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337U - 카드형 전등 - Google Patents

카드형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337U
KR20000002337U KR2019980012127U KR19980012127U KR20000002337U KR 20000002337 U KR20000002337 U KR 20000002337U KR 2019980012127 U KR2019980012127 U KR 2019980012127U KR 19980012127 U KR19980012127 U KR 19980012127U KR 20000002337 U KR20000002337 U KR 20000002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late
contact
pane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4733Y1 (ko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근 filed Critical 박재근
Priority to KR2019980012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73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733Y1/ko

Link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카드형 전등에 관한 것으로, 발광부(2)와 배면에 접점부(3)를 갖는 보턴부(1)를 형성한 상판(10)과; 양극제층을 포함하는 금속판(22)과, 금속판(22)의 내측에 통공으로 형성되고 내부엔 밧데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21)와, 상기한 상판(10)의 접점부(3)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22)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 마이너스 단자부와, 그리고 상기한 마이너스 단자의 일단에 형성한 다이오드부(26)를 포함하여, 상기한 상판의 하부에 취부되는 전지판(20)과; 그리고 상기한 전지판(20)의 하면에 취부되며 발광부(2)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3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드형 전등
본 고안은 밧데리를 내장하고 있는 매우 얇은 카드형 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 전등은 예를 들어, 각종 전지를 이용한 콤팩트한 형태의 여러 소형 전등이 나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형 전등 들은 소정의 형상과 부피를 차지하고 있어 휴대에 불편한 단점이 있고 또한 밧데리의 수명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들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두께를 거의 카드형태로 얇게 제작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또한 장시간 사용가능한 카드형 전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광부(2)와 배면에 접점부(3)를 갖는 보턴부(1)를 형성한 상판(10)과; 양극제층을 포함하는 금속판(22)과, 금속판(22)의 내측에 통공으로 형성되고 내부엔 밧데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21)와, 상기한 상판(10)의 접점부(3)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22)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 마이너스 단자부와, 그리고 상기한 마이너스 단자의 일단에 형성한 다이오드부(26)를 포함하여, 상기한 상판의 하부에 취부되는 전지판(20)과; 그리고 상기한 전지판(20)의 하면에 취부되며 발광부(2)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이너스 단자부는, 상판(10)의 접점부(3)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22)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 도전선(25) 및 도선(27)과, 그리고 배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하여 도선(27) 및 도전선(25)과 도통 연결한 니켈층(28)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카드형 전등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전등의 분해도로써 그 구성부품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보턴부 2 ; 발광부
3 ; 접점부 10 ; 상판
20 ; 전지판 21 ; 개방부
22 ; 금속판 24 ; 노출면
25 ; 도전선 26 ; 다이오드부
27 ; 도선 28 ; 니켈층
30 ; 하판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전등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전등은 거의 명함 크기의 면적과 두께로 제작 가능하다. 본 고안의 카드형 전등은 상판(10), 전지판(20), 그리고 하판(30)이 하나의 전등을 구성한다.
상면엔 보턴부(1)를 형성하고 한쪽 끝은 발광부(2)를 형성한다. 발광부(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하여 이곳에서 발광이 되도록 한다 이 발광부(2)엔 후술하는 LED 칩이 내장되어 발광 하도록 되어 있다.
보턴부(1)는 표면에서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이면은 각종 문구나 광고를 넣거나 또는 명함면으로 활용하여 판촉물로 이용 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전등의 구조를 보여 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판(10)엔 보턴부(1)가 형성되고 그의 배면은 상부 우측 도면에서 보듯이, 보턴부(1)에 해당하는 배면부위가 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동도금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접점부(3)를 형성한다. 상판(10)의 아래엔 전지판(20)이 놓인다.
전지판(20)엔 개방부(21)가 큰 통공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로는 하나의 플러스 단자층을 이루는 도금판 또는 도금 금속판(22)이 매우 얇게 형성된다. 금속판(22)의 상면은 양극제층이 형성된다. 금속판(22)의 하단쪽은 일정 간격(23)이 형성된다. 금속판(22)의 상부쪽은 일정 면적 정도 금속판(22)이 형성되지 않은 노출면(24)이 있다. 이 노출면(24)엔 도전선((25)이 구불구불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불구불 형성한 이유는 보턴부(1)를 눌렸을 경우 그 배면의 접점부(3)와의 접점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불구불한 도전선(25)의 일단엔 LED 칩을 내장하여 발광이 가능한 다이오드부(26)를 구성하고, 다른 일부 부위는 도선(27)으로 연결되어 전지판(20) 배면의 도금된 니켈층(28)과 도통 연결된다.
즉, 니켈층(28)과, 도선(27)과, 그리고 도전선(25)은 마이너스부를 구성하여 다이오드부(26)와 연결된다.
한편 상면에 형성한 금속판(22)은 이 마이너스 부위 들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전지판(20)의 개방부(21)엔 리튬과 폴리머가 내장된다.
상기 전지판(20)의 아래엔 하판(30)이 단순히 접합된다. 하판(30)의 한쪽 모서리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발광부(2)를 형성한다.
상기한 발광부(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드형 전등의 어느 부위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구성의 구조를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하여 다른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도 1 에 예시한 보턴부(1)를 누르면 그 저면의 접점부(3)가 전지판(20)의 노출면(24) 상의 마이너스 부위인 도전선(25), 도선(27) 부위 및 그 주위를 접점하여 금속판(22)의 플러스와 접점하면 도통하여 다이오드부(26)에 불이 들어 온다.
상기 구성에 포함되는 리튬,폴리머 등에 의한 전지의 작용에 관한 것은, 공지의 전지의 원리 및 본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인 1997년 12월 5 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 97-66335 호의 "밧데리 내장형 PCB" 의 출원서 내용에 기재된 전지의 구성에 관한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용 전등을 박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또한 본 고안의 전등은 폴리머 밧데리로 전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턴부(1)를 단순히 누르는 것에 의하여 편리하게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LED를 내장한 다이오드부(26)는 매우 밝은 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거의 명함 크기로 제작하여 그의 배면에 인쇄를 하여 판촉물이나 광고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광고용 명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광부(2)와 배면에 접점부(3)를 갖는 보턴부(1)와를 형성한 상판(10)과;
    양극제층을 포함하는 금속판(22)과, 금속판(22)의 내측에 통공으로 형성되고 내부엔 밧데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개방부(21)와, 상기한 상판(10)의 접점부(3)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22)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 마이너스 단자부와, 그리고 상기한 마이너스 단자의 일단에 형성한 다이오드부(26)를 포함하여, 상기한 상판의 하부에 취부되는 전지판(20)과; 그리고
    상기한 전지판(20)의 하면에 취부되며 발광부(2)를 형성하고 있는 하판(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금속판(22)의 내측에 통공으로 형성된 개방부(21)엔 리튬과 폴리머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이너스 단자부는, 상판(10)의 접점부(3)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22)과 접촉되지 않게 형성한 도전선(25) 및 도선(27)과, 그리고 배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하여 도선(27) 및 도전선(25)과 도통 연결한 니켈층(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전등.
KR2019980012127U 1998-07-03 1998-07-03 카드형전등 KR200244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27U KR200244733Y1 (ko) 1998-07-03 1998-07-03 카드형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27U KR200244733Y1 (ko) 1998-07-03 1998-07-03 카드형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37U true KR20000002337U (ko) 2000-02-07
KR200244733Y1 KR200244733Y1 (ko) 2001-11-16

