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347A -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347A
KR20000005347A KR1019980708067A KR19980708067A KR20000005347A KR 20000005347 A KR20000005347 A KR 20000005347A KR 1019980708067 A KR1019980708067 A KR 1019980708067A KR 19980708067 A KR19980708067 A KR 19980708067A KR 20000005347 A KR20000005347 A KR 2000000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tooth
blank
teeth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거 게링
Original Assignee
게링 오토메이션 게엠베핳
게링 오토메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링 오토메이션 게엠베핳, 게링 오토메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링 오토메이션 게엠베핳
Publication of KR2000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Adornment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톱니(41)를 블랭크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톱니(41)와 톱날 블랭크(47)가 측정된 후 톱니(41)가 톱날 블랭크(47)에 장착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톱니(41)와 톱날 블랭크(47)의 특성 기하학적인 값이 기록된다. 이동 가능한 홀딩 수단은 톱날 블랭크(47)를 따라 톱니(41)를 또는 톱니를 따라 톱날 블랭크를 배열되는데, 톱니(41)가 근소한 공차로 톱날 블랭크(47)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상기 개시된 방법은 주로 추가과정, 예를 들면 톱날 위로 돌출한 톱니표면을 연마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톱날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톱니삽입장치,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 및 톱날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기 위한 장착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선행기술 독일특허 제 DE 37 17 610 C2호에 공지되어있다.
종래의 장치는 단단한 금속 톱니가 원형 톱날에 자동 납땜되는 것을 돕는다. 회전장치는 원형톱날의 블랭크에 각 홈을 배치하여 단단한 금속톱니 상에 안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단단한 금속 톱니가 원형 톱날의 블랭크에 인접하자마자 톱니는 블랭크에 납땜된다. 톱니가 모두 블랭크에 납땜된 후, 톱날은 양측 면이 연마되어, 단단한 금속 톱니의 양측 면은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또는 블랭크의 측표면 위로 불규칙하게 튀어나오지 않는다. 납땜된 톱니가 부정확하게 톱날 블랭크에 부착될 경우, 그 톱니는 원하지 않는 모양으로 블랭크에 납땜되며, 제조된 톱날이 정확한 크기를 가지려면 추가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것은 사용된 연마물질의 양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사용된 톱니는 충분한 너비를 가져야 한다. 톱날 블랭크에 따라 톱니를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블랭크가 납땜과정보다 앞서 정렬되어야 결과적으로 모든 톱니가 납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납땜의 질과는 상관없이 톱니가 블랭크에 삽입될 때 오차가 발생한다. 전류 오차, 즉, 납땜은 톱날 블랭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관하여 0.2m에서 0.05의 오차범위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톱니 양측 면은 마모되어 돌출되지 않거나, 바람직하게는, 같은 높이로 고르게 돌출된다.
톱니를 톱날에 부착시키는 데 선행 기술보다 허용오차를 줄여 추가 과정을 없애거나 실질적으로 소요시간을 줄여서 톱니를 톱날에 용이하게 부착시키는 방법과 장치를 만드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방법에 관하여, 상기 목적은 톱니와 톱날 블랭크가 측정되어 결과적으로 기록된 데이타가 분석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분석장치가 톱날 블랭크 상에 각각의 톱니 배열을 판별하여, 각 톱니가 톱날 블랭크의 측표면과 같은 높이로 톱날 블랭크에 장착되거나, 톱날 블랭크와 각 톱니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정의 위치로 톱날 블랭크에 최소한의 오차를 갖고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각 톱니가 개별적으로 톱날 블랭크의 빈 공간에 맞춰질 수 있는 실질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호관계를 조절, 조정하는 평가장치가 톱날 블랭크뿐만 아니라 톱니의 모든 공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각 톱니가 톱날 블랭크에 맞춰져서 중심에 자리잡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준평면과 관련 있는 톱니의 방향으로 0.04보다 작거나 같은(≤ 0.04) 오차를 허용한다. 본 장치의 작동 시간동안 발생하는 기계적 마모는 어느 정도는 보상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톱날 블랭크에 대한 각 톱니의 배치와 그 반대 배치는 항상 새롭게 결정되기 때문이다. 톱니가 미리 측정되고 톱날 블랭크가 최적으로 맞춰진 톱니만을 받아서 추가과정을 거의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톱니의 기록 데이타, 예를 들어, 톱니의 너비, 길이, 두께, 절단각 및 톱날 블랭크의 비교치수는 평가장치에 입력되어 이 데이타를 평가하고 상호관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톱니를 홈부 부근에 있는 톱날 블랭크에 부착시킨 후 추가과정이 필요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는 시간이 덜 든다.
