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935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935A
KR19980013935A KR1019960032656A KR19960032656A KR19980013935A KR 19980013935 A KR19980013935 A KR 19980013935A KR 1019960032656 A KR1019960032656 A KR 1019960032656A KR 19960032656 A KR19960032656 A KR 19960032656A KR 19980013935 A KR19980013935 A KR 19980013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power switch
signal
low noise
field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형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935A/ko
Priority to BR9704269A priority patent/BR9704269A/pt
Publication of KR1998001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9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수신전계감도로 인해 포화되는 영역에서 저 잡음 증폭기를 오프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스위치온/오프신호에 의거하여 턴온/턴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의 처리 방법은,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에 따른 수신전계감도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포화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상기 포화 임계값보다 클 시 상기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상기 포화 임계값보다 작을 시 상기 전원스위치온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룬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셀룰라 기지국 부근에서 센 수신신호로 인한 LNA의 포화현상을 방지하여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이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부근에서의 위치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셀룰라 시스템은 여러개의 통신 서비스 영역인 셀의 중앙에 저전력의 무선 송수신기 및 제어장비를 갖는다. 이에 셀룰라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무선통신을 한다. 즉, 셀룰라 기지국은 중계기의 역활을 담당한다.
도 1은 종래의 셀룰라 기지국으로 송출할 송신신호 및 상기 셀룰라 기지국으로 부터의 수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 120은 셀룰라 기지국으로 부터의 수신신호 및 상기 셀룰라 기지국으로 송출할 송신신호를 송수신한다. 듀플렉서 130은 상기 안테나 120를 송신과 수신에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이하 LNA라 칭함) 140은 상기 듀플렉서 130이 수신모드일 시 인가되는 미소한 수신신호에 대하여 수신기 전체의 잡음 지수를 낮출 목적의 고주파 증폭기이다. 이에 상기 LNA 140은 동작전원 Vcc에 의해 구동된다. 서큘레이터(circulator) 160은 듀플렉서 130와 같은 동작을 한다. 그리하여 상기 LNA 140으로 부터의 고주파 신호(Radio Frequency:이하 RF라 칭함)는 서큘레이터 160을 통과하여 수신기의 복조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인가된다. 전력증폭기 150은 상기 서큘레이터 160으로 부터 인가되는 송신기의 변조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RF신호를 전력증폭한다. 그리고 전력증폭된 송신신호는 듀플렉서 130을 통해 안테나 120으로 출력된다.
셀룰라 시스템에 있어서, 강전계지역인 기지국 즉, 셀사이트(cell site)부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가 잘 안되거나 통화가 되더라고 심한 잡음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에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LNA 140에 유입되는 전계강도가 큰 신호로 인하여 상기 LNA 140가 포화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전계세기는 강한 강전계임에도 불구하고 수신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전계감도로 인해 포화되는 영역에서 저 잡음 증폭기를 오프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증폭기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증폭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따른 블럭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라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화임계값라는 용어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저잡음 증폭기가 포화될 시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레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증폭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따른 블럭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 120은 셀룰라 기지국으로 부터의 수신신호 및 상기 셀룰라 기지국으로 송출할 송신신호를 송수신한다. 듀플렉서 130은 수신신호를 수신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며, 송신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부터의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 120으로 출력한다. LNA 140은 상기 듀플렉서 130이 수신모드일 시 인가되는 미소한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시켜 출력하는 고주파 증폭기이다. 또한 상기 LNA 140은 동작전원 Vcc을 입력하여 구동한다. 전원스위치 250은 상기 동작전원 Vcc를 공급하는 전원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LNA 140사이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전원스위칭온/오프신호 CS에 의거하여 상기 전원스위치 250은 턴온/턴오프되어, 상기 동작전원 Vcc의 공급통로을 차단하거나 형성한다.
서큘레이터 160은 듀플렉서 130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상기 LNA 140으로 부터의 RF신호는 서큘레이터 160을 통과하여 수신기의 복조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인가된다. 전력증폭기 150은 상기 서큘레이터 160으로 부터 인가되는 송신기의 변조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RF신호를 전력증폭한다. 그리고 전력증폭된 송신신호는 송신모드의 듀플렉서 130을 통해 안테나 120으로 출력된다.
제어부 200은 상기 듀플렉서 160으로 부터의 수신신호에 대한 수신전계감도(이하 RSSI라 칭함)를 검출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셀룰라 기지국부근에 존재할 시 강전계로 인해 LNA 140으로 유입되는 신호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LNA 140이 포화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 200은 일정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신호세기를 감시하여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미리 설정된 포화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출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LNA 140의 증폭동작을 멈추게 함으로써 포화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라 수신저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상기 도 3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11에서 제어부 200은 LNA 140을 통해 서큘레이터 160에서 인가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RSSI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LNA 140이 오프모드가 아닐 경우 단계 312는 단계 314로 전이된다. 단계 314에서 제어부 200은 상기 검출된 RSSI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포화 임계값을 비교한다.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셀룰라 기지국 근처에 존재할 경우 강전계에 의해 RSSI는 높은 레벨이 된다. 그래서 단계 314, 단계 315에 의해 상기 RSSI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클 시 단계 316에서 제어부 200은 전원스위치 250으로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단계 319에 의해 리턴을 하여 제어부 200은 단계 311의 과정으로 되돌아가 간다. 즉, 일정주기로 RSSI는 검출된다.
