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126A -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 Google Patents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126A
KR20000000126A KR1019990040388A KR19990040388A KR20000000126A KR 20000000126 A KR20000000126 A KR 20000000126A KR 1019990040388 A KR1019990040388 A KR 1019990040388A KR 19990040388 A KR19990040388 A KR 19990040388A KR 20000000126 A KR20000000126 A KR 2000000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locking device
locking
rod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540B1 (ko
Inventor
조경연
Original Assignee
조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연 filed Critical 조경연
Priority to KR101999004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5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1/00Fishing for or freeing objects in boreholes or wells
    • E21B31/12Grappling tools, e.g. tongs or gra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주로 말뚝시공 시에 강관 파일 내부의 토사를 파내는데 사용되는 해머 그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머 그래브의 상단에서 해머 그래브의 몸체부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해머 그래브로 지반의 토사를 퍼 올리기 위하여 해머 그래브의 몸체부를 자유낙하 시키는데 사용되는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체인(28)에 의해 크레인과 연설되는 상부걸림장치(21)와, 상기 상부걸림장치(21)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하부걸림장치(40) 및 상기 상하부걸림장치(21,40)의 내부에서 승하강체인(49)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로드(48)로 구성된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장치(21)는, 상부에 상부링(30a)이 설치되고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상부몸통부(22)의 상부 측방으로는 상부링(30a)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브라켓(23)이 외향 돌출 되고 중부 측방으로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2개 이상의 걸고리(26)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설치되며 하단 입구로는 갓 형상의 삽입 안내구(29)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통부(22)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걸고리(26)의 상단부를 눌러주는 누름구(25)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하부링(30b)을 설치한 상부작동관(24)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걸림장치(40)는,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하부몸통부(41)의 하단에 승하강로드(48)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턱(42)을 내측으로 형성하고 양측방으로는 승하강로드(48)의 승하강을 차단하는 걸림돌기(47a)를 형성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힌지설치하며, 상기 하부몸통부(41)의 바깥 둘레에는 상하로 소정 폭 승하강하는 하부작동관(43)을 부설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단부는 상기 걸고리(26)에 결착되는 걸림단턱(45)을 외측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부 말단부는 상기 하부몸통부(41)의 상향돌출을 방지하는 내향 걸림턱(46)을 내측으로 형성하며 하부 말단부로는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부를 눌러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누름단(44)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에 형성된 누름단(44)의 상부로는 상기 상부작동관(24)의 하부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링(30b)을 상측으로 소정 폭 밀어서 올려주는 승강판(50)을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A hanger apparatus for a hammer grab}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주로 말뚝시공 시에 강관 파일 내부의 토사를 파내는데 사용되는 해머 그래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머 그래브의 상단에서 해머 그래브의 몸체부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해머 그래브로 지반의 토사를 퍼 올리기 위하여 해머 그래브의 몸체부를 자유낙하 시키는데 사용되는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의 설명에 앞서서 해머 그래브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 그래브(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1)의 상부에 상하부로 분리되는 걸림장치(20)가 몸체부(11)의 공간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1)의 하단에는 내부에 공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크라운(12)이 볼트체결에 의하여 연설된다.
상기 크라운(12)의 하부 양측방으로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버킷(1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1)의 내부 공간에는 승하강로드(48)가 크레인에 연결된 승하강체인(49)에 의하여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로드(48)의 하부에는 버킷(13)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14)가 연설된다.
상기에서 개폐장치(14)는 와이어와 활차에 의하거나 다수 개의 로드를 이용하여 버킷(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나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몸체부(11)의 측방으로는 중량체의 날개부(15)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가하여 해머 그래브(10)의 중량을 증가시켜서 버킷(13)이 지반을 강하게 파고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해머 그래브(10)는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주로 말뚝시공 시에 강관 파일 내부의 토사를 파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개략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걸림장치(20)에 몸체부(11)를 결착시키고 버킷(13)을 양측방으로 개방한 후, 크레인으로 해머 그래브(1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켜 걸림장치(20)에 결착된 몸체부(11)를 탈거하여 자유 낙하시킨다.
