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560A -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560A
KR20000005560A KR1019980708434A KR19980708434A KR20000005560A KR 20000005560 A KR20000005560 A KR 20000005560A KR 1019980708434 A KR1019980708434 A KR 1019980708434A KR 19980708434 A KR19980708434 A KR 19980708434A KR 20000005560 A KR20000005560 A KR 2000000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tower
filling
fe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라비 토우코눔미 (Toukonummi,Oㅣㅁ퍄)
Original Assignee
삼파 아티아이넨/타르자 렌룬드
아할스트롬 펌풋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파 아티아이넨/타르자 렌룬드, 아할스트롬 펌풋 오와이 filed Critical 삼파 아티아이넨/타르자 렌룬드
Publication of KR2000000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28Tanks for storing or agitating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22Other features of pulp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7/00Digesters
    • D21C7/06Fee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 Y10T137/86372Inlet internally ext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 탱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펄프가 타워(10)내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수직 공급 파이프에 의해 다른 수위에서 타워(10)로 공급되는 방법으로 펄프가 펄프타워(10)내로 펌핑된다.

Description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고농도 펄프 타워와 섬유 부유물을 저장하는 대응 저장타워를 충전하는 목재 가공 산업에 매우 잘 적용할 수 있다.
목재 가공산업에 사용되는 펄프 타워는 잘 알려진 바와같이 저농도의 펄프가 종종 사용되지만 10-20%의 고농도 펄프를 저장하는 가장 일반적인 탱크이다. 이들 탱크는 예컨대 펄프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일관 침지기(batch digesters)에서 1회분(batch)씩 들어가는 펄프를 저장하기 위해 몇몇 장치의 송풍탱크로 사용되고, 펄프는 그 후 다음 처리 장치에서 균일한 유량으로 사용된다. 즉, 타워가 가장 일반적으로 최적 수위를 갖지만 타워수위가 크게 변화하여도 최적의 수위로 펄프의 표면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발명에 따른 타워의 특징이다.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펄프타워를 충전하기 위한 몇 개의 다른 장치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가장 오래된 방법들 중 하나는 타워의 상부로 펄프를 펌핑하고, 거기서 펄프가 다소간 일직선으로 떨어지게 한다. 펄프가 하부 펄프로 똑바로 떨어지게 할 경우, 위에서 떨어지는 펄프가 타워에 있는 펄프 표면을 침투하여 오래된 펄프를 깊게 관통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는 몇가지 결점이 있다. 먼저, 펄프 희석이 타워의 하부에서 수행될 경우, 대개의 경우처럼 타워로 공급된 펄프가 희석구역까지 침투할 수 있다. 이것은 펄프가 희석구역으로 제어할 수 없게 배출되는 것을 초래하고 희석이 타워 다음에 이어지는 장치에 필요한 만큼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다른 문제는 펄프가 오래된 펄프를 침투할 경우, 펄프가 타워에 제공된 기존 펄프보다 타워의 배출구멍에 더 근접하게 이동되므로서, 타워의 내용물이 균일하게 교환되지 않고 펄프의 일부가 몇 분내에 타워에서 배출되는 반면, 다른 부분은 심지어 몇 주 동안 타워에 잔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더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먼저, 몇 일 또는 몇 주 동안 타워에 잔류하는 펄프가 새로운 펄프와 같은 품질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둘째로, 이와같은 타워에 있는 지료(stock)의 완전 교환은 몇 일 및 최소한 몇 시간이 소요되고, 따라서 타워에서 배출된 펄프는 이 기간동안 오래된 펄프와 새로운 펄프의 혼합물이 된다. 펄프의 사용목적에 따라, 이러한 "중간펄프"는 최악의 경우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오래된 펄프가 타워에 더 오래 잔류할수록 새로운 펄프는 타워내로 더 깊이 침투하여, 액체가 펄프층의 표면에서 점차적으로 필터링되므로서, 표면층이 경화되고 더 쉽게 손상된다. 마지막으로, 최소한 본 발명의 견지에서, 에너지 소비가 문제로 언급될 수 있다. 펄프 제조기의 전체 생산량 즉 하루에 약 1000 톤의 펄프를 20-30미터의 높이로 펌핑하지만, 펄프는 약 5-10미터의 높이로만 침강하기 때문에 그것은 펌핑 에너지의 낭비로 여겨진다. 즉 실제 필요한 펌핑 에너지는 현재 사용되는 에너지의 반 이하 경우가 대부분이다.
