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684U - 농산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684U
KR20000003684U KR2019980013954U KR19980013954U KR20000003684U KR 20000003684 U KR20000003684 U KR 20000003684U KR 2019980013954 U KR2019980013954 U KR 2019980013954U KR 19980013954 U KR19980013954 U KR 19980013954U KR 20000003684 U KR20000003684 U KR 20000003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roller
grinding
agricultural products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몽필
Original Assignee
김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필 filed Critical 김몽필
Priority to KR201998001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684U/ko
Publication of KR20000003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684U/ko

Links

Landscapes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중인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되어 분쇄롤러에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재투입을 수회 반복하면 원하는 입자 크기의 농산물을 얻을수 있음으로 일손이 경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구로부터 공급되는 농산물이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쌍의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분쇄롤러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를 상기 각 분쇄롤러의 하부쪽으로 위치시켜 분쇄중인 농산물이 상기 컨베이어벨트 쪽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상기 투입구 쪽으로 위치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중인 농산물이 상기 투입구 쪽으로 떨어지도록하는 고정롤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농산물 분쇄장치
본 고안은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롤러 사이로 투입된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분쇄롤러 쪽으로 계속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순환되는 과정에서 원하는 입자 크기의 분쇄물을 얻을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분쇄장치는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쌍의 분쇄롤러가 구비되고 이들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되는 농산물(예컨데 쌀,보리 등의 곡류 또는 고추 등)이 분쇄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분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쇄장치는 분쇄횟수에 따라 입자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분쇄롤러를 통과한 농산물을 수거하여 다시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 농산물이 원하는 크기로 분쇄된다.
그러나 분쇄된 농산물을 수거하여 재차 투입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 지며 또한 농산물이 원하는 입자크기로 분쇄되기 전까지는 자리를 비울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중인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되어 분쇄롤러에 재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재투입을 수회 반복하면 원하는 입자 크기의 농산물을 얻을수 있음으로 일손이 경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농산물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분쇄장치의 분쇄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분쇄장치의 배출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분쇄롤러 11 : 투입구
12 : 컨베이어벨트 13 : 이동롤러
14 : 고정롤러 15 : 가이드벨트
16 : 레버 17 : 힌지부
18 : 기어 19 : 이동칼날
20 : 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투입구로부터 공급되는 농산물이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쌍의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분쇄롤러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를 상기 각 분쇄롤러의 하부쪽으로 위치시켜 분쇄중인 농산물이 상기 컨베이어벨트 쪽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상기 투입구 쪽으로 위치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중인 농산물이 상기 투입구 쪽으로 떨어지도록하는 고정롤러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분쇄장치의 분쇄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로서,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쌍의 분쇄롤러(10)가 구비되고 분쇄롤러(10)의 상부에는 고추 등의 농산물을 투입할수 있는 호퍼형태의 투입구(11)가 마련된다. 또한 어느 한 분쇄롤러(10)의 외주면 일부와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12)가 구비된다. 컨베이어벨트(12)는 분쇄롤러(10)의 하부쪽에 위치되는 이동롤러(13)와 투입구(11)의 상측에 위치되는 고정롤러(14)의 사이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며 회전되는 과정에서 분쇄롤러(10)의 외주면 일측과 접한 상태로 회전된다.
이동롤러(13)는 분쇄롤러(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16)를 통하여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이동롤러(13)가 회동되어 분쇄롤러(10)로부터 멀어지면 분쇄롤러(10)를 통과한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12) 쪽으로 향하지 않고 배출된다. 레버(16)는 힌지부(17)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힌지부(17)에 형성된 기어(18)와 치합된 기어(20)를 통하여 이동롤러(13)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이동칼날(19)이 분쇄롤러(10)의 하단 외주면에 구비된다. 이동칼날(19)은 컨베이어벨트(12)가 접한 상태로 지나가는 분쇄롤러(10)와 접하게 되며 컨베이어벨트(12)가 닿지 않은 분쇄롤러에는 고정칼날(21)이 배치된다.
또한 분쇄롤러(10)와 고정롤러(14) 사이의 컨베이어벨트(12)와 접하는 가이드벨트(15)가 구비되며 가이드벨트(15)와 컨베이어벨트(12) 사이에 분쇄중인 농산물이 끼인 상태로 수직으로 상승되어 투입구(11) 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고정롤러(14) 쪽의 컨베이어벨트(12)에는 고정칼날(23)이 배치되어 농산물을 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분리시켜 투입구(11) 쪽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베이어벨트와 접한 분쇄롤러(10)의 외주면에는 분쇄중인 농산물이 분쇄롤러로부터 컨베이어벨트 쪽으로 떨어지도록하는 고정칼날이 배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분쇄롤러의 일측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분쇄중인 농산물이 분쇄롤러 쪽으로 계속 순환됨으로 순환 과정에서 원하는 입자 크기의 분쇄된 농산물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롤러(13)가 레버(16)에 의해 분쇄롤러(10)의 직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12)는 각 분쇄롤러(10)의 사이를 지나가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투입구(11) 쪽으로 공급되는 고추 등의 농산물은 회전비가 서로 다르게 회전되는 분쇄롤러(10)에 의해 분쇄된 다음 일측 분쇄롤러(10)에 묻은 농산물이 고정칼날(21)에 의해 이탈되어 컨베이어벨트(12) 쪽으로 떨어진다.
이때 컨베이어벨트(12)는 떨어진 농산물을 싣고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벨트(15)와의 사이에 농산물이 끼인 상태로 수직으로 상승된다. 또한 컨베이어벨트(12)와 접한 분쇄롤러(10)에 배치된 고정칼날(22)에 의해 분쇄중인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12) 및 가이드벨트(15) 쪽으로 떨어짐으로 농산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직으로 이송된 농산물은 컨베이어벨트(12)의 상단에 마련된 고정칼날(23)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2)로부터 이탈되어 투입구(11) 쪽으로 떨어져 분쇄롤러(10)로 다시 공급된다. 위의 과정이 수회 반복되면 원하는 입자크기의 농산물을 분쇄할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 본 고안 분쇄장치의 배출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로서, 분쇄가 완료되면 레버(16)를 당겨 이동롤러(13)를 하강시킨다. 이때 서로 치합된 기어(18)(20)를 통하여 이동칼날(19)이 이동롤러(13)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분쇄롤러(10)의 외주면과 접한다. 따라서 분쇄롤러(10)가 회전되면 고정칼날(21)과 이동칼날(19)에 의해 분쇄중인 농산물이 분쇄롤러로부터 이탈되며 이탈된 농산물은 하부쪽으로 떨어져 모이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분쇄중인 농산물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수직으로 상승되어 투입구 쪽으로 재차 공급되면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이 계속 반복됨으로 원하는 입자크기의 농산물을 한번의 공정으로 분쇄할수 있다. 따라서 분쇄중에 작업자가 자리를 비워도 됨으로 일손이 줄어들며 농산물을 원하는 입자크기로 분쇄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투입구로부터 공급되는 농산물이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쌍의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되는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분쇄롤러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를 상기 각 분쇄롤러의 하부쪽으로 위치시켜 분쇄중인 농산물이 상기 컨베이어벨트 쪽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를 상기 투입구 쪽으로 위치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중인 농산물이 상기 투입구 쪽으로 떨어지도록하는 고정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접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이송중인 농산물을 상기 투입구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상기 각 분쇄롤러의 하부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롤러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레버에 의해 회동됨을 특징으로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를 통하여 상기 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각 분쇄롤러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분쇄롤러의 외주면과 접하여 분쇄된 농산물을 이탈시키는 이동칼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농산물 분쇄장치.
KR2019980013954U 1998-07-28 1998-07-28 농산물 분쇄장치 KR200000036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54U KR20000003684U (ko) 1998-07-28 1998-07-28 농산물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54U KR20000003684U (ko) 1998-07-28 1998-07-28 농산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84U true KR20000003684U (ko) 2000-02-25

