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991A - 블렌드시스템을사용하는전자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블렌드시스템을사용하는전자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991A
KR20000005991A KR1019990021068A KR19990021068A KR20000005991A KR 20000005991 A KR20000005991 A KR 20000005991A KR 1019990021068 A KR1019990021068 A KR 1019990021068A KR 19990021068 A KR19990021068 A KR 19990021068A KR 20000005991 A KR20000005991 A KR 20000005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mer
divinylbenzene
alkyl
same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베르만
안드레아스 엘쉬너
엠마 토른-챠니
Original Assignee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25765A external-priority patent/DE19825765A1/d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더 하이더,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더 하이더
Publication of KR2000000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분지형의 경우 탄소수가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인 탄소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이거나, 또는 탄소수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의 시클로헥실이거나, 또는
R1또는 R2는 수소이며, 대응하는 라디칼 R2또는 R1은 상기에 정의한 의미이며;
R3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C1-6알킬(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CN 또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며;
R5, R6, R7및 R8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임의의 목적하는 라디칼, 특히 올리고머를 기타 올리고머/중합체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구조 원소일 수 있으며;
n은 정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다.

Description

블렌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자발광 장치{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Blend Systems}
전자발광(EL) 장치는 전기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장치는 오랫동안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발광 다이오드"(LED)로서 공지되어 있었다. 빛의 방출의 원인은 양전하("구멍") 및 음전하("전자")가 빛의 방출과 재결합한다는 사실이다.
전자 또는 광자에 대한 발광 성분의 개발에 있어서, 갈륨 아르세나이드와 같은 무기 반도체의 존재시에 주로 사용되었다. 펑티폼(punctiform) 지시 소자는 상기 물질을 기재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큰 면적의 장치는 불가능하다.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에 더하여, 증착된 저분자량 유기 화합물 기재의 전자발광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US-P 4 539 507, US-P 4 769 262, US-P 5 077 142, EP-A 406 762, EP-A 278 758, EP-A 278 757).
또한, 폴리(p-페닐렌) 및 폴리(p-페닐렌비닐렌)(PPV)과 같은 중합체는 전자발광 중합체로서 기술되어 있다(G. Leising 등, Adv. Mater. 4 (1992) No. 1; Friend 등, J Chem. Soc., Chem. Commun. 32 (1992); Saito 등, Polymer, 1990,Vol. 31, 1137; Friend 등, Physical Review B, Vol. 42, No. 18, 11670 또는 WO 90/13148). 전자발광 지시기 중의 PPV의 추가예는 EP-A 443 861, WO-A-9203490 및 92003491에 기술되어 있다.
EP-A 0 294 061은 폴리아세틸렌 기재의 광학 변조기를 기재하고 있다.
헤거(Heeger) 등은 가요성 중합성 LED의 제조를 위한 가용성 콘쥬게이티드 PPV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WO 92/16023).
다양한 조성물의 중합체 블렌드는 유사하게 공지되어 있다(M. Stolka 등, Pure & Appl. Chem., Vol. 67, No. 1, pp 175-182, 1995; H. Baessler 등, Adv. Mater. 1995, 7, No. 6, 551; K. Nagai등, Appl. Phys. Lett. 67 (16), 1995, 2281; EP-A 532 798).
통상, 유기 EL 장치는 1층 이상의 유기 전하 수송 화합물 층을 함유한다. 층 순서의 기본 구조체는 하기와 같다:
1. 캐리어, 기재
2. 베이스 전극
3. 구멍-주입층
4. 구멍-수송층
5. 발광층
6. 전자-수송층
7. 전자-주입층
8. 표면 전극
9. 접촉부
10. 포장화, 캡슐화.
층 3 내지 7은 전자발광 소자이다.
이 구조체는 가장 통상적인 케이스이며, 각 층을 생략하여 1층이 다수의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간단하게 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케이스에서, EL 장치는 빛의 방출을 포함하여 모든 기능을 만족시키는 유기 층이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폴리(p-페닐렌비닐렌) 기재의 상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출원 WO 90/13148에 기술되어 있다.
