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667U - 차량 운행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667U
KR20000003667U KR2019980013935U KR19980013935U KR20000003667U KR 20000003667 U KR20000003667 U KR 20000003667U KR 2019980013935 U KR2019980013935 U KR 2019980013935U KR 19980013935 U KR19980013935 U KR 19980013935U KR 20000003667 U KR20000003667 U KR 20000003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ser
driver
r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호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3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667U/ko
Publication of KR20000003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667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 운행 보조 기술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운전자로 하여금 차폭, 도로 폭 또는 도로 상에서의 자차량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토록 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 상으로 출력하는 레이저부와, 차량 운전석의 소정 부위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레이저부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성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량 운행을 보조한다.

Description

차량 운행 보조 장치
본 고안은 차량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차폭 인지를 도우며, 차로 이탈의 방지를 돕기 위한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특히 폭이 좁은 소로 등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의 차폭과, 도로의 폭에 유의하면서 운행하여야 한다. 또한 도로 상에서의 자신의 차량의 위치, 즉 자신의 차량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운행되는지의 여부와, 폭이 좁은 도로에서 전방 차량을 추월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차폭과 도로의 폭의 인지는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폭 또는 도로 폭 및 자차량의 도로 상에서 위치 등의 정확한 인지 여부는 운전자의 경험에 의존하게 됨으로, 특히 운전 미숙련자에게는 이의 정확한 인지가 어려우며, 따라서 차량 운행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로 하여금 차폭, 도로 폭 또는 도로 상에서의 자차량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토록 하기 위한 차량 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 상으로 출력하는 레이저부와, 차량 운전석의 소정 부위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레이저부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1b 및 1c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차량 운행 보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2b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레이저부 이동을 위한 레이저 이동부의 구성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a, 1b 및 1c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차량 운행 보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부위,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좌측 전조등 내의 우측 상단부에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 상으로 출력하는 레이저부 10과, 차량 운전석, 예를 들어 계기판 등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레이저부 10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 12로 구성된다.
최근들어, 가시 레이저 다이오드(Visible Laser Diode: VLD)의 기술 혁신으로 저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시 레이저 빔(visible laser beam)의 생산이 보다 쉬워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서는 VLD 펜 포인터(pen pointer)를 들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레이저부 10은 가시 레이저 빔을 발생하기 위해 이러한 가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레이저부 10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은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일 위치로 주사된다. 상기 주사 위치는 운전자가 차량 운행시 운전석에서 확인 가능한 위치이어야 한다. 도 1에는 레이저부 10에서의 레이저가 발사되는 위치 P1과, 발사된 레이저가 조사되는 도로 상에서의 위치 P2, P3, P4와, 운전자의 눈 위치 P5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차량 정면을 바라볼 때 그러한 시선 상에서 레이저부 10의 레이저 발사 위치 P1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그러한 시선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도로 상에서의 위치 P2 또는 P4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레이저 빔이 항상 상기 위치 P2에 조사될 경우에 운전자는 상기 위치 P2와 주위 차선간의 거리 등을 확인하여 자차의 도로 상에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위치 P2는 P4보다 근접한 거리로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상기 거리에 따라 레이저 빔과 도로와 이루는 각도 θ1이 달라짐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거리 또는 각도는 미리 적절히 설정되어 레이저부 10이 장착시 고려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도로 상에서의 위치는 P3이 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P3은 차량의 운전석 사이드미러의 끝부분으로부터 차량 정면 방향 선과 평행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 P3은 차량의 좌측의 끝지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이 상기 위치 P3에 조사될 경우에 운전자는 상기 위치 P3과 주위 차선간의 거리 등을 확인하여 자차의 좌측 끝지점의 도로 상에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는 좌측 앞 바퀴의 가장자리 지점으로부터 차량 정면 방향 선과 평행한 선상의 위치 P6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P6은 차량 좌측 바퀴의 가장자기 지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럼으로 운전자는 상기 위치 P6과 주위 차선간의 거리 등을 확인하여 자차의 바퀴 가장자리 지점의 도로 상에서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게 된다.
상기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도로 상에서의 위치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리 적절히 설정되어 레이저부 10이 장착되지만, 이러한 위치는 각 차량의 정비시 등에 조절 가능하도록 조절 나사(도시되지 않음) 등을 레이저부 10에 장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2b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레이저부 10 이동을 위한 레이저이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레이저부 10의 좌우 이동을 위한 좌우이동부 14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b는 레이저부 10의 좌우 상하 이동을 위한 좌우이동부 14 및 상하이동부 16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레이저부 10의 하부의 중앙 부근의 일 위치 P7과 중심이 고정되는 웜 1과, 웜 1을 회전시키는 웜휠 2 및 사용자가 웜휠 2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해 웜휠 2와 일체로 구성되는 조정휠 3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정휠 3을 회전시켜서 상기 웜휠 2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웜 1이 회전하게 된다. 그럼으로 웜 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이저부 10이 좌우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부 10의 좌우 회전 이동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 θ2의 범위로 레이저 빔의 조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b에는 상기 레이저부 10 및 이와 결합하는 좌우이동부 14를 전체적으로 상하 이동하기 위한 상하이동부 16이 도시된다. 상기 상하이동부 16은 상기 레이저부 10과 좌우이동부 14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7과, 상기 지지축의 중심위치 P8과 회전중심이 고정되는 웜 4와, 웜 4를 회전시키는 웜휠 5 및 사용자가 웜휠 5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해 웜휠 5와 일체로 구성되는 조정휠 6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정횔 6을 회전시켜서 웜휠 4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웜 4가 회전함에 의해 상기 지지축 7이 상하로 회전되며, 결국 레이저부 10 및 좌우이동부 14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차량 운행 보조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설명에서는 레이저부 10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정휠 10을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레이저부 10의 이동을 위한 레버 등을 운전석 계기판에 구비하여 이러한 레버의 조작으로 운전자가 간단히 상기 레이저부 10의 이동을 조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레이저부의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해 레이저부 자체를 이동시키는 레이저이동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레이저부의 최종 출력단에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한 반사미러를 설치하여 상기 레이저빔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레이저이동부를 구성하여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레이저부 10이 차량의 좌측 전조등 부위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또다른 레이저부를 차량 우측 전조등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또다른 레이저부는 차량의 좌측 바퀴 가장자리 위치나 좌측 사이드미러의 끝위치의 인식을 용이하게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이저부를 동작시키고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부 및 이동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두 개의 레이저부를 통해 두 개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발생시키거나, 또는 둘 중 어느 하나만 발생시켜서 차량 운행에 보조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 상으로 출력하는 레이저부와, 차량 운전석의 소정 부위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레이저부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성함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차폭, 도로 폭 또는 도로 상에서의 자차량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토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의 일 위치 상으로 출력하는 레이저부와,
    차량 운전석의 소정 부위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레이저부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이저이동부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차량 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 좌우측의 미리 설정된 부위에 각각 제공되며, 가시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의 일 위치 상으로 출력하는 각각 출력하기 위한 제1, 제2레이저부와,
    차량 운전석의 소정 부위에 제공되며, 운전자가 상기 제1, 제2레이저부의 동작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제2레이저부에서 각각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제2레이저부를 각각에 구성되는 제1, 제2레이저이동부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80013935U 1998-07-28 1998-07-28 차량 운행 보조 장치 KR200000036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35U KR20000003667U (ko) 1998-07-28 1998-07-28 차량 운행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35U KR20000003667U (ko) 1998-07-28 1998-07-28 차량 운행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67U true KR20000003667U (ko) 2000-02-25

