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063A -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063A
KR20000004063A KR1019980025447A KR19980025447A KR20000004063A KR 20000004063 A KR20000004063 A KR 20000004063A KR 1019980025447 A KR1019980025447 A KR 1019980025447A KR 19980025447 A KR19980025447 A KR 19980025447A KR 20000004063 A KR20000004063 A KR 2000000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food waste
unit
tank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1827B1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박창수
김원재
엠에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김원재, 엠에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101998002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8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7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means for collecting fermentation gases, e.g. m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를 제공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또는 투입하기 위한 전처리부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부와 발효부에서 발효된 발효부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부와 전처리부 또는 발효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오필터부를 포함한다. 바이오필터부는 발효부의 발효부산물을 수용하고 숙성하는 숙성조와 전처리부 또는 발효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숙성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하기 위해서는 죽상화장치와 선별기를 더 구비한 전처리실과 사일로를 구비한 제2발효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생성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본 발명은 토양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거나 사료화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인구가 증가하여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도시에서 배출된다. 이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 넓은 매립장이 요구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어느 정도 자연적으로 분해되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때,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거나, 유해 미생물이 자라 번질 위험도 있다. 매립장에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것은 커다란 침출수 문제를 야기한다. 침출수는 땅을 썩게 하고, 하천의 오염을 가져온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소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이 많아 소각온도를 떨어뜨려, 별도의 연료 소비를 요구한다. 낮은 온도에서 소각하면,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미생물, 예를 들면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특별한 장치를 요구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사용하는 특정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는 조건을 잘 유지해 주어야 하므로 통상 그러한 장치는 고가이다. 또한, 특정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곤란하며, 용량 변화에 따른 완충 능력이 떨어진다. 나아가 장치를 운영하는 고급인력이 필요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처리 장치는 음식물로부터 추출되는 다량의 침출수를 처리하는 별도의 장치를 요구하며, 악취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처리 플랜트가 제시되고 있다. 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발효부산물을 숙성하는 넓은 숙성실이 필요하므로 넓은 면적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플랜트 설비시 부지확보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폭넓게 재활용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효과가 크고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운영비가 저렴하고 수분 감량장치가 필요없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로서 플랜트의 사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의 평면도
도3은 발효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의 평면도
도7은 도5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 구비된 선별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1: 쓰레기 처리 플랜트 10, 210: 전처리부
30: 발효부 32, 232: 발효조
34, 234: 교반장치 100: 바이오필터부
105: 공기공급장치 106: 숙성조
230: 제1발효부 250: 제2발효부
