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526A -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526A
KR20000003526A KR1019980024776A KR19980024776A KR20000003526A KR 20000003526 A KR20000003526 A KR 20000003526A KR 1019980024776 A KR1019980024776 A KR 1019980024776A KR 19980024776 A KR19980024776 A KR 19980024776A KR 20000003526 A KR20000003526 A KR 20000003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lens holder
actuator
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526A/ko
Publication of KR2000000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댐핑겔 및 댐핑축을 구비하여 댐핑력을 보강함으로써, 트래킹 방향으로의 댐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렌즈 홀더(110)의 상방에 원호형의 장홈(114)을 형성하여 댐핑겔(115)을 주입하고, 상기 커버(16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장홈(114)에 삽입되는 댐핑축(164)을 고정한 것으로서, 커버(160)에 고정된 댐핑축(164)이 렌즈 홀더(110)에 형성한 장홈(114) 내의 댐핑겔(115)에 접촉하여 댐핑됨으로써, 특히 트래킹 방향으로 댐핑력이 향상되어 액츄에이터의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본 발명은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축방식 액츄에이터의 취약점인 트래킹 댐핑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댐핑겔을 이용한 별도의 댐핑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3)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2)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에 형성되는 축공(18)에 결합되는 회전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8)은 테프론 코팅을 하여 마찰계수를 줄임으로써, 렌즈 홀더(10)의 회전력 손실을 줄이며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렌즈 홀더(10)의 측면에는 90°의 각도로 4분할된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20) 및 1개의 자성체(16)을 고정하며, 상기 요크(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36)를 각각 고정시켜 권선 코일(20)이 마그네트(34,36)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36)를 180°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4)도 180°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권선 코일(20)의 후방 렌즈 홀더(10)에는 4개의 자성체(16)를 각각 고정하여 마그네트(34,36)의 자속에 끌리는 힘으로 렌즈 홀더(10)를 일정 높이로 부상시켜 렌즈 홀더(10)가 상하 좌우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서스펜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디스크의 하방에서 이동하는 픽업 베이스에 한 개의 홀로그램소자를 설치하고, 이 홀로그램소자로부터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레이저 통과공(13)을 통하여 대물렌즈(12)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풀미러를 고정하였다. 따라서 렌즈 홀더(10)를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대물렌즈(12)를 홀로그램 소자의 광경로에 위치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재생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중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렌즈 홀더(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 홀더(10)가 회전축(38)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크(30)의 상측에 상면이 폐쇄된 원통형의 커버(60)를 씌웠다.
이러한 커버(60)의 상면에는 대물렌즈(12)가 돌출되는 렌즈 개방홈(62)을 형성하고, 커버(60)의 측면에 다수의 홈(66)을 형성하고 이 홈(66)에 삽입되는 돌기(33)를 요크(30)의 측면에 형성하여 커버(60)를 요크(30)에 장착할 때 요크(30)의 돌기(33)가 커버(60)의 홈(66)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커버(60)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액츄에이터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렌즈 홀더(10)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부공진을 감소시키는 별도의 구조를 두지 않고, 마그네트(34,36)가 자성체(16)을 끄는 힘과 렌즈 홀더(10)가 회전축(38)에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부공진을 감소시켰었다.
그런데 상기의 렌즈 홀더(10)에 결합된 회전축(38)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이 회전축(38)에 접촉하는 렌즈 홀더(10)는 수직방향으로 접촉할 경우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으나, 렌즈 홀더(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38)에 접촉할 때에는 모멘트 팔의 거리가 가까워 그 마찰력이 적으므로 댐핑력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는 트래킹 방향으로의 댐핑력이 약하여 렌즈 홀더(10)가 미세하게 회전하는 부공진을 신속하게 안정시키지 못하였으므로,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재생되는 디스크의 신호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댐핑겔 및 댐핑축을 구비하여 댐핑력을 보강함으로써, 트래킹 방향으로의 댐핑력을 향상시켜 디스크의 기록을 안정되게 재생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축방식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축방식 액츄에이터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렌즈 홀더 114 : 장홈
115 : 댐핑겔 120 : 권선 코일
130 : 요크 138 : 회전축
160 : 커버 164 : 댐핑축
본 발명은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 및 자성체를 고정한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에 형성되는 축공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 및 자성체에 대응되게 마그네트를 고정한 요크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하방에 원호형의 장홈을 형성하여 댐핑겔을 주입하고, 상기 커버의 상면 일측에 상기 장홈에 삽입되는 댐핑축을 고정한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버에 고정된 댐핑축이 렌즈 홀더에 형성한 장홈내의 댐핑겔에 접촉하여 댐핑됨으로써, 특히 트래킹 방향으로 댐핑력이 향상되어 디스크의 기록을 안정되게 재생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댕핑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한다.