분배 장치 예를들어 타워의 상부에 배열된 회전판으로 펄프를 배출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고, 회전판에 의해 펄프는 타워의 단면 전체에 더 균일하게 분배된다. 상기 문제의 부분은 이러한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으나, 펌핑 에너지는 전과 같이 동일한 정도로 소비되고, 부가하여, 타워의 상부 부분에서 펄프 분배장치의 배열은 복잡한 구조와 많은 에너지 소비를 초래한다. 분배장치가 펄프유량을 미소량으로 분리하거나 최소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리하고, 상당히 많은 양의 공기가 침강하는 동안 펄프와 결합되고, 이러한 공기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진공 펌프 또는 대응 장치에 의해 그 이후의 공정단계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몇가지 타워와 관련하여, 타워가 좀처럼 가득 채워지지 않는 것을 고려하였고, 따라서 에너지 소비는 타워의 측부에서 타워의 내측부로 펄프 공급 파이프를 유도하므로서 감소될 수 있었다. 공급 파이프가 펄프면 위에 있는 경우, 공급구멍을 통해 공급되는 펄프는 최소한 약간의 거리내에서 타워의 펄프층 표면을 통해 펄프 칼럼으로 침투하고, 이것에 의해 다른 연령의 펄프가 갖는 동일 문제는 펄프가 상부에서 충전되는 타워에서 만큼 어렵지 않은 경우에도 존재한다.
다른 대안은 펄프 표면하부에 있는 타워의 측부에 공급 파이프를 배치하는 것이고, 이와같은 방법과 관련하여 펄프는 실질적으로 타워의 펄프층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배열은 타워의 표면 수위가 변하지 않는 한 정확하게 작업이 이루어진다. 표면수위가 몇 미터로 변하는 경우, 예를들어 타워로 공급된 펄프가 펄프 표면의 몇 미터 밑에서 유지되는 경우 표면수위의 펄프가 배출될 수 없고 새로 공급되는 펄프가 먼저 배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면수위가 공급구멍보다 많이 낮은 경우, 타워로 공급되는 펄프는 펄프층으로 깊이 침투하여, 위에서 설명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이러한 공급 방법은 타워의 표면 수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적절하다.
펄프 타워의 충전과 연관된 다른 문제는 일관 쿠킹 공정(batch cooking processes)과 특히 타워의 표면 수위 밑으로 충전되는 것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일관 침지기를 사용할 경우 침지기에서 배출되는 펄프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다른 농도를 갖는 펄프 영역이 또한 송풍타워에 형성되고, 선행기술 방법으로 타워가 충전되는 것에 문제가 없고, 이것은 대개의 경우 타워 다음에 이어지는 공정단계로 향하는 펄프의 농도 변화를 유도한다. 이것은 공지된 바와같이 송풍 지료 워싱(washing)에 여러 문제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워셔(washer)는 최적의 농도로 결정되어 작동을 부득이하게 약화시키는 것에서 벗어난다.
위에서 설명한 선행기술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여러 문제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나타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다른 적용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2개의 다른 적용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2개의 다른 적용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c는 본 발명의 약간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펄프 타워(10)의 바닥을 통해 펄프 타워(10)내의 중심에 배열된 실질적으로 수직한 공급 파이프(12)를 포함한다. 공급 파이프(12)는 타워에서 펄프 수위가 정상 상태하에서 변하는 최소한 이와같은 높이로 바람직하게 연장된다. 즉, 공급 파이프(12)의 상단부는 타워에서 정상표면수위 변화 범위의 상 한계보다 다소 위에 위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파이프(12)는 부분(14,16,18)들로 형성되고 이 부분의 직경은 상방으로 확대된다. 부분들의 부착지점에서, 펄프 공급구멍(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협소한 파이프 부분의 상부에 배열된 배플(22)에 의해 정해진 측부로 또는 상기 배플없이 직접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배열된다.
