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709A -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709A
KR20000002709A KR1019980023593A KR19980023593A KR20000002709A KR 20000002709 A KR20000002709 A KR 20000002709A KR 1019980023593 A KR1019980023593 A KR 1019980023593A KR 19980023593 A KR19980023593 A KR 19980023593A KR 20000002709 A KR20000002709 A KR 2000000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terminal
field strength
battery pow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142B1 (ko
Inventor
김린준
장동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14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전계강도(RSSI)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의 무선 주파수 수신단(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차단하므로써 배터리 전원을 절전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미약하게 감지되거나 전혀 감지되지 않는 무선소구역(Cell)을 이동할 경우에 이동단말기의 무선 주파수 수신단(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자동으로 일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차단되거나 재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절전되고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기존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Battery power saving method of mobile telephones )
본 발명은 CDMA 방식의 이동단말기(Mobile telephone)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전계강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주로 DCS(Digital Cellular Switching) 단말기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를 소유한 가입자가 무선주파수(RF)의 통신 채널에 따라서 무선소구역(Cell) 단위로 나뉘어진 통신망 내에서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므로써 다른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DSC 단말기와 PCS 단말기는 일단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가입자가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무선 주파수 수신단(RF단)에서 항상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가입자가 이동 통신망내에서 이동중일 때 다른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의 호출 신호가 있는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가입자가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RF단에서 항상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가입자가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미약하게 감지되거나 전혀 감지되지 않는 무선소구역을 이동중일 때에도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므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고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전계강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의 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차단하므로써 배터리 전원을 절전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은 단말기의 통화 절차를 정상적으로 이행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를 이행하는 도중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하는 제20단계, 상기 제20단계에서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RF단으로 배터리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제30단계, 상기 제20단계에서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제40단계 및, 상기 제40단계를 이행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0단계로 되돌아가는 제50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은 가입자가 수신전계강도가 미약하게 감지되거나 전혀 감지되지 않는 무선소구역(Cell)을 이동중일 때는 단말기의 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도 1은 이동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수신단(RF단)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잡음증폭부 20 : 믹서부
30 : 중간주파증폭부 40 : 필터부
50 : 전계강도측정부 60 : A/D변환부
70 : 기지국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단말기의 RF단을 도시한 내부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저잡음증폭부(10)는 기지국(70)으로부터 송출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저잡음 성분을 증폭한다. 상기 저잡음증폭부(10)는 수신 신호의 전계강도가 높을수록 수신 신호의 대부분을 바이패스(By-pass)시키고 수신 신호의 전계강도가 낮을수록 수신 신호의 대부분을 저잡음증폭하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출할 때에는 자동 이득 조정(AGC)에 의해 단말기의 송신 출력을 최대로 한다.
믹서부(20)는 상기 저잡음증폭부(10)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를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와 혼합하여 중간주파(IF) 신호를 출력한다.
중간주파증폭부(30)는 상기 믹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IF 신호를 증폭한다.
필터부(40)는 상기 중간주파증폭부(30)에 의해 증폭된 I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제거한다.
전계강도측정부(50)는 잡음이 제거된 상기 IF 신호가 속하는 수신 신호의 전계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계강도 측정부(50)는 수신전계강도를 다수의 레벨로 나누고, 이 다수의 레벨 중에서 임의의 한개의 레벨을 기준전계강도로 설정한다.
A/D변환부(60)는 상기 전계강도측정부(50)의 레벨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A/D변환부(6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수신전계강도는 단말기의 LCD에 표시되는 안테나 바(Bar)와 같은 레벨 게이지 형태로 수치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단말기의 RF단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에 의해 차단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0단계에서는 단말기가 정상적인 통화 절차(Procedure)를 이행한다.
즉, 가입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RF단의 저잡음증폭부(10)와 혼합부(20), 중간주파증폭부(30), 필터부(40), 전계강도측정부(50) 및, A/D변환부(60)는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제20단계에서는 단말기가 상기 제10단계를 이행하는 도중에 기지국(70)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한다. 여기서, 기준전계강도는 가입자가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미약하게 감지되거나 전혀 감지되지 않는 무선소구역을 이동 중임을 판별하기 위한 값이다.
만약, 상기 전계강도측정부(50)의 수신전계강도 레벨이 0레벨∼10레벨로 구분되어 있고, 그 중에 2레벨이 기준전계강도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제20단계에서는 수신전계강도가 최소한 2레벨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한다.
제30단계에서는 상기 제20단계에서의 수신전계강도가 2레벨 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RF단으로 배터리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저잡음증폭부(10)와 혼합부(20), 중간주파증폭부(30), 필터부(40), 전계강도측정부(50) 및, A/D변환부(60)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제40단계에서는 상기 제20단계에서의 수신전계강도가 2레벨 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여 가입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켰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잡음증폭부(10)와 혼합부(20), 중간주파증폭부(30), 필터부(40), 전계강도측정부(50) 및, A/D변환부(60)의 작동을 모두 정지시킨다.
제50단계에서는 상기 제40단계의 결과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별한다. 이때, 기준 시간의 경과 유무는 단말기 내에 별도로 설치된 타이머 수단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기준 시간이 10초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후 10초가 경과하면 단말기의 전원은 자동으로 온된다.
또한, 이때부터 단말기는 상기 제20단계∼제50단계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가입자가 상기 전계강도측정부(60)의 2레벨에 해당하는 무선소구역을 이동 중일 때는 10초 간격으로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므로써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제로, 상기와 같이 10초 간격으로 단말기 전원을 자동 온/오프시켜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방지하면 기존에 비해 대략 20% 이상 배터리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에 의해 이동단말기 가입자가 무선 신호의 전계강도가 미약하게 감지되거나 전혀 감지되지 않는 무선소구역을 이동 중일 때 단말기의 전원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 온/오프되도록 하면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줄이므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고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시간적 손실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단말기의 통화 절차를 정상적으로 이행하는 단계와,
    통화 절차를 이행하는 도중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하는 단계,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수신단(RF단)으로 배터리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작은 값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면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수신단(RF단)으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수신전계강도가 기준전계강도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가를 판별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KR1019980023593A 1998-06-23 1998-06-23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KR10065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593A KR100652142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593A KR100652142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09A true KR20000002709A (ko) 2000-01-15
KR100652142B1 KR100652142B1 (ko) 2007-03-02

