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375U -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375U
KR20000004375U KR2019980014787U KR19980014787U KR20000004375U KR 20000004375 U KR20000004375 U KR 20000004375U KR 2019980014787 U KR2019980014787 U KR 2019980014787U KR 19980014787 U KR19980014787 U KR 19980014787U KR 20000004375 U KR20000004375 U KR 200000043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older
transfer roller
shaf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3154Y1 (ko
Inventor
강내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54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사롤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홀더에 지지되는 베어링의 형상을 'U'형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U'형 베어링의 좌우 상단부는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직경보다 적은 거리를 가지며 일정 텐션을 갖도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리브로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에 전사롤러 샤프트를 장착할 때 상기 홀더를 본체 프레임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홀더를 손상시키기 않아도 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본 고안은 일반 전자사진 프로세서(Electrophotographic Processor)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기의 감광드럼과 맞물려서 용지상에 상기 감광드럼상의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사롤러(Transcriptable Roller)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 팩시밀리, 카피어등은 현상기를 카트리지 형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소모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상기는 대전롤러, 감광드럼, 현상롤러, 공급롤러, 토너적재부가 일체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 장착시, 상기 현상기의 하측에 돌출된 감광드럼이 본체의 전사롤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소모품인 현상기 카트리지는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내부의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나, 감광드럼과 맞물린 본체의 전사롤러는 감광드럼에 의해 오염되면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사롤러의 샤프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감광드럼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 고정장치는 상기 전사롤러를 교체하기 쉬운 구조로 구성해야 한다.
도 1은 일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이다. 일반 화상형성장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대전, 노광, 전사 및 정착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참고로 일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현상기 100의 프레임 101내의 적소에 감광드럼 102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 102의 일측에는 상기 감광드럼 102의 표면을 고전압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 103이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 102의 일측에는 감광드럼 102상의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롤러 104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현상롤러 104의 일측에는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105와, 상기 공급롤러 105에 다량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적재부 106이 차례로 구성된다.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감광드럼 102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그 하측 본체에는 상기 감광드럼 102와 맞물리도록 전사롤러 110이 설치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 110의 샤프트 110a를 고정하는 베어링 111과,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는 본체프레임 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120의 하측에는 상기 베어링 111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1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 120의 좌우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후크형상의 걸림부 121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111의 걸림턱 111a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본체프레임 120의 걸림부 121과 베어링 111의 걸림턱 111a는 스냅 핏(Snap Fit)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스프링 112의 하측에는 판스프링 122의 일단부가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120의 하측으로 인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의 전원부에 접속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종래기술의 제2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전사롤러 110의 샤프트 110a를 양단에서 지지하는 베어링 130과, 상기 베어링이 고정되는 홀더 140과, 상기 홀더내에서 상기 베어링 130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131 및 상기 홀더 140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프레임 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 130은 상기 홀더 140내에서 일정 가이드리브를 타고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 130의 하측에 설치된 가압스프링 131은 상기 베어링 13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전사롤러 110을 감광드럼과 일정 가압력을 가지며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 140의 일측 외면에는 후크형상의 돌기 141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프레임 150의 적소에는 구멍 1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 140은 본체프레임 150에 안착될 때, 상기 돌기 141이 상기 구멍 151에 안착되는 스냅핏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 13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스프링 131의 하측에는 판스프링 152의 일단부를 접속시키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홀더 140과 본체프레임 150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그 하측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 판스프링, 가압스프링, 베어링, 샤프트 및 전사롤러의 순서로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의 경우에 베어링은 본체프레임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변형으로 인하여 임의로 상기 전사롤러가 이탈될 수 있으며, 도 3의 경우에는 홀더를 사용하기는 하나 상기 전사롤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홀더를 분리시킨후, 홀더에서 베어링을 분리하여 전사롤러를 교체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프레임에서 홀더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사롤러를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동중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프레임상에 전사롤러를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측 양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홀더의 가이드리브에 상하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장착되는 전사롤러의 샤프트로 구성된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상측은 'U'형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U'형 베어링의 좌우 상단부는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직경보다 적은 거리를 가지며, 일정 텐션을 갖도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리브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양 가이드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베어링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이탈방지리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샤프트가 베어링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샤프트가 이탈될때, 베어링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샤프트가 장착될 때, 베어링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베어링 12: 가압스프링
20: 홀더 21: 이탈방지리브
30: 본체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샤프트가 베어링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전사롤러 샤프트가 이탈될때, 베어링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전사롤러 샤프트가 장착될 때, 베어링의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사롤러 고정장치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 110의 샤프트 110a가 삽입되는 베어링 11과, 상기 베어링 11이 안착되어 상하로 가이드되는 홀더 20과, 상기 홀더 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11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 12 및 상기 홀더 20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한 본체프레임 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스프링 12는 상기 전사롤러 110이 감광드럼과 일정한 접촉닙(NIP)을 가지며 접촉하도록 상기 샤프트 110a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 11의 상측은 'U'형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U'형 베어링 11의 좌우 상단부는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 110a의 직경보다 적은 거리를 가지며, 일정 텐션을 갖도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리브 11a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20의 양 가이드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베어링 11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이탈방지리브 21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20의 이탈방지리브 21의 상호 거리는 적어도 상기 각 텐션리브 11a의 상호 거리보다 길며, 적어도 상기 베어링 외주면의 최장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20의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의 돌기 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 30상에는 상기 홀더 20의 돌기 33에 삽입 고정되는 구멍 31이 형성된다.
