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137A - 피아노소스테누토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피아노소스테누토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137A
KR20000006137A KR1019990021930A KR19990021930A KR20000006137A KR 20000006137 A KR20000006137 A KR 20000006137A KR 1019990021930 A KR1019990021930 A KR 1019990021930A KR 19990021930 A KR19990021930 A KR 19990021930A KR 20000006137 A KR20000006137 A KR 2000000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under lever
piano
stop
lev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스마빈에스.
바나피터엠.
유세윌리암에스.
에레나안토니씨.
모어마이클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스타인웨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스타인웨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0000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피아노는 언더레버 암(underlever arm)과 스트링 댐퍼(string damper)에 언더레버 암을 연결하는 언더레버 지지대(support)를 가지는 언더레버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한다. 언더레버 암은 정지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다. 래치(latch)는 비래치 위치(non-latching position)와 래치위치(latching position)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래치 마운트(mount)에 장착된다. 래치 위치에서 래치는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언더레버 지지대의 래치 표면에 맞물린다.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스탑(stop)은 제 2 위치로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한다. 피아노 스트링 댐퍼를 제어하는 방법은 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스트링 댐퍼를 유지하기 위해 래치와 언더레버 암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언더레버 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스탑과 언더레버 암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아노 소스테누토 어셈블리{PIANO SOSTENUTO ASSEMBLY}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그랜드 피아노의 소스테누토 어셈블리(sostenuto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에 있어서, 사운드(sound)는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키(key)를 누르면, 팽창된 현에서 댐퍼(damper)를 들어올리고, 해머(hammer)가 팽창된 현을 때림으로써 창출되어 진다.
피아노 키가 해제되면, 댐퍼가 현에 접촉하기 위해 더 낮아지고, 현의 진동을 멈추게 한다.
만약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키에서 손을 뗐을 때, 그 댐퍼가 낮아지지 않게하기를 원한다면, 각각의 현들로부터 들어올려진 스트링 댐퍼 모두를 들어올린 상태로 잡아두기 위해서 댐퍼 패달(damper pedal)을 밟으면 된다.
대신, 피아니스트는 현에 접촉된 상태에 있는 댐퍼들을 남겨 두고, 댐퍼들이 들어 올려진 위치에 있는 이미 올려진 댐퍼들을 잡기 위해 소스테누토 패달을 누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그랜드 피아노를 이용하는 피아니스트는 피아노 키(25)를 누를 때, 소프트키(soft key)끝에 있는 휄트(felt)(26)는 특정한 키(25)와 연결된 언더레버(17)와 접촉하기 위해 들어 올려진다. (화살표 26a참조)
피아노 키의 운동은 언더레버(화살표17a)와 언더레버에 부착된 탑 플랜지(15)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댐퍼헤드(11)는 각각 언더레버(17)와 연결되어져 있다.
댐퍼헤드(11)에 탑플랜지(15)를 연결하는 댐퍼와이어(13)는 팽창된 현(12)으로부터 댐퍼헤드(11)를 올리기 위하여 탑플랜지(15)의 상향운동을 댐퍼헤드(11)에 전달한다.
언더레버(17)의 상향운동은 댐퍼스탑 레일(22)의 휄트 패드(24)와 언더레버(17)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각각의 현(12)들로부터 댐퍼헤드(11) 모두를 해제하기 위하여, 피아니스트는 각각의 언더레버(17)에 접촉하여 들어올리는 댐퍼 트레이(27)를 위로 움직이도록 일련의 결합(30으로 표시)을 통하여 작용하는 댐퍼패달(33)을 누른다.