이렇게 해머 그래브(10)의 몸체부(11)가 낙하되어 양측방으로 개방된 버킷(13)이 지반에 소정 깊이로 파고들면 승하강체인(49)으로 승하강로드(48)를 상부로 이송시켜 개폐장치(14)를 연동시키고, 이렇게 개폐장치(14)가 연동되어 버킷(13)이 내측으로 닫히면 크레인으로 몸체부(11)를 끌어올려서 토사를 파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지반에는 깊은 구덩이가 생기게 되어 지주를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해머 그래브(10)의 상부에서 몸체부(11)에 탈착되는 종래의 걸림장치(20)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걸림장치(20)는 크레인에 연결되는 상부걸림장치(21)와 몸체부에 결합되는 하부걸림장치(40)로 크게 나뉘는데, 상기에서 상부걸림장치(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하부 측방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고리(26)가 힌지설치되고 상부 측방으로는 브라켓(23)을 형성하여 크레인에 인양(引揚)되는 연결체인(28)과 연설되는 연결고리(27)가 힌지설치 된 상부몸통부(22)를 마련한다.
상기에서 걸고리(26)는 자중에 의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걸고리(26)의 상단부는 외측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통부(22)의 상단부에는 상부몸통부(22)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상부링(30a)을 부설하고, 상부몸통부(2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하로 소정 간격 승하강되는 상부작동관(24)을 마련하며, 상기 상부작동관(24)의 하부 측방으로는 누름구(25)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누름구(25)가 상부몸통부(22)에 힌지설치 된 걸고리(26)의 상단부를 누르면 걸고리(26)가 외측방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걸림장치(40)는 상부몸통부(22)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한 하부몸통부(41)를 마련하고, 상기 하부몸통부(41)의 중단 측방으로는 상기 승하강로드(48)의 상승을 방지하는 걸림돌기(47a)를 형성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편심되게 힌지설치한다.
상기에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자중에 의하여 측방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설치하여 걸림돌기(47a)가 하부몸통부(41)의 내부 공간을 소정 폭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통부(41)의 하부 말단부에는 승하강로드(48)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턱(42)을 형성하며, 하부몸통부(41)의 외주연으로는 상하로 소정 간격 승하강되는 하부작동관(43)을 부설한다.
상기에서 하부작동관(43)의 상부 외주연으로는 상기 걸고리(26)에 걸리는 걸림단턱(45)을 형성하고 하부로는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을 눌러서 하부몸통부의 내부에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누름단(4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해머 그래브(10)의 버킷(13)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하강로드(48)는 승하강체인(49)에 연설되어 상부몸통부(22)와 하부몸통부(41)가 연통된 내부 공간에서 승하강되어 개폐장치(14)를 작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걸림장치의 작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걸림장치(21)의 걸고리(26)에 하부걸림장치(40)의 걸림단턱(45)이 결착된 상태에서 걸고리(26)를 외측방으로 개방시키면 상부걸림장치(21)와 하부걸림장치(40)의 결착이 해제되어 하부걸림장치(40)가 해머 그래브(10)의 몸체부(11)와 함께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자유 낙하하여 버킷(13)이 지반을 파고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걸림장치(40)가 몸체부(11)와 함께 자유 낙하하여 지반에 부딪히게 되면 관성에 의하여 상기 걸림단턱(45)이 형성된 하부작동관(43)이 하부몸통부(41)에서 소정 간격 하부로 이동하면서 하부작동관(43)의 하측방에 힌지결합 된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부를 누름단(44)이 눌러 주게된다.
이렇게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부가 하부작동관(43)의 누름단(44)에 의해서 눌려지면 걸림돌기(47a)에 의하여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소정 폭 차단하고 있던 승하강로드 걸림구(47)가 측방으로 개방되면서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완전 개통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로드 걸림구(47)가 개방되면 승하강체인(49)으로 승하강로드(48)를 상승시켜서 승하강로드에 연설된 개폐장치(14)로 버킷(13)을 닫아 지반의 토사를 퍼담게 되고, 버킷(13)으로 토사를 퍼담은 후 승하강체인(49)을 계속 인양하게 되면 하부걸림장치(40)와 몸체부(11)가 상부걸림장치(21)까지 인양된다.
