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793Y1 - 생체신호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신호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793Y1
KR200365793Y1 KR20-2004-0017468U KR20040017468U KR200365793Y1 KR 200365793 Y1 KR200365793 Y1 KR 200365793Y1 KR 20040017468 U KR20040017468 U KR 20040017468U KR 200365793 Y1 KR200365793 Y1 KR 20036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iosignal
sensor
in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기
정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테크
Priority to KR20-2004-0017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9Voice-controlled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Nur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로봇에 장착되어 이동하면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혈압/맥박. 혈당, 산소포화도, 표피체온, 체지방, 혈중알코올농도, 전자청진 등 생체의 신호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신호측정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본 고안은 이동로봇에 장착되어 이동하면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혈압/맥박. 혈당, 산소포화도, 표피체온, 체지방, 혈중알코올농도, 전자청진 등 생체의 신호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병원등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생체신호인 혈압/맥박. 혈당, 산소포화도, 표피체온, 체지방, 혈중알코올농도, 전자청진등 생체신호를 각각 독립된 장치를 사용하여 별개의 장소에서 측정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생체신호측정 장치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환자가 직접 장치가 있는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생체신호측정장치는 측정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고정식이므로 환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무관하게 생체신호측정장치에 측정자세를 맞추어야 하므로 환자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사가 환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측정결과를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록쉬트를 전달받아야 하므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이동로봇에 장착되어 이동하면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혈압/맥박. 혈당, 산소포화도, 표피체온, 체지방, 혈중 알코올농도, 전자청진 등 생체의 신호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작동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생체신호측정 상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로봇 몸체
100 - 매니퓰레이터 150 - 구동제어부
200 - 생체신호측정부 300 - 입출력부
310 - 입력모듈 320 - 표시장치
400 - 중앙제어부 410 - 사용자DB
500 -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로봇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니퓰레이터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생체신호측정부와, 신장과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모듈과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의 측정결과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 및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이동로봇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관절 및 상기 회전관철의 타단에 전후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진축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장을 포함하는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측정위치가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이동로봇의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모듈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관절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관절구동모듈과 상기 회전관절에 장착되어 상기 전진축을 전후진시키는 전진축구동모듈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와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는 혈압센서, 맥박센서, 혈당센서,표피체온센서, 체지방센서, 혈중알코올농도센서, 전자청진센서, 산소포화도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 중에서 적어도 2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입력출력부의 입력모듈은 음성입력방식 또는 터치스크린방식 또는 키보드 방식에 의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가 저장되는 사용자DB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작동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생체신호측정 상세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이동로봇의 몸체(10)에 장착되며, 매니퓰레이터(100)와 생체신호측정부(200)와 입출력부(300) 및 중앙제어부(Man-Machine Interface를 위한 중앙제어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400)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이 장착되는 상기 이동로봇은 이동 가능한 로봇시스템으로 형성된다.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는 이동로봇 몸체(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로봇의 몸체(10)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110)과 회전관절(120) 및 전진축(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는 바람직하게는 쌍으로 형성되어 이동로봇 몸체(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는 상기 회전축(110)과 회전관절(120) 및 전진축(130)의 자동 구동을 위하여 구동제어부(150)와 회전축구동모듈(160)과 관절구동모듈(170)과 전진축구동모듈(180) 및 압력센서(19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0)은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이동로봇 몸체(10)의 소정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10)은 상기 이동로봇 몸체(10)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0)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회전축구동모듈(16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구동모듈(160)은 상기 회전축(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로봇 몸체(1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110)의 일단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구동모듈(160)에 사용되는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정밀한 구동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회전관절(120)은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관절(120)은 상기 회전축(110)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관절(120)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관절구동모듈(1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관절구동모듈(170)은 상기 회전관절(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1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관절(120)의 일단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관절구동모듈(170)에 사용되는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정밀한 구동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전진축(130)은 내부가 중공인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관절(120)의 타단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축(130)은 상기 회전관절(120)의 타단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진축(130)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전진축구동모듈(18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축구동모듈(180)은 상기 전진축(130)을 전후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 또는 웜기어(warm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관절(12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전진축(130)의 일단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전진축구동모듈(180)에 사용되는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정밀한 구동제어가 가능한 RC모터 또는 서보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는 상기 회전축(110)과 회전관절(120) 및 전진축(130)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회전축구동모듈(160)과 상기 관절구동모듈(170) 및 전진축구동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모듈(160, 170, 180)과 연결되어 각 모듈(160, 170, 180)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을 포함하게 되며, 사용자의 신장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매니퓰레이터(100)에 장착되는 생체신호센서의 위치를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가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구동하여 사용자가 생체신호센서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퓰레이터(100)가 상기 각 모듈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의 소정위치에 압력센서(190)를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에서 이동이 가장 많은 상기 전진축(130)의 말단에서 생체신호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에 근접하게 압력센서(19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90)는 상기 전진축(130)에 장착된 생체신호센서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150)에 전송하여 상기 구동제어부(150)가 상기 각 모듈의 구동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센서(190)는 특정 생체신호센서가 일정한 압력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는 접촉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된다. 