하기에 기술된 것처럼 언더레버의 운동은 댐퍼헤드에 전달되어진다.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 2a를 참조하면 단지 들어 올려진 위치에서, 각각 또는 복수개의 댐퍼들이 소스테누토 패달(52)을 누름으로써 올려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패달(52)의 운동에 의해 패달에 부착된 로드(51)를 들어올림으로써, 소스테누토 패달 레버(50)가 커넥팅로드(connecting rod)(48, 점선참조)를 낮추는 커넥팅 포인트(53, 화살표 54) 주변으로 선회하도록 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브라켓(112), 클램프(112a) 그리고 볼트(112b)에 의해 피아노 액션 프레임(110)에 장착된 소스테누토 레일(40)은 노치(48b)에 맞물려있는 와이어 루프(49)에 의해 로드(48)의 앤드피스(48a)에 연결되어 클램프(49a)와 볼트(49b)에 의해 앤드피스(48a)에 고정된다.
레일(40)은 브라켓(112)의 구부러진 부분(112c)안에서는 회전이 자유롭지만, 수직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있다.
로드(48)의 운동은 소스테누토 레일(40)을 피벗 포인트(56) 둘레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화살표58 참조)
소스테누토 레일(40)의 회전에 의해서, 레일 블래이드(41)가 들어올려진 모든 탑플랜지들(15)(점선으로 표시된)의 휄트로 피복된 래치표면인 탭노즈(47)의 언더사이드(60)에 맞물리게 된다.
키(25)가 해제된 후에, 레일(40)은 현(12)으로부터 들어올려진 댐퍼헤드(s)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탭 노즈(47)는 중심핀(43)에 의해 탑플랜지(15)에선회적으로 장착된 댐퍼 레버 탭(42)으로부터 연장된다.
와이어 스프링(45)은 스탑 휄트(46)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 탭(42)을 위로 치우치게 한다.
이 배열은 탭이 하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으나 상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게 한 것이다.
결국, 선회하는 소스테누토 블래이드(41)는 잡혀있지 않은 댐퍼들이 자유롭게 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임의의 지정된 댐퍼를 들어올려진 위치에 포획시킬 수 있으므로 하부방향으로 유연한 탭들을 연장된 소스테누토 블래이드의 하부표면 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새로 들어 올려진 댐퍼는 들어올려진 위치에 잡혀진다.
상기에 기술된 종래 어셈블리에 있어서, 댐퍼 스탑 기능은 하나의 구성요소인 스탑 레일(22)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반면, 소스테누토 기능은 다른 구성요소인 소스테누토 레일(40)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는 댐퍼 스탑과 소스테누토 기능 둘 다를 갖는 단일 스탑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 스탑 레일(damper stop rail)과 소스테누토 레일(sostenuto rail)에 관한 측면도.
도 2a 와 2b는 더 상세하게 도 1 의 종래 소스테누토 레일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a 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테누토, 댐퍼 스탑 레일에 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에 도 3 의 스탑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에 스탑 레일을 장작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테누토 패달(pedal)에 스탑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테누토 패달에 스탑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a 내지 8e는 본 발명의 스탑 레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탑플랜지(topflange)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스탑 레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탑플랜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a 내지 10g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탑 레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에 따른 탑플랜지에 대한 스탑 레일의 장착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 키(key)와 피아노의 언더레버(underlever)를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의 댐퍼 와이어(damper wire)에 연결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피아노는 언더레버암(underlever arm)과 스트링 댐퍼(string damper)에 언더레버 암을 결합하는 언더 레버 지지대(support)를 가지는 언더레버 어셈블리(underlever assembly)를 포함한다.
언더레버 암은 제 1 위치인 정지위치와 제 2 위치를 이동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언더레버 암의 운동은 스트링 댐퍼 운동을 야기 시킨다.
언더레버 지지대는 래치 표면(latch surface)을 한정한다.
래치(latch)는 비래치 위치(non-latching position)와 래치 위치(latching position)사이를 이동하기 위하여 래치 마운트(latch mount)에 장착된다.
래치위치에서, 상기 래치는 언더레버 어셈블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래치표면과 맞물림으로써 언더레버 암은 제 1 위치인 정지위치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되도록 하고 스트링 댐퍼는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되도록 한다.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스탑은 제 2 위치를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한다.
