상기 용접선(90)의 풀림상태를 알리는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상기 위이빙부(40)는 도 2,3 및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공급블록(31)에 삽입되는 아암(22)에 대하여 직각으로 삽입되고, 단부에 스토퍼(41c)가 장착되는 사각바(41)를 갖추고, 이 타단부에 하단이 고정지지판(41b)상에 수직하게 수직바(41a)를 갖추며, 상기 사각바(41)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판(42)에는 가압스프링(43b)을 몸체에 삽입하고, 베어링부재(42a)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 4스크류(43a)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갖추며, 상기 제 4스크류의 상단에는 제 3모터(43)를 장착하고, 하단에는 편심캠(42b)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키드파이프의 용접부를 따라 구름이동하는 추적롤러(47)를 핀부재로서 하부면에 장착한 롤러브라켓(44)을 갖추고, 상기 롤러브라켓(44)과 고정지지판(41b)사이에는 상기 편심캠(42b)가 일단부에 접해지고, 스토퍼(45a)가 타단부에 장착되며, 복귀스프링(45b)이 몸체에 갖추어지는 캐리어바(45)와, 상기 고정지지판(41b)에 일단부가 관통삽입되고, 상기 롤러브라켓(44)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안내봉(46)을 각각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오토건(51)이 장착되는 용접부(50)는 도 2,3 및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캐리어바(45)와 안내봉(46)과 조립되고, 체결부재로서 위치고정되는 고정블록(52)를 갖추고, 그 선단에는 호형면에 기어부(53a)가 형성되고, 상기 오토건(51)이 장착되는 장착공을 관통형성한 용접구(53)를 회전축(55)에 선회작동가능하도록 갖추고, 상기 기어부(53a)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4)를 상기 고정블록(52)의 일측에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용접구(53)의 장착공에는 상기 공급블록(31)을 통해 하방으로 진행되는 용접선(90)이 투입되는 보호관(51f), 절연슬리브(51e),(51d), 용접기(80)의 전원케이블(82)과 연결되는 몸체(51b), 팁(51b) 및 봄베(70)의 유량조절기(71)로부터 연장된 호스(72)와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는 노즐(51a)등으로 구성되는 오토건(51)을 갖추어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1)를 이용하여 스키드파이프의 용접부(101)를 용접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소요치수로 연결된 스키드파이프(2)를 하부지지대(14)의 지지롤러(17)상에 올려 놓고, 제 1모터(16)를 정방향 구동시켜 제 1스크류(12a)를 회전시키면, 상,하부지지대(13),(14)가 내측으로 동시에 오므려지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14)의 지지롤러(17)사이에 원통형의 스키드파이프(2)를 면착시켜 용접작업이 끝날 때 까지 고정하는 반면에, 용접작업종료시에는 상기 제 1모터(16)를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상,하부지지대(13),(14)를 양측으로 벌려 작업완료된 스키드파이프(2)를 이탈시킨다.
이어서, 상기 스키드파이프(2)의 일단을 전체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장치인 포지셔너(120)에 확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위치조절부(20)의 제 3스크류(24)상단에 마련된 핸들(25)을 돌리면, 상기 제 3스크류(24)와 나합된 아암(22)이 승하강되면서, 상기 아암(22)이 삽입된 공급블록(31)도 더불어 승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공급블록(31), 보호관(51f), 고정블록(52)과 더불어 일체로 연결된 롤러브라켓(44)의 추적롤러(47)를 용접하고자 하는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상에 안착할수 있는 한편, 상기 오토건(51)의 하단부와 상기 용접부(101)사이의 간격은 제 4스크류(43a)의 몸체에 끼워져 고정판(42)과 고정지지판(41b)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43b)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제어판(94)에 용접전류, 전압을 설정한 후, 봄베(70)의 밸브를 개방하고, 용접기(80)의 메인스위치를 온시킨다.
이어서, 상기 포지셔너(120)의 작동으로 스키드파이프(2)를 일방향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판(94)의 오토건작동스위치를 누르면, 용접선공급부(30)의 제 2모터(32)가 구동되면서, 회전롤러(35)와 가압롤러(34)사이에 물려진 용접선(90)은 와이어릴(36)로부터 풀려져 연속공급되고, 보호관(51f)을 통해 투입된 상기 용접선(90)이 오토건(51)의 몸체(51c)를 통과하는 순간, 용접기(80)로부터 출력된 전원과 스키드파이프(2)에 공급된 전원이 접촉되면, 아아크가 발생되어 용접이 진행되고, 이와 동시에, 봄베(70)의 가스가 호스(72)를 통해 노즐(51a)로 공급되어 상기 용접부(101)를 시일링한다.