다층 시스템은 층들이 기상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도포되는 증착 방법에 의해 또는 주입(pouring)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고속의 가공 속도 때문에, 주입 방법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의 경우, 이미 도포된 층을 부분적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은 후속 층을 표면 상에 침착시키기에 곤란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속 밀도가 높은 전자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때 도포될 혼합물은 주입될 수 있다. 즉, 용액으로부터 도포될 수 있다.
하기에 언급한 블렌드 시스템을 함유하는 전자발광 장치가 이들 요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기에서, 용어 지대란 또한 층과 동등시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갖는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하나 이상의 올리고머를 전자발광 물질 A로서 함유하는 전자발광 장치에 관한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각각 분지형의 경우 탄소수가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인 탄소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이거나, 또는 탄소수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의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1또는 R2는 수소이며, 대응하는 라디칼 R2또는 R1은 상기에 정의한 의미이며;
R3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C1-6알킬(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CN 또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며;
R5, R6, R7및 R8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임의의 목적하는 라디칼, 특히 올리고머를 기타 올리고머/중합체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구조 원소일 수 있으며;
n은 정수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며;
R5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알킬, 특히 C1-4알킬, 상당히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며;
R6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알킬, 특히 C1-6알킬이거나, 또는 아릴, 특히 페닐이며, 여기에서 알킬 및 페닐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OH, -CN, -CHO 또는 Br과 같은 1개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한다.
적합하게 치환된 경우, 치환된 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는 또한, 예를 들면 관능기에 의해 중합체에서 혼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분자량 화합물을 함유하는 주쇄와 측쇄 중합체 둘다를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는 상호교환 혼입(올리고머와 불포화 중합체의 교차-상호교환(cross-metathesis) 반응)에 의해,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옥타머와 같은 불포화 중합체와 커플링된다.
전자발광 장치는 양극, 전자발광 소자 및 음극으로 구성되며, 이때 2개 전극 중 적어도 1개는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투명하다. 구멍-수송 물질, 발광 물질 A 및 임의의 전자-수송 물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관능화된 화합물을 임의로 함유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대가 존재하며, 각 지대가 생략되며, 연결된 지대(들)가 다수의 작업을 인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광 소자는 구멍-주입 지대, 구멍-수송 지대, 전자발광 지대, 전자-수송 지대 및(또는) 전자-주입 지대를 함유한다.
하나의 지대는 다수의 작업을 인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지대가 예를 들면, 구멍-주입, 구멍-수송, 전자발광, 전자-주입 및(또는) 전자-수송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전자발광 소자는 또한, 하나 이상의 투명한 중합성 결합제 B를 함유할 수 있다.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문헌[참조: Macromol. Rapid Commun., 16 (1995), 149(참조: 또한,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는 상호교환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생성물은 통상의 용매 중에 가용성이다. 이들을 가공하여, n값 및(또는) 페닐환 상의 선택된 치환기에 따라, 광발광이 상이한 투명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n 및(또는) 치환기 선택을 변화시킴으로써, 방출된 빛의 파장(색상)을 체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결합제 B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스티렌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SAN 또는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폴리술폰; 비닐기 함유 단량체 기재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카르바졸, 비닐-아세테이트 및 비닐-알콜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 페녹시 수지 등을 나타낸다. 상이한 중합체의 혼합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몰인 중합성 결합제 B는 가용성 및 성막형이며,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투명하다. 이들은 예를 들면, 문헌[참조: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nd ed.,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에 기술되어 있다. 전자발광 물질 A는 투명 결합제 B에 분산될 수 있다. 농축비는 목적하는 대로 변동될 수 있다. 이들은 통상, 사용된 A 및 B의 총중량을 기준하여, 9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성분 A 및 임의 성분 B를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주입, 닥터-블레이딩(doctor-blading) 또는 스핀-코팅(spin-coating)함으로써 적합한 기재에 도포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투명 전극이 구비된 유리 또는 플래스틱 재료를 수반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술폰 또는 폴리이미드의 시트를 플래스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으로서는
a) 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인듐/주석 산화물(ITO), 주석 산화물(NESA), 아연 산화물, 도핑된 주석 산화물, 도핑된 아연 산화물 등,
b) 반투명 금속 필름, 예를 들면 Au, Pt, Ag, Cu 등, 또는
c) 전도성 중합체 필름,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
이 적합하다.
