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65U -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65U
KR20000001165U KR2019980010809U KR19980010809U KR20000001165U KR 20000001165 U KR20000001165 U KR 20000001165U KR 2019980010809 U KR2019980010809 U KR 2019980010809U KR 19980010809 U KR19980010809 U KR 19980010809U KR 20000001165 U KR20000001165 U KR 20000001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in header
chassis
holes
terminal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환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2019980010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65U/ko
Publication of KR20000001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65U/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로기판상에 결합되는 핀헤더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회로기판을 안착시키는 내측 섀시부 및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뚫려진 외측 섀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로 구성된 핀헤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을 구비한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돌출 성형시켜,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외부의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한 핀헤더의 파손 및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핀의 휘어지는 현상을 함께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정상적인 회로기판의 신호 교류를 구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본 고안은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을 구비한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돌출 성형시킨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헤더(pin header)는 회로기판에 탑재된 코일 및 저항, 콘덴서의 조합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회로패턴을 통하여 인가받아 외부의 메인 회로기판에 교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0)의 관통구멍(111)에 끼워져 회로기판(200)의 핀구멍(230)에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은, 에폭시 또는 유리 에폭시계로 성형된 대략 장방형의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의 저면에 인쇄된 회로패턴(미 도시됨)과, 상기 회로패턴의 사이 사이에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교류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210)의 상면에 고정된 다수 개의 부품소자(220)와, 상기 기판(210)의 가장자리 면에 등간격으로 상하 관통되어 후술하는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이 끼움 접속되는 다수 개의 핀구멍(2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00)을 안착시켜 보호하는 섀시(100)는, 상기 기판(210)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111)이 성형된 외측 섀시부(110)와, 상기 외측 섀시부(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내측 섀시부(미 도시됨)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핀헤더(300)는, 상기 외측 섀시부(110)의 관통구멍(111)을 통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의 핀구멍(230)에 끼움 접속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310)과,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310)을 내장하여 상호 일체 배열시키는 몰드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섀시(100)의 내부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회로기판(200)을 정확히 위치시킨 후, 상기 섀시(100)의 내측 섀시부에 회로기판(200)이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가압하여 밀어 넣는다.
그 후, 섀시(100)의 외측 섀시부(110)에 뚫려진 다수 개의 관통구멍(111)에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을 끼운 다음 회로기판(200)의 핀구멍(230)에 삽입 납땜 접속하게 되면 그 결합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을 상기 섀시(100)의 외측 섀시부(110)에 뚫려진 다수 개의 관통구멍(111)에 삽입할 경우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310)을 일체 배열시키고 있는 몰드부(320)는 자연스럽게 상기 외측 섀시부(110)에 밀착되어 그 지지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는,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이 단순히 외측 섀시부(110)의 관통구멍(111)에 끼워진 후 회로기판(200)의 핀구멍(230)에 납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한 핀헤더(300)의 이탈 및 납땜부위의 파손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 정상적인 신호 교류를 이룰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을 구비한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돌출 성형시켜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섀시 110 : 외측 섀시부
111 : 관통구멍 200 : 회로기판
210 : 기판 220 : 부품소자
230 : 핀구멍 300 : 핀헤더
310 : 단자핀 320 : 몰드부
330 : 고정돌기 331 : 탄성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는, 적어도 회로기판을 안착시키는 내측 섀시부 및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뚫려진 외측 섀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로 구성된 핀헤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핀구멍(230)이 성형된 회로기판(200)을 안착시키는 내측 섀시부 및 다수 개의 관통구멍(111)이 뚫려진 외측 섀시부(110)로 구성된 섀시(100)와, 상기 섀시(100)의 관통구멍(111)에 끼워져 상기 회로기판(200)의 핀구멍(230)에 접속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310)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320)로 구성된 핀헤더(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몰드부(320)의 측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310)을 각각 내장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111)에 끼움 결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330)가 구비되고, 이 고정돌기(330)는 끝단의 외주연으로부터 몰드부(320)를 향하여 휘어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111)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331)이 일체 성형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의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섀시(100)의 내부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회로기판(200)을 정확히 위치시킨 후, 상기 섀시(100)의 내측 섀시부에 회로기판(200)이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가압하여 밀어 넣는다.
그 후, 섀시(100)의 외측 섀시부(110)에 뚫려진 다수 개의 관통구멍(111)에 핀헤더(300)의 단자핀(310)을 끼움과 동시에 고정돌기(330)를 상기 관통구멍(111)에 긴밀히 가압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30)의 외주연에 연장 성형된 탄성편(331)은 상기 관통구멍(111)의 내주연을 따라 탄성 휘어진 후, 몰드부(320)가 상기 외측 섀시부(110)에 밀착 이르게 되는 시점에 다시 자연스럽게 복원되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330)는 다수 개의 단자핀(310)을 보호하면서 외측 섀시부(110)와의 결합력을 더욱 증진시키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핀헤더(300)의 결합불량 및 단자핀(310)의 휘어지는 현상을 함께 방지하는 유용한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의하면,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을 구비한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돌출 성형시켜, 상호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외부의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한 핀헤더의 파손 및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핀의 휘어지는 현상을 함께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정상적인 회로기판의 신호 교류를 구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어도 회로기판을 안착시키는 내측 섀시부 및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뚫려진 외측 섀시부로 구성된 섀시와, 상기 외측 섀시부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다수 개의 단자핀을 일체 배열하는 몰드부로 구성된 핀헤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측면에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을 각각 내장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끝단의 외주연으로부터 몰드부를 향하여 휘어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KR2019980010809U 1998-06-22 1998-06-22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KR20000001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09U KR20000001165U (ko) 1998-06-22 1998-06-22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09U KR20000001165U (ko) 1998-06-22 1998-06-22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65U true KR20000001165U (ko) 2000-01-25

Family

ID=6951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809U KR20000001165U (ko) 1998-06-22 1998-06-22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1165U (ko)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KR19990025062U (ko) 회로기판의 핀헤더 결합구조
KR950035544A (ko) 회로 모듈 제조방법
JP3735404B2 (ja) 半導体デバイス測定用基板
US6275384B1 (en) Electrical transition device with improved LED positioning means
JP446188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0922761A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接続構造
JP2001015230A (ja) Icソケット、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電子装置製造方法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KR200252323Y1 (ko)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JP3262221B2 (ja) 保持構造
JP2572499Y2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0126440Y1 (ko)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안테나 보드의 조립위치 결정기구
JPH0775283A (ja) 電動機の製造方法
JPH11121272A (ja) コンデンサの端子構造
KR200195155Y1 (ko) Pcb 기판의 관통콘덴서 결합구조
KR200187228Y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장치
KR100722498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KR200235238Y1 (ko) 표면 부착형 소자의 소켓
JPH08153450A (ja) 表面実装形磁気近接スイッチ
KR20050049297A (ko)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KR200142313Y1 (ko) 튜너의 핀 스템 장착 구조
JPH09321407A (ja) 半導体パッケージ
JPH07122875A (ja) シール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