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658U - 자동신체검사기 - Google Patents

자동신체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658U
KR20000005658U KR2019990028269U KR19990028269U KR20000005658U KR 20000005658 U KR20000005658 U KR 20000005658U KR 2019990028269 U KR2019990028269 U KR 2019990028269U KR 19990028269 U KR19990028269 U KR 19990028269U KR 20000005658 U KR20000005658 U KR 20000005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hair
hip
right armres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3724Y1 (ko
Inventor
유석봉
Original Assignee
유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봉 filed Critical 유석봉
Priority to KR2019990028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2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4Wheel chai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신체검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바퀴가 설치된 이동대(10); 피검자가 앉은 상태에서도 신체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대(10)에 고정된 의자몸체(21)의 일측에 실린더(24)에서 돌출되는 봉(24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엉덩이받침대(23)와,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1회동수단(26)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서 회전되는 등받이(25)와,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2회동수단(28)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전단측에서 회전되는 발받침대(27)를 가지는 의자(20); 및 의자(20)의 양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와,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일열로 설치된 다수개의 발광소자(52a') 및 수광소자와,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설치된 초음파거리측정기(52b')를 가지는 체형측정기(50)(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신체검사기를 채용함으로써, 좁은 공간내에서도 혼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체검사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신체검사기{Auto medical check-up equipment}
본 고안은 신체검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혼자서 좌신장 및 신장, 몸무게, 체온, 맥박, 혈압, 시력, 색맹 및 비만도등을 검사할 수 있는 신체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좌신장 및 신장, 몸무게, 체온, 맥박, 혈압, 시력, 색맹 및 비만도등의 신체검사자료는 건강 상태를 판별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데, 이러한 신체검사자료는 통상적으로 신체검사를 통하여 얻어진다.
종래의 신체검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장측정기, 좌신장측정기, 몸무게측정기 등의 각각 독립된 신체측정기구를 이용하여 간호사가 직접 검사하고 그 결과를 손으로 일일이 기록하여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신체검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신체검사를 하기 위하여 넓은 장소가 필요하고, 장비의 이동 및 관리가 어려웠다. 또한, 신체검사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었으며, 측정자료가 부정확하고, 전산화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좁은장소에서, 혼자서 좌신장 및 신장, 몸무게, 체온, 맥박, 혈압, 시력, 색맹 및 비만도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확한 신체검사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동신체검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체검사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신체검사기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동신체검사기에서 신장을 측정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체형측정기가 체형을 측정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검사벨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대 11 ... 손잡이
20 ... 의자 21 ... 의자몸체
22 ... 힌지 23 ... 엉덩이받침대
24 ... 실린더 25 ... 등받이
26 ... 제1회동수단 26a ... 제1피니언
26b ... 제1돌기 26c ... 제1웜기어
26d ... 제1모터 27 ... 발받침대
27a ... 발판 27b ... 발압력센서
28 ... 제2회동수단 28a ... 제2피니언
28b ... 제2돌기 28c ... 제2웜기어
28d ... 제2모터 30 ... 제어기
40 ... 신장 및 좌신장측정기 42 ... 신장대
42a ... 랙 43 ... 승강수단
43a ... 제3피니언 43b ... 제3모터
50, 50' ... 체형측정기 51, 51' ... 고정프레임
52, 52' ... 좌,우측 팔걸이측정기
52a' ... 발광소자 52b ... 초음파거리측정기
60 ... 검사벨트 70 ... 화면표시기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체검사기는, 이동이 자유롭도록 바퀴가 설치된 이동대(10); 피검자가 앉은 상태에서도 신체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대(10)에 고정된 의자몸체(21)의 일측에 실린더(24)에서 돌출되는 봉(24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엉덩이받침대(23)와, 상기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1회동수단(26)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서 회전되는 등받이(25)와, 상기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2회동수단(28)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전단측에서 회전되는 발받침대(27)를 가지는 의자(20); 및 상기 의자(20)의 양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와,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일열로 설치되어 피검자 몸통의 X 값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소자(52a') 및 수광소자와,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설치되어 피검자 몸통의 Y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파거리측정기(52b')를 가지는 체형측정기(50)(50');를 포함한다