이렇게 몸체부(11)가 상부걸림장치(21)까지 인양되어 걸림단턱(45)이 걸고리(25)에 걸려서 상부걸림장치(21)와 하부걸림장치(40)가 결착되면 승하강체인(49)을 풀어서 승하강로드(48)를 소정 간격 하부로 이송시키면 개폐장치(14)가 느슨해지면서 버킷(13)이 양측방으로 개방되어 토사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지반에 지주를 설치할 수 있는 깊은 구덩이를 형성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걸림장치(20)는, 승하강체인(49)을 인양하여 하부걸림장치(40)를 상부걸림장치(21)에 결착시킬 때 하부걸림장치(40)가 수직으로 곧게 올라오는 것이 아니고 좌우로 흔들리면서 인양되므로 하부작동관(43)의 상부로 소정 폭 돌출 된 하부몸통부(41) 상단부가 상부몸통부(22)에 힌지설치되어 좌우로 요동치는 걸고리(26)와 부딪혀 찌그러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상기 걸고리(26) 또한 하부몸통부(41) 및 하부작동관(43)과 부딪히는 충격으로 형상에 변형을 가져와 결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크레인에 연결되어 헤머 그래브(10) 전체를 이송시키는 연결체인(49)은 상부몸통부(22)의 상측방에 형성된 브라켓(23)에 힌지결합 된 연결고리(27)에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고리(27)가 상부몸통부(22)의 상측 입구의 근거리에서 대등한 높이로 힌지결합 되어 있으므로, 몸체부(11)가 낙하하여 지반에 버킷(13)이 파고들 때 강력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연결체인(49)이 출렁이게 되면서 연결체인(49)의 일부가 상부몸통부(22)의 상측 입구로 유입되어 승하강체인(49)과 얽히거나 부딪히면서 마모되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부몸통부가 걸고리에 부딪혀 발생하는 형상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에 따라 상부걸림장치와 하부걸림장치의 결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체인이 상부몸통부의 상측 입구로 잘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체인에 의해 크레인과 연설되는 상부걸림장치와, 상기 상부걸림장치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하부걸림장치 및 상기 상하부걸림장치의 내부에서 승하강체인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로드로 구성된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장치는, 상부에 상부링이 설치되고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상부몸통부의 상부 측방으로는 상부링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브라켓이 외향 돌출되고 중부 측방으로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2개 이상의 걸고리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설치되며 하단 입구로는 갓 형상의 삽입 안내구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통부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걸고리의 상단부를 눌러주는 누름구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하부링을 설치한 상부작동관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걸림장치는,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하부몸통부의 하단에 승하강로드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턱을 내측으로 형성하고 양측방으로는 승하강로드의 승하강을 차단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한 승하강로드 걸림구를 힌지설치하며, 상기 하부몸통부의 바깥 둘레에는 상하로 소정 폭 승하강하는 하부작동관을 부설하며, 상기 하부작동관의 상단부는 상기 걸고리에 결착되는 걸림단턱을 외측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작동관의 상부 말단부는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향돌출을 방지하는 내향 걸림턱을 내측으로 형성하며 하부 말단부로는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의 상단부를 눌러서 승하강로드 걸림구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누름단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작동관에 형성된 누름단의 상부로는 상기 상부작동관의 하부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링을 상측으로 소정 폭 밀어서 올려주는 승강판을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해머 그래브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a내지 도4g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해머 그래브 11 : 몸체부 12 : 크라운
13 : 버킷 14 : 개폐장치 15 : 날개부
20 : 걸림장치 21 : 상부걸림장치 22 : 상부몸통부
23 : 브라켓 24 : 상부작동관 25 : 누름구
26 : 걸고리 27 : 연결고리 28 : 연결체인
29 : 삽입 안내구 30a : 상부링 30b : 하부링
40 : 하부걸림장치 41 : 하부몸통부 42 : 하강방지턱
43 : 하부작동관 44 : 누름단 45 : 걸림단턱
46 : 내향 걸림턱 47 : 승하강로드 걸림구
47a : 걸림돌기 48 : 승하강로드 49 : 승하강체인
50 : 승강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도 1과 도3 내지 도 4g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장치의 작용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는, 연결체인(28)에 의해 크레인과 연설되는 상부걸림장치(21)와, 상기 상부걸림장치(21)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하부걸림장치(40) 및 상기 상하부걸림장치(21,40)의 내부에서 승하강체인(49)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로드(4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부걸림장치(21)는, 상부에 상부링(30a)이 형성되고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상부몸통부(22)의 상부 측방으로는 상부링(30a)보다 소정 높이 낮게 브라켓(23)이 돌출 형성되고 중부 측방으로는 상단부가 외측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2개 이상의 걸고리(26)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설치되며 하단 입구로는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갓 형상으로 제작된 삽입 안내구(29)가 하측방에 연장 설치된다.