장치는 펄프가 공급 파이프(12)를 통해 타워(10)로 펌핑될 때, 펄프가 막히지 않은 제 1구멍 즉 펄프의 동력학적 에너지가 저항을 주목할 만큼 유동저항이 크지 않은 제 1구멍을 통해 배출되거나 또는 타워(10)의 기존 펄프로 공급구멍(20)이 막힌 경우, 파이프의 상단부에서 타워(10)의 기존 펄프 표면으로 배출될 때까지, 새로운 펄프가 공급 파이프에서 막힌 구멍을 지나 상방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공급 파이프(12)에서 공급구멍(20)간의 거리는 공급구멍(20)에서 배출되는 펄프가 "오래된" 펄프내로 깊게 펄프의 침투를 증가시키는 상당한 하방 속도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시간을 갖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조절된다. 수직방향으로 공급구멍(20)의 간격은 1-2미터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표면적은 공급 파이프의 직경 X (0.5내지 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구멍을 배치하는 바람직한 한가지 방법은 파이프의 코너에 정사각형 스탠드로 공급구멍을 배열하는 것이고 파이프 둘레에 다른 방법으로 공급구멍을 위치시키는 것이어서, 하나 이상의 구멍이 언제나 펄프가 없는 지점에 있다. 대응 배치는 다른 형상의 구멍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원형 구멍 또는 굴곡 변부를 가진 구멍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공급 파이프(12)의 직경은 타워의 성능에 따라 결정되고, 종래의 타워에서는 0.5-1미터 사이에서 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의 좌측은 타워(10)에서 펄프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펄프가 공급 파이프(12)의 하부에 배치된 공급구멍(20)에서 펄프표면으로 배출되고 바람직하게는 배플(22)의 작용으로 인해 펄프표면이 타워의 펄프표면 방향으로 팬(fan) 형상을 형성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타워(10)의 바닥부(24)에 대부분 위치되는 펄프의 희석구역에는 혼합기(26)와 배출구멍(28)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10)에는 또한 다른 타입의 희석 및/또는 배출장치가 제공되고, 희석 및/또는 배출장치는 본 발명의 작동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이 장치는 하부 필러(bottom pillar)가 사용되도록 변형되었고, 하부 필러의 사용과 작동은 핀랜드 특허 출원 제 942709호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펄프가 하부 필러(104)의 하단부를 통해 도입될 수 있지만, 펄프는 타워 하부(124)의 측벽(102)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원뿔형 또는 원통형 부분에서) 타워(10)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지지 구조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펄프용 공급 파이프(112)가 하부 필러(104)의 지지구조물들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파이프(112)는 하부 필러(104)의 연장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굽어지고 더 큰 직경을 갖고 하부 필러(104)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큰 파이프(114)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공급 파이프(112)는 본 실시예에서 큰 파이프(114)에 근접하게 연장되고, 타워의 수위와 관련하여 공급 파이프(1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급 파이프(12)의 상단부와 같은 높이로 즉, 공급 파이프(12)의 가장 큰 부분의 상단부와 같은 높이로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도 2에 따른 장치는 펄프표면 수위가 높을 때(도면의 우측), 공급되는 펄프가 공급 파이프(112)의 상단부에서 큰 파이프(114)로 공급되고, 더 나아가 큰 파이프(114)의 상단부에서 타워(10)의 펄프층으로 공급된다. 한편 펄프표면수위가 낮을때(도면의 좌측), 펄프는 공급 파이프(112)에서 공급 파이프(112)와 더 큰 파이프(114) 사이의 환형공간(116)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공급구멍(120)들을 통해 타워의 펄프층으로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는 또한 공급구멍(120)과 관련하여 배플(122)이 있고, 배플에 의해 펄프는 펄프층으로 실질적으로 방사상 수평 방향으로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공급 방법은 지료 교환이 타워에서 수행될 때 특히 유리하고, 이런 경우에는 기존 지료가 새로운 지료와 가능한 한 적게 혼합되는 방식으로 타워로부터 기존 지료를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지료교환은 타워의 펄프 수위가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위치, 공급구멍(120)보다 다소 하부로 이동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수행된다. 