또, 상기 등받이(25)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신장 또는 좌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25)에 고정된 삽입몸체(41)와, 상기 삽입몸체(41)에서 승강되며 피검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신장대(42)와, 상기 삽입몸체와 신장대 사이에 설치되어 그 신장대(4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3)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대(10)에 설치되어 시력검사 또는 색맹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그림을 표시하거나. 측정된 검사결과 또는 안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기(70)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의자(20)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피검자가 앉을 경우 눌리어져 그 몸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측정센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손목에 감기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체온에 의한 온도변화에 의하여 그 체온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61)와, 상기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맥박 또는 혈압에 의한 압력변화에 의하여 그 맥박 또는 혈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62)를 가지는 검사벨트(6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체검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체검사기는 이동대(10), 의자(20), 제어기(30), 신장 및 좌신장측정기(40), 체형측정기(50), 검사밸트(60), 화면표시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대(100)는 그 상부 일측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1)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에는 바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30)는 후술할 의자(30), 신장 및 좌신장측정기(40), 체형측정기(50), 검사밸트(60), 화면표시기(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의자(20)는, 신체검사를 하기 위한 사람(이하, 피검자)을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의자(20)는 이동대(10)에 고정되며 실린더(24, 도 3)가 설치된 의자몸체(21)와, 상기 의자몸체(21)의 일측에 힌지(22)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엉덩이받침대(23)를 포함한다.
상기 의자몸체(21)의 하단에는 피검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무게측정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의자몸체(21)의 내부에는 돌출되는 봉(24a)을 가지는 실린더(24)가 설치되어 있다. 봉(24a)은 엉덩이받침대(23)의 하부에 설치되어, 봉(24a)이 실린더(24)에서 돌출됨에 따라 엉덩이받침대(23)는 힌지(22)를 축으로 의자몸체(21)에 대하여 30 도 내지 50 도로 회전된다.
상기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는 등받이(25)가 제1회동수단(2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회동수단(26)은, 등받이(25)에 고정된 제1피니언(26a)과,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25)에 고정된 제1피니언(26a)이 회전가능하게 끼어지는 제1돌기(26b)와,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피니언(26a)에 기어 결합되는 제1웜기어(26c)를 가지는 제1모터(26d)를 포함한다.
상기 엉덩이받침대(23)의 선측부에는 발받침대(27)가 제2회동수단(2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발받침대(27)는 발판(27a)과, 발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피검자가 않은 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발압력센서(27b)를 포함한다. 제2회동수단(28)은, 발받침대(27)의 상부에 고정된 제2피니언(28a)과, 엉덩이받침대(23)에 선측단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발받침대(27)에 고정된 제2피니언(28a)이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제2돌기(28b)와, 엉덩이받침대(23)의 선측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피니언(28a)에 기어 결합되는 제2웜기어(28c)를 가지는 제2모터(28d)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25)에는 신장 및 좌신장을 측정하는 좌신장 및 신장측정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좌신장 및 신장측정기(40)는, 등받이(25)의 후방에 고정되는 삽입몸체(41)와, 삽입몸체(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람의 머리와 접촉되는 신장대(42)와, 삽입몸체와 신장대 사이에 설치되어 그 신장대(4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장대(42)에는 사람의 머리와 접촉되는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신장대가 승강수단에 의해 하강하여 압력센서가 피검자의 머리에 닿게 되면 압력센서는 제어기(30)에 승강수단을 멈추게 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때의 신호에 기초하여 신장 또는 좌신장을 측정한다. 신장 또는 좌신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고려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신장대(42)와 삽입몸체(41) 사이에 저항기를 설치할 경우에 신장대(42)가 삽입몸체(41)에서 승강됨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기초하여 측정할 수 도 있고, 광센서를 신장대(42)와 삽입몸체(41) 사이에 설치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제3모터(43b)의 회전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43)은, 신장대(42)의 측부에 형성된 랙(42a)과 결합되는 제3피니언(43a)과, 상기 삽입몸체(41)에 고정되며 제3피니언(43a)을 회전시키는 제3모터(4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엉덩이받침대(23)의 양측부 대략 중앙에는 체형측정기(50)가 설치된다. 체형측정기(50)는, 엉덩이받침대(23)의 양측부 대략 중앙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51)(51')과, 그 고정프레임(51)(5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로 구성된다.