금속 산화물 필름 전극 및 반투명 금속 필름 전극을 증착법, 스퍼터링법, 백금 코팅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박층에서 도포한다. 전도성 중합체 필름은 스핀-코팅법, 캐스팅법, 닥터-블레이딩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용액으로부터 도포한다.
투명 전극의 두께는 3 ㎚ 내지 예를 들면, 수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이다.
전자발광층은 얇은 필름으로서 투명 전극 또는 임의로 존재하는 전하-수송층에 직접 도포한다. 필름 두께는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 ㎚이다.
추가의 전하-수송층은 전자발광층 상에 삽입한 후 반대 전극을 도포할 수 있다.
구멍-전도 물질일 수 있는 적합한 전하-수송 중간층 및(또는) 중합성 또는 고분자 형태로 임의로는 블렌드로서 존재할 수 있는 전자-전도 물질의 조립품은 EP-A 532 798에 기재되어 있다. 구멍-수송 특성을 갖는 특별하게 치환된 폴리티오펜은 특히 적합하다. 이들은 예를 들면, EP-A 686 662에 기술되어 있다.
중합성 결합제 중의 저분자량 구멍 전도체 함량은 2 내지 97 중량%로 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함량은 5 내지 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 특히 10 내지 85 중량%이다. 구멍-주입 또는 구멍-전도 지대는 다양한 방법으로 침착될 수 있다.
성막형 구멍 전도체도 역시 순수한 형태(100%)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는, 구멍-주입 또는 구멍-전도 지대가 또한, 전자발광 물질의 일부를 함유할 수 있다.
치환된 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를 제외하고 구성된 블렌드를 증착시킬 수 있으며; 저분자량 화합물에 더하여 또한, (비필수적인) 결합제 B를 함유할 수 있는 가용성 및 성막형 블렌드는 예를 들면, 스핀-코팅법, 주입법 또는 닥터-블레이딩법으로 용액으로부터 침착될 수 있다.
개별 층 중의 방출 및(또는) 전자-전도 물질을 성분 A를 함유하는 구멍-전도층에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출 물질을 또한, 화합물 A를 함유하는 층에 ("도판트"로서) 첨가할 수 있으며, 전자-전도 물질을 추가로 도포할 수 있다. 전자발광 물질도 역시 전자-주입 또는 전자-전도층에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전자발광 물질 A는 자체가 또한, 전자발광 장치 중의 도판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성 결합제 중의 저분자량 전자 전도체 함량은 2 내지 95 중량%로 변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함량은 5 내지 9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5 중량%이다. 성막형 전자 전도체를 또한 순수한 형태(100%)로 사용할 수 있다.
반대 전극은 투명할 수 있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예를 들면 Al, Au, Ag, Mg, In 등 또는 합금 및 합금의 산화물은 증착법, 스퍼터링법 또는 백금 코팅법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2개의 전기 납(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으로 2개 전극과 접촉시킨다.
0.1 내지 100 볼트의 직류 전압을 인가할 때, 장치는 파장 200 내지 2,000 ㎚의 빛을 방출한다. 이들의 광발광은 200 내지 2,0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조명의 목적 및 정보 표시의 목적을 위한 단위의 제조에 적합하다.
<실시예>
1. 환-치환된 p-페닐렌비닐렌 올리고머(및 중합체)의 상호교환 제조
2,5-환-치환된 1,4-(비스-1-알케닐)벤젠, 예를 들면 1,4-디비닐벤젠, 1,4-디(1-프로페닐)벤젠, 1,4-디(1-이소부테닐)벤젠 등을 출발물질로 하고 상호교환-활성 촉매, 예를 들면 Mo(NArMe2)(CHCMe2Ph)[OCMe(CF3)2]2를 첨가하여, 올리고머화(상호교환 중축합)는 저분자량 모노올레핀, 예를 들면 에텐, 2-부텐, 3-헥센 등을 분할 및 제거함으로써 수행한다. 반응식 1은 2,5-이치환된 1,4-디비닐벤젠의 상호교환 전환에 관한 반응식을 나타낸다.
