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073U -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073U
KR20000005073U KR2019980015764U KR19980015764U KR20000005073U KR 20000005073 U KR20000005073 U KR 20000005073U KR 2019980015764 U KR2019980015764 U KR 2019980015764U KR 19980015764 U KR19980015764 U KR 19980015764U KR 20000005073 U KR20000005073 U KR 20000005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matter removing
removing means
dust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94163Y1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5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1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제강분야의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더스트를 집진하여 성형탄을 제조한후, 성형탄과 미세 더스트를 분리하는 분별판에 부착되는 미세 더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로용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집진한 후, 집진된 더스틀 이용하여 성형탄을 제조하고, 다수의 스크린 홀에 의하여 성형탄과 미세 더스트를 분리하는 분별판에서, 상기 분별판의 상부면에 접하여 왕복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스크린 홀의 하부에서 상기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타격부를 누름에 따라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본 고안은 제강분야의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더스트를 집진하여 성형탄을 제조한후, 성형탄과 미세 더스트를 분리하는 분별판에 부착되는 미세 더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성형탄을 제조하는 설비의 주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성형탄을 제조하는 설비인 브리케팅(BRIQUETTING)에서는 본동 이송설비에 의해 각 저장통(COARSE BIN: 1, FINE BIN: 2)에 운반된 더스트(DUST)는 피드 체인(3), 바켓 엘리베터(4)에 의해 로타리 킬른(5)에 보내지면 버너(BURNER)에 의한 예열로 더스트(DUST) 온도는 약 400∼600℃의 고온상태가 되는데, 이때 핫 체인(6), 스크류 피더(7a)로부터 더스트(DUST)가 머신 롤(8)로부터 성형탄(18: 도 2에서 후술됨)을 제조하게 된다. 생산된 성형탄과 함께 쏟아져 나온 조각들과 미세 분진이 분별판(22b: 도 2에서 후술됨)에서 선별되어 정품 성형탄만 냉각용 콘베어(10)로 모아져 최종적으로 성형탄을 프로닥트 빈(13)에 보내어 진다. 한편, 미설명 부호 9는 바이브로 스크린이고, 11은 스크래퍼이며, 12는 리턴 콘베어이다.
도 2는 성형탄과 그 조각 및 미세분진을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성형탄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조각들이 분별판(22b)의 홀(22d)에 유입되면서 하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고착되므로 잔류 더스트가 다량 쌓이게 된다. 핫 더스트(15b)의 이송은 콘트롤 데스크(7d) 및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류(16)를 가지는 스크류피더(7a)를 통하여 이송되는 핫더스트(15b)는 한쌍의 롤러(17)사이를 통과하면서 성형탄(18)으로 변하여 잔류 더스트와 함께 입구측 진동판(22a)으로 낙하된다. 입구측 진동판(22a)의 타측에는 출구측 진동판(22c)이 설치된다. 출구측 진동판(22c)과 입구측 진동판(22a)사이에는 분별판(22b)이 설치된다. 한편, 입구측 진동판(22a)은 캠(21)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캠(21)은 구동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출구측 진동판(22c)의 하부에는 성형탄 호퍼(25) 및 이송판(26)이 설치된다. 분별판(22b)의 스크린 홀(22d)을 통과한 리턴 더스트(19) 및 성형탄 조각(24)은 인터매디어트 호퍼(23)를 통하여 공정위치로 이송된다. 이송판(26)에 의하여 이송된 성형탄은 프로닥트 빈(13)으로 이송된다.
한편, 종래의 상술한 구조는 작업자가 수시로 생산을 중단하고 바이브로 스크린(요동기) 상부에 올라가 점검구를 열어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융착 더스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냉각제의 산화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의 더스트가 포함된 성형탄 불별 과정에서 발생된 조각이 불별판의 홀에 걸려 잔 더스트를 배출하지 못하여 쌓이는 것과 미세 분진이 분별판에 융착되지 않도록 이물질을 제거하여 성형탄이 고르게 운반되도록 유도하는 성형탄 분배판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로용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집진한 후, 집진된 더스트를 이용하여 성형탄을 제조하고, 다수의 스크린 홀에 의하여 성형탄과 미세 더스트를 분리하는 분별판에서, 상기 분별판의 상부면에 접하여 왕복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스크린 홀 하부에서 상기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타격부를 누름에 따라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성형탄을 제조하는 설비의 주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성형탄과 그 조각 및 미세분진을 선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이물질 제거수단 및 주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 및 주변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의 정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6(a)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기전의 상태를 나태는 도면.
도 6(b)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을 타격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d)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이 제 1이물질 제거수단에 의하여 선회되며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실린더가 전진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실린더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a: 실린더 29a: 제 1이물질 제거수단
33: 지지대 36: 제 2이물질 제거수단
36a: 누름대 36b: 타격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3은 제 1이물질 제거수단 및 주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 및 주변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의 돌출부는 스크린홀(22d)에 접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의 양측단에는 지지대(33)가 장착된다. 지지대(33)에는 이송 홈(3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33)는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에 장착된다. 지지대(33)는 연결핀(32) 및 니플(32a)에 의하여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에 장착된다. 한편, 연결구(31)의 일측에는 실린더(27a)의 로드(30)단부가 체결되고, 타측은 니플(32a)에 체결되어 있다. 실린더(27a)는 솔로노이드 밸브(28a)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솔로노이드 밸브(28a) 및 실린더(27a)사이에는 플랙시플 호스(27b)에 의하여 유체가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의 분리사시도로서, 제 2이물질 제거수단(36)은 분별판(22b)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양 끝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구름대(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타격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의 중심에는 중심축(37)이 장착되어 있으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중심축(37)은 한쌍의 지지판(39,36c)에 장착되는데, 지지판(39,36c)은 분별판(22b)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기전의 상태를 나태는 도면이고, 도 6(b)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이 이물질을 타격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d)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이 제 1이물질 제거수단에 의하여 선회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실린더가 전진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실린더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린더 축(30)과 연결된 연결구(31)는 떨림에 영향이 없는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에 장착되어 일정거리만큼 제한된 상태에서 왕복작용을 한다.
