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327U - 스탠드 폭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폭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327U
KR20000004327U KR2019980014684U KR19980014684U KR20000004327U KR 20000004327 U KR20000004327 U KR 20000004327U KR 2019980014684 U KR2019980014684 U KR 2019980014684U KR 19980014684 U KR19980014684 U KR 19980014684U KR 20000004327 U KR20000004327 U KR 20000004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processing unit
edge roll
width rol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3152Y1 (ko
Inventor
박대수
현인복
소재민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4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5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6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vertically, e.g. 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edger) 롤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 스텐드 압연기에서 폭 압연작업을 하는 에져롤을 압연기에서 에져롤을 해체하지 않고 폭 압연기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스텐드 폭 압연기에서 구동되는 에져롤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연삭이 가능한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 롤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주하는 한쌍의 에져롤을 설치하고, 상기 에져롤 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폭방향 압연을 실시하는 스탠드 폭 압연기에서, 상기 폭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래크와 피니온에 의하여 수평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부 고정빔과,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에 대하여 래크와 피니온에 의하여 수직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부 몸체부와,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을 수평이송가능하게 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가공부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석을 작업위치로 이송가능하며 지석을 회전시키는 지석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탠드 폭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본 고안은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 롤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 스텐드 압연기에서 폭 압연작업을 하는 에져롤을 압연기에서 해체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에서 스텐드 폭 압연기에서 구동되는 에져롤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연삭이 가능하게 하는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 롤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이라 함은 강괴 또는 강편과 같은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끼우고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압연기 중에서 폭압연기(edger mill)는 폭압연을 실시하는 설비로서 20 - 30mm의 소폭압연이 가능한 설비이다. 폭압연기(edger mill)의 부품중 에져롤(edger roll)은 폭압연기에 한쌍이 마주하여 설치되는데, 에져롤은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에져롤의 표면의 피로층에 의하여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에져롤의 결함으로 인하여 압연에 의한 제품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제품의 품질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종래에는 스텐드 폭 압연기의 압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져롤 전면에 발생되는 피로층을 선삭작업 후 재사용을 한다. 에져롤을 선삭하기 위해서는 에져롤을 폭폭 압연기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폭 압연기(5)에서 구동되는 에져롤(2) 구동 상황도이고, 강괴 또는 강편이 구동롤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후에 한쌍의 에저롤(2)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에져롤(2)은 에져롤 스핀들(7,7-1)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2는 폭 압연기(5)에 조립된 에져롤(2) 선삭 작업을 위한 에져롤(2) 해체작업 상황도로서, 에져롤(2)을 폭 압연기(5)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에져롤 스핀들(7,7-1)을 제거하고 크래인을 에져롤(2)의 상부로 이동시킨후에 로프(4,9)와 샤클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에져롤(2)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에져롤 디바이스(10)를 이용한 에져롤 쵸크(1, 1-1) 해체 작업 상황도이고, 도 4는 에져롤 다비이스(10) 안착을 위한 쵸크(1,1-1) 전도 상황도로서, 와이어 로프(4,9)를 에져롤(2)의 몸체에 건후, 와이어 로프(4,9)를 크래인(8)에 걸어서 폭 압연기(5)로부터 에져롤(2)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쵸크(7, 7-1)가 제거된 에져롤(2) 선삭작업 상황도로서, 폭 압연기(5)에 조립된 에져롤(2)을 크레인 와이어 로프(4,9)와 대형 샤클(3)을 이용 해체한 후 정비장으로 이동하여 크레인(8)과 와이어 로프(4,9)를 동시에 이용하여 전도시킨 후, 에져롤 디바이스(10)에 안착시켜 쵸크(chock: 1, 1-1))를 제거하였다. 취외된 에져롤(2)은 선반(11)의 척에 물려진 후 에져롤(2)의 피로층을 절삭하여 제거한후, 폭 압연기(5)에 다시 취부된다. 