Mo(NArMe2)(CHCMe2Ph)[OCMe(CF3)2]2의 합성은 문헌[참조: R.R. Schrock, J.S. Murdzek, G.C. Bazan, J. Robbins, M. DiMare, M.O'Regan, J. Chem. Soc., 112 (1990), 3875]에 따라 수행한다.
R1및 R2는 알킬 또는 알콕시 치환기이다.
중축합 반응은 불활성 가스 스트림 하에서 수행하며, 이때 아르곤을 사용하며, 이로부터 산소 미량 및 물 미량이 "OxisorbR" 축소형 흡수기(독일 두이스부르크 소재의 Messer-Griessheim에 의해 공급됨)에 의해 제거된다(<10-5용적%). 불활성 가스 및 진공 접속부가 구비된(표준 쉴렌크 기술) 쉴렌크 튜브 또는 플래스크를 반응 용기로서 사용한다.
사용하기 전에, 유리 용기를 수은-확산-펌프 진공 하에 약 4시간 동안 베이킹한 다음 아르곤으로 충전시킨다.
용매 톨루엔, 데칼린, 시클로헥산, 헥산, 펜탄을 리튬 알라네이트 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환류시키고, 아르곤 하에 완전히 증류시킨다. 이어서, 0.5 ㎖의 n-부틸리튬을 250 ㎖의 용매에 첨가하고, 진공 불변(수은-확산-펌프 진공)이 될 때까지 다수회의 동결/융해 주기를 수행하고 스톡(stock) 용기 내로 농축시킨다.
디부틸-, 디헵틸- 및 디데실-치환된 디비닐벤젠의 중축합 및 알킬-치환된 p-디비닐벤젠 올리고머의 보호(교차 상호교환)를 실온에서 수행한다. 디시클로헥실- 또는 디헵틸옥시-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전환은 50℃ 또는 50 내지 80℃의 승온에서 수행한다.
<2,5-디헵틸-치환된 1,4-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의 합성>
a) 분산도가 협소한 올리고머의 제조
68 ㎎(208 미크로몰)의 2,5-디헵틸-1,4-디비닐벤젠을 고체로서, 보호 가스 및 진공 접속부가 구비된 쉴렌크 튜브로 도입하고, 반응은 촉매 용액(Mo(NAr)(CHAr')[OC(CH3)(CF3)2]2의 톨루엔 용액 0.5 ㎖)을 c = 6.7 밀리몰/ℓ의 농도로 신속하게 첨가함으로써 개시한다. 중축합은 밀봉된 설비에서 일정한 교반하에 감압에서 수행한다. 에텐은 반응 플래스크에 감압을 단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첫 시간에는 약 3회에 이어, 약 6시간 마다) 가함으로써 제거하여, 반응의 평형을중축합물 측으로 이동시킨다.
24시간의 반응 시간후, 실험은 프로판알을 첨가함으로써 종결시킨다. 프로판알을 사용함으로써, 비티히(Wittig) 반응과 유사한 반응에 의해 상호교환 반응이 한정되게 종결될 수 있게 된다. 반응 혼합물을 30 ㎖의 톨루엔 중에 용해시킨 다음 여과한다. 생성물은 여과, 건조 및 클로로포름에 의한 추출 후 100 ㎖의 메탄올 중에 침전시켜 수득한다.
단리된 생성물의 분자량 분포(GPC)는 협소하다. 쇄 길이는 10 내지 11(1H-NMR; n = α-메틸렌 양성자의 갯수/비닐 양성자의 갯수)이었다.