상기에서 브라켓(23)의 하측 끝단부에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해머 그래브(10) 전체를 인양하는 연결체인(28)에 걸리는 연결고리(27)가 힌지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통부(22)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걸고리(26)의 상단부를 눌러서 걸고리(26)를 외측방으로 개방시켜주는 누름구(25)가 내측으로 형성된 상부작동관(24)을 상하로 소정 폭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작동관(24)의 하단 주연부에는 하부링(30b)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걸고리(26)의 외측 하단부에는 살을 도톰하게 형성하여 걸고리(26)가 자중에 의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룰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걸고리(26)가 내측방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걸림단턱(45)과의 결착력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걸림장치(40)는, 상기 상부몸통부(22)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하부몸통부(41)의 하단에 승하강로드(48)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턱(42)을 내측으로 형성하고 중단 측방으로는 승하강로드(48)의 승하강을 차단하는 걸림돌기(47a)를 형성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힌지설치 한다.
상기에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자중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7a)가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소정 폭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통부(41)의 바깥 둘레에는 상하로 소정 폭 승하강하는 하부작동관(43)을 부설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단부는 상기 걸고리(26)에 결착되는 걸림단턱(45)을 외측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부 말단부는 상기 하부몸통부(41)의 돌출을 방지하는 내향 걸림턱(46)을 내측으로 형성하며 하부 말단부로는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부를 눌러서 걸림돌기(47a)를 하부몸통부(41)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누름단(44)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걸림단턱(45)은 상기 상부몸통부(22)의 하단에 부설된 삽입 안내구(29)의 내측면에 형합되도록 삽입 안내구(29)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에 형성된 누름단(44)의 상부로는 상기 상부작동관(24)의 하부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링(30b)을 상측으로 소정 폭 밀어서 올려주는 승강판(50)을 설치하여서 본 발명에 따른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는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4a 내지 도 4g를 순서대로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는 상하부걸림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해머그래브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걸림장치(21)의 걸고리(26)에 삽입 안내구(29)와 하부걸림장치(40)의 걸림단턱(45)이 결착되고, 승하강로드(48)는 승하강이 자유롭게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승하강로드(48)와 연동되는 버킷(13)은 양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자중에 의하여 걸림돌기(47a)가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외측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부몸통부(22)의 브라켓(23)에 연설된 연결체인(28)이 해머그래브(10)의 전체적인 중량을 지탱하고 있으며, 연결체인(28)에 연결된 해머 그래브(10)를 크레인으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서 대기한다.
도 4b는 상하부걸림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을 해제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이 승하강로드(48)에 연장되고 타측은 크레인에 의해 권취되고 풀리는 승하강체인(49)을 풀어서 승하강로드(48)가 하부몸통부(41)의 하강방지턱(42)까지 닿도록 하강시키면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걸림돌기(47a)가 승하강로드가 상부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승하강로드(48)와 연동되는 버킷(13)은 양측방으로 최대한 개방되어 있으며, 연결체인(28)이 여전히 전체적인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에서 승하강로드(48)가 하강할 때,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승하강로드(48)에 의해 양측방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었다가 다시 자중에 의해 외측방으로 경사지면서 걸림돌기(47a)가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차단하여 승하강로드(48)의 상승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승하강로드(48)가 걸림돌기(47a)에 의해 상부로의 통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승하강로드(48)는 걸림돌기(47a)와 하강방지턱(42)사이의 공간에서 수직으로 소정 간격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c는 상하부걸림장치가 해제되어 하부걸림장치가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걸림돌기(47a)에 의해 상부로의 상승이 차단된 승하강로드(48)의 상부에 연결된 승하강체인(49)을 소정 길이 감으면 승하강로드(48)가 상부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승하강로드 걸림구(47)에 형성된 걸림돌기(47a)가 하부몸통부(41)에서 승하강로드(48)의 상승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하부걸림장치(40) 전체가 승하강로드(48)와 함께 상부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해머 그래브(10)의 전체적인 무게를 연결체인(28)이 지탱하고 있는 상태에서 승하강로드(48)가 걸림돌기(47a)에 걸려 상부로 소정 높이 상승되면 해머 그래브(10)의 무게는 승하강체인(49)으로 전가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단턱(45)이 걸고리(26)에 결착된 상태에서 하부걸림장치(40)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 걸고리(26)와 걸림단턱(45)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연결체인(28)을 소정 높이 상승시켜 상부몸통부(22)를 상부로 이송시키면 지면과 수직을 유지하는 걸고리(26)는 상부작동관(24)의 내측에 설치된 누름구(25)에 의해서 상단부가 눌려지므로 측방으로 개방된다.