또한 상기 단계 314에서 RSSI와 포화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포화 임계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높을 시 단계 317는 단계 318로 전이된다. 그리하여 제어부 200은 전원스위치온신호를 전원스위치 25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LNA 140은 구동되어 인가되는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시켜 출력한다.
한편 단계 312에서 LNA 140이 오프모드일 시 단계 312는 단계 313으로 전이된다. 이에 LNA 140은 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세기는 실제 입력 레벨보다 낮다. 그러므로 검출된 RSSI는 포화 임계값보다 낮게 되므로 전원스위치온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LNA 140은 구동된다. 이후 턴온된 LNA 140에 의거하여 검출된 RSSI는 상기 포화 임계값보다 높은 레벨이 되므로 전원스위치오프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LNA 140은 또 다시 구동되지 않는다. 즉, LNA 140의 턴온/턴오프의 동작이 반복되므로 히스테리시스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LNA 140가 오프모드인 상태에서 제어부 200은 단계 313에서 현재 검출된 RSSI의 낮아진 신호 레벨을 보상해주기 위해 상기 RSSI와 히스테리시스 바이어스를 더한다. 그리하여 단계 314에서 제어부 200은 상기 보상된 RSSI와 포화 임계값을 비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강전계의 수신신호에 의거하여 LNA 140이 포화상태가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가 불량됨을 방지하기 위해 RSSI가 포화 임계값보다 높을 시 상기 LNA 140은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LNA 140의 증폭동작은 멈추게 함으로써 포화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스위치온/오프신호에 의거하여 턴온/턴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미리 설정된 포화 임계값을 구비하며,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에 따른 수신전계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포화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클 시 상기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작을 시 상기 전원스위치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장치.
  2.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동작전원을 입력하여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스위치온/오프신호에 의거하여 턴온/턴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전원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에 따른 수신전계감도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포화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상기 포화 임계값보다 클 시 상기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수신전계감도가 상기 포화 임계값보다 작을 시 상기 전원스위치온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하여 비교한 후 상기 전원스위치온/오프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히스테리시스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검출된 상기 수신전계감도에 소정의 바이어스값을 더해서 상기 포화 임계값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저하요인 제거 방법.
KR1019960032656A 1996-08-05 1996-08-0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19980013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56A KR19980013935A (ko) 1996-08-05 1996-08-0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BR9704269A BR9704269A (pt) 1996-08-05 1997-08-05 Aparelho e processo de uma unidade de controle para remoção de causas de deterioração da qualidade de recepção por forte intensidade de campo em um terminal de comunicação mó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56A KR19980013935A (ko) 1996-08-05 1996-08-0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935A true KR19980013935A (ko) 1998-05-15

Family

ID=1946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656A KR19980013935A (ko) 1996-08-05 1996-08-0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80013935A (ko)
BR (1) BR9704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42B1 (ko) * 1998-06-23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42B1 (ko) * 1998-06-23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단말기의배터리절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4269A (pt) 199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0475B1 (en) Power saving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61224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n output impedance of a transmit amplifier during receive mode of a two-way communication unit
JPH09162773A (ja) 消費電流低減機能付無線送受信装置
KR19990013370A (ko) 무선통신장치 및 그 수신신호레벨 제어방법
KR10044260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선형성 유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139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전계에 따른 수신 저하요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40108215A (ko) 수신기의 저잡음 증폭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45729B1 (en) Radio signal transceiver apparatus
KR20070021794A (ko)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2197B1 (ko)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절약장치 및 방법
KR20010003478A (ko)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단 증폭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GB2362523A (en) A transceiver with the bias of an amplifier in the receiver controlled by a baseband processor
KR100560939B1 (ko)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듀얼 밴드 전력증폭기의효율 개선 방법
KR20000066229A (ko)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한 이중 밴드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0756179B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15704B1 (ko) 히스테리시스특성의자동이득제어기능을갖는휴대용무선수신기
KR1006365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력증폭기의 동작전원 제어장치
KR100536667B1 (ko) 고전력 검출 장치
KR100482768B1 (ko) 이동통신 중계기용 증폭회로
US6067450A (en) Pager eliminating intermodulation
KR100193266B1 (ko) 다이오드 스위치를 이용한 가변 이득 증폭기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193265B1 (ko) 바렉터 다이오드를 이용한 가변 이득 증폭기
KR20010010538A (ko) 무선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315703B1 (ko) 히스테리시스특성의자동이득제어기능을갖는휴대용무선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