톱날 블랭크에 소정의 위치와 관련하는 "최소 공차"가 의미하는 바는 톱니가 양 옆 표면 위로 가능한 한 고르게 돌출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톱니가 한 쪽 표면 위로 고르게 돌출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왼쪽 오른쪽에 있는 교체톱니가 소정의 형태로 측표면 위로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톱니 측면이 한 쪽 표면과 직접 접촉될 수도 있고 규정된 방식으로 다른 측표면 위로 돌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지름이 큰 원형 톱날을 제조하는 데 장점이 있는데, 왜냐하면 이런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보상될 수 있는 공차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런 관계에서, 정교함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톱니가 더욱 고르게 돌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로 인해 연마가 감소되면 그라인딩 휠의 마모를 줄어들게 한다. 가는 톱날은 더욱 질이 좋게 제조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방사형으로 뻗은 톱니 측면이 양쪽에 고르게 연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톱니와 각 톱날 블랭크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장치에 의해 기록된 데이타는 신호로 바뀌는데, 그 신호는 톱니 및 /또는 톱날 블랭크용 홀딩 수단을 작동시켜 특정 중심에 각 톱니를 소정의 형태로 정렬시키고 각 공구들을 톱날 블랭크와 상호관계를 맺도록 한다. 톱니나 톱날 블랭크용 홀딩수단은 조절된 형태로 움직일 수 있고 평가장치는 부착과정, 예를 들어, 납땜을 할 수 있는데, 개별 톱니가 톱날 블랭크에 적절히 자리를 잡은 후에 또는 그 반대의 경우 후에만 납땜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톱니나 톱날 블랭크 또는 톱니와 톱날 블랭크 둘 다가 움직임으로써, 톱니와 톱날 블랭크가 결합, 배치된다. 이러한 측정은 각 개별 톱니를 톱날에, 혹은 그 반대로, 의도했던 대로 배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평가장치가 각 개별 톱니의 너비와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기록하여, 이러한 특성값을 이용하여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각 개별 톱니의 배열을 결정하도록 부가적인 배열이 제공된다. 이는 두 변수만을 기록하여 톱날 블랭크와 관련된 톱니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자리잡도록 조절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톱날의 너비(두께, 강성)가 질적으로 뿐만 아니라 양적으로도 결정되도록 허락하여, 다른 톱날 블랭크를 사용할 때 필요했던 기존의 수동식 조정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재평가하고 결정한다. 필요하면, 해당 톱니 영역에서 톱날 블랭크의 너비와 기계 변수가 변화된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톱니는 처음에는 두 개의 이동 가능한 클램프 턱, 특히, 세라믹 턱에 의해서 그 양옆에 유지되는데, 클램프 턱은 각 개별 톱니의 너비를 기록하고 이 특성 값을 평가장치로 넘긴다. 그러면 제 1톱니 부근에 있는 톱날 블랭크의 너비가 기록되고, 그 때문에 제공된 센서는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결정하고 이런 데이타들을 분석장치로 넘긴다. 톱날 블랭크는, 고정톱니와 함께, 톱니가 톱날 블랭크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수단은 톱니와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의도했던 관련 기하학 데이타가 안전하게 결정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작동 시간동안 필요한 데이타의 경제적이고 믿을만한 판별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단단한 금속이나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진 톱니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띠 모양의 톱날 블랭크에 장착된다. 톱날 블랭크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물질로 만들어진다. 질 좋은 톱니가 톱날 블랭크에 장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각 개별 톱니가 정확하게 배열함으로써 추가과정을 최소화하고, 또한 과치수를 줄이는 장점을 갖는다. 만약, 단단한 금속이나 다이아몬드 톱니에 추가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면 힘든 연마과정이 생략되고 비싸고 고품질의 물질이 톱니에 남아서 연마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톱니는 강한 납땜과정을 통해 톱날 블랭크에 연결된다. 이런 결합기술은 증명되었고 강한 하중에도 물질이 안전하게 결합된다.
