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308A - 콘택트 렌즈를 포스폰산 화합물을 포함하는수용액으로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를 포스폰산 화합물을 포함하는수용액으로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308A
KR19990087308A KR1019980706716A KR19980706716A KR19990087308A KR 19990087308 A KR19990087308 A KR 19990087308A KR 1019980706716 A KR1019980706716 A KR 1019980706716A KR 19980706716 A KR19980706716 A KR 19980706716A KR 19990087308 A KR19990087308 A KR 1999008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olution
phosphonic acid
amine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114B1 (ko
Inventor
완다 디 리차드
데이비드 제이 헤일러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븐 에이. 헬렁
Publication of KR1999008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8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12/14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s A61L12/10 or A61L12/12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8Composition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spectacle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yeglass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를 비산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렌즈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포스폰산 화합물은 항미생물성 작용제와 함께 사용하여 단백질 침착물의 예방 또는 제거를 포함하여, 콘택트 렌즈의 동시적인 소독 및 세척 작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를 포스폰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콘택트 렌즈는 다음 3가지 범주로 나뉘어진다: (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 에스테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재료로부터 성형된 경질 렌즈, (2)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플루오로실리콘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성형된 강성 기체 침투성(RGP: rigid gas permeable) 렌즈, 및 (3)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와 같은 중합된 친수성 또는 소수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겔, 히드로겔 또는 연질형 렌즈. 경질 아크릴형 콘택트 렌즈는 낮은 수증기 확산 상수, 광, 산소 및 가수분해의 영향에 대한 내성을 특징으로 하며, 단지 소량의 수성 유체만을 흡수한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정상적인 과정에서는, 단백질성, 오일성, 지방질 및 관련 유기 물질로 구성되는 눈물 피막 및 찌꺼기가 렌즈 표면상에 침착 및 축적하는 경향을 가진다. 환자마다의 특성, 렌즈 재료, 보호 방안 및 환경을 비롯한 다수의 요인이 침착물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은 이온 렌즈 재료는 수분이 적거나 비이온성 렌즈 재료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흡수한다. 통상적인 보호 방안의 일부로서, 콘택트 렌즈는 상기 눈물 피막 침착물 및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세척되어야 한다. 이들 침착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않으면, 렌즈의 습윤성 및 광학적 선명도는 상당히 감소되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킨다.
통상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세척은 두 가지의 일반적인 세척제 종류중 하나 또는 둘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일일 단위 세척제"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계면활성제 세척제는 그 추천된 일일 사용 방식으로 인해, 대부분의 탄수화물 및 지질에서 유래한 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세척제는 라이소자임과 같은 단백질성 물질의 제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통상적으로, 식물, 동물 및 미생물에서 유래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보다 강인한 단백질성 침착물을 제거한다. 이러한 "효소" 세척제는 통상 1주 단위로 사용하도록 추천되며, 통상 적합한 수용액에 효소 정제(tablet)를 용해시켜 이용한다.
또한, 콘택트 렌즈는 렌즈상에 존재하거나 증식할 수 있는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소독하여야 한다. 콘택트 렌즈를 소독하는 다수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데, 그 예로는 렌즈를 산화성 약품(예; 과산화수소) 또는 항미생물성 작용제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주위 온도에서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소독은 특정 시간 동안 렌즈를 승온에 노출시켜서 소독할 수도 있다. 이러한 후자의 소독 기술은 통상의 전기적 소독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 렌즈, 특히 연질 콘택트 렌즈를 세척하고 소독하는 통상의 방법은 통상 세척 상을 포함하는 초기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때, 렌즈는 일일 단위 세척제로 마찰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주위 온도 조건에서 효소 세척 용액에 침지시켜, 즉 15분 이상의 시간 동안 침지시켜 단백질성 침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세척 단계 이후에는, 계속해서 렌즈를 소독할 필요가 있다.