이런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를 회전하기 위해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다.
언더레버 암은 스탑 표면을 포함하고, 스탑은 제 2 위치를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스탑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스탑은 래치의 표면이다.
래치 마운트는 피아노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래치 마운트는 케이스(case)가 장착되거나, 또는 액션(action)이 장착되어진다.
래치 표면은 유연성 또는 강성을 지닌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패달운동을 래치에 전달한다.
액추에이터는 피아노에 조절 가능케 장착된다.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의 고리 단부(loop end)를 통하여 연장되는 조임기(fastener)에 의해 패달에 부착된다.
래치 마운트는 패달의 운동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피아노는 제 1 위치인 정지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기 위해 장착된 언더레버 암을 갖는 언더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언더레버 지지대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언더레버 암이 스트링 댐퍼의 운동을 야기 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언더레버 암을 스트링 댐퍼에 연결해준다.
언더레버 지지대는 유연한 삼각의 탭(triangular tab)을 한정한다.
경사진 모서리를 가진 블래이드(blade)는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수직 브라켓(backet)에 장착되어진다.
래치위치에 있는 블래이드는 어더레버 어셈블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탭에 맞물림으로써 언더레버 암이 정지위치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되도록 하고,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되도록 한다.
스탑은 제 2 위치를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한다.
상기 스탑은 브라켓에 장착되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피아노 스트링 댐퍼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언더레버 암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피아노의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래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언더레버 지지대는 언더레버 암을 스트링 댐퍼에 연결시킴으로써 언더레버 암이 래치에 접촉될 때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스탑과 언더레버 암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탑과 언더레버 암의 접촉은 정지위치로부터 언더레버 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스테누토/댐퍼 스탑 레일(100)은 종래 발명의 댐퍼 스탑 레일(22)의 기능과 그리고 종래 발명의 소스테누토 레일(40)의 기능 모두를 수행한다.
스탑 레일(100)은 언더레버상의 스탑 휄트(104)가 댐퍼 스탑(102)에 접촉할 때 언더레버(17)의 상방향 운동을 멈추게 하는 댐퍼 스탑(102)을 포함한다.
또한 스탑 레일(100)은 들어 올려진 위치에 댐퍼(11)를 붙잡기 위하여 소스테누토 패달(52)에 의해 구동되는 소스테누토 래치 블래이드(106)를 포함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스탑 레일(100)은 브라켓(272)에 의해 피아노의 액션 프레임(110)에 지지된다(도 3b는 하나의 브라켓이 도시됨).
일 예로, 각각의 브라켓(272)은 행거 나사(114)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된다.
스탑 레일(100)의 원통형의 부분(103)은 브라켓(272)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댐퍼 스탑(102)을 한정한다.
래치 마운트 암(105)은 색션(103)에서부터 소스테누토 블래이드(106)를 지지하기 위하여 연장된다.
암(105)과 브라켓(272)은 색션(103)의 길이에 따라 서로 엇갈린다.
스탑 레일(100)의 위치는 브라켓(272)을 구부리거나, 프레임을 따라 브라켓을 활주시키거나 또는 나사(114)를 조정함으로써 조절 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스탑 레일(100)은 루프(loop) 즉, 스탑 레일(100)로부터 연장되는 암(arm) 또는 그와 유사한 익스텐션(160)과, 피벗 조인트(161)에 있는 익스텐션(160)에 일단이 부착되고, 패달 레버(50)에 타단이 부착된 조절 가능한 누름 혹은 당김 로드(push/pull rod)(161)에 의해 소스테누토 패달(52)에 연결된 것이다(도 2a 참조).
소스테누토 패달(52)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로드의 운동(162)은화살표(163)를 따르는 조인트(161)의 운동과, 피벗 포인트(165)에 대한 스탑레일(100)이 선회를 야기 시킨다.