1H-NMR(100 ㎒, CDCl3)
δ(ppm) = 7.43(Ar-H); 7.23(Ar-CH=CH-Ar, 트랜스-비닐렌); 6.97(Ar-CH=CH2); 5.67(트랜스-비닐 말단기 양성자); 5.26(시스-비닐 말단기 양성자); 2.75(α-CH2); 1.10-1.70(β-ξ-CH2), 0.89-CH3
UV/Vis(THF 중)
λ(㎚) = 395
b) 분자량 분포가 광범위한 올리고머의 제조
2 g(6.12 밀리몰)의 2,5-디헵틸-1,4-디비닐벤젠을 불활성 가스 및 진공 접속부가 구비된 플래스크에서 수은 확산-펌프 진공 중에 수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이어서, 17 ㎖의 펜탄(c = 7.22 밀리몰/ℓ) 중에 용해된, 50 ㎖의 펜탄 및 0.123 밀리몰의 촉매를 첨가한다. 약간의 진공을 적용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불활성 가스 대기 하에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3 ㎖의 프로피온알데히드를 첨가한 후, 용매는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조 생성물을 톨루엔 중에서 용해시키고 보다 고분자량의 올리고머 분획은 메탄올 용적을 2배 첨가함으로써 침전시킨다. 이 생성물을 완전히 여과하고, 오일-펌프 진공(= 10-2바)에서 10시간 동안 미리 건조시킨 다음 수은 확산-펌프 진공에서 10시간 동안 더 건조시킨다. 평균 중합도가 6 내지 7인 올리고머 1.05 g(56%)을 형광 녹색 고체로서 수득한다.
생성물 특징:
1H-NMR(CDCl3, 100 ㎒),
δ(ppm) = 7.42(Ar-H); 7.23(Ar-CH=CH-Ar, 트랜스-비닐렌); 6.95(Ar-CH=CH2); 5.67(트랜스-비닐 말단기 양성자); 5.27(시스-비닐 말단기 양성자); 2.76(α-CH2); 1.10-1.70(β-ξ-CH2-); 0.88-CH3
UV/Vis(THF 중)
λ(㎚) = 390(π-π*)
c) 제조된 올리고머의 보호; 예를 들면, R5및 R7이 H이고 R6및 R8이 에틸인 트랜스-3-헥센과의 교차-상호교환
교차-상호교환 실험은 용매 톨루엔 중에서 수행한다. 헥산 중에 제조된 치환된 디비닐벤젠 올리고머를 사용한다.
촉매: 올리고머: 트랜스-3-헥센 = 1:10:300, 촉매 농도는 1 밀리몰/ℓ이다.
반응은 실온에서 수행하고, 1일 후 프로판알을 첨가함으로써 종결시킨다. 용매 및 휘발성 물질은 오일-펌프 진공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잔류물을 톨루엔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종이 필터를 통해 침전욕(메탄올)에 적가한다. 생성물은 뷔크너(Buechner) 깔때기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점착형 용매 잔류물을 수은 확산-펌프 진공에서 제거한다.
후처리는 비보호된 치환된 디비닐벤젠 올리고머의 후처리와 동일하였다.
말단 비닐 이중 결합의 보호는 정량적이고 고도의 선택성으로 진행한다. 생성물은1H-NMR, UV/Vis-IR, DSC 및 GPC 분석 및, 보호된 단량체(n = 1)의 경우 또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도움을 특징으로 한다.
2. 전자발광 장치의 구조
하기에 기술한 실시예에서, ITO(인듐-주석 산화물)로 코팅되고 두께 약 30 내지 50 ㎚의 BaytronR(PEPT/PSS, 독일 레베르쿠젠 소재의 Bayer AG가 공급한 폴리티오펜) 층이 ITO 표면 상에 추가로 구비된 유리판(Balzers가 공급한 Baltracon 255)을 사용한다. n이 6 내지 7인 2,5-디헵틸-1,4-디비닐벤젠, 즉 R5및 R7이 H이고 R6및 R8이 에틸인 말단기: CH-CH2-CH3를 전자발광 물질로서 사용한다.
a) 클로로포름 중에 용해된, Luvican EP(폴리비닐카르바졸 PVK,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의 BASF AG의 제품) 및 2,5-디헵틸-1,4-디비닐벤젠 올리고머(n = 6 내지 7)로 구성된 1.5% 용액을 시판중의 스핀 피복기 상에서 400 분-1의 회전 속도로 ITO/PEDT/PVK 기재 상에 덮는다. 층 두께는 100 ㎚이다. 알루미늄은 반대 전극으로서 증착된다.
전기장을 접촉 및 적용시킨 후, 장치는 약 6 볼트에서 청색 스펙트럼 영역에서 육안으로 인지가능한 전자발광을 나타낸다.
b) a) 하에 기술한 구조는 두께 30 ㎚의 알루미늄 옥신(Alq3) 층을 PVK 층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연장시킨다.