이렇게 걸고리(26)가 누름구(25)에 의해 측방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체인(49)을 풀면 걸림단턱(45)이 걸고리(26)에 결착되지 않고 하부걸림장치(40)와 버킷(13)이 일체로 자유 낙하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하부걸림장치(21, 40)가 서로 해제되면, 상부걸림장치(21)의 하중은 연결체인(28)으로 전가되고 나머지 하중은 승하강체인(49)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하부걸림장치(40)가 낙하할 때, 하부작동관(43)에 형성된 내향 걸림턱(46)은 하부몸통부(41)의 상측 말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낙하한다.
그리고, 도 4d에서는 버킷이 지반에 파고든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자유 낙하되어 버킷(13)이 지반을 파고들면, 상기 승하강로드(48)의 하단부는 하강방지턱(42)에 접하는 동시에 승하강로드(48)의 상단부는 걸림돌기(47a)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작동관(43)의 하부 말단에 형성된 누름단(44)이 관성의 영향으로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을 밀면 승하강로드 걸림구(47)가 양측방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47a)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로드 걸림구(47)가 양측방으로 회동되면,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차단하여 승하강로드(48)의 상승을 방지하던 걸림돌기(47a)도 함께 회동되면서 승하강로드(48)가 하부몸통부(41)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통로를 열어주게 된다.
상기에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걸림돌기(47a)가 승하강로드(48)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므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4e는 버킷으로 토사를 퍼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f는 토사를 퍼담은 버킷을 상부로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함께 설명하면, 하부몸통부(41)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하강체인(49)으로 승하강로드(48)를 상부로 이송하면 승하강로드(48)와 연동되는 버킷(13)이 닫혀지면서 토사를 퍼담게 된다(도 4e).
상기와 같이 버킷(1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승하강로드(48)를 계속 상승시켜 하부걸림장치(40)와 버킷(13)을 함께 상부로 인양되도록 하고, 승하강로드(48)가 삽입 안내구(29)에 유입되면 승하강로드(48)의 상승을 중지시킨다(도 4f).
마지막으로 도 4g는 버킷을 개방하여 토사를 배출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승하강로드(48)가 삽입 안내구(29)에 유입된 상태에서는 상부걸림장치(21)를 하강시키게 되는데, 상기 상부걸림장치(21)가 하강하여 하부링(30b)이 승강판(50)과 맞닿게 되면 상부몸통부(22)는 계속 하강하게 되나 정지된 승강판(50)이 하부링(30b)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상부작동관(24)은 상부몸통부(22)에서 상대적으로 상부로 소정 높이 슬라이드 된다.
한편, 승강판(50)과 하부링(30b)이 맞닿은 상태에서 하부작동관(43)의 걸림단턱(45)은 갓 형태로 형성된 삽입 안내구(29)의 근접한 곳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부작동관(24)의 누름구(25)는 걸고리(26)의 상단부를 눌러서 걸고리(26)를 외측방으로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몸통부(22)는 하강하고 상부작동관(24)은 승강판(50)에 의해 정지되면 걸고리(26)와 누름구(25)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걸고리(26)와 누름구(25)가 이격되어 간격이 생기면 상기 걸고리(26)는 자중에 의해 내측으로 닫혀지면서 삽입 안내구(29)로 유입되는 걸림단턱(45)과 결착된다.
걸림단턱(45)과 걸고리(26)가 결착되어 상하부걸림장치(21, 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승하강체인(49)을 풀어 승하강로드(48)를 하부몸통부(41)의 하강방지턱(42)에 걸리도록 이송시키면, 하부작동관(43)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몸통부(41)는 승하강로드(48)와 함께 소정 간격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승하강로드 걸림구(47)는 하부작동관(43)의 누름단(44)과 이격되면서 다시 하부몸통부(41)의 내부를 차단시키게 되며, 승하강로드(48)와 연동되는 버킷(13)은 양측방으로 개방되어 토사를 배출한 후 도 4a와 동일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는, 하부몸통부의 하측 입구에 갓 형태의 삽입 안내구를 부설하여 하부걸림장치가 상부걸림장치에 결착될 때 심하게 좌우로 요동을 치더라도 걸림단턱이 삽입 안내구에 의해 안내되므로 용이하게 걸고리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에 따라 걸고리가 하부걸림장치와 부딪혀 발생하는 파손이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부걸림장치의 브라켓은 상부링에서 하부로 높이의 차를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체인이 상부몸통부의 상부 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하부작동관의 상부 말단부에 내향 걸림턱을 형성하여 하부몸통부가 하부작동관에서 상향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하부몸통부의 상단부가 걸고리와 부딪혀 발생하는 형상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체인(28)에 