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275A - 곡물저장고용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저장고용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275A
KR20000003275A KR1019980024485A KR19980024485A KR20000003275A KR 20000003275 A KR20000003275 A KR 20000003275A KR 1019980024485 A KR1019980024485 A KR 1019980024485A KR 19980024485 A KR19980024485 A KR 19980024485A KR 20000003275 A KR20000003275 A KR 2000000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grain
plate
inclined plate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158B1 (ko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서용교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교,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용교
Priority to KR101998002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1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6Preventing pulverisation, deformation, breakage, or other mechanical damage to the good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대량의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고(BIN)에 있어서, 곡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그에 따른 통풍구성을 개량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저장고는 바닥면이 평평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 바닥에 배출구멍을 형성하면서 바닥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톡 하였으므로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배출되지 않는 잔류량이 많았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바닥면에 경사진 진동판(8)을 설치한 후 진동판(8) 위에 진동모타(14)를 설치하여 진동에 의해 곡물이 배출되도록 하며, 통풍은 저장공간(2)의 바닥중앙에 터널형태의 송풍통로(7)를 형성한후 저장고(1) 외부에서 강제 송풍토록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곡물배출시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고 잔류되는 곡물이 없으며, 통풍도 원활하게 이루어짐.

Description

곡물저장고용 배출장치
본발명은 곡물을 대량으로 보관하는 저장고(BIN)에 있어서, 저장된 곡물을 배출시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하면서 잔류되는 곡물이 없도록 하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대용량의 곡물을 보관할때는 빈(BIN)이라고 하는 저장고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저장고는 그 크기가 가로 5m ∼ 10m 정도, 세로 10m ∼ 20m정도 및 높이 5m정도 되고 내부가 몇개의 칸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고를 이용하여 곡물을 보관할 경우 곡물을 배출시킬 때 곡물 전체가 골고루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데, 종래의 저장고는 바닥면이 평평한 6면체의 공간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통로를 개방시켜 곡물을 배출시키면 배출통로 바로 위에 위치한 곡물은 신속히 배출되지만 잠시후부터는 배출속도가 점차 늦어지고 배출통로로부터 멀리 떨어진 구석진 곳에 저장된 곡물은 경사진 상태로 남아 있게 되므로 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사람이 적접 배출통로로 밀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있었으며,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다시 곡물을 저장시키면 처음의 곡물은 저장기간이 오래되어 부패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저장고는 곡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바닥면을 구성하고 자연적인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바닥면의 통공 때문에 곡물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지 못하고 통공에 곡물이 끼어 부패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발명은 저장고의 배출구조를 개량하여곡물 배출시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통풍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져 곡물의 부패를 방지 할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의한 저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D"부 확대도
도 7은 도 3의 "E"부 확대도
도 8은 도 4의 "F"부 확대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장고 (2) 저장공간 (3) 배출통로
(4) 경사판 (5) 프레임 (6) 송풍구멍
(7) 송풍통로 (8) 진동판 (9)(9') 골재
(10) 벽체 (11) 스프링 (12) 고무판
(13) 실리콘 (14) 진동모타 (15) 커버
본발명은 저장고(1)를 구성시 각 저장공간(2)의 바닥면 중앙부에 배출통로(3)의 반대편이 높게 된 경사판(4)을 프레임(5)에 고정시키고 경사판(4)의 상면에 ""형으로 되면서 작은 송풍구멍(6)이 다수개 설치된 송풍통로(7)를 형성하며, 송풍통로(7)의 배출통로(3)쪽 끝은 밀폐시키고 반대측 끝은 저장고(1)의 외부로 돌출시킨후 송풍팬(미도시됨)을 연결토록 하였다.
경사판(4)의 양측, 즉 경사판(4)과 저장공간(2)을 이루는 벽체(10)와의 사이에는 경사판(4)과 같이 경사진 진동판(8)을 설치하는데, 벽체(10) 내부의 4면에는 ""형 또는 ""형으로 된 골재(9)(9')를 고정시키고 골재(9)(9')와 조금 이격되는 크기로 진동판(8)을 형성한후 저면에 스프링(11)을 설치하여 프레임(5)에 앉혀지게 하며, 골재(9)(9')와 진동판(8) 및 경사판(4)과 진동판(8) 간에는 고무판(12)을 얹어 고정시킨다음 실리콘(13)으로 밀폐되게 하았다.
양측의 진동판(8) 위에는 진동모타(14)를 고정시킨후 커버(15)을 씌워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20은 개폐실린더, 21은 개폐문, 22는 콘베이어, 23은 진동판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핀, 24는 커버, 25는 스프링가이드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저장공간(2) 내부에 곡물이 가득 저장된 상태에서 곡물을 배출시킬 때 먼저 개폐실린더(20)를 작용시켜 개폐문(21)을 열면서 콘베이어(22)를 작동시키면 저장공간(2) 내부의 곡물이 배출통로(3)를 통해 배출된후 콘베이어(22)에 앉혀져 저장고(1)의 외부로 이송된다.
상기 개폐문(21)의 개방과 동시에 진동모타(14)가 작용을 시작하는데, 진동판(8)이 스프링(11)에 받쳐진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진동모타(14)에 의해 진동하므로 저장공간(2) 개폐문(21) 반대쪽에 있는 곡물도 진동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진동에 의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속도가 처음부터 끝까지 균일하게되고 남는 곡물없이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질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고(1)의 바닥을 이루는 진동판(8)에는 통풍을 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본발명에서는 강제 송풍을 실시하는데, 송풍팬이 송풍통로(7) 내부로 강제로 공기를 밀어넣으면 송풍통로(7)의 송풍구멍(6)을 통해 저장공간(2) 내부의 곡물 틈새 사이로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따라서 원활하고 균일한 통풍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저장고(1)의 각 저장공간(2) 바닥을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바닥면에 진동을 줄수 있도록 구성하여 곡물을 배출시 걸림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가능하고 배출속도가 균일하면서 빠른 시간내 배출이 가능해지며, 특히 남는 곡물없이 완전히 배출시킬수 있어서 곡물이 잔류하여 부패되는 경우를 완벽히 예방할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저장공간의 바닥면 중앙을 통해 강제 송풍을 실시할수 있게 되어 활한 통풍이 가능하게 하게 되는등 곡물의 저장 및 배출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게 된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수 있다.