언더레버(17)의 자유 단부(free end)를 향한 댐퍼 스탑(102)의 수평적 재배치는 언더레버가 올려질 때 댐퍼스탑(102)에 맞붙어 언더레버의 찌그러짐 없이 댐퍼스탑(102)을 언더레버의 표면(19a)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찌그러짐은 언더레버의 고정된 끝단 근처에 위치한 종래 댐퍼 스탑이 키에 의해 들어올려진 언더레버에 걸리거나, 수직적으로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어질 때와 언더레버가 댐퍼패달에 의해 언더레버의 고정단에 계속하여 상승되어질 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 또는 패달에 의해 들어올려졌을 때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들어올려진 언더레버의 이러한 결과는 댐퍼 스탑에 맞붙어서 언더레버의 찌그러짐의 원인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언더레버의 표면에 댐퍼스탑 레일의 더 근접한 위치를 허용하고, 탑플랜지(15)의 상방향 운동의 감소로 인해, 댐퍼레버 탭(42)은 스탑과 소스테누토 레일들의 위상에서의 진동을 조절하는 종래 시스템만큼의 회전을 가질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단순화된 탭 설계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후술하는 청구항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스탑 레일(100)은 케이스에 장착된 브라켓 볼트(122)와 볼트 나비나사(124)에 의해 피아노 케이스에 고정된 수직 레일 헹거 브라켓(120)에 의해 피아노에 장착된다.
브라켓(120)은 스탑 레일(100)의 수직조정을 가능케 하기 위해 126에 홈이 나 있다.
그리고 브라켓 볼트(122)의 회전은 스탑 레일(100)의 수평조절을 가능 케한다.
대신에, 브라켓(120)은 키베드(keybed)에 장착된 브라켓(128)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나비나사(130)를 잠금으로써 아래쪽에 있는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점선으로 도시됨).
피아노 케이스에 스탑 레일(100)을 알맞게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들이 도 5a 및 5b에 도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브라켓(120)은 90도의 각을 이룬 볼트(140)에 나비나사(124)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에 장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볼트(140)는 스탑 레일(100)의 수직조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피아노 케이스(121)에 장착하여 나사(144)가 통과 할 수 있도록 홈(142)을 가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브라켓(120)은 볼트(146)와 케이스 브라켓(148)에 나비나사(124)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에 장착된다.
볼트(146)는 케이스 브라켓(148)에 있는 홈(147)을 통하여 연장된다.
케이스 브라켓(148)은 나사(150)로 피아노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홈(147)은 스탑 레일(100)의 수직조정을 허용한다.
또한 도 5a, 그리고 5c는 브라켓(120)에 스탑 레일(100)을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소스테누토 블래이드(106)는 고정판(156)과 나사(152)로 브라켓(120)에 부착된다.
브라켓(120)은 브라켓(120)의 위치 조정을 허용하는 홈(121)을 가진다.
댐퍼 스탑(102)은 고정판(156)의 만곡 단부(157)와 브라켓(120)이 만곡 단부(154)에 의해 생긴 장소 안에 잡혀진다.
도 6a 내지 6c는 소스테누토 패달(52)에 스탑 레일(100)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로드(162)의 하부 단부(164)는 로드(162)의 루프 단부(168)를 통해 연장된 나사(166)로 패달 레버(50)에 부착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로드(162')의 수직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 나사(170)는 로드(162')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정 나사(172)와 함께 그 곳에 장착됐다.
볼트(173)는 패달 레버(50)를 수평으로 통과하고, 패달 레버(50)에 고정 나사(172)를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고정 나사(170)에 수용된다.
도 6c에서, 로드(162'")는 패달 레버(50)를 통해 수직으로 통과한다. 로드(162'")는 (174)에 꿰어지고, 나사와 와셔(176)의 위치에 고정된다.
로드(162'")의 수직 조정은 로드(162'")를 스탑 레일(100)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커넥팅 암(180)은 익스텐션(160)과 로드(162'")사이를 연장한다.