본 장치에 관해, 본 발명의 목적은 톱니삽입장치가 각 개별 톱니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는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본 장치는 톱니삽입장치와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타용 평가 장치를 갖는다. 상기 수신장치는 평가장치와 함께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는 평가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사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각 개별 톱니를 톱날 블랭크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톱니 및 또는 톱날 블랭크를 위치시키기 위한 평가장치 구동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곧게 뻗은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톱니와 톱날 블랭크용의 측정값 결정수단과 측정값 기록 수단은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분석장치는 진행과정을 제어한다. 측정된 값을 수신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그 재료들의 결합을 유지하는 기계적 수단 그리고 톱니 및 /또는 톱날 블랭크를 옮기는 수단뿐만 아니라 측정된 값을 전달하는 수단은 단단한 납땜과정이 단시간 내에 매우 정교하게 실행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배열에 있어서, 톱니삽입장치는 톱니용 조임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톱니삽입장치에 의해서 분석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임턱의 위치를 기록하고 평가한다. 센서는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에 제공되는데, 톱날 블랭크용 수신장치는 각 개별 톱니 부근에 있는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결정하는 데 적합한 분석장치로 데이타를 제공한다. 톱날 블랭크의 수신장치는 분석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캘리퍼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분석장치는 톱니와 관련 있는 소정의 정확한 위치로 톱날 블랭크를 옮긴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캘리퍼는 톱날 블랭크를 이동시킬 때, 원형 톱날 블랭크일 경우에는 회전축을 따라, 띠 모양의 톱날 블랭크일 경우에는 띠의 축연장을 가로질러서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측정함으로써, 각 톱니가 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며, 톱날 블랭크는 이동되는데, 예를 들어 톱니가 중심에 자리잡는, 즉, 톱니가 톱날 블랭크의 양 측면 위로 어느 정도 돌출하거나 톱날 블랭크의 측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보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하나 이상의 캘리퍼는 톱날 블랭크를 이동시키는 수단뿐만 아니라 톱날 블랭크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캘리퍼 구조는 캘리퍼 기능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단단한 납땜 위치 부근에 부품 배열이 단순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톱날 블랭크와 관련 있는 톱니에 대한 필요 오차 향상을 성취하기 위해서 톱니 및/또는 톱날 블랭크 위에 단 하나만의 변수만이 측정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사용된 톱니는 또한 미리 연마되어 결과적으로 톱날 블랭크에 부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톱니가 톱날 블랭크 위로 돌출하는데 따른 정밀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에 의해 나타난다. 상기 언급된 특징과 하기에 설명될 내용들은 임의적인 결합으로 개별적 혹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처리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두 톱니를 절단하여 하나는 톱날 블랭크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톱날 블랭크 상에 보이는 추가 홈부에 수용되는 원형 톱날을 보이는 절단도이며;
도 3은 단단한 납땜의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평가장치의 지시에 응하여 하나의 톱니 및 /또는 톱날 블랭크를 이동시키는 수단뿐만 아니라 톱니의 특성 기하학적인 양과 톱날 블랭크의 특성 기하학적인 양을 결정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단단한 납땜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면도이다.
