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923U - 절첩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절첩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923U
KR20000004923U KR2019980015549U KR19980015549U KR20000004923U KR 20000004923 U KR20000004923 U KR 20000004923U KR 2019980015549 U KR2019980015549 U KR 2019980015549U KR 19980015549 U KR19980015549 U KR 19980015549U KR 20000004923 U KR20000004923 U KR 200000049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ook
hinge
folding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2019980015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923U/ko
Publication of KR20000004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923U/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을 걸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작은 길이로 절첩이 가능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절첩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첩식 옷걸이는, 분할된 양 걸이부(11)(11')가 일단에서 힌지(12)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12)가 위치한 각각의 일단에 누름부(13)(13')가 외향으로 대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12)를 통해 걸이구(30)가 설치되는 상의 걸이부(10)와;
분할된 양 걸이부(21)(21')가 일단에서 상기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걸이부(11)(11')의 하단에 힌지(22)(22')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하의 걸이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옷걸이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을 걸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작은 길이로 절첩이 가능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절첩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거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하여 세탁된 젖은 옷을 건조시키거나, 건조 및 다리미질을 한 옷을 보관하거나, 매장에서 진열을 위하거나 할 경우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옷걸이는 철심에 비닐을 피복시킨 와이어를 이용하거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물구조로 제조되거나, 상의는 물론 바지 등을 동시에 걸어지게 하기 위하여 하방에 수평의 가로대를 일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양단에 집게를 구성하여 특히 바지류를 용이하게 걸을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옷걸이는 다음과 같은 폐단이 있었다.
즉, 종래의 옷걸이는 전체적인 형태가 일체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의의 양 어깨부위는 옷걸이의 돌출된 양측부를 통해 깊숙히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의는 하방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대를 통해 감아지는 상태로 지지되는 까닭에 그 옷걸이에 옷을 걸어두는 작업은 물론 그 옷걸이로 부터 옷을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많은 옷걸이를 수시로 사용하는 의류매장이나 세탁소 등지에서는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많은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또한, 티셔츠 등과 같이 앞섬이 트여지지 않는 상의를 걸때에는 그 트여진 목부위를 통해 옷걸이를 집어 넣어 걸게 되는 까닭에 목부위가 작거나 늘어나지 않거나 옷걸이가 길 경우에는 옷걸이 사용이 매우 까다롭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취급이나 보관을 할 경우에는 일체로 된 긴 구조에 의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옷을 걸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작은 길이로 절첩이 가능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절첩식 옷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첩식 옷걸이는, 양부로 분할되어 힌지연결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양부의 일단에 대향돌출된 누름부가 형성된 상의 걸이부와, 양부로 분할되어 그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의 걸이부의 양단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하의 걸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의 걸이부의 연결이 결합홈과 결합돌기로 연결되는 대신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절첩 단계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절첩 단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절첩식 옷걸이 10,40: 상의 걸이부
11,11',41,41': (상의)걸이부 12,22,22',42,52,52',53: 힌지
13,13': 누름부 20,50: 하의 걸이부
21,21',51,51': (하의)걸이부 21a: 결합돌기
21b: 결합홈 30: 걸이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절첩 단계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절첩 단계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의거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옷걸이(1)는, 상의 걸이부(10)와 하의 걸이부(20)와 걸이구(30)를 포함한다.
상의 걸이부(10)는 분할된 양 걸이부(11)(11')가 일단에서 힌지(12)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12)가 위치한 각각의 일단에 누름부(13)(13')가 대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12)를 통해 걸이구(30)가 설치된다.
하의 걸이부(20)는 분할된 양 걸이부(21)(21')가 일단에서 상기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걸이부(11)(11')의 하단에 힌지(22)(22')로 연결되고, 타단에 결합돌기(21a)와 결합홈(21b)이 형성되어 서로 조립연결된다.
상기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양 걸이부(11)(11')는 하방으로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양 걸이부(11)(11')의 상단에 형성되는 양 누름부(13)(13')는 소정의 각도로 외향으로 벌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첩식 옷걸이(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의 걸이부(10)에 상의를, 하의 걸이부(20)에 하의를 걸어둔 상태를 가정하고, 옷걸이(1)로 부터 상,하의를 걷어 내는 방법을 설명한다.
대향된 양 누름부(13)(13')를 누루게 되면,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양 걸이부(11)(11')가 힌지(1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벌어지는 양 걸이부(11)(11')에 힌지 연결된 하의 걸이부(20)의 양 걸이부(21)(21')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걸이부(21)의 결합돌기(21a)가 걸이부(21')의 결합홈(21b)으로 부터 빠지면서 그 자중에 의해 양 걸이부(21)(21')는 힌지(22)(2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의 걸이부(20)에 걸려 있던 하의가 자연스럽게 밑으로 흘러내려져 옷걸이로 부터 해제되는 상태가 되고, 한편 누르고 있던 양 누름부(13)(13')의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의 걸이부(10)를 구성하는 양 걸이부(11)(11')가 힌지(1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 접철됨에 따라 상기 상의 걸이부(10)에 걸어진 상의 역시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흘러내려 옷걸이로 부터 해제된다.