Family

ID=6951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27U KR200244733Y1 (ko) 1998-07-03 1998-07-03 카드형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7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733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8461A3 (en) Light source
JPS63202809A (ja) 携帯機用キ−ボ−ド
US7014333B2 (en) Small portable flashlight
US20020136006A1 (en) Card-shaped flashlight device with lamp, flasher and/or buzzer features
US20040032734A1 (en) Touch-sensitive flickering illuminant
JP2004014284A (ja) 照光スイッチ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ユニット
KR200244733Y1 (ko) 카드형전등
KR101909527B1 (ko) 발광장치가 수납된 놀이 도구
JPH02141793A (ja) 発光ダイオード式表示装置
US6900402B2 (en) Pushbutton switch with LED indicator
KR20220148499A (ko) 카드형전등
US6720737B1 (en) LED illumination structure
CN201266968Y (zh) 具有按键发光显示功能的电话机
JPH0465465U (ko)
KR200347684Y1 (ko) 카드형 전등
US7470868B2 (en) Switch with light emitting function
JP3598353B2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時計
JPS58193517U (ja) 発光式メンブレンスイツチ
US20040246713A1 (en) Flashlight
JPH0143775Y2 (ko)
JP3090530U (ja) 発光コースター
JP3049465U (ja) 薄肉カード型ライト
JPS6074211A (ja) 薄形スイツチ
KR200168595Y1 (ko) 다기능 무선호출기
JPH01437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