252: 사일로 300: 부대장치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또는 투입하기 위한 전처리부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부와 발효부에서 발효된 발효부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부와 전처리부 또는 발효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오필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를 제공한다. 바이오필터부는 발효부의 발효부산물을 수용하고 숙성하는 숙성조와 전처리부 또는 발효부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숙성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죽상화하여 선별하는 전처리부와 발효기초재료 및 전처리부에서 죽상화한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발효시키는 제1발효부와 제1발효부에서의 발효부산물을 혐기성 발효시키는 제2발효부와 제2발효부의 발효산물을 처리하는 후처리부와 전처리부 또는 제1발효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부대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1)는 전처리부(10), 발효부(30), 후처리부(70)와 바이오필터부(100)를 갖는다. 발효부(30)와 바이오필터부(100)는 병렬로 배치된다. 전처리부(10)와 후처리부(70)는 발효부(30)와 바이오필터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전처리부(10)는 저장호퍼(12), 침출수조(14), 전처리실(16)로 이루어지며 저장호퍼 공기흡입구(18), 침출수조 공기흡입구(19)와 덕트(20)를 갖는다. 저장호퍼(12)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된다. 침출수조(14)는 저장호퍼(12)와 연결되어, 저장호퍼(12)에 저장 중 흘러나오는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모아 처리한다. 전처리실(16)은 발효부(30)에서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를 수용하거나 저장호퍼(12)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한 로더(17)의 작동 공간을 제공한다. 전처리부(10)는 저장호퍼(12)와 전처리실(16)로 구획되며 저장호퍼(12)와 인접한 위치에 침출수조(14)가 설치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발효부(30)는 발효조(32), 교반장치(34)를 구비하며 발효조 공기흡입구(40)와 덕트(42)를 갖는다. 발효조(32)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처리하는 곳이다. 발효부(30)는 전처리부(10)와 후처리부(70)로 소통할 수 있다. 발효부(30)와 바이오필터부(100)는 벽(33)에 의하여 차단된다. 발효부(30)에는 3개의 발효조(32)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통상 발효조(32)의 크기와 수는 반입되는 음식물 쓰레기(48)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도3은 발효조(32)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발효조(32)는 깊이가 1.5m이고 폭이 6m이며 길이는 33m인 조(bath)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효조는 이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깊이나 폭이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3개의 발효조(32)에는 각각 교반장치(34)가 설치된다. 교반장치(34)는 로터리식의 교반날개(50)를 갖는다. 교반장치(34)에는 음식물 쓰레기나 침출수를 발효조(32) 내에 공급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46)가 장착된다. 이 공급장치(46)는 잔반탱크(52)와 기울임장치(54)로 이루어진다. 교반장치(34)의 몸체는 부식방지를 위해 내약품성 및 증기 접촉에 강한 특수도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46)는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장치(34)는 교반날개(50)가 교반할 수 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효조(32)의 바닥으로부터 50cm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와 음식물 쓰레기(48)만을 교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발효조(32)의 양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교반장치(34)는 레일 위에서 발효조(3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와 음식물 쓰레기(48)를 섞어주고 뒤집어 준다. 발효조(32)에는 발효조(32)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가 설치된다.
발효조(32)의 바닥에는 통기구멍(36)이 설치된다. 이와는 달리, 송풍관을 발효조(32) 바닥에 드러나게 설치하고 그 관에 구멍을 뚫어 송풍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통기구멍(36)은 송풍관(41)를 통하여 플랜트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38)와 연결되어 있다. 후처리부(70)와 인접한 부분에는 발효조(32)의 말단을 막을 수 있는 문(56)이 설치된다. 발효부(30)의 천정에는 공기흡입기(40)가 마련된다. 발효조 공기흡입구(40)는 덕트(42)를 통해 바이오필터부(100)에 연결된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후처리부(70)는 제1선별기(72), 제2선별기(73), 포장기(76), 퇴비저장창고(78), 후처리실(79)과 출하대(80)를 갖는다. 발효부산물을 제1선별기(72)로 공급하기 위한 제1콘베이어(75) 및 퇴비를 포장기(76)로 운반하기 위한 제2콘베이어(77)도 구비한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효부(30)와 인접한 위치에는 퇴비저장창고(78)와 후처리실(79)이 배치된다. 후처리실(79) 및 바이오필터부(100)와 인접한 위치에 제1선별기(72)가 배치된다. 제1선별기(72)의 옆에는 제2선별기(73)가 있다. 제2선별기(73)에 이어서 차례로 포장기(76) 및 출하대(80)가 배치된다. 후처리실(79)에는 발효부산물을 운반하기 위한 로더(47)가 배치된다. 제1선별기(72)는 경사 회전 스크린을 갖는 로터리 스크린식 선별기이다. 제1선별기(72)는 스크린 구멍의 크기는 가로 30mm, 세로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선별기(73)는 제1차 선별기(72)와 동일하나 스크린 구멍의 크기는 가로 10mm, 세로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 쓰레기나 발효부산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제1선별기(72)와 제2선별기(73)의 스크린 구멍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포장기(76)는 퇴비를 포장하는 것으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계측기와 자동포장기가 설치된다. 포장된 퇴비를 보관하기 위해 퇴비저장창고(78)가 마련되고 출하를 위해 출하대(80)가 마련된다.