각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반드시 크기를 따를 필요는 없다. 각 도면의 몇 몇 대상이 매우 확대되어서 그들의 구성이 보다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처리 과정에 대한 처리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톱니삽입장치(11), 톱날 블랭크용 톱니 수신장치(12), 장착장치(13), 및 분석장치(14)는 본 장치 내에서 협력한다. 조임턱(15)이 화살표(16) 방향으로 톱니를 향하여 삽입되어 정적 위치에 톱니를 배열시키거나 옮기거나 유지시킨다. 조임턱(15)의 톱니를 화살표(17,18)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톱날 블랭크는 캘리퍼(19)에 근접하여 수신장치(12)에서 화살표(20) 방향으로 캘리퍼(19)로 또는 조임턱(15)에 의해 유지되는 톱니 쪽으로 삽입된다. 캘리퍼(19)는 화살표(21, 2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톱날 블랭크와 톱니용 홀딩수단은 처리 블록 다이어그램(10)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톱니나 톱날 블랭크 역시 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캘리퍼(19)와 조임턱(15)은 톱니의 특성 기하학적인 양과 톱날의 특성 기하학적인 양을 기록할 수 있고, 데이터 수단(23, 24, 25, 26)은 결정된 특성 양을 평가장치(14)로 옮긴다. 모든 데이터 수단이 동시에 작동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가장치(14)는 도출된 데이타를 평가하고, 데이터 수단(25, 26)을 통해 조임턱(15) 및/또는 캘리퍼(19)가 톱니가 소정의 방법으로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이동된다. 톱니는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중심에 자리를 잡고 일 측면에서 같은 이로 위치되거나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중심의 바깥에서 소정의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톱니가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의도했던 방법대로 배치되면, 장착장치(13)는 톱니를 톱날 블랭크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화살(27)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톱니는 바람직하게는 톱날 블랭크로 납땜된다.
톱니를 블랭크에 부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톱니는 바람직하게 결정되는 톱니의 너비를 따라 측정된다. 마찬가지로, 톱날 블랭크도 측정되어 톱날 블랭크의 너비가 바람직하게 결정된다. 본 장치는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톱니를 중심에 자리잡게 하기 위한 수단을 갖으며, 본 발명에 따라, 각 개별 톱니는 톱날 블랭크에 대하여 새롭게 배열된다. 톱니에 따라 톱날 블랭크를 배열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의도된 대로 배열이 완료되면, 장착과정이 시작된다. 톱니,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금속 톱니나 다이아몬드 톱니는 톱날 블랭크에 납땜된다. 결합과정이 완료되면, 새 톱니는 톱니 삽입장치(11)를 통해 장착과정 영역으로 삽입되고 톱날 블랭크는 회전되거나 다음 홈부로 이동되어 톱니가 톱날 블랭크의 추가위치로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톱날 블랭크(31)를 보여주는 원형 톱날(30)의 절단도이다. 톱날 블랭크(31)의 두 홈부는(32) 도 2에 도시되는데, 도 2에서 톱니(33)가 홈부(32)에서 톱날 블랭크(31)에 부착되고, 추가 톱니(33)는 추가 홈부(32)에 부착될 수 있다. 톱날 블랭크(31)는 양측 표면(34, 35)에 의해 둘러싸여지는데 양 표면 상호간의 분리에 의해 톱날 블랭크(31)의 너비가 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33)는 톱날 블랭크(31) 중심에 자리잡는다. 톱니(33)는 그 양측 표면(34, 35) 위로 돌출된다. 양측 표면(34, 35) 위로 돌출하는 톱니(33)의 일부는 계속되는 처리과정에서 연마된다. 톱니(33)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금속이나 다이아몬드 톱니이다.
