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350U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350U
KR20000002350U KR2019980012140U KR19980012140U KR20000002350U KR 20000002350 U KR20000002350 U KR 20000002350U KR 2019980012140 U KR2019980012140 U KR 2019980012140U KR 19980012140 U KR19980012140 U KR 19980012140U KR 20000002350 U KR20000002350 U KR 20000002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sing
cylinder
refrigeran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2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350U/ko
Publication of KR20000002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50U/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싱내에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수용부를 갖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을 수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상기 오일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오일탱크를 통해 오일을 공급함에 따라 케이싱내의 오일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기내부 구동부품의 윤활부족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탱크를 통해 오일을 공급함에 따라 케이싱내의 오일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기내부 구동부품의 윤활부족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및 에어컨과 같은 기기에는 냉동시스템이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만드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교축부와, 교축부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공급받아 이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주위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갖는다.
도 3은 종래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01)내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03)와, 압축부(10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05)를 가진다. 케이싱(101)내의 저부영역에는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수용부(107)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101)의 상부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냉매토출관(10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관(111)을 통하여 후술할 실린더(125) 내로 기체상태의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어큐뮬레이터(113)가 케이싱(101)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105)는, 케이싱(101)의 내벽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117)와, 고정자(117)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 회전자(115)를 가지며, 회전자(115)에는 고정자(117)와 동일한 축선을 갖는 회전축(119)이 회전자(115)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119)은 오일수용부(107)까지 하향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축(119)의 하부영역에는 편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19)의 하단영역은 오일수용부(107)에 잠겨있도록 설치되며, 오일수용부(107)에 잠겨있는 회전축(119)에는 오일픽업베인(123)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픽업베인(123)은 회전축(119)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오일수용부(107)에 수용된 오일을 상향 급송하여 구동부품들의 마찰부위에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구동모터(10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03)에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25)와, 편심부(121) 외측에 결합되어 실린더(125) 내벽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로울러(1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12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실린더(125)의 상하단부를 차단하여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플랜지(129)와 하부플랜지(13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125) 내벽면의 일측에는 실린더(125)의 내벽면과 실린더(125)의 외측면을 연통하는 흡입구(133)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인접하여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흡입구(133)와 토출포트 사이에는 실린더(125)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단부영역이 로울러(127)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실린더(125) 내부를 흡입영역과 토출영역으로 구획하는 베인(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25)의 상단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상부플랜지(129)에는 실린더(125)의 토출포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밸브(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플랜지(129)의 상단에는 토출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일시 수용한 다음 유출시키는 머플러(13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축(119)이 회전하게 되면, 어큐뮬레이터(113)에서 흡입관(111)을 통해 기체상태의 냉매가 실린더(125)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로울러(127)가 편심부(121)에 의해 실린더(125)의 내벽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압축되어 토출포트를 통하여 실린더(125) 외부로 토출되고, 토출된 냉매는 상부플랜지(129)에 있는 토출밸브를 통과하여 머플러(139)를 지나 상향 토출된다. 또한, 회전축(119)과 함께 오일픽업베인(123)이 회전함에 따라 오일은 오일수용부(107)로부터 상향 급송되어 회전운동하는 부품들의 각 마찰부위에 윤활을 위해 공급되고 일부 오일은 회전축(119)의 원심력에 의해 비산되어 케이싱(101) 내로 퍼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압축부에서 압축되어 머플러에서 상향 토출되는 냉매와 함께 오일이 냉매토출관을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탱크를 통해 오일을 공급함에 따라 케이싱내의 오일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기내부 구동부품의 윤활부족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오일탱크 주변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3 : 압축부
5 : 구동모터 7 : 오일수용부
9 : 냉매토출관 19 : 회전축
21 : 편심부 25 : 실린더
27 : 로울러 39 : 머플러
41 : 오일탱크 43 : 오일연통관
45 : 압력평형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싱내에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수용부를 갖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오일을 수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상기 오일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탱크 하부와 상기 오일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오일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와 상기 오일탱크의 상측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압력평형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오일탱크 주변영역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종래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내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와, 압축부(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를 가진다. 케이싱(1)내의 저부영역에는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수용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1)의 상부영역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냉매토출관(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외측벽에는 흡입관(11)을 통하여 후술할 실린더(25) 내로 기체상태의 냉매를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5)는, 케이싱(1)의 내벽에 고정되게 설치된 원통형의 고정자(17)와, 고정자(17)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 회전자(15)를 가지며, 회전자(15)에는 고정자(17)와 동일한 축선을 가지며 회전자(15)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회전축(19)이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19)은 오일수용부(7)까지 하향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축(19)의 하부영역에는 편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9)의 하단부는 오일수용부(7)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회전축(19)의 하단부에는 오일픽업베인(23)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오일픽업베인(23)은 회전축(19)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오일수용부(7)에 수용된 오일을 상향 급송하여 부품들의 마찰부위에 오일을 공급한다.