타워(10)로 새로운 지료를 공급하기 시작할 때, 공급 파이프(112)에서 환형공간(116)으로 공급되는 펄프가 공급 파이프(112)의 상단부 높이에서 공급구멍(120)으로 강하될 때 환형 공간(116)에서 상대적으로 큰 유동속도를 갖는 방법으로 공급 파이프(112)와 환형공급구멍(120) 사이의 높이차 뿐만 아니라 공급구멍 배플(122)의 장점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지료는 배플(122)에 의해 정해진 구멍(120)을 통해 큰 수평방향 속도로 타워(10)의 펄프표면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지료를 교환할 때, 타워(10)로 들어가는 새로운 펄프는 오래된 지료에 균일한 층으로 쌓이게 되고, 이것은 최선의 경우 지료교환에 사용된 시간이 선행기술 펄프 타워와 연관된 것처럼 몇 시간, 몇 일 또는 심지어 몇 주가 아닌 몇 분으로 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에서, 하부부분(124)에 일반적으로 위치된 희석구역에는 혼합기(26)와 배출구멍(28)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타워(10)에는 다른 타입의 희석 및/또는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희석 및/또는 배출장치는 본 발명의 작동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직경을 갖는 몇 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대신에 도 1실시예의 공급 파이프(12)가 상방으로 확대되는 원뿔인 공급구멍이 배열되는 벽에 사용된 파이프에 대해 언급할 가치가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의 공급 파이프가 상방으로 확대되는 원뿔일 수 있고, 이것은 큰 파이프가 원통형일지라도 파이프들 사이의 환형공간(116)이 하방으로 확대되는 환형공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된 펄프가 처리하기 어려울지라도 이러한 방법에 의해 파이프가 막히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에너지 소비의 절약이 달성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것은 타워(10)의 수위에 따른 공급 파이프(12,112)와 관련하여 배열된 펌프의 좌측높이를 제어하므로서 최적화될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은 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주로 의미한다.
예를들어, 중간 펌핑없이(표백타워의 공급펌프 압력에 의해) 상방향 유동을 갖는 표백 타워에서 저장 타워로 펄프를 배출할 때, 몇몇 경우에 공급 파이프가 그 지붕(roof)을 통해 타워로 통하는 것이 설명될 것이지만, 이와같은 경우 공급 파이프에서 펄프 배출이 오래된 펄프내로 깊게 침투하지 않도록 양호하게 수행된다. 이것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보장되고, 이 실시예에서 타워(10)의 지붕(210)에는 타워의 하부에서 조금 먼 거리로 연장되는 중심 펄프 공급 파이프(212)가 제공되고, 중심 펄프 공급 파이프의 하부에는 하부판(213)이 제공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하부판(217)은 하부 필러(204)와 관련하여 배열되지만, 실제로는 하부 필러가 다른 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같은 하부판(213)에서 파이프(214)는 공급 파이프(212)와 동심으로 연장된다. 파이프(214)는 큰 직경을 갖고 파이프(214)의 통로 모두에 공급 구멍(220)이 제공된다. 즉, 펄프는 공급 파이프를 통해 타워(10)로 공급된다. 펄프는 하부판(213)으로 펌핑되어 그 방향이 변경되고, 더 큰 파이프(214)내로 상방향으로 유동하기 시작하고 막히지 않은 제 1구멍을 통해 또는 펄프의 동역학적 에너지가 유동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낮은 유동저항이 있는 제 1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펄프 탱크를 충전하는데 유효한 다른 방법은 공급 파이프에 이동가능한 바닥을 배열하는 것이고, 이동가능한 바닥은 공급 파이프 주위의 펄프 수위에 따라 이동하여 바닥 위에 그리고 바닥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공급구멍이 최소한 펄프표면과 같은 수위에 있고, 이것에 의해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펄프 유동은 타워의 기존 펄프층상에서 끝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급 파이프를 도시한 것이나 실제로 다소 상반되는 2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공급 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최소의 변경만으로도 공급 파이프는 한가지 문제 또는 다른 문제를 해결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공급 파이프(312)는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방법에 사용된다. 즉, 하부에서 공급 파이프로 펄프를 공급할 때, 펄프는 파이프에서 막히지 않은 제 1공급구멍(320)을 통해 타워로 배출되기 시작하거나 또는 충분히 낮은 유동저항을 갖는 공급구멍에서 배출되기 시작한다. 실제로, 이것에 의해 펄프는 타워에 제공된 기존의 펄프위에서 실질적으로 끝난다.