Family

ID=1954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593A KR100652142B1 (ko) 1998-06-23 1998-06-23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648A (ko) * 2002-09-16 2004-03-22 블루솔텍(주) 절전 기능을 가지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
KR100692799B1 (ko)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 복용 시간 통지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021A (ja) * 1986-07-26 1988-02-12 Nec Corp 携帯無線電話機
KR0141895B1 (ko) * 1994-06-24 1998-07-01 정몽원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19980013935A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JP2994274B2 (ja) * 1996-09-19 1999-12-27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移動無線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648A (ko) * 2002-09-16 2004-03-22 블루솔텍(주) 절전 기능을 가지는 무선 송수신 유니트
KR100692799B1 (ko)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 복용 시간 통지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142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0895A (en) Bimodal portable telephone
US5179724A (en) Conserving power in hand held mobile telephones during a receiving mode of operation
KR910001540B1 (ko) 전력 절약기를 갖고 있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EP1535478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uplink compressed mode monitoring in a communication device
CA219931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rganiza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910004423B1 (ko) 무선 전화 시스템
GB2420678A (en) Power sav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A2171122A1 (en) High-efficient configurable power amplifier for use in a portable unit
US20030086383A1 (en) Current reduction by receiver linearity adjustment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040198411A1 (en) Antenna extension control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H11298343A (ja) 携帯通信装置
KR19990007380A (ko) 소비 전력 절감 장치
KR200100538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중 배터리 교체 방법
KR20000002709A (ko)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KR100594006B1 (ko)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JPH10209943A (ja) 受信装置
US20090082055A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200435673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切り替え方法
JP3485479B2 (ja) 移動体通信端末
US20060128413A1 (en) Method of controlling low noise amplifi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15670B1 (ko) 휴대폰의소비전력을저감하기위한통화수행방법
KR100247838B1 (ko) 무선호출기 일체형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전원 절약방법
GB2381415A (en) Circuit for control of receiver dynamic range in order to save battery current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100664130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감도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7

Effective date: 2006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41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627

Effective date: 200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