피로층이 제거된 에져롤(2)의 표면은 견고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제품의 불량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술한 작업 진행 과정에서 폭 압연기(5)에서의 작업자 추락위험과 에져롤(2) 전도시 와이어 로프(4,9)의 소선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대되었고 쵸크(7,7-1)가 해체된 에져롤(2) 선삭을 위해 크레인 줄걸이 작업으로 운반하여 롤 선반에 안착하여 선삭하는 작업을 수햄함으로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자가 육체적 부담으로 인한 선삭작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특히 에져롤(2)을 폭 압연기(5)에서 분리하여 선삭가공한 후 다시 폭 압연기(5)에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설비의 휴지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폭 압연기에서 에져롤을 분리하지 않고 피로층을 제거하여 정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어져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탠드 폭압연기에서 사용되는 에져 롤을 폭 압연기에 조립된 상태에서 에져롤의 피로층을 제거하므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설비의 휴지시간을 줄일수 있는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 롤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폭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래크와 피니온에 의하여 수평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부 고정빔과,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에 대하여 래크와 피니온에 의하여 수직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가공부 몸체부와,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을 수평이송가능하게 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가공부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석을 작업위치로 이송가능하며 지석을 회전시키는 지석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폭 압연연기에서 구동되는 에져롤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압연기에 조립된 에져 롤 선삭 작업을 위한 에져 롤 해체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에져롤 쵸크 해체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에져 롤 다바이스 안착을 위한 쵸크 전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쵸크가 제거된 에져롤 선삭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몸체부 기어박스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가공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에져롤 연삭장치가 스탠드 폭압연기에서 작동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초크 2: 에져롤
3: 샤클 4,9: 와이어 로프
5: 폭 압연기 7,7-1: 에져롤 스핀들
8: 크래인 10: 에져롤 디바이스
11: 선반 12: 고정몸체
15: 기어박스 21: 지지프레임
24: 가공부 고정빔 34: 가공부 몸체부
36: 커버 40,40a: 지석 회전부
30,42,54: 모터 45,45-1,23,16,32,39,57,57a: 베어링
36: 제 1래크기어 19: 제 2래크기어
48,48-1: 지석이송 프래임 41: 워엄 기어
43: 워엄휠 44,44-1: 스크류
55,56: 베벨기어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완성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구분하여, 기어박스(15), 가공부 고정빔(24), 가공부 몸체부(34), 지석회전부(40,40a)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가공부 몸체부(34)는 ┴ 자형의 프래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공부 몸체부(34) 측면에는 제 1래크기어(36)가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 1래크기어(36)에 접하여 피니온기어(31)가 모터(3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공부 몸체부(34)의 하부에는 지석회전부(40,4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지석회전부(40,40a)의 양측에는 한쌍의 지석이송 프래임(48,48-1)이 장착되어 있다. 지석이송 프래임(48,48-1)은 가공부 몸체부(34)의 하부에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공부 몸체부(34)는 수평 부재 및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 자형을 이루고 있다.
가공부 고정빔(24)은 상술한 가공부 몸체부(34)의 측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데, 상술한 가공부 몸체부(34)가 가공부 고정빔(24)의 개구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가공부 고정빔(24)의 일 측면에는 피니온기어(25)가 장착되어 있다. 제 2래크기어(19)와 접하여 형성된 피니온기어(25)는 가공부 고정빔(24)을 관통함과 동시에 래크기어에 접하여 있다.
기어박스(15)는 고정 프래임(21a)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기어 박스(15)의 내부에는 제 2래크기어(19)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래크유동 실린더(17)에 의하여 수평이송된다. 래크유동 실린더(17)의 구동에 의하여 제 2래크기어(19)가 수평이동됨에 따라 상술한 가공부 고정빔(24)의 일측에 장착된 피니온기어(25)가 회전하고, 피니온기어(25)의 회전과 함께 가공부 고정빔(24)이 수평이송된다. 한편, 피니온 기어(25)가 장착된 축은 지지프래임(21)과 기어박스(15)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조정부(58)에는 자동입력판넬(60) 및 모니터(59), 절입량설정 스위치(63), 모터 구동스위치, 자동입력판넬(60), 래크유동 실린더 조작레버(61), 스크류 회전모터 조정 스위치(64), 가공지석 회전모터 구동스위치(65), 가공지석 회전모터 오프스위치(66)가 설치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몸체부 기어박스(15) 단면도로서, 래크 유동실린더(17)의 구동에 의하여 제 2래크기어(19)가 전후진하고 이에 따라 피니온기어(25)가 회전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지석회전부(40,40a) 단면도로서, 지석회전부(40,40a)의 중앙에는 워엄기어(41)가 삽장되어 있다. 워엄기어(41)에는 워엄휠(43)이 워엄기어(4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하여 있으며, 워엄휠(43)의 양측단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 스크루(44)와 왼나사가 형성된 스크류(44-1)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크루(44,44-1) 단부에는 지석이송프래임(48,48-1)이 장착되어 있다. 지석이송프래임(48,48-1)의 내부에는 한쌍의 베벨기어(55,56)가 장착되어 있는데, 하나는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수직으로 장착되어있다. 베벨기어(55,56)는 베어링(57,57a)에 장착되며, 축의 단부에는 지석(52,52-1)이 고정된다.
한편, 워엄휠(43)의 양측, 피니온기어(25,31)가 장착된 축에는 베어링(16,32)이 장착되어 있으며, 가공부 몸체부(34)의 제 1래크기어(36)에는 상부 및 하부 커버(28,29)가 고정된다. 또한 피니온기어(31)를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30)가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작업자는 폭 압연기(5)에서 구동되는 에져롤(2)의 압연 중 형성된 피로층을 가공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압연작업실에 설치된 조정부의 모니터의 폭 압연기 조건과 상태를 확인후 수동 조작시는 레크 유동실린더 조작레버(61)를 조작하여 가공부 고정빔(24)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후, 가공부 유동 모터 조작레버(62)를 조작하여 에져(2)롤 전면에 가공부 몸체부(34)를 하강시켜 가공준비를 완료한다. 이후 가공지석 회전모터 구동스위치(65)를 조작하여 가공지석(52)을 구동시키고 또한 절입량 설정 게이지를 확인 후 스크류 회전모터 조정스위치(64)를 조작하여 가공 절립량을 설정하여 가공한다. 또한 자동 절입 가공시에는 모니터(59)를 확인하여 위의 가공 조건들을 설정하여 조정 입력판넬(60)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적정량을 자동으로 가공을 실시한다.