로드(162'")는 182에 꿰어지고 커넥팅 암(180)은 너트(184)로 로드(162)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여기서, 익스텐션(160')은 나사(196)에 의해 스탑 레일(100')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슬롯 포션(194)을 포함하기 위해 개조된다. 또한 도7a 는 로드(162'")을 패달 레버(50')에 부착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로드(162'")의 하부단부(186)는 두개의 직각 밴드(188)를 가진다.
하부단부(186)는 패달 레버(50')의 슬릿(190)에 로드를 장착하고, 나사(192)로 슬릿을 조임으로써 패달 레버(50')에 단단히 결합된다.
도 8a 내지 8f 탑플랜지의 다양한 선택적 구성요소를 보이고 있다.
도 8a에서, 탑플랜지(15a)는 소스테누토 레일 블래드(41)에 의해 맞물리게 되는 둥근머리 나사(200)를 포함한다.
도 8b에서 탑플랜지(15b)는 레일 블래드(41)에 의해 맞물리게 되는 주조 강성탭(202)을 구비한다.
도 8c에서 탑플랜지(15c)는 강성 또는 연성의 물질로 형성된 삼각탭(204)을 구비한다.
상기 탭(204)은 탭(204)의 연장된 단부(204a)를 탑플랜지(15c)의 노치(206)에 넣음으로써 탑플랜지(15c)에 고정된다.
도 8d에서 탑플랜지(15d)는 휄트(218)에 대항하는 여유 있는 스프링 탭(216)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탭(216)은 스프링 탭의 편향을 가능케 하는 각진 벽(222)을 갖는 탑플랜지(15d)의 노치(220)안에 주어진다.
도 8e에 있어서 상기 설명된 탭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탑플랜지(15e)는 댐핑 웨잇(214)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210,212)를 갖는 넓혀진 베이스 영역(208)을 포함한다.
하기에 기술된 유연한 소스테누토 레일 블래이드는 강성의 탭을 갖는 탑플랜지와 함께 사용된다.
도 9a 내지 9e는 탭의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a에서, 가늘고, 유연한 탭(220)은 탑플랜지(15f)에 있는 홈(222)안으로 꽉 고정된다.
도 9b에서, 90도로 구부러진 탭(224)은 탑플랜지(15g)에 있는 수직 홈(226)으로 삽입된 후에, 배럴(230)과 탭(224)에 있는 제 1 구멍(232)을 통고하는 나사 (228)와 탭(224)에 있는 제 2 구멍을 통과하는 댐퍼와이어(13)에 의해 고정된다.
도 9c에서, 탑플랜지(15h)의 댐퍼와이어(13)에 부착된 탭의 두 개의 선택적 실시예를 보여준다.
탭(240)은 유지나사(242)로 와이어(13)에 부착된다.
탭(244)은 압축 클립(246)으로 와이어(13)에 부착된다.
도 9d에서, 직각탭(250)은 나사(254)에 의해 탑플랜지의 리세스(252)내에 있는 탑플랜지(15i)에 부착된다.
도 9e에서, 탭(256)은 탑플랜지(15j)에 있는 두 개의 홈(260,262)안에 쐐기모양으로 끼워진 압축클립(258)의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0a 내지 10h는 스탑 레일을 위한 선택적인 설계를 보이고 있다.
도 10a에 있어서, 스탑 레일(100a)의 블래드(106a)는 경사진 모서리(300)를 가지고 있다.
스탑 휄트 스트립(304)은 도 3 에 보여진 것처럼, 각각의 언더레버(17)에 스탑 휄트(104)를 부착하는 것 보다, 오히려 도 10b의 스탑레일(100b)에 부착된다.
도 10b에서, 블래이드(106c)는 블래이드(106)와 탭(47)사이에 소음을 통제하기 위한 휄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 같은 부드러운 물질(306)로 덮여있다.