우측 팔걸이측정기(52')에는 일열로 배치된 다수개의 발광소자(52a')와, 중앙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우측 초음파거리측정기(52b')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팔걸이측정기(52)는 상기한 발광소자(52a')에 대응하는 수광소자(미도시)와, 우측 초음파거리측정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형측정기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기(30)에 의하여 작동되는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에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 발광소자(52a')에서 출사되는 광을 수광소자가 수광함으로써, 피검자의 몸통의 값(X)의 몸통값을 읽고, 초음파거리측정기(52b')를 팔걸이측정기와 피검자 사이의 거리(y)를 측정하여 Y값을 계산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피검자의 몸통의 값(Y)은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 사이의 거리에서, 초음파거리측정기(52b')와 몸통 사이의 값(y)을 뺌으로써 알 수 있다. y 값은 초음파거리측정기(52b')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피검자의 몸통에서 반사되어 되어 검출될 때의 시간차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이 시간차에 초음파의 속도를 곱함으로서 알 수 있다. 이때,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 사이의 거리는 고정된 값이므로, 이 값에서 y 값을 뺌으로써 몸통의 Y 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거리측정기는 거리를 측정할 때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피검자의 몸통의 값(X)은 좌측 팔걸이측정기(52)에 설치된 다수의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을 우측 팔걸이측정기(52')에서 수광함으로써 알 수 있다. 즉, 다수의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은 몸통에 의하여 가리어지므로,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그렇지 않은 수광소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X 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기(30)는 고정프레임(51)에서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를 승강시키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힙, 허리, 가슴 부분의 X 값 및 Y 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값을 측정함으로써 각 부위의 싸이즈를 알아낼 수 있다.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에는 피검자의 체온, 맥박, 혈압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벨트(60)가 설치된다. 검사벨트(60)는 피검자의 손목에 감겨지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온도센서(61) 및 압력센서(6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피검자의 손목에 검사벨트(60)를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공지의 벨크로테입(63,64)이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61)는 피검자의 손목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제어기(30)로 보내짐에 따라 제어기(30)는 후술할 화면표시기(70)에 체온을 표시한다. 압력센서(62)는 피검자의 혈압 또는 맥박에 의하여 압력이 변화하는데, 압력이 변화하면 이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제어기(30)로 보내진다. 제어기(30)는 이 신호에 근거하여 계산한 혈압 또는 맥박을 화면표시기(70)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화면표시기(70)는 이동대(10)에서 의자(20)의 전방에 설치된다. 즉, 피검자가 의자(20)에 앉은 상태에서 화면과 대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화면표시기(70)는 제어기(30)에 의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는데, 시력, 색맹을 측정하기 위한 그림을 표시하기도 하고, 피검자가 해야할 행동을 안내하기도 하며,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면표시기는 칼러를 표시할 수 있는 컬러모니터 또는 TFT LCD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신체검사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검자가 의자(20)의 엉덩이받침대(23)에 앉으면서 피검자의 발이 발판(27a)의 발압력센서(27b)를 누르게 되면, 발생되는 신호는 제어기(30)로 전송되어 측정을 개시하게 된다.
먼저, 피검자의 몸무게는 의자몸체(21)의 하단에 설치된 무게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된다. 즉, 피검자가 앉지 않았을 때 무게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와 피검자가 앉았을 때 무게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의 차를 제어기(30)가 계산하는 것에 의하여 피검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이 결과값은 제어기(30)에 의하여 화면표시기에 표시된다.
피검자의 좌신장은, 피검자가 의자(20)에 앉게 되면 제어기(30)가 발압력센서(27b)를 통하여 이를 검지하고, 제3모터(43b)를 작동시켜 신장대(42)를 하강시킨다. 제어기(30)는 신장대(42)에 설치된 압력센서가 피검자의 머리에 부딪치게 되면 제3모터(53)의 작동을 중단하고 이때 발생되는 좌신장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30)가 받아 화면표시기(70)에 좌신장을 표시한다.