계속해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바이오필터부(100)는 숙성조(106)와 교반장치(112)와 공기공급장치(105)를 갖는다. 숙성조(106)는 제1선별기(72)와 인접해 있어 선별된 발효부산물을 이동시켜 숙성조(106)에 수용하기 용이하다. 숙성조(106)는 발효조(32)와 나란히 설치된다. 숙성조(106)의 구성은 발효조(32)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다. 숙성조(106)에는 발효조(32)에서 발효 처리되고 1차 선별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부산물(110)이 수용된다. 숙성조(106)에는 숙성에 필요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를 함께 수용할 수도 있다. 통기구멍(102)이 숙성조(106)의 바닥에 설치된다. 숙성조(106)에도 발효부산물과 필요영양소를 공급하거나 교반혼합하기 위한 교반장치(112)가 설치된다. 교반장치(112)는 발효조(32)의 교반장치(3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공기공급장치(105)는 송풍기(104)와 송풍관(122)를 구비한다. 송풍기(104)는 저장호퍼 공기흡입구(18), 침출수조 공기흡입구(19), 발효조 공기흡입구(40)와 덕트(42)를 통하여 연결된다. 송풍기(104)는 또한 송풍관(122)을 통하여 숙성조(106)의 통기구멍(102)과 연결된다. 도4를 참조하면, 바이오필터부(100)는 벽(33)에 의해 발효부(30)와 격리된다. 바이오필터부(100)는 숙성조(106) 상측의 측벽(126)에 설치된 기체유출구(108)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다. 기체유출구(108)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정에 설치할 수도 있다. 기체의 유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기체유출구(108)에 송풍기(1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전처리 공정, 혼합건조발효공정, 후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공정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반입 차량에 의해 전처리부(10)의 저장호퍼(12)에 반입 후 저장된다. 저장호퍼(12)에 음식물 쓰레기를 짧은 시간동안 체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자연 탈수된 침출수는 침출수조(14)로 유입된다.
혼합 건조 발효공정
1. 처리제 투입
먼저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를 발효조(32)에 공급하여 채워 넣는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는 미생물이 배양된 미생물 배양제와 수분조절제를 혼합한 후 미생물을 배양한 것이다. 이 때 배양된 미생물은 토양 미생물로서 통성 호기성 미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한 후 이를 영양배지에서 배양한다. 다시, 이를 쌀겨, 깻묵, 황토, 제올라이트를 적절히 배합한 것에 섞어 미생물을 배양하여 미생물 배양제를 제조한다. 그 후 미생물 배양제와 톱밥 또는 왕겨로 이루어진 수분조절제와 미생물 배양제를 혼합하고 미생물을 배양하여 처리제를 제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처리제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고 적절한 수분조절제가 포함된 것이면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플랜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플랜트에서 사용하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 중 하나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97-74851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처리제일 수도 있다.
2. 음식물 쓰레기 투입
발효조(32)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 위에 운반차량을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48)를 공급한다. 음식물 쓰레기(48)는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46)의 잔반탱크(52)를 기울여 공급한다. 이때 잔반탱크(52)가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함에 따라 잔반탱크(52)의 기울기를 점점 더 크게하여 일정한 두께로 발효조(32)에 공급한다. 음식물 쓰레기(48)의 공급은 음식물 쓰레기(48)의 양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1일 1회 이루어진다.
3. 혼합 및 발효
교반장치(34)가 발효조(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와 음식물 쓰레기(48)를 교반 혼합한다. 이때, 투입된 소재는 혼합 파쇄되며, 발효에 적절한 공기량이 공급되며, 온도가 조절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와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48)는 처리제(44) 내에 포함된 토양 미생물에 의해 발효촉진된다. 이 때,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48)가 분해되어 그 양이 감소된다.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음식물의 수분은 수증기가 되어 배출된다. 또한, 유기물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4. 송풍 및 침출수의 분사
발효조(32) 바닥에 설치된 통기구멍(36)은 통하여 발효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한다. 송풍은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한 송풍이다. 통성 호기성, 통성 혐기성 미생물의 생존조건을 맞추어주기 위해 단속적으로 제한 송풍을 반복한다.
고속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수분이 수증기로 바뀌어 날아가므로 발효조(32) 내의 수분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공급장치(46)의 잔반탱크(52)에 침출수를 넣고 침출수를 공급하여 수분 함수율을 조절한다. 미생물 배양 처리된 침출수는 미생물이 풍부하므로 발효조(32) 내의 발효작용을 촉진한다.