도 10d에서, 블래이드(106d)는 휄트,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럽고 순수물질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도10e에 있어서, 블래이드(106e)는 나사(308)를 가지고 스탑 레일(100e)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부착 형태는 블래이드(106e)의 위치 조정을 허용한다.
도 10f에서, 블래이드(106f)는 피벗 핀(310)에 의해 스탑 레일(100f)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있다.
도 10g에 있어서, 블래이드(106g)는 로드, 와이어 또는 작은 다면 치수를 갖는 유사한 물체로써 제시된다.
도 11a 내지 11d는 스탑 레일(100)의 선택적 위치를 보여준다.
도 11a에서, 스탑 레일(100)은 블래이드(106)가 소스테누토 기능과 댐퍼스탑 기능 모두를 제공하기 위하여 역전된다.
도 11b에서, 스탑레일(100)은 탑플랜지(15)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도 11c에서, 스탑레일(100)의 색션(103)은 브라켓(312)에 선회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은 플랜지 또는 레일(313)에 의해 피아노에 부착된다.
브라켓(312)은 피벗(315) 예를 들면, 스탑레일(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 패달, 레버, 유사한 작동기구에 의해 레일(313)에 대해 회전 될 수 있다.
또한 도 11d를 참조하면, 로드(162)의 초기운동 동안 스탑 레일(100)은 탭노즈(47)에 기대는 위치로 회전한다.
상기 운동은 스탑레일(100)에 단단하게 연결된 스탑 부재(318)가 브라켓(312)과 접촉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로드(162)의 한층 더 한 운동하에서, 스탑 부재(318)는 스탑 레일(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브라켓은 피벗(315)에 대해 회전하여, 스탑 레일(100)을 들어올린다.
또한 레일(313)은 댐퍼스탑 기능을 돕기 위하여 스탑 휄트(314)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만약 도 11c의 회전하는 브라켓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스탑 레일(100)을 들어올리도록 채택되어서 캡처드 댐퍼(11)를 보다 높이 들어올려진다면, 상기 댐퍼를 들어올리는 것은 키액션과 같은 피아노의 다른 부분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2a 및 12b를 참조하면, 스탑 레일(100)과 함께 올려진 위치에 댐퍼를 포획한 후에, 피벗(315)주변으로 브라켓(312)을 회전함에 의해 야기된 스탑 레일을 더욱 높이 올리는 것은 언더레버(17)를 들어올리도록 작용한다.
언더레버(17)는 피아노 액션의 백책(322)을 들어올릴 수 있는 포키드링크(320)에 의해 키(25)에 연결되어 진다.
이것은 현에 해머를 다시 치는 결과이다.
도 12c에서, 키(25)의 바닥표면(326)과 접촉하는 택일적인 링크(324)가 보여진다.
브라켓(312)의 회전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적인 들어올림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현(12)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쐐기 형태의 휄트, 고무, 또는 유사한 물질로 구성된 뮤팅 또는 사일런싱 부재(silencing member)(330)는 피아노의 뮤팅(muting) 또는 사일런싱 포션(silencing portion)을 위하여 브라켓(312)의 회전에 반응하면서 현 사이에서 들어올려지고, 삽입된다.
도 13b에 있어서, 전자 센서(332)는 현이 발생한 정보를 (증폭기, 메커니즘 피아노 플레이어 또는 컴퓨터 피아노 플레이어)과 같은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브라켓(312)의 회전에 반응하여 현에 근접하여 위치가 정해진다.
도 13c에 있어서, 소프트 뮤팅 물질로 형성된 부재(334)는 피아노 소리를 부드럽게 하고, 재창출하기 위하여 피아노 해머(336)와 현(12)사이의 위치로 이동된다.