Claims (2)

  1. 곡물저장고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저장공간(2)의 바닥면 중앙부에 배출통로(3)의 반대편이 높게 된 경사판(4)을 프레임(5)에 고정시키고 경사판(4)의 상면에 송풍통로(7)를 형성하며, 벽체(10) 내부의 4면에는 골재(9)(9')를 고정시키고 저면에 스프링(11)을 설치하여 프레임에 얹혀지는 진동판(8)을 구성한후 골재(9)(9')와 경사판(4)과의 사이에 설치하되 골재(9)(9')의 진동판(8) 및 경사판(4)과 진동판(8) 간에는 고무판(12)을 얹어 고정시킨 다음 실리콘(13)으로 밀폐시키며, 진동판(8) 위에는 진동모타(14)를 고정시킨후 커버(15)롤 씌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저장고(BIN)용 배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진동판(8)을 구성함에 따른 통풍구조로써 경사판(4) 상면에 송풍동로(7)를 설치하되 배출통로(3)쪽 끝은 밀폐시키고 반대쪽 끝은 저장고(1)의 외부로 돌출시켜 송풍팬을 결합토록하며 송풍통로(7)에는 다수개의 송풍구멍(6)을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저장고(BIN)용 배출장치.
KR1019980024485A 1998-06-23 1998-06-23 곡물저장고용배출장치 KR10031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85A KR100316158B1 (ko) 1998-06-23 1998-06-23 곡물저장고용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85A KR100316158B1 (ko) 1998-06-23 1998-06-23 곡물저장고용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75A true KR20000003275A (ko) 2000-01-15
KR100316158B1 KR100316158B1 (ko) 2002-04-24

Family

ID=1954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485A KR100316158B1 (ko) 1998-06-23 1998-06-23 곡물저장고용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32B1 (ko) * 2007-11-21 2010-07-08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수로 사용후핵연료의 동굴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16B1 (ko) 2007-03-23 2008-01-14 주식회사 제이씨 곡물저장고의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32B1 (ko) * 2007-11-21 2010-07-08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수로 사용후핵연료의 동굴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158B1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0948A (en) Vented cat litter box apparatus
JP3009663B1 (ja) 小動物飼育装置
UA11218A (uk) Мусорhий коhтейhер для відходів, що компостуються
KR20000003275A (ko) 곡물저장고용 배출장치
JP2553191B2 (ja) 排気ダクト用シャッタ装置
CN218087143U (zh) 一种自动套袋垃圾箱
JPH0111618Y2 (ko)
WO1981000555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neumatically conveying a granular material out of a drying store
JPS5935466Y2 (ja) 貯留槽等における排出装置
KR970002124Y1 (ko) 쌀통의 송풍장치
JPS5911935Y2 (ja) 乾燥機における塵埃排出装置
JPH07315506A (ja) 収納装置
CN220103562U (zh) 药材除湿存放柜
JPH0658665A (ja) 穀物用通風貯溜容器の床面構造
KR910001637Y1 (ko) 농산물 건조실의 통풍장치
KR920000001Y1 (ko) 송출입장치를 부설한 농산물 건조실
JPH10332262A (ja) 生ごみ乾燥機
JPH1080517A (ja) ビンゴゲーム機
JPS5922470Y2 (ja) 穀粒乾燥装置
JPH074538B2 (ja) ドラフトチャンバ
KR930002545Y1 (ko) 휴대용 약품 용기
JPS596184Y2 (ja) 換気扇
JPS58172651U (ja) 屋外設置用ごみ収納箱
JPS6211397Y2 (ko)
JPS6019723Y2 (ja) 芳香剤の収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