도 4b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도 4b 실시예의 공급 파이프(412)의 상단부가 파이프의 상단부를 통해 펄프의 배출을 방지하는 커버(430)로 밀폐되는 것을 제외하고 공급 파이프(412)는 도 4a의 공급 파이프와 같다. 이러한 적용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문제 즉 일관 침지기의 하부 타워에서 다른 농도 영역을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공급 파이프(412)의 상단부를 통해 펄프 배출이 방지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펄프는 몇가지 다른 수위의 공급구멍(420)을 통해 타워로 배출되므로서, 타워가 균일하게 충전된다. 사실상, 충전의 균일성은 많은 방법으로 개선될 수 있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파이프의 상단부를 향해 공급 파이프 구멍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구멍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서, 유동저항은 펄프 수위에 가깝기 때문에 더 낮게 되는 지점에서 발생된다. 다른 방법은 공급 파이프(412)에 이동가능한 커버 시스템을 배열하는 것이고, 커버는 펄프 수위의 상승에 따라 바로 또는 늦게 이동한다(커버는 펄프 수위보다 낮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대안은 물론 혼합될 수 있다. 즉 크기가 변하는 공급구멍은 같은 공급 파이프에서 이동가능한 커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방법이 혼합식에 가까울수록, 최적 상태에 더 근접하게 되고, 타워의 기존 펄프로 펄프가 일정하게 공급되어, 펄프층의 전체높이를 통해 확장된다.
도 4C는 일관 침지기 다음에 이어진 송풍타워를 충전하는 또 다른 대안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공급 파이프(512)는 도 1의 파이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공급 파이프(512)는 다른 직경을 갖는 부분들(513-518)로 형성된다. 오직 차이는 파이프(512)가 상방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것이다. 즉, 직경변화지점에서 각각의 구멍(520)은 타워로 공급되는 펄프의 일부가 절단되고 구멍(520) 위에 배치된 배플(522)은 타워에 제공된 기존 펄프와 혼합되도록 측부로 펄프가 유입되게 한다.
일관 침지기의 송풍 타워는 위에서부터 충전되는 타입이고, 도 4a, 4b 및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모두는 앞의 실시예에 이미 제공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a, 4b 및 4c는 같은 도면 번호가 제공된다. 즉 도면번호 끝이 -12로 표시된 파이프는 공급 파이프이고, 도면번호 끝이 -14로 표시된 파이프는 큰 파이프이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는 파이프의 하단부분(514)이 판에 의해 차단되는 방식으로 공급변형이 위에서부터 수행된다. 판은 도 3에 도시된 방법으로 하부 필러에 포개어진다. 이것에 의해 펄프는 파이프 부분(518)을 통해 위에서부터 도입되고, 이러한 경우 파이프 부분은 하부판에 인접하게 연장되고 하부판으로 배출되고 선회하여 펄프가 상방으로 유동하고 그 후 작동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어진다.
위 설명으로 명백하게 되는 바와같이,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새로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선행기술 방법 및 장치의 결함이 방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직 몇 개만이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감소시키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제시된 것에 따라 판단된다.
따라서, 필요하다며 핀랜드 특허 제 94442호에 설명된 방법으로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분배 장치를 사용하여 타워에 하나 이상의 공급 파이프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펄프가 타워의 단면을 통해 모두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더욱이, 타워의 형상이 첨부도면에 도시된 것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즉 타워가 원뿔 중간부 부근에서 협소해지는 원통형 하부를 갖지만 전체적으로 원통형일 뿐만 아니라 평행하거나 또는 경사진 바닥 또는 원뿔형 또는 반구형 바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전방법은 어떠한 형상의 타워도 충전할 수 있도록 적용가능하다.