부재(334)를 이동시키기 위해, 브라켓(312)에 부착된 로드(333)가 브라켓의회전에 의해 더 들어올려질 때, 로드(333)에 부착된 기어(340)는 들어올려지고, 기어의 회전을 야기시키고, 이에 따라 부재(334)에 부착된 기어(344)의 선형운동을 야기 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효과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에 상기 스탑과 소스테누토 레일이 결합됨으로써, 서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댐퍼스탑 레일을 종래의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더 근접하게 언더레버의 자유 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언더레버가 들어올려졌을 때, 댐퍼스탑 레일은 댐퍼스탑에 대해 언더레버의 찌그러짐 없이 언더레버의 표면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언더레버의 표면에 댐퍼스탑을 더 근접시켜서, 탑플랜지(15)의 상방향운동을 감소시킴으로서, 스탑과 소스테누토 레일의 변위를 조절하도록 댐퍼레버 탭(42)의 회전을 감소시켜 단순화된 탭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소스테누토와 스탑 레일이 동시에 이동되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은 서비스 목적을 위해 댐퍼 시스템에 향상된 유동성(accessibility)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언더레버 어셈블리(underlever assembly)를 포함하는 피아노에 있어서,
    제 1 위치인 정지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언더레버 암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언더레버 암의 이동이 스트링댐퍼(string damper)의 운동을 야기시킬 수 있도록, 언더레버 암을 스트링 댐퍼에 연결하고, 래치 표면(latch surface)을 한정하는 언더레버 지지대(support)와,
    래치 및 래치 마운트, 즉 비래치 위치(non-latching position)와 래치 위치(latch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래치 마운트(latch mount)에 장착되고, 래치 위치에서 언더레버 어셈블리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래치 표면에 맞물림으로써 언더레버 암이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와,
    제 2 위치를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하며 래치마운트에 장착된 스탑(sto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2.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는 래치 위치와 비래치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기 위해 래치 마운트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3. 제 1 항에 있어서,
    언더레버 암은 스탑 표면(stop surface)을 포함하고, 언더레버 암이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스탑이 스탑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탑은 래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5.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마운트는 피아노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6. 제 5 항에 있어서,
    래치 마운트는 케이스에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7. 제 5 항에 있어서,
    래치 마운트는 액션(action)에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8.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표면은 유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9.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표면은 강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0. 제 1 항에 있어서,
    패달(pedal)의 운동을 래치에 전달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피아노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루프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조임기(fastener)에 의해 패달에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3. 제 1 항에 있어서,
    래치 마운트는 패달의 운동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4. 언더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피아노에 있어서,
    제 1 위치인 정지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장착되며, 스탑 표면을 포함하는 언더레버 암과,
    언더레버 암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언더레버 암의 이동이 스트링댐퍼의 운동을 야기시킬 수 있도록, 언더레버 암을 스트링 댐퍼에 연결하고, 래치 표면을 한정하는 언더레버 지지대와,
    래치 및 래치 마운트, 즉 비래치 위치가와 래치 위치 사에서 회전을 위해 래치 마운트에 장착되며, 언더레버 어셈블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래치 위치에서 래치 표면에 맞물림으로써 언더레버 암이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고,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의 반응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는 래치와,
    제 2 위치를 향하여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스탑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래치 마운트에 장착되는 스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5. 언더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피아노에 있어서,
    제 1 위치인 정지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장착된 언더레버 암과,
    언더레버 암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언더레버 암의 이동이 스트링댐퍼의 운동을 야기할 수 있도록 언더레버 암을 스트링 댐퍼에 연결하며, 유연한 삼각탭(triangular tab)을 한정하는 언더레버 지지대와,
    경사진 모서리와 수직 브라켓(bracket)을 가지며, 비래치 위치와 래치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브라켓에 장착되며, 언더레버 어셈블리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래치 위치에서 탭에 맞물림으로써 언더레버 암이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고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는 블래이드(blade)와,