의해 크레인과 연설되는 상부걸림장치(21)와, 상기 상부걸림장치(21)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하부걸림장치(40) 및 상기 상하부걸림장치(21,40)의 내부에서 승하강체인(49)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로드(48)로 구성된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장치(21)는, 상부에 상부링(30a)이 설치되고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상부몸통부(22)의 상부 측방으로는 상부링(30a)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브라켓(23)이 외향 돌출되고 중부 측방으로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2개 이상의 걸고리(26)가 자중에 의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힌지설치되며 하단 입구로는 갓 형상의 삽입 안내구(29)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통부(22)의 바깥 둘레에는 상기 걸고리(26)의 상단부를 눌러주는 누름구(25)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하부링(30b)을 설치한 상부작동관(24)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걸림장치(40)는, 상하로 내부가 개방된 하부몸통부(41)의 하단에 승하강로드(48)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턱(42)을 내측으로 형성하고 양측방으로는 승하강로드(48)의 승하강을 차단하는 걸림돌기(47a)를 형성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힌지설치하며,
    상기 하부몸통부(41)의 바깥 둘레에는 상하로 소정 폭 승하강하는 하부작동관(43)을 부설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단부는 상기 걸고리(26)에 결착되는 걸림단턱(45)을 외측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작동관(43)의 상부 말단부는 상기 하부몸통부(41)의 상향돌출을 방지하는 내향 걸림턱(46)을 내측으로 형성하며 하부 말단부로는 상기 승하강로드 걸림구(47)의 상단부를 눌러서 승하강로드 걸림구(47)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누름단(44)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작동관(43)에 형성된 누름단(44)의 상부로는 상기 상부작동관(24)의 하부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링(30b)을 상측으로 소정 폭 밀어서 올려주는 승강판(50)을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KR1019990040388A 1999-09-20 1999-09-20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KR10034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88A KR100343540B1 (ko) 1999-09-20 1999-09-20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88A KR100343540B1 (ko) 1999-09-20 1999-09-20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126A true KR20000000126A (ko) 2000-01-15
KR100343540B1 KR100343540B1 (ko) 2002-07-19

Family

ID=1961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88A KR100343540B1 (ko) 1999-09-20 1999-09-20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2444A (zh) * 2021-07-23 2021-10-22 杨奔奔 一种建筑节能环保用混凝土回收装置
KR20220019464A (ko) * 2020-08-10 2022-02-17 김화준 해머 그랩의 걸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64A (ko) * 2020-08-10 2022-02-17 김화준 해머 그랩의 걸림장치
CN113522444A (zh) * 2021-07-23 2021-10-22 杨奔奔 一种建筑节能环保用混凝土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540B1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2655A (ja) パイルを基礎に据えた海洋プラットフォームの建設に使用するパイルを据え付ける方法と装置
KR100343540B1 (ko) 해머 그래브용 걸림장치
KR102062458B1 (ko) 배수로의 야생동물 탈출시설
JPH09151434A (ja) 角形蛇籠の変形防止枠及びその蛇籠の設置方法
KR200449686Y1 (ko) 메커니컬 펌프의 개폐제어장치
CN109989333A (zh) 用于混凝土水平支撑的型钢栈桥结构及其安装方法
JP2002147161A (ja) 立坑掘削用ズリ揚げ装置
CN220906962U (zh) 一种吊具
CN214143676U (zh) 一种用于钻孔灌注桩的护筒
JP4268273B2 (ja) 水中作業用バケット
KR200210802Y1 (ko) 햄머그래브
JP3056020B2 (ja) 場所打ち杭施工用ハンマグラブ
CN220978082U (zh) 一种简易降水井井管下放安装装置
CN216741607U (zh) 一种装配式桩孔掘进渣石智能控制提升系统
JP3491096B2 (ja) パラペット切欠部開閉用回動式止水板
CN217053395U (zh) 人工挖孔安全平台
JP3724784B2 (ja) 掘削装置
KR100326474B1 (ko) 블럭메트 달아올림틀 구조
CN112551410B (zh) 一种电网系统用排水泵防倾倒牵拉装置
SU15027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лотнени грунта
JP4755361B2 (ja) 立坑構築工法
JPS594725A (ja) 掘削装置
KR100346027B1 (ko) 우물통에서의 트레미관을 이용한 우물통 속채움 콘크리트타설장치
CN117005407A (zh) 预应力管桩脱钩牵引植入施工方法
JPH10159476A (ja) 掘削機の泥水飛散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