구동모터(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에는 원통형상의 실린더(25)와, 편심부(21)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린더(25)의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2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실린더(25)의 상하단부를 차단하여 압축공간을 형성시키는 상부플랜지(29)와 하부플랜지(3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25) 내벽면의 일측에는 실린더(25)의 내벽면과 실린더(25)의 외측면을 연통하는 흡입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인접하여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해 실린더(25) 내벽면에 함몰 형성된 토출포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흡입구(33)와 토출포트 사이에는 실린더(25)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단부영역이 로울러(27)의 외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실린더(25) 내부를 흡입영역과 토출영역으로 구획하는 베인(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5)의 상단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상부플랜지(29)에는 실린더(25)의 토출포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토출밸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플랜지(29)의 상단에는 머플러(3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의 외측에는 케이싱(1)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탱크(41)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탱크(41)의 하부영역에는 케이싱(1)내의 오일수용부(7)와 연통되어 오일탱크(41)의 오일을 케이싱(1)내로 공급하는 오일연통관(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탱크(41)내에 수용되어 있는 오일의 수위면 상측에는 케이싱(1)의 내부와 연통되어 케이싱(1)내의 압력과 오일탱크(41)내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압력평형관(45)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회전축(19)이 회전하면, 흡입관(11)을 통해 어큐뮬레이터(13)내의 기체상태의 냉매가 실린더(25)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로울러(27)가 실린더(25)의 축선과 편심되어 실린더(25)의 내벽에 접촉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압축이 되며, 압축된 냉매는 일측에 마련된 토출포트를 지나 상부플랜지(29)에 있는 토출밸브를 통과하게 된다. 토출밸브를 통과한 압축된 냉매는 머플러(39)에 일시 수용되었다가 상향 유출된다. 또한, 회전축(19)과 일체로 회전하는 오일픽업베인(23)에 의해 오일수용부(7)로부터 상향 급송되어 회전축(19)의 회전에 의해 비산됨에 따라 케이싱(1)내에 퍼져있는 오일도 압축된 냉매와 함께 케이싱(1)의 상부영역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케이싱내의 일부 오일이 케이싱(1)외부로 냉매와 함께 토출된다. 이렇게, 케이싱(1) 내의 오일이 케이싱(1) 외부로 토출되면, 케이싱(1)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41) 내의 오일수위와 케이싱(1)내 오일수용부(7)의 오일수위가 균일하게 되도록 오일연통관(43)을 통해 오일탱크(41)의 오일이 케이싱(1)내의 오일수용부(7)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1) 내에 적정량의 오일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에 사용하여도 압축기내의 오일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오일탱크를 통해 오일을 공급함에 따라 케이싱내의 오일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압축기내부 구동부품의 윤활부족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싱내에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수용부를 갖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오일을 수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상기 오일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 하부와 상기 오일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오일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와 상기 오일탱크의 상측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압력평형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2019980012140U 1998-07-03 1998-07-03 밀폐형 압축기 KR200000023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40U KR20000002350U (ko) 1998-07-03 1998-07-03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40U KR20000002350U (ko) 1998-07-03 1998-07-03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50U true KR20000002350U (ko) 2000-02-07

Family

ID=6951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40U KR20000002350U (ko) 1998-07-03 1998-07-03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3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135B2 (en) Rotary-type fluid machin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2006132377A (ja) 流体機械
KR20000002350U (ko) 밀폐형 압축기
JP2000097185A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0265405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
KR102243832B1 (ko) 밀폐형 로터리 압축기
KR19990035512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100270871B1 (ko) 회전압축기
JP2003314912A (ja) 空気調和装置
KR100229643B1 (ko) 회전압축기
KR19990035510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100219432B1 (ko) 회전압축기
KR20000000744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100229633B1 (ko) 회전압축기
KR200239620Y1 (ko) 로터리 압축기
KR19990035511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19990069801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0117041Y1 (ko) 로터리 압축기
KR20000000742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KR19980046483A (ko) 로터리 압축기
KR930008488B1 (ko) 저압식스크롤 압축기
JP2004084633A (ja) 気体圧縮機のオイル戻し制御装置
JPH0579832B2 (ko)
KR0128917Y1 (ko) 회전압축기
KR200146153Y1 (ko) 압축기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