상기 압력센서(190)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의 각 생체신호센서가 장착된 위치 중 필요한 위치마다 다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190)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가 과도한 압력으로 사용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는 다양한 생체신호측정센서(210 내지 27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4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부(40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사용장소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생체신호측정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예로는 혈압맥박센서(210), 체지방센서(220), 혈당센서(230), 체온센서(240), 혈중알코올센서(250), 전자청진센서(260), 산소포화도센서(270)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된 생체신호측정센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는 측정방법등 각 특성에 따라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의 소정위치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압맥박센서(210)는 사용자 신체의 소정위치까지 접근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회전관절(120)의 타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온센서(240) 또는 전자청진센서(26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접촉되어야 하므로 전진축(130)의 말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각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설치위치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각 센서의 설치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출력부(300)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모듈(310)과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입력모듈(300)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로봇의 몸체(1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표시장치(320)는 이동로봇 몸체(10)의 정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모듈(310)은 터치스크린 방식 또는 음성입력방식 또는 키보드방식의 입력방식을 사용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모듈(310)은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표시장치(320)는 LCD 모니터, CRT모니터,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입력모듈(310)로 터치스크린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모듈(310)은 상기 표시장치(320)상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측정방법에 따른 사용자의 작동요령 및 행동요령에 대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320)는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출력하는 별도의 프린터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의 구동제어부(150)와 생체신호측정부(200) 및 입출력부(3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4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와 사용자 신체정보 및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입출력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DB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중에 사용자의 신장과 체중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구동제어부(150)로 전송하여, 상기 구동제어부(150)가 상기 구동모듈(160, 170, 180)을 구동하여 상기 매니퓰레이터(100)에 장착된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측정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에 의하여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측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각 사용자별로 완벽하게 측정위치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를 이동시키는 것은 어려우며 단지 사용자에게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더 정확한 위치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에서 전송되는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입출력부(300)의 표시장치(3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후에 새로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생체신호측정센서를 포함한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시키게 된다.
상기 사용자DB(410)은 상기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입력모듈(31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생체신호의 기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500)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400)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측정결과를 원격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격지에 있는 의사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된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작동방법 및 생체신호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작동순서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생체신호측정 상세 순서도를 나타낸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작동순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생체신호측정시스템 초기화단계(S10), 사용자 인증단계(S20), 사용자의 신체조건 입력단계(S30), 생체신호 선택단계(S40), 생체신호측정단계(S50), 생체신호측정결과 표시단계(S60), 측정결과저장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 초기화단계(S10)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후에 새로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생체신호측정센서를 포함한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이다. 초기화 단계(S10)는 새로운 사용자가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제어부(400)에서 자동으로 실시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단계(S2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상기 입출력부(300)의 입력모듈(310)에 입력하여 인증하는 단계이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은 상시 사용자DB(4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등록하여 인증을 받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입력단계(S30)는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장과 체중을 포함하는 신체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은 상기 사용자DB(410)에 저장되며, 상기 중앙제어부(400)를 통하여 상기 구동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상기 생체신호 선택단계(S40)는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모듈(310)로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를 선택하여 입력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로는 혈압맥박, 체지방, 혈당, 체온, 혈중 알코올농도, 전자청진, 산소포화도 등이 있으며, 사용자는 적정수의 생체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계(S50)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측정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도4를 참조하여 보면, 매니퓰레이터 구동단계(S51)와 측정방법 안내단계(S52)와 측정단계(S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니퓰레이터 구동단계(S51)는 상기 중앙제어부(400)가 상기 입출력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및 선택된 생체신호 정보를 상기 구동제어부(150)로 전송하며,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상기 구동모듈(160, 170, 180)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소정위치에 해당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에 해당되는 생체신호측정센서는 사용자 신체의 