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531U - 하물수송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하물수송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531U
KR20000001531U KR2019980011287U KR19980011287U KR20000001531U KR 20000001531 U KR20000001531 U KR 20000001531U KR 2019980011287 U KR2019980011287 U KR 2019980011287U KR 19980011287 U KR19980011287 U KR 19980011287U KR 20000001531 U KR20000001531 U KR 20000001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iece
curved
supporting memb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5387Y1 (ko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201998001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38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387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제 팔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경량성과 강성을 지닌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형 관을 받침부재로 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상판재는 스틸강철판을 사용함에 있어 상기의 받침부재와 상판재에 적치하물의 하중을 보지하기 위한 보강돌조와 "

Description

하물수송용 팔레트
본 고안은 경량성과 강성이 뛰어난 스틸(steel)이나 알루미늄(aluminum)을 주재로 하여 성형된 ""형과 철판에 의해 구성되는 받침부재와 상판재에 각기 적치물(積置物)의 하중(荷重)을 보지(保持)할 수 있는 보강돌조를 엠보싱(Embossing)화하고 또 적치물의 유동(流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편을 형성시킨 팔레트(pallet)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포크리프트(Fook Lift)를 사용하여 하물을 안전하게 운반 수송하는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형 관을 받침부재로 사용하고 스틸강철판을 상판재로 하여 이들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받침부재상에 상판재를 얹어서 서로 상통하는 피스볼트공에 피스볼트로 체결 조립하여 구성되는 팔레트에 있어서 받침부재의 좌우측면과 저면에 적치물의 하중을 보지하기 위한 보강돌조를 세로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엠보싱화함과 동시에 상판제에는 ""형의 만곡보강부를 길이방향으로 엠보싱시켜주고 상기한 만곡보강부의 만곡면 상부는 적치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편을 총총히 배설하여서 된 하물수송용 팔레트(荷物輸送用 pallet)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목재 팔레트는 각목상의 받침목과 판재로 구성된 것이어서 사용중 충격이 가해지거나 적치하물의 중량이 과할 경우 받침목과 판재가 쉽게 부러지는 폐단이 있어서 적치하물의 운반수송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하기가 어려웠고 수명도 짧았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팔레트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대부분이 연소재로 사용됨에 따라 산림자원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 팔레트는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소 59-181032호)에 기재된 팔레트와 그 기술구성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의 목재 팔레트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요철상으로 절곡된 금속판을 다수개의 빔(Beam)으로 받쳐지도록 이의 상하부를 용접시켜 구성한 리브 위에 이와 직교하는 또 다른 방향으로 리브를 용접시켜 구성한 것이어서 사용상의 안전도와 수명을 장구히 하는 이점이 있으나, 이러한 팔레트는 세로방향의 빔과 가로방향의 빔을 용접 고정시킨 것이어서 이동시 분해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한꺼번에 많은 량의 팔레트를 운반하기가 불가능하였고, 특히 적치하물이 적치된 팔레트를 적치장내에서 이동시키고자 할 때도 빔으로 구성한 세로방향의 빔 아래쪽에 양단부로 형성된 직각턱이 적치장의 바닥면에 걸리므로 인해 위치이동이 매우 어려웠으며 또 사용중 팔레트의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된 경우에도 이에 대한 즉각적인 수리보수가 불가능하여 대부분이 고철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등록번호 제101544호)된 조립식 사각판대는 일정한 폭을 갖고 요철상으로 절곡형성된 통상의 금속판재를 이용한 가로판을 상부면에 직교방향으로 체결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받침부재로 받쳐지도록 이의 상하부에 세로판을 피스볼트로 받침부재에 체결 조립하여서 된 받침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그 위에 상기한 세로판의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역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판을 피스볼트로 세로판과 체결 조립하는 것이어서 피스볼트의 나해작용에 따라 조립분해는 물론 부분적인 수리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각 받침대의 하부는 그 양단부의 모서리로 형성된 곡면부에 의해 위치이동시 바닥면에 걸리지 않도록 한 조립식 사각판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등록 고안에 의한 팔레트의 받침대는 다수개의 받침부재를 개재시키고 이의 상하부로 세로판을 피스볼트로 체결하여 받침대를 구성하여 왔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긴 시간을 요하는 폐단이 있게 되고 또 이의 상하 세로판과 받침대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체결되는 가로판은 별도의 가공작업에 의해 요철상으로 절곡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하고 있다.