Claims (20)

  1. 펄프가 펄프타워의 지붕, 벽 또는 바닥과 관련하여 배열된 공급 파이프(12,112,212)를 통해 펄프타워로 펌핑되는 펄프 타워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펄프가 타워(10)의 표면수위에 따라 좌우되는 다른 높이에서 타워(1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타워의 충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펄프는 타워(10)로 펄프층의 상부로 균일하게 공급되거나, 또는 펄프층으로 균일 유량으로 공급되고, 배출 높이는 각각의 경우 타워의 펄프 수위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타워의 충전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펄프를 타워의 펄프와 혼합함없이 타워에 제공된 기존 펄프층의 표면위로 펄프를 균일하게 퍼뜨리는 방법으로 펄프가 타워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타워의 충전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타워(10)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펌핑 에너지는 타워의 수위에 따라 조절되어, 펌핑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타워의 충전방법.
  5. 벽, 바닥에 제공된 펄프탱크(10), 바닥부분의 펄프 배출장치 및 펄프를 타워(10)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펄프 탱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타워(10)내에 위치된 최소한 하나의 수직 공급 파이프(12,112,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12,112,212)와 관련하여 몇 개의 다른 수위의 타워(10)로 펄프를 공급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공급 파이프(12)의 벽에 배열된 최소한 하나의 공급구멍(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공급 파이프(12,212)를 감싸는 큰 파이프(114,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큰 파이프(114,214)의 벽에 최소한 하나의 펄프 공급구멍(120,220)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멍(20,120,220,320,420,52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유동작용방향에 따라, 수직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펄프 배출을 안내하는 수단(22,122,52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배플(22,122,5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공급 파이프(12,312,512) 또는 큰 파이프(114,214)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12,112,212,312,412,512)는 타워(10)의 지붕(210), 벽(102) 또는 바닥을 통해 타워(10)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112,312,412,512)는 타워(10)의 바닥에 배치된 하부 필러(104)를 통해 타워(10)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큰 파이프(114,214,314,414,514)는 하부 필러(104)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6. 제 5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공급 파이프(12,112,212,312,412,512)들 중 최소한 하나와 큰 파이프(114,214,314,414,514)들 중 하나는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7.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멍(20,120,220,320,420)은 파이프(12,114,214,312,314,412,415)의 벽에 다른 방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공급구멍은(20,120,220,320,420)은 실질적으로 정방형 또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를 충전하는 장치.
  19. 펄프가 탱크의 지붕, 벽 또는 바닥과 관련하여 배열된 공급 파이프(12,112,212)를 통해 펄프탱크(10)로 펌핑되는 펄프탱크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펄프가 몇 개의 다른 수위에서 동시에 타워(1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의 충전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펄프는 타워의 기존 펄프층을 통해 타워(10)로 균일하게 공급되고, 각각의 경우 배출높이가 타워의 펄프 수위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탱크의 충전방법.