상,하의를 빼낸 후 옷걸이(1)를 보관하거나 이동시에는 하방으로 처진 하의 걸이부(20)의 양 걸이부(21)(2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양 걸이부(21)(21')는 힌지(22)(2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양 걸이부(11)(11')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양 걸이부(11)(11')를 포개지게 하면 상기 양 걸이부(11)(11')는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완전히 포개진 상태로 절첩이 완료된다.
즉, 옷걸이이 길이가 반으로 줄어져 간편한 보관 및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철식 옷걸이(1)로 티셔츠 등과 같이 앞섬이 트여지지 않는 상의를 걸때에는 접철된 상태로 하여 목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가 있어 편리한 옷걸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의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옷걸이(1')는, 분할된 양 걸이부(41)(41')가 일단에서 힌지(42)로 연결되는 상의 걸이부(40)와, 분할된 양 걸이부(51)(51')가 일단에서 상기 상의 걸이부(40)를 이루는 걸이부(41)(41')의 하단에 힌지(52)(52')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나의 힌지(53)로 연결되는 하의 걸이부(5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하의 걸이부(50)의 힌지(53)는 수평 중심선으로 부터 약간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절첩식 옷걸이(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하의 걸이부(50)의 중앙 힌지(53)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힌지(53)를 중심으로 양 걸이부(51)(51')가 상방으로 꺽이면서 절첩이 개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양 걸이부(51)(51')에 힌지 연결된 상의 걸이부(40)의 양 걸이부(41)(41')가 안쪽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힌지(4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절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의 걸이부(40)에 걸어진 상의가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옷걸이로 부터 해제된다.
상,하의를 빼낸 후 옷걸이(1')를 보관하거나 이동시에는 양 걸이부(41)(41')를 완전히 포개지게 하면 하의 걸이부(50)의 양 걸이부(51)(51')는 상의 걸이부(40)를 이루는 양 걸이부(41)(41')의 수용홈으로 수용되는 상태로 완전한 절첩이 완료된다.
즉, 옷걸이이 길이가 반으로 줄어져 간편한 보관 및 취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접철식 옷걸이(1') 역시 티셔츠 등과 같이 앞섬이 트여지지 않는 상의를 걸때에는 접철된 상태로 하여 목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가 있어 편리한 옷걸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첩식 옷걸이는, 양부로 분할되어 힌지연결된 상의 걸이부와, 양부로 분할되어 힌지연결된 하의 걸이부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옷을 걸거나 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작은 길이로 절첩이 가능하여 그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옷걸이에 있어서,
    분할된 양 걸이부(11)(11')가 일단에서 힌지(12)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12)가 위치한 각각의 일단에 누름부(13)(13')가 외향으로 대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12)를 통해 걸이구(30)가 설치되는 상의 걸이부(10)와;
    분할된 양 걸이부(21)(21')가 일단에서 상기 상의 걸이부(10)를 이루는 걸이부(11)(11')의 하단에 힌지(22)(22')로 연결되고, 타단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하의 걸이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옷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걸이부(20)의 연결수단은 일측의 걸이부(21)에 결합돌기(21a)를, 타측의 걸이부(21')에 결합홈(2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옷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걸이부(20)의 연결수단은 힌지(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옷걸이.
KR2019980015549U 1998-08-19 1998-08-19 절첩식 옷걸이 KR200000049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549U KR20000004923U (ko) 1998-08-19 1998-08-19 절첩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549U KR20000004923U (ko) 1998-08-19 1998-08-19 절첩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923U true KR20000004923U (ko) 2000-03-15

Family

ID=6951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549U KR20000004923U (ko) 1998-08-19 1998-08-19 절첩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9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919B1 (ko) * 2018-12-05 2020-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형태 가변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919B1 (ko) * 2018-12-05 2020-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형태 가변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US20100059557A1 (en) Perfect shirt hanger
US20070007313A1 (en) Clip for hanging skirt
KR20000004923U (ko) 절첩식 옷걸이
KR101761743B1 (ko) 옷걸이
KR102199669B1 (ko) 옷걸이
KR20020034719A (ko) 절첩식 옷걸이
KR101673975B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행거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100665699B1 (ko) 세탁물 건조대
JP3964960B2 (ja) 折り畳み式物干器
KR200170069Y1 (ko) 다용도 옷걸이
JP3000503U (ja) 物干しハンガー
JP3844845B2 (ja) 物干器における本体枠の吊下げワイヤー取付構造
KR200285424Y1 (ko) 옷걸이
JPH0349671Y2 (ko)
KR200224962Y1 (ko) 양말걸이
KR200374805Y1 (ko) 옷걸이
JP2605937Y2 (ja) 物干しハンガー
KR0137749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 구조
KR20240047652A (ko) 주름 방지용 옷걸이
JP3089676U (ja) ハンガー装置
JP3020394U (ja) 衣服ハンガー
KR200185100Y1 (ko) 옷걸이
JPH1057692A (ja) 物干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