한편, 상기 용접부(101)를 따라 구름이동하는 추적롤러(47)에 의해서 상기 오토건(51)을 용접부(101)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부(101)의 용접작업을 진행하는데, 상기 스키드파이프(2)의 1회전후 상기 용접부(101)의 폭이 넓어지면, 제 4스크류(43a)의 상단에 조립된 제 3모터(43)의 작동으로 하단에 조립된 편심캠(42b)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편심캠(42b)과 일단부가 접하는 캐리어바(45)는 편심캠(42b)장경과 접할 때 복귀스프링(45b)을 압축시키면서 롤러브라켓(44)측으로 이동되고, 편심캠(42b)단경과 접할 때 복귀스프링(45b)의 복원력에 의해서 고정지지판(41b)측으로 복귀이동되는 위이빙동작을 상기 편심캠(42b)의 1회전마다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캐리어바(45)에 고정된 고정블록(52)과 더불어 용접구(53)의 장착공내에 조립된 상기 오토건(51)도 좌우방향으로 위이빙동작되기 때문에, 넓어진 상기 용접부(101)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그재그형으로 용접작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오토건(51)은 롤러브라켓(44)의 추적롤러(47)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추적롤러(47)에 의해 용접부(101)의 폭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추적롤러(47)는 가압스프링(43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용접부(101)에 밀작되고, 상기 오토건(51)의 노즐(51a)과 용접부(101)의 상하간격을 유지하고, 그 간격은 위치조절부(20)의 핸들(25)을 돌려서 고정지지판(41b)상에 장착된 수직바(41a)와 결합된 사각바(41)를 승,하강시켜 적절히 조절한다.
한편, 상기 오토건(51)이 장착되는 용접구(53)는 회전축(55)에 선회가능하게 조립되고, 호형면의 기어부(53a)와 고정블록(52)의 피니언기어(54)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54)를 정,역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용접구(53)를 자재하게 경사작동시켜 이에 조립된 상기 오토건(51)의 설치각도를 조절할수 있다.
그리고, 릴브라켓(36a)에 설치된 와이어릴(36)의 용접선(90)이 충분할때에는 자중에 의해서 면판(38)과 플레이트(38c)사이에 있는 감지스프링(38b)을 압축시켜 리미트스위치(39)와 터치바(38a)가 서로 이격되어 정상적인 용접작업을 허락하지만, 연속적인 용접선(90)의 풀림으로 인해서 자중이 경감되면, 상기 감지스프링(38b)의 탄성력에 의해서 면판(38)이 수직상승되어 상기 터치바(38a)와 리미트스위치(39)가 서로 터치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릴(36)에 감긴 용접선(90)의 잔량부족상태를 알리는 1차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작업자에게 1차 경고한다.
또한, 상기 공급블록(31)에 설치된 광센서(37)로서 회전롤러(35)와 가압롤러(34)사이를 통과하는 용접선(90)의 유무상태가 감지되는데, 용접선(90)이 통과되면 정상적으로 용접작업을 계속수행하고, 용접선(90)이 미검출되면 주용접전원을 차단하는 용접작업 정지명령을 제어판(94)으로 전송하여 작업을 중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에 대한 용접작업이 종료되면, 용접기(80)의 전원공급과 봄베(70)의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제 1모터(16)를 재작동시켜 초기와 반대로 제 1스크류(12a)를 역회전시키면, 상,하부지지대(13),(14)가 양측으로 벌어져 그사이에 물려져 작업완료된 스키드파이프(2)를 외부로 인출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작업시 종래와 같은 변형방지용 리브(110)의 착탈공정을 삭제함으로서 작업자의 업무량을 감소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연속적인 자동용접작업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용접선(90)의 공급부족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고, 작업자가 용접진행정도에 맞추어 1,2차로 용접선공급을 확인감시할수 있고,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며, 용접선(90)의 잔량발생을 현저히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

  1. 스키드파이프(2)의 용접부(101)를 용접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11)상의 일측에 수직설치되고, 상단부에 제 1모터(16)가 장착되는 승하강대(12)를 갖추며, 상기 제 1모터(16)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제 1스크류(12a)에는 상,하부지지대(13),(14)가 조립되고, 상기 상,하부지지대(13),(14)의 각 레일(13b),(14b)에는 지지롤러(17)가 설치되고, 제 2스크류(18)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활주이동되는 상,하부이동블록(17a),(17b)을 각각 갖춘 본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대(13)의 일측에 위치블록(21)이 장착되고, 래크(23)를 갖는 아암(22)과 결합되며, 핸들(25)이 상단부에 장착된 제 3스크류(24)를 갖춘 위치조절부(20);와,
    상기 아암(22)의 단부와 연결되는 공급블록(31)에는 상기 래크(23)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3)를 갖추고, 제 2모터(32)의 회전롤러(35)와 가압롤러(34)사이에 물려지는 용접선(90)이 감긴 와이어릴(36)을 릴브라켓(36a)에 설치하고, 광센서(37)를 갖는 용접선공급부(30);와,