렌즈를 동시에 소독하면서 콘택트 렌즈로부터 단백질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614,549호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의 수용액에서 콘택트 렌즈를 세척하고 소독하는 1 단계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불운하게도, 이러한 방법은 전기적 소독 장치 및 승온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 렌즈의 동시 세척 및 소독 방법의 예는 미국 특허 제 32,67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등록 특허는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활성 효소를 함유하는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렌즈를 눈에 삽입하기 전에 잔류 과산화물을 중화시키는 추가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보다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 새로운 방안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1992년 3월 17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96,607호는 세척 및 소독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은 렌즈를 특정 조건의 중량몰 삼투압 농도 하에서 효소 정제의 존재하에 다목적 용액중에 침지시킴으로써, 렌즈를 동시에 세척 및 소독한다. 상기 시스템은 효소 세척제와 조합체로 동시에 이용하여 효과적인 렌즈 세척 및 소독에 요구되는 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단일의 "일일 단위" 세척 및 소독 용액의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후자의 특허는 이전의 시스템보다 더 편리한 세척 렌즈에서 매우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고 있지만, 추가의 편리성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의 효소 세척제에 대한 일반적인 필요성이 없이, 세척 시스템이 효소 세척제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필적하는 세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용액만을 이용하는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처리 방법 및 콘택트 렌즈 처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포스폰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사용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동시 세척 및 소독 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를 비산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처리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렌즈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Z는 원자가가 n과 동일한 연결 라디칼로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n은 1 내지 6이다. Z 라디칼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아민-함유 라디칼과 같은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이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실,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이 때, 페닐상의 치환체는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또는 알킬일 수 있고,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당해 포스폰산을 0.003 중량/부피 %,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부피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5 중량/부피 %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콘택트 렌즈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포스폰산 화합물은 항미생물 작용제와 조합 사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동시적인 소독 및 세척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보호 용액은 콘택트 렌즈에 임의의 기타 용액 또는 추가의 효소 세척제를 요하지 않고 완전한 비산화적 세척 방안을 제공한다. 세척 방안은 효소 세척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세척 방안에 필적하는 단백질 제거 작용을 제공한다. 그 자체로서, 본 발명은 공지의 세척 및 소독 방법에 비해 현저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경질, 연질, 강성 및 연질 기체 침투성 및 실리콘 재질(히드로겔 및 비히드로겔을 둘다 포함) 렌즈와 같은 모든 콘택트 렌즈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연질 렌즈와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들은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단량체로부터 통상 제조된다. 그러한 렌즈들은 상당량의 물을 흡수하는 데, 그 양은 약 4 내지 약 80 중량%의 범위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포함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Z는 원자가가 n과 동일한 연결 라디칼로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때, 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Z 라디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아민-함유 라디칼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아민-함유 라디칼은, 탄소 원자가 2차 또는 3차 아민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로 차단되어 있는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Z가 하나 이상의 2차 또는 3차 아민을 포함하는 아민-함유 라디칼인 경우, Z중의 탄소 원자의 수는 n+1 이상이다. "탄화수소"란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된 분지쇄, 비분지쇄, 비고리형 또는 고리형 부를 의미한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이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이 때, 페닐상의 치환체는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또는 알킬일 수 있고,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바람직한 할로겐은 염소이다. 바람직한 치환체는 아민, 히드록시 및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다.