소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생체신호측정센서에 따라서는 사용자 신체의 정확한 측정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사용자 신체를 움직이거나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를 이동시켜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신체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매니퓰레이터(100)가 상기 구동제어부(150)와 구동모듈(160, 170, 18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매니퓰레이터(100)를 구동하여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신체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측정방법 안내단계(S52)는 특정 생체신호측정센서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련의 동작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안내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표시장치(320)로 해당정보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표시장치(320)에 표시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손쉽게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방법 안내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중에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접촉되어야 하는 부위, 사용자가 수동으로 행해야 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측정단계(S53)는 사용자의 신체로 이동된 생체신호측정센서가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상기 중앙제어부(4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생체신호측정결과 표시단계(S6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에서 상기 중앙제어부(400)로 전송된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상기 표시장치(320)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상기 생체신호측정부(200)로부터 전송된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상기 입출력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32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측정결과는 상기 중앙제어부(400)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500)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으로 생체신호측정 결과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측정결과저장단계(S70)는 상기 중앙제어부(400)로 전송된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상기 중앙제어부(400)의 사용자DB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앙제어부(400)는 전송받은 생체신호측정결과를 상기 사용자DB(410)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생체신호 측정결과와 과거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비교하거나 각 생체신호의 기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원격지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5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DB(410)에 접근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은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측정센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한 자세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생체신호측정시스템은 의사의 진찰실로 이동되거나 진찰실로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의사가 환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측정결과를 진찰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로봇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니퓰레이터;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생체신호측정부;
    신장과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모듈과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의 측정결과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 및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이동로봇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관절 및
    상기 회전관철의 타단에 전후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진축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장을 포함하는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의 측정위치가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이동로봇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모듈;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관절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관절구동모듈;
    상기 회전관절에 장착되어 상기 전진축을 전진시키는 전진축구동모듈; 및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와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측정센서는
    혈압센서, 맥박센서, 혈당센서, 표피체온센서, 체지방센서, 혈중알코올농도센서, 전자청진센서, 산소포화도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센서 중에서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부의 입력모듈은
    음성입력방식 또는 터치스크린방식에 의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생체신호측정결과가 저장되는 사용자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생체신호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측정시스템.
KR20-2004-0017468U 2004-06-21 2004-06-21 생체신호측정시스템 KR20036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68U KR200365793Y1 (ko) 2004-06-21 2004-06-21 생체신호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68U KR200365793Y1 (ko) 2004-06-21 2004-06-21 생체신호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793Y1 true KR200365793Y1 (ko) 2004-10-27

Family

ID=4943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68U KR200365793Y1 (ko) 2004-06-21 2004-06-21 생체신호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7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07B1 (ko) 2008-08-27 2011-10-05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간호 보조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방법
WO2014189269A2 (ko) * 2013-05-22 2014-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의료 장치
WO2015102156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체지방 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07B1 (ko) 2008-08-27 2011-10-05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간호 보조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방법
WO2014189269A2 (ko) * 2013-05-22 2014-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의료 장치
WO2014189269A3 (ko) * 2013-05-22 2015-04-09 이병훈 복합 의료 장치
WO2015102156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체지방 측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14691B (zh) 针的超声引导辅助装置及系统
CN109788934B (zh) 妇产科诊断设备以及使用其的妇产科诊断方法
US8219184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recording and transmitt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s
EP1786350B1 (en) Mobile medical workstation
US10383525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infrared output of the Abreu brain thermal tunnel
US11571350B2 (en) Medical diagnosis device and medical diagnosis method using same
US10772510B2 (en) Vital signs monitor for controlling power-adjustable examination table
US20070208241A1 (en) Vital Sign Sensing Device
US20090099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non-supine extremity blood pressure ratio examination
Rahman et al. Network approach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measurement
KR200365793Y1 (ko) 생체신호측정시스템
KR101453719B1 (ko) 동맥 채혈 지원 장치
KR20150095439A (ko)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JP2002085353A (ja) 遠隔診断システム
CN209915964U (zh) 脉诊仪机械手指
CN213285610U (zh) 一种核心肌群稳定性训练及姿势矫正训练系统
CN211834355U (zh) 一种远程辅助诊断设备
CN209915965U (zh) 脉诊仪机械手指
KR200193724Y1 (ko) 자동신체검사기
KR102293154B1 (ko) 생체신호측정장치
JPH0994226A (ja) 眼科装置
CN212721781U (zh) 具有红外测温功能的护理掌上移动终端设备
CN211131032U (zh) 一种中医辅助用诊脉仪
JPH05176888A (ja) 自覚式検眼装置
KR20010037940A (ko) 신체검사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