도 3은 톱니 안착부(42)에 안착하는 톱니(41) 부근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40)의 단면을 도시한다. 톱니는 조임턱(43, 44)에 의해 그 측면에 정적인 방식으로 유지된다. 조임턱(43, 44)은 화살(45, 46)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톱날 블랭크(47)는 톱니(41)의 평평한 표면부근에 있는 톱니(41)에 자리잡는다. 톱날 블랭크(47)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캘리퍼(48, 49)는 톱날 블랭크(47)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캘리퍼(48, 49)는 화살(50, 51)표 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다. 캘리퍼(48, 49)는 톱니(41)에 따라 톱날 블랭크(47)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유도장치(52) 부품들도 도시되는데, 유도장치(52)는 톱니(41)가 톱날 블랭크(47)에 납땜되도록 하기 위해서 톱날 블랭크(47) 일부 및 톱니를 따뜻하게 하는 장치이다.
조임턱(43, 44)과 캘리퍼(48, 49)는 모두 분석장치(도면에는 도시않됨)와 연결되어 있다. 이 분석장치는 조임턱(43, 44)과 캘리퍼(48, 49)를 제어한다. 분석장치는 톱니(41) 및 톱날 블랭크(47)의 특성 기하학적인 값을 나타내는 조임턱(43, 44)과 캘리퍼(48, 49)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조임턱(43, 44)과 캘리퍼(48, 49)가 분석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 톱니(41) 및/또는 톱날 블랭크(47)가 이동되어 서로 관련되어 배열된다. 톱니(41)가 톱날 블랭크(47)에 따라 최적의 위치를 취한 후, 톱니는 톱날 블랭크(47)에 부착된다.
톱니를 블랭크에 부착하는 방법은 톱니(41)와 톱날 블랭크(47)가 측정된 후에 톱니(41)가 톱날 블랭크(47)에 장착된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톱니(41)와 톱날 블랭크(47)의 특성 기하학적인 값이 기록된다. 이동 가능한 홀딩수단은 톱날 블랭크(47)에 따라 톱니(41)를 이동, 배치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로 배열되는데, 톱니(41)가 톱날 블랭크(47)에 근소한 공차로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개시된 방법에서 톱날 위로 돌출한 톱니 표면을 연마하는 것과 같은 추가과정은 대개 생략된다. 그라인딩 휠의 마모 및 연마를 줄이기 위해 더욱 정밀하게 톱날 블랭크 위에 톱니가 배열된다. 과치수를 줄여서 작동되기 때문에, 가는 톱날과 폭이 좁은 날을 사용함으로써 정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톱니를 블랭크에, 특히, 톱날 블랭크(31:47)에 장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톱니(33:41) 또는 톱니 및/ 또는 톱날 블랭크(31:47)가 측정되고, 분석장치(14)가 상기 톱날 블랭크(31:47) 상의 각 개별 톱니(33:41)의 구조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그 측정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각 개별 톱니(33:41)가 상기 톱날 블랭크(31:47)에 부착되고, 상기 톱니(33:41)는 상기 톱날 블랭크(31:47)의 측표면(34, 35)과 평행하게 되거나, 상기 톱날 블랭크(31:47)와 각 개별 톱니(33:41)의 치수를 고려하여 상기 톱날 블랭크(31:47)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최소한의 공차로 삽입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각 톱니(33:41)와 각 톱날 블랭크(31:47)를 규정하기 위한 분석장치(14)에 의해서 기록된 데이타는 톱니(33:41) 및/ 또는 톱날 블랭크(31:47)의 홀딩 수단을 작동시켜 소정의 방식으로 각 개별 톱니(33:41)를 상기 톱날(31:47)에 대하여 특히 중심에 배열시키기 위한 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톱날 블랭크(31:47)에 대한 톱니(33:41)의 배열은 톱니(33:41)나 