5. 음식물 쓰레기의 재투입 및 혼합 발효 건조 공정
음식물 쓰레기(48)의 발효가 이루어지고 있는 발효조(32)에 음식물 쓰레기(48)를 예를 들면, 하루에 1회씩 다시 공급한다. 음식물 쓰레기(48)가 재투입한 후 교반장치(34)로 혼합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48)의 공급과 교반에 의한 혼합건조 발효 공정은 일정기간, 예를 들면 6개월 동안 반복한다. 건조혼합 발효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빠르게 소멸되므로, 계속 재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 부산물의 배출
음식물 쓰레기(48) 투입과 혼합 공정을 반복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44)에 포함된 수분조절제도 분해가 진행된다. 수분조절제가 분해되면, 수분조절제의 입자가 작아지고, 함수율이 높아져 수분의 흡수 능력이 떨어지며, 통기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부산물은 발효조(32)로부터 배출한다. 발효 중인 상태에서도 일부의 부산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후처리 공정
후처리 공정에는 발효부산물을 대형 원통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제1선별기(72)에서 선별한다. 선별된 이물질은 소각, 매립 등의 방법으로 폐기된다. 선별된 발효부산물은 바이오필터부로 운반되어 숙성과정이 진행된다. 숙성되는 발효부산물은 필터로서도 기능한다. 숙성된 발효부산물은 다시 후처리부로 운반되어 제2선별기(73)에 투입된다. 제2선별기(73)는 숙성된 발효부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한다. 선별이 완료되면 퇴비가 된다. 퇴비는 포장기(76)에서 포장되어 출하대(80)를 거쳐 출하된다.
한편 숙성공정에서는 발효시 분해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리그닌 및 셀롤로오스 등의 성분을 분해한다. 이를 위해 제1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발효부산물이 바이오필터부(100)에 운반되어 숙성조(106)에 수용된다. 발효 부산물(110)의 투입량과 투입간격은 발효부(30)로부터 배출되는 투입양과 투입간격에 맞도록 조정한다. 발효부산물(110)의 투입 후 통기구멍(102)을 통해 발효부(30)나 전처리부(10) 등 플랜트 내부에서 흡입한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숙성조(106)에 송풍기(104)를 이용하여 공급한다. 바이오필터링된 기체는 바이오필터부(100)의 측벽(126)에 설치된 기체유출구(108)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숙성 과정 중에도 교반장치(112)를 이용하여 발효부산물을 뒤집어준다. 숙성이 진행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악취가 발효부산물(110)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걸러진다. 숙성이 완료되면 후처리부(70)로 숙성된 발효부산물을 다시 운반한다. 이 때 40일 정도 숙성된 발효부산물을 다시 발효부(30)의 발효조(32)에 전량 또는 일부만을 재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숙성조(106)로부터 숙성된 발효부산물을 후처리부(70)로 운반하기 전에 숙성조(106) 내에 설치된 교반장치(112)를 이용하여 부산물에 계분, 황토, 제오라이트 등과 식물 생장의 필수 요소인 N, P, K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플랜트(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1)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중의 하나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97-74850호에 기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제1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효부(30)와 바이오필터부(100)는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층의 건물에 발효부(30)를 1층에 설치하고 바이오필터부(100)를 2층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하므로 발효부(30)에서 포집한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바로 위층에 설치한 바이오필터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음식물쓰레기 공급장치(46)를 이용하여 침출수를 발효조(32)에 공급하나 침출수를 발효조(32) 내에 분사 등의 방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침출수조(14)와 연결된 스프링클러(springkler) 수분 공급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교반장치(34)에 별도의 수분 공급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숙성조(106) 내에 설치된 교반장치(112)를 이용하여 후숙된 발효부산물에 필요영양소를 혼합하나 후처리부에 별도의 혼합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혼합기는 제1선별기(73)과 포장기(7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201)는 전처리부(210), 제1발효부(230), 제2발효부(250), 후처리부(270)와 부대장치(300)를 갖는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201)에는 발효부(30)와 부대장치(300)가 병렬로 배치된다. 전처리부(210)와 후처리부(270)는 발효부(230)와 부대장치(3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전처리부(210)는 저장호퍼(212), 음식물 쓰레기 죽상화장치(216), 선별기(218), 공기흡입구(219)와 전처리실(221)을 갖는다. 저장호퍼(212)에는 반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된다. 전처리부(210)의 음식물 쓰레기 죽상화장치(216)는 투입호퍼(21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저장호퍼(212)로부터 전달된 음식물 쓰레기를 죽상화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죽상화장치(216)는 가열장치(217A)와 용기(217B)를 갖는다. 용기(217B)에는 교반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있다. 가열장치(217A)는 용기(217B)에 열을 가하여 용기(217B)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끓여준다.