실린더(27a)가 작동시에는 연결구(31)와 실린더 로드(30)는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을 따라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스크린 홀(22d) 바닥면에 유도된 다음 지지대(33)의 이송홈(33a)을 따라 좌우(X, Y 방향) 떨림에 의한 회전력으로 X 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며 스크린 홀(22d) 하단에 장착된 제 2이물질 제거수단(36)은 지지대(39)에 연결된 중심축(37)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누름대(36a)에 하중을 주어 평상시에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36)이 아랫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후에 누름대(36b) 부분에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접촉되면 제 2이물질 제거수단(36)이 위로 향하며 분별판(22b) 자체의 떨림작용을 이용하여 스크린 홀(22d)의 성형탄 조각(22e)을 타격하도록 한다.
한편, 운전실 콘트롤 데스크(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스크류 피더(7a)가 정지되면 PLC에서 신호를 보내어 솔리노이드(28a)가 작동하게 되면 실린더 축(30)이 열리면서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분별판(22b)에 닿아 떨림작용에 의한 회전력이 가속화되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회전하면서 분별판(22b) 바닥면을 크리닝하면서 이물질(24)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 피더(7a)가 기동되면 PLC에서 신호를 감지하므로 솔리노이드(28a)가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30)가 후진하면서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분별판(22b)과 간격이 떨어져 원위치하게 된다.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에 의해 제 2이물질 제거수단(36)이 작동되어 분별판(22b)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장치로서 각각은 연동적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지지 설치된 작동 실린더(29)는 떨림에 영향이 없는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에 장착되어 일정거리만큼 제한된 상태에서 왕복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27a)가 작동시에는 연결구(31)와 실린더 축(30)은 고정판(34a)의 안내홈(34b)을 따라 제 1이물질 제거수단(29a)이 분별판의 바닥에 1차적으로 유도된 다음 지지대(33)의 이송홈(33a)을 따라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떨림이 발생하면서 점차적으로 회전력에 의해 수평방향(X측)으로 전진 한다. 이때,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타격부(36b)를 누르게 되고, 타격부(36b)의 타측에 형성된 누름대(36a)가 선회되어 이물질(22e)을 타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성형탄 분별판 이물질 제거장치는 핫 더스트가 머신롤에서 가압 성형된 성형탄에서 발생되는 조각들과 미세 더스트 성분이 진동판과 중앙의 분별판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 고품질의 냉각제를 생산하여 전로 용강 제조에 있어서 우수한 강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로용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집진한 후, 집진된 더스트를 이용하여 성형탄을 제조하고, 다수의 스크린 홀에 의하여 성형탄과 미세 더스트를 분리하는 분별판에서,
    상기 분별판의 상부면에 접하여 왕복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제 1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스크린 홀의 하부에서 상기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타격부를 누름에 따라 선회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은 지지대의 이송홈에 장착되며, 외측에는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홈에서 왕복운동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물질 제거수단은 양측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타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누름대가 형성되어 있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이물질 제거수단이 상기 타격부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누름대가 상기 스크린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980015764U 1998-08-21 1998-08-21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94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64U KR200294163Y1 (ko) 1998-08-21 1998-08-21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64U KR200294163Y1 (ko) 1998-08-21 1998-08-21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73U true KR20000005073U (ko) 2000-03-15
KR200294163Y1 KR200294163Y1 (ko) 2003-01-24

Family

ID=4939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64U KR200294163Y1 (ko) 1998-08-21 1998-08-21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1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163Y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612875U (zh) 一种分选石英砂的装置
CN111322855B (zh) 智能化干燥系统
CN116273829A (zh) 一种建筑垃圾废料加工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208195046U (zh) 一种碳酸钙矿石原料清洗筛分装置
KR101872328B1 (ko) 특수 합금 재활용 시스템
KR101086695B1 (ko)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KR200294163Y1 (ko) 성형탄 분별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1957434A (zh) 一种用于烟草制丝的在线异物剔除装置
KR200484553Y1 (ko) 벨트 컨베이어용 잔류물 회수장치
CN111299137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焦宝石分选系统
CN114535047B (zh) 一种矿石加工用生产线
CN114101194B (zh) 一种全自动石子水洗筛分分类一体化设备
CN218078086U (zh) 一种波纹辊破碎机
KR101257427B1 (ko) 원료탄의 이물질 처리장치
CN214555249U (zh) 一种铸钢件加工用废料筛分收集装置
KR100815806B1 (ko) 원료의 이물질 자동 분리수거장치
CN108636292B (zh) 一种化学产品生产设备
CN108639435B (zh) 一种化学产品冷冻刮料包装装置
CN207641612U (zh) 一种燃料破碎机
CN218966241U (zh) 一种萤石粉压球机
CN220004206U (zh) 一种防止破碎阻塞的防尘沥青破碎机
CN220879599U (zh) 一种建筑废料处理装置
CN219970996U (zh) 一种分层给煤机
CN205550532U (zh) 一种摇床清洗输送分离装置
CN216443130U (zh) 一种节能型除尘灰压球机的进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