더욱이 요철상으로 절곡형성된 가로판의 철부면(凸部面)은 평면상으로 매우 미끄러워서 적치하물을 운반 수송하거나 적치장내에서 위치이동을 시도할 때 적치하물이 고정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안전성과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재료가 많이 들어감에 따라 팔레트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스볼트로 체결 조립 분해할 수 있도록 금속재 팔레트의 받침부재는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통상의 "" 형 관을 사용하고 상판재는 스틸강철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의 ""형 관의 좌우측면과 저면에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적치하물의 하중을 보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돌조를 일정한 간격으로 엠보싱화하고, 상판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의 만곡보강부를 형성하되 이 만곡보강부의 만곡면 상부는 미끄럼 방지편을 총총히 배설하여 팔레트 상에 적치된 하물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판재의 보강력을 향상시킨 하물수송용 팔레트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로서,
a)도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b)도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형 관 2 : 스틸강철판 3 : 받침부재
4 : ""상판재 3', 4' : 피스볼트공 5, 5' : 피스볼트
6 : 팔레트 7, 7', 7" : 좌우측면 및 저면
7a, 7a', 7a" : 보강돌조 8, 8' : 마개
10, 10' : 피스볼트 11 : 만곡보강부 12 : 만곡면
13 : 미끄럼 방지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의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형 관(1)과 스틸강철판(2)을 각각 받침부재(3)와 상판재(4)로 사용하여 이에 천공된 피스볼트공(3')(4')을 통해 피스볼트(5)(5')로 체결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팔레트(6)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형 관(1)의 좌우측면(7)(7')과 저면(7")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보강돌조(7a)(7a')(7a")를 세로와 가로 방향으로 엠보싱화하고 상기의 받침부재(3)는 그 양단에 마개(8)(8')를 덮어 씌워 피스볼트공(9)(9')을 통해 피스볼트(10)(10')로 고정시킨 상기 받침부재(3)의 상면에는 ""자형의 만곡보강부(11)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만곡보강부(11)의 만곡면(12) 상부에는 미끄럼방지편(13)을 총총히 배설하여서 된 상판재(4)를 받침부재(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 조립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팔레트(6)를 구성하는 받침부재(3)는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형 관(1)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선등록 기술과는 달리 받침대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받침부재와 이의 상하부에 요철상으로 이루어진 상하세로판을 피스볼트로 체결 조립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히 상기의 ""형 관(1)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의 좌우측면(7) (7')과 저면(7")에 엠보싱화한 다수개의 보강돌조(7a)(7a')(7a")와 상판재(4)가 체결되는 위치에 천공된 피스볼트공(3')을 통해 역시 피스볼트공(4')을 갖는 상판재(4)를 피스볼트(5)(5')로 체결 조립하고, 또한 상기의 상판재(4)는 그 폭을 일정히 하는 길이 방향으로 ""형의 만곡보강부(11)를 형성하고 이의 만곡면(12) 상부에는 수개의 미끄럼 방지편(13)이 총총히 배설되어 있어서 팔레트(6)상에 적치된 하물의 하중을 상판재(4)의 만곡보강부(11)와 받침부재(3)에 형성한 다수개의 보강돌조(7a)(7a')(7a")에 의해 보지됨에 따라 팔레트(6)와 하물의 안전을 기할 수 있고 또 상기의 만곡보강부(11)의 각 만곡면(12)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편(13)에 의해 하물을 수송 운반시 팔레트(6)상에서 하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뿐만 아니라 적치장내에서 하물이 적치된 팔레트(6)를 밀거나 잡아당겨 위치를 이동할 때도 받침부재(3)의 저면(7")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강돌조(7a")에 의해 팔레트(6)의 양단부가 곡면돌조(7a")로 인해 적치장의 바닥면과 간극을 두고 있음으로 해서 받침부재(3)의 양단으로 씌워진 마개(8)(8')의 예각이 걸리는 일이 없어 이동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단일체의 받침부재(3)와 상판재(4)만으로 이들을 서로 직교시켜 피스볼트(5)(5')로 간단히 조립 분해할 수 있고, 또 받침부재(3)의 양단부는 마개(8)(8')를 피스볼트공(9)(9')을 통해 피스볼트(10)(10')로 구성함과 동시에 경량성과 견고성 및 다량 생산으로 인한 원가절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형 관(1)의 받침부재(3)에 보강돌조(7a)(7a')(7a")를 좌우측면과 저면에 다수 형성하는 공정과, 상판재(4) ""형의 만곡보강부(11) 및 그 만곡면(12)에 미끄럼 방지편(13)을 다수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 받침부재(3)와 상판재(4) 및 받침부재(3)의 양단으로 덮어 씌워지는 마개(8)(8')의 구성만으로 팔레트(6)를 조립하는 것이어서 적치하물의 안전성과 파손시 수리보수는 물론 적치하물의 하중을 받침부재(3)의 보강돌조(7a)(7a')(7a")와 상판재(4)의 만곡보강부(11)에 의해 보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재료의 절감성과 견고성 및 경량성을 고루 갖추고 있음은 물론 분해시켜 다량의 팔레트를 한꺼번에 많은 량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단가를 낮추는 등의 효과를 함께 제공한다.