톱날 블랭크(31:47) 또는 톱니(33:41) 및 톱날 블랭크(31:47) 모두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석장치(14)는 각 개별 톱니(33:41)의 너비 및 /또는 톱날 블랭크(31:47)의 너비를 결정하고, 이 데이타를 이용하여 톱날 블랭크(31:47) 상에 각 개별 톱니(33:41)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각 개별 톱니(41)는 우선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조임턱(43, 44), 특히 세라믹 턱에 의해 그 측면에 유지되며, 각 개별 톱니(41)의 너비를 결정하고 이 특성값을 상기 분석장치(14)로 전송하며, 이 경우, 톱니(41) 근처의 상기 톱날 블랭크(47)의 너비는 톱날 블랭크(47)의 너비를 결정하여 상기 분석장치(14)로 전송하며, 톱니(41)가 상기 톱날 블랭크(47)와 연결된 위치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톱니(41)와 함께 상기 톱날 블랭크(47)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니(33:41)는 단단한 금속이거나 다이아몬드 톱니이며 원형 또는 띠 모양의 톱날 블랭크(31:47)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합성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니(33:41)는 단단한 납땜과정에 의해 톱날 블랭크(31:47)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8. 톱니삽입장치(11), 톱날기본몸체(31:47)용 수신장치(12), 및 톱니(33:41)가 톱날 블랭크(31:47)에 연결되도록 하는 장착장치(13)를 가지는 톱날 블랭크(31:47)에 톱니 (33:41)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톱니삽입장치(11)는 각 개별 톱니(33:41)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고, 톱날 블랭크(31:47)용 수신장치(12)는 톱날 블랭크(31:47)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본 장치는 톱니 삽입장치(11) 및 /또는 톱날 블랭크(31:47)용 수신장치(12)로부터 얻어진 데이타용 평가장치(14)를 구비하며, 상기 톱니(33:41) 및/또는 톱날 블랭크(31:47)를 이동시키는 분석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평가장치(14)에 의해 평가되는 데이타를 이용하여, 각 개별 톱니(33:41)를 상기 톱날 블랭크(31:47)에서 소정의 위치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에 톱니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조임턱(43, 44)이 톱니삽입장치(11)에 있는 톱니(41)를 위해 제공되고, 그 톱니삽입장치(11)에 의해서 분석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턱(43, 44)의 위치를 기록하고 평가하고 /또는 측정센서가 톱날 블랭크(31:47)용 수신장치(12)에 제공되어, 그 수신장치(12)가 각 특정 톱니(41) 영역에 있는 톱날 블랭크(47)의 너비 결정에 적합한 분석장치(14)로 데이타를 넘기며, 상기 톱날 블랭크(31:47)용 수신장치(12)는 톱니(41)에 대한 배열 상태로 상기 톱날 블랭크(47)를 배치시키는 분석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캘리퍼(48, 4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날 블랭크에 톱니를 연결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48, 49)는 원형 톱날 블랭크(47)일 경우에는 회전축을 따라, 그리고 띠모양의 톱날 블랭크일 경우에는 그 띠의 축연장을 가로질러 톱날 블랭크(47)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날 블랭크에 톱니를 연결하는 장치.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48, 49)는 톱날 블랭크(47)를 이동시키는 수단 및 톱날 블랭크(47)의 너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날 블랭크에 톱니를 연결하는 장치.