선별기(218)는 죽상화장치(216)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7에서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별기(218)는 죽상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다수의 구멍(220)이 있는 원통(222)을 갖는다. 원통(222)의 상부에는 투입구(224)가 있고, 일단부에는 배출구(226)가 있다. 배출구(226)는 원하는 경우 열고 닫을 수 있다. 원통(222)의 내측에는 원통의 내면과 접하면서 이동가능한 피스톤(228)이 있다. 피스톤(228)은 유압장치 등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218)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원통(222)에 적절한 크기의 구멍이 있는 통을 고속 회전시키는 원심분리를 이용하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처리실(221)에는 발효부산물과 혼합할 영양소재가 저장된다. 전처리실(221)에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발효조(232)에 투입될 재료를 쌓아두거나, 이들을 운반하기 위한 로더(229)가 배치된다. 공기흡입구(219)는 전처리부(210) 상부 공간에 마련된다.
다시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발효부(23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발효부(230)는 발효조(232), 교반장치(234), 공기흡입구(235), 통기구멍을 갖는다. 제1발효부는 3개의 발효조를 갖는다. 3개의 발효조(232)는 병렬로 배치된다. 3개의 발효조(232)에는 각각 교반장치(234)가 설치된다. 교반장치는 발효조(232)에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고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기초재료를 교반하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발효부산물 위에 영양소재를 공급하고 발효부산물과 영양소재를 교반하는데도 사용된다.
제2발효부(250)는 혐기성 발효를 수행하는 사일로(252)를 갖는다. 사일로(252)는 지하 사일로이다. 사일로(252)는 발효처리된 부산물을 혐기성 미생물을 발효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효조(2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발효조(232)와 사일로(252) 사이에 있는 로더(254)로 발효부산물을 이동시킨다. 사일로(252)는 플랜트(201)의 발효부산물의 양이 적은 경우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외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발효부(250)는 물론 지하 사일로(25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혐기성 발효를 이룰 수 있는 저장시설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상 사일로일 수도 있다.
후처리부(270)는 포장기(276), 저장창고(278), 후처리실(279)과 출하대(280)를 갖는다. 사일로(252)와 인접한 위치에 차례로 포장기(276), 저장창고(278), 출하대(280)가 배치된다. 후처리실(279)에는 발효산물을 운반하기 위한 로더(254)가 배치된다. 발효부산물은 포장기(276), 저장창고(278), 출하대(280)를 거처 플랜트(201)의 외부로 반출된다.
부대장치(300)는 바이오필터조(302), 송풍기(303)와 송풍관(305)를 갖는다. 바이오필터조(302)는 발효조(230)와 병렬로 설치된다. 발효부(230)와 부대장치(300) 사이에는 벽(306)이 있어 서로 차단된다. 바이오필터조(230)에는 통상 사용하는 미생물이 배양된 재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통상의 토양이나 미생물이 배양된 식물줄기, 잎 등을 쌓아 놓을 수도 있다. 바이오필터조(302)의 바닥에는 통기구멍이 설치된다. 통기구멍은 송풍기(303)와 송풍관(305)를 통해 전처리부(210) 및 발효부(230)에 설치된 공기흡입구(219, 235)와 연결된다.