Family

ID=6951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954U KR20000003684U (ko) 1998-07-28 1998-07-28 농산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6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8890A (zh) * 2023-10-09 2023-12-22 石家庄市正定金石化工有限公司 一种矿粉生产工艺中原矿破碎筛分工艺
CN117258890B (zh) * 2023-10-09 2024-06-04 石家庄市正定金石化工有限公司 一种矿粉生产工艺中原矿破碎筛分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8890A (zh) * 2023-10-09 2023-12-22 石家庄市正定金石化工有限公司 一种矿粉生产工艺中原矿破碎筛分工艺
CN117258890B (zh) * 2023-10-09 2024-06-04 石家庄市正定金石化工有限公司 一种矿粉生产工艺中原矿破碎筛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342B1 (en) Cereal grain sorting system and roll sorting machine
CN100374208C (zh) 粉碎装置
US4059050A (en) Can crusher
KR101925261B1 (ko) 롤밀부를 포함하는 자동분쇄장치
CA2088638A1 (en) Tumble grinder with screen portion
US6032887A (en) Circuit grinding apparatus with high-pressure roll press and sifter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JP2008086916A (ja) ロール粉砕機及びロール粉砕システム
KR20000003684U (ko) 농산물 분쇄장치
NO154989B (no) Apparat for nedmaling av materialer.
KR20000009761A (ko) 농산물 분쇄장치
JP4768316B2 (ja) 土粉砕装置
US1649781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mixture such as chaff and cracked coffee
US4065061A (en) Ball mill
KR10245411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US2304326A (en) Reduction of fibrous materials
US1960346A (en) Hammer mill
KR200224717Y1 (ko) 제철원료내의 철편제거 및 괴광파쇄 장치
JPH10165895A (ja) ロール撰別機
JP3690455B2 (ja) 粉砕方法及びその装置
KR970005191Y1 (ko) 고추분쇄기
CN212663843U (zh) 一种饲料粉碎机
US989819A (en) Ore-mill.
US1288785A (en) Separating and reducing mechanism.
KR100364247B1 (ko)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