    상기 공급블록(31)에 연결되는 사각바(41)는 고정지지판(41b)상에 설치되는 수직바(41a)에 조립되고, 이와 일체로 연결된 고정판(42)에는 가압스프링(43b)이 몸체에 조립되고, 상,하단에 제 3모터(43)와 편심캠(42b)이 각각 장착되는 제 4스크류(43a)를 갖추며, 상기 고정지지판(41b)과 복수개의 추적롤러(47)가 장착되는 롤러브라켓(44)사이에는 상기 편심캠(42b)과 단부가 접해지고, 복귀스프링(45b)을 갖는 캐리어바(45)와 안내봉(46)을 각각 장착한 위이빙부(40);와,
    상기 캐리어바(45)와 안내봉(46)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록(52)에는 기어부(53a)를 형성한 용접구(53)를 회전축(55)에 조립되고, 상기 기어부(53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4)를 갖추며, 상기 용접구(53)에는 상기 용접선(90)이 투입되는 오토건(51)을 갖춘 용접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브라켓(36a)에는 상기 와이어릴(36)과 조립되는 회전축(36b)을 갖는 면판(38)이 승하강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고정설치된 플레이트(38c)와 상기 면판(38)사이에는 복수개의 감지스프링(38b)을 갖추며, 상기 면판(38)의 상단일측에는 리미트스위치(39)와 접해지는 터치바(38a)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KR2019980018023U 1998-09-21 1998-09-21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KR200272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23U KR200272226Y1 (ko) 1998-09-21 1998-09-21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23U KR200272226Y1 (ko) 1998-09-21 1998-09-21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78U true KR20000006778U (ko) 2000-04-25
KR200272226Y1 KR200272226Y1 (ko) 2002-06-20

Family

ID=6952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023U KR200272226Y1 (ko) 1998-09-21 1998-09-21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13690A (zh) * 2023-08-10 2023-09-08 天津塘沽瓦特斯阀门有限公司 一种阀门焊接工装
CN117020526A (zh) * 2023-08-23 2023-11-10 山东迈德隆机械有限公司 一种啤酒金属发酵罐自动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08B1 (ko) * 2001-11-15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상소둔로용 컨벡터 플레이트 용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13690A (zh) * 2023-08-10 2023-09-08 天津塘沽瓦特斯阀门有限公司 一种阀门焊接工装
CN116713690B (zh) * 2023-08-10 2023-10-20 天津塘沽瓦特斯阀门有限公司 一种阀门焊接工装
CN117020526A (zh) * 2023-08-23 2023-11-10 山东迈德隆机械有限公司 一种啤酒金属发酵罐自动加工装置
CN117020526B (zh) * 2023-08-23 2024-02-23 山东迈德隆机械有限公司 一种啤酒金属发酵罐自动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226Y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39B1 (ko) 폼워크생산용 자동용접장치
KR102185908B1 (ko) 파이프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JP5043813B2 (ja) ワークの水平型自動溶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ワークの溶接方法
JP6307552B2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CA1152161A (en) Automatic pipe circumference welding apparatus
KR101708908B1 (ko) 비계용 발판 제조용 용접장치
KR200272226Y1 (ko) 스키드파이프 용접장치
KR20120118808A (ko)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용 자동 접지장치
CN212885646U (zh) 一种包括双电极立式焊接装置
FR2768952A1 (fr) Procede d'oxycoupage de billettes de coulee continu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JP3067733B2 (ja) 溶接装置
KR100497667B1 (ko) 압연공정의 코일 연결용 용접기
KR102060926B1 (ko)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KR20040025116A (ko) 리프팅 빔 자동 용접장치
JP2022143413A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KR200351907Y1 (ko) 파이프 용접비드 제거장치
KR100759268B1 (ko) 냉간코일용 용접 및 커팅장치
KR100885205B1 (ko) 용접기
KR100965988B1 (ko) 스트립 용접기 헤드유닛의 용접라인 유도장치
KR20000006780U (ko) 코일밴드의 절단위치 조정장치
KR20040019203A (ko) 냉연코일 외권부 결속상태 검사장치
KR101977827B1 (ko) 용접 겹침부 형성 장치
KR100733374B1 (ko) 푸셔바 마모면 자동 육성용접장치
CN210451514U (zh) 一种直线移动焊接机
CN219310304U (zh) 一种二氧化碳保护自动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