이하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20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방법은 전처리 공정과, 제1발효공정과, 제2발효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처리공정
1. 음식물 쓰레기 죽상화 단계
음식물 쓰레기는 플랜트(201)의 저장호퍼(212)에 반입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죽상화장치(216)의 용기(217B)에 투입되어 가열장치(217A)에 의해 가열된다. 통상 음식물 쓰레기는 함수율이 80% 이상이 되므로, 교반하면서 끓여주면,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된다.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살균이 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끓인 후, 불순물을 선별해 낸다. 선별기(218)의 투입구(224)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은 후, 피스톤(228)을 민다. 피스톤(228)이 이동하면, 원통(222)의 구멍(220)으로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흘러나오며, 이를 회수한다. 계속 피스톤(228)을 전진시키면, 죽상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흘러나오고, 불순물이 남는다. 불순물은 통상 동물의 뼈, 금속, 유리, 그릇조각, 비닐, 그리고 섬유질 등이다. 이를 폐기하거나, 소멸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서 처리한다. 회수된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조(232)에 공급된다.
2. 미생물 배양제의 제조
미생물 배양제가 발효조(232)에 수용된다. 미생물 배양제의 제조는 상기 미생물 배양제의 제조와 동일하다.
3. 발효기초재료의 처리
발효기초재료를 발효조(232)에 넣는다. 발효기초재료로는 섬유질이 풍부한 농업 또는 임업 부산물로서 오염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발효기초재료는 후술하는 발효공정에서 수분조절제로서 작용하며, 미생물의 배지가 되고, 그 자체가 분해되어 가축의 영양분이 된다. 발효조(232)에 투입된 발효기초재료에 가성소다를 녹인 가성소다 용해액을 뿌린다. 가성소다 용해액을 만들기 위하여 발효조(232) 옆에 가성소다 용해조를 둘 수도 있다. 발효기초재료에 가성소다 용해액을 뿌린 후, 상기 교반장치(234)로 교반하고 2일간 둔다. 이때, 교반을 하고, 비닐 등으로 덮어둘 수도 있다.
제1발효공정
4. 미생물 배양제 투입 및 발효
알칼리 처리된 발효기초재료 위에 미생물 배양제를 투입한다. 미생물 배양제는 배지가 되는 쌀겨, 깻묵 등의 재료에 토양 미생물을 배양한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5.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 및 발효
발효조(232)의 발효기초재료 위에 죽상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장치(234)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투입한다. 발효기초재료의 원료 200Kg당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 20 내지 60Kg의 비율로 공급한다. 그러나 발효과정에서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되므로 계속 공급할 수도 있다.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1 내지 15일간 발효시킨다.
교반장치(234)가 발효조(2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효기초재료와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혼합한다. 이때, 발효기초재료는 교반되며, 발효에 적절한 공기량이 공급되고, 온도가 조절된다.
발효기초재료와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는 토양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다.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음식물의 수분은 수증기가 되어 배출된다.
고속 발효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수분이 수증기로 바뀌어 날아가므로 발효조 내의 수분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교반장치(234)를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하여 수분 함수율을 조절한다. 발효조(232) 내의 함수율은 50 내지 75 중량%로 유지한다. 발효과정에서, 발효조(232) 바닥에 설치된 송풍구멍을 통하여 발효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은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한 송풍이다.
6. 영양소재 투입단계
상기 발효부산물 위에 영양소재를 투입한다. 영양소재 투입은 발효조(232) 내에서 교반장치(234)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영양소재로는 죽상의 음식물 쓰레기, 단미조사료, 쌀겨, 깻묵 등 가축의 조사료 등이다. 상기 영양소재를 공급한 후, 교반장치(234)를 이용하여 섞은 후 발효조(232)에서 빼낸다. 수분함수율은 50 내지 60%가 되도록 한다.
제2발효공정
7. 혐기성 발효를 위한 저장
상기 영양소재를 투입한 발효재료를 사일로(252)에 2개월 동안 엔시레지 저장한다. 상기 재료를 사일로(252)에 넣을 때, 중간중간 미생물 배양제를 투입한다.