피검자의 체형측정은, 먼저 제어기(30)가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를 엉덩이 부위까지 하강시키고 초음파거리측정기(52b') 및 다수개의 발광소자(52a')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X 값 및 Y 값을 측정하여 힙싸이즈(hip size)를 알아낸다. 이후,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를 허리 부분까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피검자의 허리싸이즈를 알아내고, 또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0)(50')를 가슴부위까지 상승시켜 가슴싸이즈를 알아낸다. 이렇게 알아낸 싸이즈는 화면표시기(70)에 의하여 표시된다.
피검자의 체온, 맥박, 혈압의 측정은, 먼저, 제어기(30)가 화면표시기(70)를 통하여 피검자가 검사벨트(60)를 손목에 감도록 지시한다. 그러면,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된 온도센서(61)는 피검자의 체온에 의한 온도변화에 의하여 그 체온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30)로 전송된다. 그러면 제어기(30)는 신호에 대응하는 체온을 화면표시기(70)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맥박 또는 혈압의 측정은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된 압력센서(62)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압력센서(62)는 피검자의 맥박 또는 혈압에 의한 압력변화에 의하여 그 맥박 또는 혈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기(30)는 신호에 대응하는 맥박 또는 혈압을 화면표시기(70)에 표시하도록 한다.
피검자의 시력, 색맹은, 제어기(30)가 화면표시기(70)에 색깔과 크기를 달리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도록 하여 피검자로 하여금 문자 또는 기호를 읽게 한다. 피검자는 화면표시기 또는 제어기에 설치된 버튼 또는 리모콘(미도시)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읽은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시킨다. 그러면, 제어기(30)는 읽은 문자 또는 기호에 해당하는 시력 또는 색맹을 화면표시기(70)에 표시하도록 한다.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할 때는, 제어기(30)는 피검자가 앉은 상태에서 제1모터(26d) 및 제2모터(28d)를 작동시켜 등받이(25) 및 발받침대(27)가 엉덩이받침대(23)에 대하여 평형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피검자는 직립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고, 이때, 실린더(24)를 작동시켜 봉(24a)을 돌출시킴으로써 평형이 된 등받이(25), 엉덩이받침대(23) 및 발받침대(27)를 힌지(22)를 축으로 전체적으로 30 도 내지 50 도, 바람직하게는 45도로 눕히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피검자가 45도로 눕혀진 상태에서 좌신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고, 제어기(30)는 그 결과를 화면표시기에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어기(30)는 이제까지 측정된 데이터를 모두 종합해서, 기 입력된 체형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만도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와 비만도를 근거로 피검자가 섭취할 음식물 식단을 화면표시기(7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기(30)와 데이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는 모뎀(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측정된 신체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원거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제어기(미도시)를 채용할 시에 신체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첨부된 참조 도면에 의해 설명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충분히 이해하여 유사한 형태의 자동체형측정기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신체검사기에 따르면, 각종 검사장치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으므로 좁은 장소에 설치할 수 있으며, 혼자서도 각종 신체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본원의 자동신체검사기는 피검자가 앉은 상태에서 신체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의자를 가짐으로써, 직립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환자 또는 등이 굽은 사람이나 하체부자유자도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직립 신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좌신장도 정확히 잴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승강되는 체형측정기를 구비함으로써, 피검자 몸통의 X 축값 및 Y 축값, 즉 가슴, 허리, 엉덩이 부위등의 체형을 측정할 수 있어 부위별로 이상체형 여부 및 비만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위값은 연속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신속하게 수행된 신체검사 자료는 원거리에 전송을 하거나 프린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이 자유롭도록 바퀴가 설치된 이동대(10);
    피검자가 앉은 상태에서도 신체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대(10)에 고정된 의자몸체(21)의 일측에 실린더(24)에서 돌출되는 봉(24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엉덩이받침대(23)와, 상기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1회동수단(26)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후단측에서 회전되는 등받이(25)와, 상기 엉덩이받침대(23)에 설치되는 제2회동수단(28)에 의하여 그 엉덩이받침대(23)의 전단측에서 회전되는 발받침대(27)를 가지는 의자(20); 및
    상기 의자(20)의 양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와,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일열로 설치되어 피검자 몸통의 X 값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소자(52a') 및 수광소자와,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자 몸통의 Y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파거리측정기(52b')를 가지는 체형측정기(5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신체검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5)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자의 신장 또는 좌신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25)에 고정된 삽입몸체(41)와, 상기 삽입몸체(41)에서 승강되며 피검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신장대(42)와, 상기 삽입몸체와 신장대 사이에 설치되어 그 신장대(4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신체검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10)에 설치되어 시력검사 또는 색맹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그림을 표시하거나, 측정된 검사결과 또는 안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기(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신체검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20)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검자가 앉을 경우 눌리어져 그 몸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신체검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팔걸이측정기(52)(52')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자의 체온, 혈압 또는 맥박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손목에 감기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체온에 의한 온도변화에 의하여 그 체온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61)와, 상기 손목과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피검자의 맥박 또는 혈압에 의한 압력변화에 의하여 그 맥박 또는 혈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62)를 가지는 검사벨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신체검사기.