    제 2 위치를 향해 언더레버 암의 운동을 제한하고 브라켓에 장착되는 스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16. 피아노 스트링 댐퍼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언더레버 암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피아노의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래치에 피아노의 언더레버 암을 접촉하며, 언더레버 암이 래치와 접촉할 때 스트링 댐퍼가 해당 피아노 현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언더레버 지지대가 스트링 댐퍼에 언더레버 암을 연결하는 단계와,
    정지위치로부터 언더레버 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래치 마운트에 장착된 스탑을 언더레버 암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스트링 댐퍼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990021930A 1998-06-12 1999-06-12 피아노소스테누토어셈블리 KR200000061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97,207 1998-06-12
US09/097,207 US6020544A (en) 1998-06-12 1998-06-12 Piano sostenuto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37A true KR20000006137A (ko) 2000-01-25

Family

ID=2226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930A KR20000006137A (ko) 1998-06-12 1999-06-12 피아노소스테누토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0544A (ko)
EP (1) EP0964384A3 (ko)
JP (1) JP2000035783A (ko)
KR (1) KR20000006137A (ko)
DE (1) DE96438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9624B4 (de) * 1999-12-10 2005-04-21 Carl Sauter Pianofortemanufaktur Gmbh & Co. Kg Tonhaltevorrichtung für ein Saiten aufweisendes Tastenistrument
US6632988B1 (en) * 2000-04-04 2003-10-1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Damper adjustment device
JP2001318666A (ja) * 2000-05-12 2001-11-16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ダンパー
WO2015143499A1 (en) * 2014-03-24 2015-10-01 Caporali Ursul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arting acoustic effect to pian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5442A (en) * 1921-09-16 1922-11-14 Frederick H Abendschein Piano action
DE1057857B (de) * 1957-02-11 1959-05-21 Herrburger Brooks Ltd Klaviermechanik
US3747461A (en) * 1971-04-19 1973-07-24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Piano action with sostenuto mechanism
US4028980A (en) * 1975-11-10 1977-06-14 The Wurlitzer Company Sostenuto piano action
US4335640A (en) * 1980-10-01 1982-06-22 Mudgett Walter A Single note sostenuto for the upright piano
US4924742A (en) * 1988-06-07 1990-05-15 Yamaha Corporation Mechanical keyboard instrument with pedal mechanisms
FR2730084B1 (fr) * 1995-01-31 1997-04-04 Rochefordiere Denis De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de musique tels que pianos et mecanisme de mise en oeuvre de celui-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4384A2 (en) 1999-12-15
US6020544A (en) 2000-02-01
EP0964384A3 (en) 2003-05-02
DE964384T1 (de) 2000-05-04
JP2000035783A (ja)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1673B2 (en)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EP0655729B1 (en) Grand piano-like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sound and synthesized sound
US5123321A (en) Piano
KR100388177B1 (ko) 피아노와같은악기의음악적작동방법및이를실행시키는기구
US6992242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automatic top board spacer
US8148620B2 (en)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KR20000006137A (ko) 피아노소스테누토어셈블리
US6965070B2 (en) Upright keyboard instrument
JPH01161294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US4854211A (en) Action mechanism of an upright piano
KR20040045310A (ko) 페달 기구를 갖는 건반 악기
EP1022718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changed between free position and blocking position through turn on horizontal plane
US20210264883A1 (en) Sostenuto mechanism for keyboard instrument and keyboard instrument
JP3533383B2 (ja) アクション機構および当該アクション機構を有する鍵盤楽器
US2757633A (en) Chime signal device
JP3354011B2 (ja) 鍵高さ調節装置
GB2256522A (en) Repetition actions
US2866371A (en) Key and action assembly for musical instruments
US6632988B1 (en) Damper adjustment device
US4102233A (en) Upright harpsichord action
JP371434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及び鍵盤楽器
JPS5822233Y2 (ja) 鍵盤楽器のダンパ−機構
US2888851A (en) Damper mechanism for piano
JP3527404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の取付構造
US893487A (en) Pianissimo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