전기장을 접촉 및 적용시킨 후, 장치는 약 6 볼트에서 녹색 스펙트럼 범위에서 육안으로 인지가능한 전자발광을 나타낸다.
c) 구조는 b)와 유사하지만, 단 PVK를 폴리스티렌으로 대체시킨다.
전기장을 접촉 및 적용시킨 후, 장치는 약 6 볼트로부터 녹색 스펙트럼 범위에서 육안으로 인지가능한 전자발광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발광 장치는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를 전자발광 물질로서 함유함으로써 0.1 내지 100 볼트의 전기장에 접촉 및 적용시킨 후에 파장 200 내지 2,000 ㎚의 빛을 방출하게 되므로, 이는 약 6 볼트에서 청색 또는 녹색 스펙트럼 영역에서 육안으로 인지가능한 전자발광을 나타냄으로써, 조명의 목적 및 정보 표시의 목적을 위한 단위의 제조에 적합하게 된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하나 이상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발광 장치.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분지형의 경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콕시이거나,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1또는 R2는 수소이며, 대응하는 라디칼 R2또는 R1은 상기에 정의한 의미이며;
    R3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 C1-6알킬, CN 또는 할로겐이며;
    R5, R6, R7및 R8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임의의 목적하는 라디칼일 수 있으며;
    n은 정수 2 내지 2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5, R6, R7및 R8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라디칼로서는 올리고머를 기타 올리고머/중합체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구조 단위인 전자발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R5,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이며, R6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1개 이상의 관능기를 임의로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아릴인 전자발광 장치.
  4. 조명 및 백(back) 조명의 목적 또는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1항에 따른 전자발광 장치의 용도.
  5.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올리고머의 용도.
  6. 제1항에 따른 치환된 p-디비닐벤젠의 하나 이상의 올리고머를 주쇄 및(또는) 측쇄에 함유하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KR1019990021068A 1998-06-09 1999-06-08 블렌드시스템을사용하는전자발광장치 KR20000005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5765A DE19825765A1 (de) 1998-06-09 1998-06-09 Elektrolumineszierende Anordnungen unter Verwendung von Blendsystemen
DE19825765.1 1998-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991A true KR20000005991A (ko) 2000-01-25

Family

ID=787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068A KR20000005991A (ko) 1998-06-09 1999-06-08 블렌드시스템을사용하는전자발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05991A (ko)
CA (1) CA2273647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3647A1 (en)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7713B1 (en) Electroluminescent assemblies containing boron chelates
US5728480A (en) Poly(4,5,9,10-tetrahydropyrene-2,7-diy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electroluminescence materials
JP4975648B2 (ja) 正孔注入/輸送層組成物およびデバイス
TWI625344B (zh) 聚合物、單體及形成聚合物的方法
JP5021626B2 (ja) フェニル置換ポリフルオランテンの合成及びその使用
KR19980703111A (ko) 올리고-파라-페닐렌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및 이의 용도
KR20000011464A (ko) 아조메틴-금속착물을사용한전자발광어셈블리
US6368731B2 (en) Electroluminescent assemblies using boron chelates of 8-aminoquinoline derivatives
US6503643B1 (en) Electro-luminescent arrangements with thiophene carboxylate metal complexes
US6316130B1 (en) Electroluminescent assemblies using azomethine-metal complexes
JP2000030866A (ja) N―アルキル―2,2’―イミノ―ビス―(8―ヒドロキシキノリン)―金属錯体を含有する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アセンブリ
US6534200B1 (en) Electroluminescent systems with polynulcear metal complexes
TW511394B (en)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KR20040002951A (ko) 치환된 플루오렌 중합체, 이들의 제조방법 및광학장치에서의 이들의 용도
JP3817957B2 (ja) 有機蛍光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iu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quinolines for light-emitting diodes
JP390648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395410B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blend systems
US20030088043A1 (en) Light-emitting polymers and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KR20000005991A (ko) 블렌드시스템을사용하는전자발광장치
JP4560927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7046052A (ja) ルミネッセンス用高分子
JP2000215987A (ja) 高分子発光素子
JP5059410B2 (ja) 光学装置
JP3951316B2 (ja) 高分子蛍光体薄膜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