KR2019990028269U 1997-12-05 1999-12-15 자동신체검사기 KR200193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269U KR200193724Y1 (ko) 1997-12-05 1999-12-15 자동신체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336A KR19990047807A (ko) 1997-12-05 1997-12-05 자동신체검사기
KR2019990028269U KR200193724Y1 (ko) 1997-12-05 1999-12-15 자동신체검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36A Division KR19990047807A (ko) 1997-12-05 1997-12-05 자동신체검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58U true KR20000005658U (ko) 2000-03-25
KR200193724Y1 KR200193724Y1 (ko) 2000-08-16

Family

ID=660882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36A KR19990047807A (ko) 1997-12-05 1997-12-05 자동신체검사기
KR2019990028269U KR200193724Y1 (ko) 1997-12-05 1999-12-15 자동신체검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336A KR19990047807A (ko) 1997-12-05 1997-12-05 자동신체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47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99B1 (ko) * 2019-07-24 2020-02-10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940A (ko) * 1999-10-21 2001-05-15 양군모 신체검사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장치
KR100399786B1 (ko) * 2001-04-14 2003-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20010068068A (ko) * 2001-04-19 2001-07-13 양군모 신체치수측정시스템
KR101928237B1 (ko) 2018-05-23 2018-12-11 최광호 신경학적검사의 정량화를 위한 근육분절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99B1 (ko) * 2019-07-24 2020-02-10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WO2021015382A1 (ko) * 2019-07-24 2021-01-28 윤희준 안구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24Y1 (ko) 2000-08-16
KR1999004780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30B1 (ko) 개인용 컴퓨터 기반 시야 자가진단 시스템 및 시선 고정방법
TWI289437B (en) Optometry apparatus, optometry method, optometry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4998534A (en) Blood pressure monitor with compensation for physique and method of use
KR102478248B1 (ko) 산부인과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산부인과 진단 방법
US20040100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ision screening
JP3385055B2 (ja) 検眼装置
KR200193724Y1 (ko) 자동신체검사기
JP3190083B2 (ja) 自覚式検眼装置の近用測定機構
Miles et al. Vestibular function measurement devices
KR200232282Y1 (ko) 맥진기
WO2022013410A3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visual accuity of a person
CN201798731U (zh) 方便省力的视力检查遮眼眼镜
KR200365793Y1 (ko) 생체신호측정시스템
JP3353975B2 (ja) 眼科装置
Hald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gital head posture measuring system
CN113796843B (zh) 一种无创动静脉血压计
CN218792226U (zh) 一种视力检测装置
JP2002191578A (ja) 皮下脂肪厚測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皮下脂肪厚測定方法
KR20010037940A (ko) 신체검사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장치
JPH10155773A (ja) バランス測定装置
KR101945623B1 (ko) 헬스케어 거울을 이용한 신체상태 측정방법
JPH0880284A (ja) 眼球運動検査装置
CN114081435A (zh) 自主视力检测装置
JPH03215243A (ja) 眼球運動解析装置
CN113317816A (zh) 支持实时状态显示的无线便携式掌上超声处理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