KR1019980708067A 1996-04-10 1997-03-27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05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4197.4 1996-04-10
DE19614197A DE19614197C1 (de) 1996-04-10 1996-04-1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Zähnen an Rohli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347A true KR20000005347A (ko) 2000-01-25

Family

ID=77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067A KR20000005347A (ko) 1996-04-10 1997-03-27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23438B1 (ko)
EP (1) EP0892693B1 (ko)
JP (1) JP2000502617A (ko)
KR (1) KR20000005347A (ko)
AT (1) ATE185301T1 (ko)
AU (1) AU2691797A (ko)
DE (2) DE19614197C1 (ko)
WO (1) WO1997037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5689C2 (de) * 1998-08-07 2003-01-09 Hermann Bentzinger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chneidsegmenten an einem Bohrrohr
DE19918955A1 (de) * 1999-04-27 2000-11-02 Gerling Automation Gmbh Zahnsortiereinrichtung und Zahnsortierverfahren
DE19930360C2 (de) * 1999-07-01 2001-05-31 Gerling Automation Gmbh Zahnzuführeinrichtung
DE10016699B4 (de) * 2000-04-05 2004-11-25 Gerling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Anlöten von Zähnen an einen Sägeblattgrundkörper
US9233428B2 (en) 2011-12-23 2016-01-12 Williams & White Machine Inc. Computer controlled multiple axis grinding machine for grinding saw blades
CN102672399B (zh) * 2012-06-01 2015-04-22 浙江约特工具有限公司 齿材斜楔块压紧装置
DE102013007566A1 (de) * 2013-05-02 2014-11-06 Kähny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löten von Sägezähnen an einem Sägewerkzeug
DE102014002035B4 (de) * 2014-02-13 2015-11-05 Kirschner Maschinenbau Gmbh Lötverfahren
GB201511541D0 (en) 2015-07-14 2015-08-12 Rolls Royce Plc Linear friction welding method
DE102017118713B3 (de) * 2017-08-16 2019-02-07 Credé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chweißen von Hartstoffkörpern an Zähnen eines Sägeblat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0730A1 (de) * 1979-10-08 1981-04-16 Vollmer Werke Maschinenfabrik Gmbh, 7950 Biberach Maschine zum instandsetzen hartmetallbestueckter saegeblaetter
DE3717610A1 (de) * 1986-06-26 1988-03-03 Gerling Gmbh Maschinenbau Automatische antloetvorrichtung fuer hartmetallzaehne
US5511300A (en) * 1994-08-03 1996-04-30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ks to an arbor
US5901426A (en) * 1995-12-28 1999-05-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mbining workpie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23438B1 (en) 2003-02-25
DE59700537D1 (de) 1999-11-11
WO1997037809A1 (de) 1997-10-16
ATE185301T1 (de) 1999-10-15
EP0892693B1 (de) 1999-10-06
DE19614197C1 (de) 1997-05-07
AU2691797A (en) 1997-10-29
JP2000502617A (ja) 2000-03-07
EP0892693A1 (de)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5347A (ko) 블랭크에 톱니를 부착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4243347A (en) Broaching assembly having disposable carbide inserts
US4890421A (en)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US4991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wing bar-shaped workpieces into slices
EP0823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atness of polished semiconductor wafers
US5226404A (en) Cutting apparatus
US4461125A (en) Control circuit for an apparatus for adjusting and dressing a grinding wheel
EP1275464B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a laser weld
EP0526914A2 (en) Improved equipment for lapping internal surfaces
JPS5882662A (ja) 精密研削機
JPH08309737A (ja) 単結晶インゴットの加工方法
CN109100193A (zh) 胶层厚度可调的复合材料搭接试验用工装
JP3635870B2 (ja) 半導体単結晶インゴットの接着方法及びスライス方法
CA1203884A (en)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contact stresses in prestressed tyred tools
CN210703896U (zh) 一种刨齿机对刀仪
US5975990A (en)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wafers
US5235960A (en) Clamping system for an annular-saw blade and its use in the sawing of bars, in particular of semiconductor material, into wafers
CN220751856U (zh) 一种弯曲检测装置
EP0623437B1 (en) Cutting apparatus
US5192175A (en) Burr trim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shock testing pieces, and automatic machining system thereof
US4167085A (en) Mounting assembly for gem blanks
JPH10122849A (ja) レンズ芯取機における自動レンズ芯出し方法とその機構
CN218776312U (zh) 一种用于主辊的加工设备
CN212600664U (zh) 刀头底面朝向一致输送装置
CN220894277U (zh) 探伤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