상기 전사롤러 110의 샤프트 타측에는 도시되지 않는 단자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원을 상기 샤프트에 인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사롤러 110을 교환하고자 홀더 20에서 이탈시킬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전사롤러 110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상기 베어링 11은 전사롤러의 샤프트 110a에 의해서 당겨지다가 상기 샤프트 110a를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 11은 상기 홀더 20의 최상측에 위치한 이탈방지리브 21에 걸리게 되면서 샤프트 110a만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새로운 전사롤러 샤프트를 상기 홀더의 베어링에 장착할 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11의 텐션리브 11a사이에 상기 샤프트 110a를 삽입한 후, 일정힘으로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베어링 11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후, 상기 베어링 11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되면, 상기 샤프트 110a에 의해 'U'자형 텐션리브 11a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상기 샤프트 110a는 장착이 완료된다. 그후, 사용자가 상기 전사롤러 110에서 손을 떼게 되면 베어링 하측에 설치된 가압스프링 12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11은 상기 홀더 20의 이탈방지리브 21에 걸릴때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롤러 고정장치는 교환이나 수리를 목적으로 전사롤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전사롤러 샤프트를 고정하고 있는 베어링을 지지한 홀더를 본체프레임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 프레임상에 전사롤러를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내측 양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홀더의 가이드리브에 상하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장착되는 전사롤러의 샤프트로 구성된 전사롤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상측은 'U'형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U'형 베어링의 좌우 상단부는 상기 전사롤러 샤프트의 직경보다 적은 거리를 가지며, 일정 텐션을 갖도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텐션리브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의 양 가이드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베어링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내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이탈방지리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이탈방지리브의 상호 거리는 적어도 상기 각 텐션리브의 상호 거리보다 길며, 적어도 상기 베어링 외주면의 최장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 적소에는 일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상에는 상기 홀더의 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KR2019980014787U 1998-08-05 1998-08-05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KR200233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87U KR200233154Y1 (ko) 1998-08-05 1998-08-05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87U KR200233154Y1 (ko) 1998-08-05 1998-08-05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75U true KR20000004375U (ko) 2000-03-06
KR200233154Y1 KR200233154Y1 (ko) 2001-09-06

Family

ID=6951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787U KR200233154Y1 (ko) 1998-08-05 1998-08-05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7976A (zh) * 2017-05-19 2018-12-07 佳能株式会社 成像单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7976A (zh) * 2017-05-19 2018-12-07 佳能株式会社 成像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154Y1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3004A1 (en) A fusing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910003928B1 (ko) 화상형성 장치
KR200233154Y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US20100061780A1 (en) Cleaning apparatus
US6178300B1 (en) Photoreceptor web grounding structur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200233152Y1 (ko) 화상형성장치의전사롤러고정장치
KR200213869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전압 공급장치
KR2003455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전사닙 유지장치
KR19990041159U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고정장치
EP0833224B1 (en) Toner fixing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US6330421B1 (en) Apparatus for dissolving residual toner from a transfer roller and a photoreceptor belt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pon printing of a sheet/user actuation
KR100322568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접지장치
KR100223219B1 (ko)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급지카세트 착탈장치
KR200158212Y1 (ko) 독터 블레이드 청소장치
KR200162135Y1 (ko) 정착기의 정착 압력 가변 장치
KR012619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히트롤러 장치
KR20000020666U (ko) 정착기의 가열 롤러 클리닝장치
KR0138474Y1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정착기에 용지 말림 방지장치
KR100214314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0122126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잠상 제거 장치
KR0126928Y1 (ko) 정착기 장치
KR100191201B1 (ko)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KR20000018744U (ko) 현상기의 고전압 공급구조
JP2758884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