Family

ID=695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935U KR20000003667U (ko) 1998-07-28 1998-07-28 차량 운행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6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11A (ko) 2022-10-08 2024-04-16 강호정 너비 조절 책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11A (ko) 2022-10-08 2024-04-16 강호정 너비 조절 책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174B1 (ko) 주차 지원 장치
US7364331B2 (en) Vehicle lamp
JP4190004B2 (ja) 車輌用灯具
US5646639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US4363085A (en) Scan synthesized beam headlamp
JP4199064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1158287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998239B2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000003667U (ko) 차량 운행 보조 장치
CN107448855B (zh) 转动照明模块
US20100211265A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2003002137A (ja) 画像認識装置
US11358517B2 (en) Light projection device for a moving body having an optical scanner and control portion controlling a mirror portion
JPH10332815A (ja) レーザ光利用距離・移動速度・移動方向測定装置
KR0143924B1 (ko) 광파이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사이드미러 반사각 자동 조정장치
JP5018851B2 (ja) 駐車支援装置
JPH10109592A (ja) 車幅認識装置付きドアミラー
JP4438391B2 (ja) レーザー光による描写装置
JPH055078Y2 (ko)
KR100427334B1 (ko) 자동차용 메모리 인사이드 미러
JPH067105U (ja) 配光可変型前照灯における可動反射鏡駆動機構
JP4233226B2 (ja) 照射方向可変ヘッドランプ装置
JPH07140248A (ja) 車両用スキャン式レーザレーダ装置
WO2004008222A1 (en) Light beam steering device
JPS62132109A (ja) 近接状態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