한편, 에져롤(2)을 가공하기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래크 유동실린더(17)를 구동하게 되면, 가공부 고정빔(24)의 측면에 설치된 피니온기어(25)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가공부 고정빔(24)은 수평 이송된다. 래크 유동실린더(17)를 적당히 조절하여 에져롤(2)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후에 지석(52,52-1)을 에져롤(2)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가공부 몸체부(34)의 측면에 형성된 제 1래크기어(36)와 접하고 있는 피니온 기어(31)를 구동하는 모터(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지석(52,52-1)의 위치가 에져롤에 인접하게 된다. 이때 워엄기어(4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 지석이송 프래임(48,48-1)의 위치가 양 에져롤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한다. 워엄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지석 이송프래임(48,48-1)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 질수 있는 것은 워엄훨(43)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루(44,44-1)의 나사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각각의 지석이송프래임(48,48-1)에 내장된 모터(54)를 구동하여 베벨기어(55,56)를 회전시킴에 따라 지석(52,52-1)이 회전하게 되고, 지석(52,52-1)은 에져롤(2)의 표면에 형성된 피로층을 연삭가공에 의하여 제거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압연롤의 에져롤 표면에 형성되는 피로층을 제거함에 있어 에져롤을 압연롤에서 제거하지 않고 피로층을 연삭가공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져롤의 피로층 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설비의 휴지시간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에져롤을 폭 압연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크래인을 이용한 중량물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마주하는 한쌍의 에져롤사이를 통과하는 스트립의 폭방향 압연을 실시하기 위한 스탠드 폭 압연기에서,
    상기 스탠드 폭 압연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 프래임과,
    상기 고정프래임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단부에 개구를 가지는 가공부 고정빔과,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개구에 삽입되어 수직이송 가능하며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가공부 몸체부와,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을 수평이송가능하게 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가공부 몸체부의 상기 수평부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석을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마주하는 지석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석회전부 사이에는 워엄휠 및 워엄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지석회전부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폭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 몸체부의 수직부재 일측에는 래크기어 및 피니온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가공부 고정빔의 개구에서 상기 가공부 몸체부가 수직이송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폭 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KR2019980014684U 1998-08-04 1998-08-04 스탠드폭압연기의에저롤연삭장치 KR200303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84U KR200303152Y1 (ko) 1998-08-04 1998-08-04 스탠드폭압연기의에저롤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84U KR200303152Y1 (ko) 1998-08-04 1998-08-04 스탠드폭압연기의에저롤연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27U true KR20000004327U (ko) 2000-03-06
KR200303152Y1 KR200303152Y1 (ko) 2003-04-18

Family

ID=4940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684U KR200303152Y1 (ko) 1998-08-04 1998-08-04 스탠드폭압연기의에저롤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152Y1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4405B1 (de) Entgratschleifmaschine
EP134460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äumen von Glaszuschnitten
US2807123A (en) Grinding machines and the like
DE102010050151A1 (de) Vorrichtung zur Bildung einer Fase
WO2018091023A1 (de) Vorrichtung zum beseitigen von brennbärten an brammenkanten
WO2014063172A1 (de) Vorrichtung zum schleifen und säumen flächiger werkstücke
KR20000004327U (ko) 스탠드 폭압연기의 에져롤 연삭장치
AT410525B (de) Vorrichtung zum bearbeiten der seitenkanten von skiern
CN115609073A (zh) 一种可快速横移切换的碎边剪
US4387584A (en) Steel pipe rolling mill
KR19990000376U (ko) 강판 가장자리의 버어 제거장치
JP3897669B2 (ja) 形鋼圧延機用ガイド装置
KR100711369B1 (ko) 주편 용삭설 제거장치
JPS61182876A (ja) 研削装置を有するレーザー溶接装置
US3129639A (en) Roll groove milling machine
KR100507576B1 (ko) 롤 조립용 유압너트의 롤저널부 분해조립 및 그 연마장치
KR100508649B1 (ko) 비·유·알 쵸크착탈장치
KR200227181Y1 (ko) 후강판의가스절단설자동제거장치
KR100851154B1 (ko) 사이드 트리머의 백업롤 오염 방지장치
KR20030097378A (ko) 크롭셔 나이프 자동교환장치
JP3362832B2 (ja) ウエブガイド装置
KR970006540Y1 (ko) 스킨패스라인 롤 표면이물 제거장치
KR100960387B1 (ko) 2조 조질 압연기용 언더형 버클 제어장치
KR970007120Y1 (ko) 압연롤 선삭가공장치의 쵸크(Chock)고정장치
KR100854362B1 (ko) 대형 폭 압연 롤 다기능 정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