Claims (1)

  1. 통상의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형 관(1)과 스틸강판(2)을 각각 받침부재(3)와 상판재(4)로 사용하여 이에 천공된 피스볼트공(3')(4')을 통해 피스볼트(5)(5')로 체결조립 분해할 수 있는 팔레트(6)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형 관(1)의 좌우측면(7)(7')과 저면(7")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보강돌조(7a)(7a')(7a")를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엠보싱화하고 상기 받침부재(3)는 그 양단에 마개(8)(8')를 덮어 씌워 피스볼트공(9)(9')을 통해 피스볼트(10)(10')로 고정시킨 상기 받침부재(3)의 상면으로 ""자형의 만곡보강부(11)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의 만곡면(12)에 상부에는 미끄럼 방지편(13)을 총총히 배설하여서 된 상판재(4)를 받침부재(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하물수송용 팔레트.
KR2019980011287U 1998-06-26 1998-06-26 하물수송용 팔레트 KR200235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87U KR200235387Y1 (ko) 1998-06-26 1998-06-26 하물수송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87U KR200235387Y1 (ko) 1998-06-26 1998-06-26 하물수송용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31U true KR20000001531U (ko) 2000-01-25
KR200235387Y1 KR200235387Y1 (ko) 2002-01-19

Family

ID=6951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287U KR200235387Y1 (ko) 1998-06-26 1998-06-26 하물수송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3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15A (ko) * 2002-03-02 2002-04-12 이희만 프레스 포밍 철재 파렛트
KR101363567B1 (ko) * 2012-05-10 2014-02-19 (주)제이엠씨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915A (ko) * 2002-03-02 2002-04-12 이희만 프레스 포밍 철재 파렛트
KR101363567B1 (ko) * 2012-05-10 2014-02-19 (주)제이엠씨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387Y1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2157A (en) Pallet
US4261470A (en) Collapsible rack
US3167341A (en) Nestable shipping pallets
US7987798B2 (en) Pallet members
US3910203A (en) Reinforced product transport pallet
KR100987566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0983828B1 (ko) 철재 팔레트
KR101288393B1 (ko) 팔레트
KR100842801B1 (ko) 조립식 파레트
KR200235387Y1 (ko) 하물수송용 팔레트
US20020078863A1 (en) Metal Pallet
EP0044344A1 (en) Warehouse pallet
US6112673A (en) Pallet assembl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doors and the like
JP2007284069A (ja) 運搬用架台及びこれを備えた機能物品
WO2022009183A1 (en) Modular goods-carrying system
KR102161919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200393370Y1 (ko) 철제 팔레트
KR100304597B1 (ko) 철재 파렛트
KR102268782B1 (ko) 탄성끼움방식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강재 스키드
KR101589283B1 (ko) 철재 파렛트
KR20070114870A (ko) 화물 적재용 파렛트
KR100556708B1 (ko) 자동차부품 저장용 조립식 팔레트
JP2021109658A (ja) パレット
KR100789301B1 (ko) 장척물 운반용 파렛트
KR200294632Y1 (ko) 철제 팔레트용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