8. 악취 제거
전처리부(210)와 발효부(230)의 공기흡입구(219, 235)를 통해 흡입된 악취는 송풍관(305)를 통해 바이오필터조(302)에 강제 이송된다. 이때 송풍기(303)가 강제이송을 돕는다. 강제 이송된 공기는 통기구멍을 통해 바이오필터조(302)에 공급된다. 공기 중의 악취는 바이오필터조(302)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9. 가축에 공급
사일로(252)에서 완성된 사료를 꺼내서 가축에게 공급한다. 사료는 포장기(276)에서 포장되어 저장창고(278)에 저장되었다가 출하대(280)를 거쳐 출하된다. 가축에게 사료를 먹일 때 완성된 사료가 20 - 30중량%가 되도록 배합사료를 섞어 먹인다. 이러한 혼합비율은 가축에 따라 가감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201)는 이러한 방법의 사용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201)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98-9216호에 기재한 방법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효과가 크고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운영비가 저렴하고 수분 감량장치가 필요없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로서 플랜트의 사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는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도 가능하다.

Claims (5)

  1.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 또는 투입하기 위한 전처리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부와, 상기 발효부에서 발효된 발효부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 또는 상기 발효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바이오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필터부는 상기 발효부의 발효부산물을 수용하고 숙성하는 숙성조와 상기 전처리부 또는 상기 발효부의 공기를 상기 숙성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터부는 교반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부는 교반장치가 구비된 발효조를 구비하며, 상기 발효조와 상기 바이오필터부의 숙성조가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4.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플랜트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죽상화하여 선별하는 전처리부와, 발효기초재료 및 상기 전처리부에서 죽상화한 음식물 쓰레기를 호기성 발효시키는 제1발효부와, 상기 제1발효부에서의 발효산물을 혐기성 발효시키는 제2발효부와, 상기 제2발효부의 발효산물을 처리하는 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 또는 상기 제1발효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부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효부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발효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발효부는 엔시레지 저장을 위한 사일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KR1019980025447A 1998-06-30 1998-06-30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KR10032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447A KR100321827B1 (ko) 1998-06-30 1998-06-30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447A KR100321827B1 (ko) 1998-06-30 1998-06-30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063A true KR20000004063A (ko) 2000-01-25
KR100321827B1 KR100321827B1 (ko) 2002-09-17

Family

ID=195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447A KR100321827B1 (ko) 1998-06-30 1998-06-30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758B1 (ko) * 1999-05-13 2001-11-14 구본탁 다양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의 반 연속 액상 발효를 통한 생물학적 전환 장치 및 공정
KR100350912B1 (ko) * 2000-07-25 2002-09-05 이상윤 음식물쓰레기의 습식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WO2003078084A1 (en) * 2002-03-20 2003-09-25 Bio Con, Inc.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758B1 (ko) * 1999-05-13 2001-11-14 구본탁 다양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의 반 연속 액상 발효를 통한 생물학적 전환 장치 및 공정
KR100350912B1 (ko) * 2000-07-25 2002-09-05 이상윤 음식물쓰레기의 습식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WO2003078084A1 (en) * 2002-03-20 2003-09-25 Bio Con, Inc.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8133716B2 (en) 2002-03-20 2012-03-13 Biocon, Inc.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1827B1 (ko) 200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566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US6200475B1 (en) Method of converting organic waste by thermophilic fermentation
CN1325440A (zh) 可控制堆肥化及生物整治的方法和装置
EP0733029B1 (en) A composting plant for organic waste and method for composting such waste
EP1042254B1 (en) Odor-free composting method and installation
KR101870797B1 (ko) 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건조와 악취를 제거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
KR20045079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080022739A1 (en) Vertical composter with leachate retention system
CN1371344A (zh) 一种有机废物的处理方法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CN104628426A (zh) 利用餐厨和农业废弃物快速发酵制备有机肥的方法和装置
WO2000048966A1 (en) Method of simultaneously composting anaerobic and aerobic material
KR10032182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플랜트
KR100271906B1 (ko) 음식물쓰레기사료화방법
TWI668200B (zh) 有機廢棄物倉式腐熟發酵方法
JPH10192826A (ja) 不燃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425195B2 (ja) 家庭ゴミの堆肥化装置と堆肥化方法
KR100299069B1 (ko)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성 퇴비 제조 방법및 장치
KR100394084B1 (ko)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및 방법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TWM572899U (zh) Organic waste warehouse decomposing fermentation equipment
KR19990054961A (ko)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JPH06227883A (ja) 堆肥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63893B1 (ko) 음식물쓰레기를 퇴비화하는 완전호기 자연발효방법
KR200258540Y1 (ko)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