본 발명의 댐핑구조가 적용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도 3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13)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12)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10)와; 상기 렌즈 홀더(110)에 형성되는 축공(118)에 결합되는 회전축(1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134,36)를 고정한 요크(130)와; 상기 렌즈 홀더(110)를 상측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요크(130)에 결합되는 커버(160)로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 홀더(110)의 트래킹 방향으로의 댐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렌즈 홀더(110)의 상방에 원호형의 장홈(114)을 형성하여 댐핑겔(115)을 주입하고, 상기 커버(16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장홈(114)에 삽입되는 댐핑축(164)을 고정한다. 상기의 댐핑겔(115)은 점성이 양호한 겔을 사용하여 이 댐핑겔(115)에 접촉되는 댐핑축(164)을 양호하게 댐핑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38)은 테프론 코팅을 하여 마찰계수를 줄임으로써, 렌즈 홀더(110)의 회전력 손실을 줄이며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렌즈 홀더(110)의 측면에는 90°의 각도로 4분할된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120) 및 1개의 자성체(116)을 고정하며, 상기 요크(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1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136)를 각각 고정시켜 권선 코일(120)이 마그네트(134,36)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1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상기에서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136)를 180°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1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4)도 180°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1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권선 코일(120)의 후방 렌즈 홀더(110)에는 4개의 자성체(116)를 각각 고정하여 마그네트(134,36)의 자속에 끌리는 힘으로 렌즈 홀더(110)를 일정 높이로 부상시켜 렌즈 홀더(110)가 상하 좌우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서스펜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디스크의 하방에서 이동하는 픽업 베이스에 한 개의 홀로그램소자를 설치하고, 이 홀로그램소자로부터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 홀더(110)에 형성한 레이저 통과공(113)을 통하여 대물렌즈(112)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풀미러를 고정한다. 따라서 렌즈 홀더(110)를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대물렌즈(112)를 홀로그램 소자의 광경로에 위치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댐핑축(164)이 고정된 커버(160)는 사용 중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렌즈 홀더(1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 홀더(110)가 회전축(138)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크(130)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160)의 상면에는 대물렌즈(112)가 돌출되는 렌즈 개방홈(162)을 형성하고, 커버(160)의 측면에 다수의 홈(166)을 형성하고 이 홈(166)에 삽입되는 돌기(133)를 요크(130)의 측면에 형성하여 커버(160)를 요크(130)에 장착할 때 요크(130)의 돌기(133)가 커버(160)의 홈(166)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커버(160)의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픽업 베이스에 설치된 홀로그램소자에서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은 풀미러에서 수직으로 반사되어 렌즈 홀더(110)의 레이저 통과공(113)을 통하여 대물렌즈(112)에 수직으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대물렌즈(112)를 통과한 레이저 광은 디스크 상에 집속되어 기록이 재생된다.
그리고 디스크의 재생중 대물렌즈(11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홀더(1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래킹 에러를 보정한다. 또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싱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1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광의 포커스 에러를 보정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의 기록을 재생하는 도중 외부로부터 액츄에이터에 충격이 가해지면 렌즈 홀더(112)가 지속적으로 진동하는 부공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공진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2)가 접촉하는 회전축(138)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일부 감소되며, 이와 함께 커버(160)에 고정된 댐핑축(164)이 렌즈 홀더((110)에 형성한 장홈(114) 내의 댐핑겔(115)에서 진동함으로써 대부분 소멸하게 된다. 특히 회전축(138)에서 감소시키지 못하는 트래킹 방향으로의 렌즈 홀더(110)의 진동이 댐핑겔(115)의 점성에 의해 신속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렌즈 홀더(110) 및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대물렌즈(112)가 신속하게 안정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을 양호하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110)의 하방에 원호형의 장홈(114)을 형성하여 댐핑겔(115)을 주입하고, 상기 커버(16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장홈(114)에 삽입되는 댐핑축(164)을 고정한 것으로서, 커버(160)에 고정된 댐핑축(164)이 렌즈 홀더(110)에 형성한 장홈(114) 내의 댐핑겔(115)에 접촉하여 댐핑됨으로써, 특히 트래킹 방향으로 댐핑력이 향상되어 디스크의 기록을 안정되게 재생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13)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12)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10)와; 상기 렌즈 홀더(110)에 형성되는 축공(118)에 결합되는 회전축(1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120) 및 자성체(1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134,136)를 고정한 요크(130)와; 상기 렌즈 홀더(110)를 상측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요크(130)에 결합되는 커버(16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10)의 상방에 원호형의 장홈(114)을 형성하여 댐핑겔(115)을 주입하고, 상기 커버(160)의 상면 일측에 상기 장홈(114)에 삽입되는 댐핑축(164)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19980024776A 1998-06-29 1998-06-29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20000003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776A KR20000003526A (ko) 1998-06-29 1998-06-29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776A KR20000003526A (ko) 1998-06-29 1998-06-29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526A true KR20000003526A (ko) 2000-01-15

Family

ID=1954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776A KR20000003526A (ko) 1998-06-29 1998-06-29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5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980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00003525A (ko)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US6160768A (en) Floating optical pickup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00003526A (ko)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JP3747571B2 (ja) 回転駆動機構
JPH06301995A (ja) 情報記録及び/又は読取装置
KR20000003524A (ko) 슬라이딩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0479617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11817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KR100197939B1 (ko) 축섭동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0288419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KR19990041882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212484Y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100194350B1 (ko)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진동 흡수 구조
KR100194348B1 (ko) 코일식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
JPH02105338A (ja) 情報記録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624861B1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KR100234267B1 (ko) 광픽업 조립체
KR100211818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KR100281765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91751B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0150953B1 (ko)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US8014238B2 (en) Optical pickup device
JP2000076673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及び光磁気記録媒体の記録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