KR1019980708434A 1996-04-18 1997-04-15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05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1692A FI100011B (fi) 1996-04-18 1996-04-18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tornin täyttämiseksi
FI961692 1996-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60A true KR20000005560A (ko) 2000-01-25

Family

ID=854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434A KR20000005560A (ko) 1996-04-18 1997-04-15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98658A (ko)
EP (1) EP0912796B1 (ko)
JP (1) JP3921242B2 (ko)
KR (1) KR20000005560A (ko)
CN (1) CN1110602C (ko)
AT (1) ATE210757T1 (ko)
AU (1) AU2570397A (ko)
CA (1) CA2251956C (ko)
DE (1) DE69709114T2 (ko)
FI (1) FI100011B (ko)
WO (1) WO1997039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3344U1 (fi) * 1997-11-14 1998-03-31 Kvaerner Pulping Tech Putkiliitos
FI108150B (fi) * 1999-02-15 2001-11-30 Sulzer Pumpen Ag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n käsittelemiseksi
SE528274C2 (sv) * 2005-02-11 2006-10-10 Kvaerner Pulping Tech Sätt att konvertera ett torn för cellulosamassa samt tornet som sådant
FI20065557A0 (fi) * 2006-09-07 2006-09-07 Sulzer Pumpen Ag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tornin täyttämiseksi ja puhtaana pitämiseksi
CL2007002810A1 (es) * 2006-11-07 2008-03-14 Sulzer Pumpen Ag Metodo y aparato para remover gas desde una suspension de liquido y solidos dentro de un contenedor que comprende una etapa adicional que consiste en reciclar al menos una porcion de una primera corriente de suspension dentro del contenedor hacia arr
FI123393B (fi) * 2008-08-07 2013-03-28 Olavi Antero Toukonummi Menetelmä ja laitteisto orgaanisen aineksen mädättämiseksi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5206A (en) * 1927-10-10 1930-01-28 Cahow Ervin Water heater
US3428061A (en) * 1966-05-18 1969-02-18 Eastman Kodak Co Tank mixing by pump circulation
US3503384A (en) * 1968-07-22 1970-03-31 Kidde & Co Walter Hot water heater with air expelling and cold water mixing arrangement
US3552435A (en) * 1968-12-03 1971-01-05 Sun Oil Co Filling arrangement for subterranean storage tanks
US3964962A (en) * 1974-02-25 1976-06-22 Ingersoll-Rand Company Gaseous reaction apparatus and processes including a peripheral gas receiving chamber and a gas recirculation conduit
SE402639B (sv) * 1976-11-12 1978-07-10 Automatik Verme Ventilationsse Anordning vid ackumuleringstank fer vetska
JPS6028596A (ja) * 1983-07-20 1985-02-13 山陽国策パルプ株式会社 ヘツドボツクスのスライス
US5319902A (en) * 1991-06-12 1994-06-14 A. Ahlstrom Mass tow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469277B (sv) * 1991-11-06 1993-06-14 Kamyr Ab Vaetskebehaallare foer avlut fraan cellulosaindustr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1956C (en) 2003-12-02
CA2251956A1 (en) 1997-10-23
FI961692A0 (fi) 1996-04-18
ATE210757T1 (de) 2001-12-15
EP0912796B1 (en) 2001-12-12
JP2001501679A (ja) 2001-02-06
WO1997039181A1 (en) 1997-10-23
DE69709114T2 (de) 2002-08-22
EP0912796A1 (en) 1999-05-06
DE69709114D1 (de) 2002-01-24
AU2570397A (en) 1997-11-07
CN1222208A (zh) 1999-07-07
JP3921242B2 (ja) 2007-05-30
CN1110602C (zh) 2003-06-04
US6098658A (en) 2000-08-08
FI100011B (fi) 199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197A (en) Submerged filter filled with granular material
US448245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anaerobic treatment of waste water in a filter including granular material
US3872003A (en) High-oxygen treatment of waste with selective oxygen recirculation
KR890001973B1 (ko) 폐지로부터의 잉크 제거방법 및 장치
KR100417671B1 (ko) 아황산가스를함유하는폐가스의탈황화방법
US4504388A (en) Reactor for injection of gas into a liquid
CA1258066A (en) Gas diffuser with indefinite life and mixed bubble size capacity
CA1038090A (en) Reactor for biological water treatment
US4338202A (en) Water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and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water to be treated into and for the recovery from washing liquid from a water treatment filter apparatus
KR20000005560A (ko) 펄프 타워를 충전하는 방법 및 장치
CN1341183A (zh) 具有泡沫稀化作用的泡沫工艺幅面料生产
US20827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ewage
US5688445A (en) Distributor means and method
KR101872902B1 (ko)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JPH09253685A (ja) 散気装置
US5133907A (en) Liquid circulating device
FI118130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tornin täyttämiseksi
CN1777718A (zh) 处理纸浆的装置和方法以及使纸浆塔现代化的方法
JPH10174858A (ja) 流体攪拌装置
JPS6220479Y2 (ko)
KR20180103514A (ko) 액비 제조장치
FI9444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ssatornin tai vastaavan tilan täyttämiseksi
RU2032733C1 (ru) Аппарат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SU1553595A1 (ru) Башн дл отбелки целлюлозы
JPS62199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