따라서, 적합한 Z 라디칼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리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n+1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아미노 트리(알킬렌), n+1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아미노 디(알킬렌), 알킬렌디아민테트라(알킬렌) 또는 디알킬렌트리아민 펜타(알킬렌) 라디칼을 들 수 있으며, 이 때, 괄호 속의 각각의 알킬렌기는 포스폰산 기에 연결되어 있다. 알킬렌 기는 모두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Z기가 아미노 트리(알킬렌) 라디칼인 화합물의 예로는 아미노 트리(에틸리덴 포스폰산), 아미노 트리(이소프로필리덴 포스폰산), 아미노 디(메틸렌 포스폰산)모노(이소프로필리덴 포스폰산) 및 아미노 모노(메틸렌 포스폰산)디(에틸리덴 포스폰산)이 있다. Z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리덴 라디칼인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렌 디포스폰산, 에틸리딘 디포스폰산, 1-히드록시 프로필리덴 디포스폰산이 있다. Z기가 알킬렌디아민테트라(알킬렌) 또는 디알킬렌트리아민 펜타(알킬렌) 라디칼인 화합물의 예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판되거나 또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수단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미국 특허 제 3,671,644호에 개시된 방법이 있다. 할로-치환된 포스폰산 화합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PCl3또는 PBr3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히드록시-치환된 포스폰산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은 생리적으로 상용성(compatible)이다. 구체적으로, 용액은 콘택트 렌즈와 함께 사용하기에 "안과적으로 안전"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용액으로 처리된 콘택트 렌즈가 일반적으로 세정 없이 눈에 직접 착용하기에 적합하고 안정하다는 것, 즉 용액으로 습윤화된 콘택트 렌즈를 통해 눈과 일일 단위의 접촉에 안전하고 편안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안과적으로 안전한 용액은 눈에 적합한 pH 및 긴장도(tonicity)를 가지며, ISO 표준 및 미국 FDA(식품 의약국) 규정에 따라 비독성인 재료 및 그 양을 포함한다. 그 용액은 방출하기 전에 제품내 미생물 오염물의 부재가 그러한 제품에 필요한 정도로 통계적으로 입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멸균성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포스폰산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며; X1는 포스폰산 기(즉, P(OH)2O), 히드록시(OH), 아민(NH2) 또는 수소(H)이며; X2및 X3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 및 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페닐상의 치환체의 예로는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및/또는 알킬기가 있다. 전술한 알킬 및 알콕시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2의 탄소 원자의 총수는 1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또 다른 부류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범위에 속하는 화합물 및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화학식 3의 탄소 원자의 총수는 1 내지 12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화학식 3의 a+b+c+d의 합계는 1 내지 11이 바람직하고, 2 내지 9가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2의 a, b, c 및 d가 모두 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한 종인데, 구체적으로는 4나트륨 에티드로네이트로도 언급되며, 몬산토 컴퍼니에서 디퀘스트(DeQuestR) 2016 디포스폰산 나트륨 염 또는 포스포네이트로 시판되는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의 4나트륨 염이다.
유기 포스폰산 및 그 염(총괄적으로 "포스폰산 화합물"로 지칭함)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 염들은 종종 포스포네이트로 지칭된다. 그러한 포스폰산 화합물의 공지의 용도에는 보일러내 물때(scale)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포함된다. 기타 공지의 용도로는 과산화수소 용액의 안정화가 있다. 예를 들면, 차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12,173호는 콘택트 렌즈의 소독에 이용되는 과산화수소 용액의 안정화를 위해 포스폰산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후속적인 중화 과정을 필요로 하는 "산화적" 소독법의 예이다. 산화적 소독법의 예로는 과산화물을 이용하는 소독 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일반적인 "세척"이나 콘택트 렌즈로부터의 단백질의 제거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다. 그러한 포스폰산 화합물의 기타 공지의 용도로는 페놀 또는 4차 암모늄 살균제를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에 강화제로서의 그들의 사용을 들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시추용 머드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예; 양치질약, 손 및 머리 세척제) 및 강력 방부 세제 조성물(영업용 세탁소, 세탁용 직물, 낙농 장치, 병원 장치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에서 그 용도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액은 전체 용액중에 본 발명의 포스폰산 화합물을 0.003 중량/부피 %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 중량/부피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25 중량/부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액은 항미생물성 작용제, 완충제, 킬레이트화제 및/또는 포착제(sequestering agents), 긴장도 조정제 및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양한 기타 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액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용액)의 15 중량/부피(w/v)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피(w/v) % 이하의 양으로 존재(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체로)할 수 있는 양쪽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사용할 때 세척 및 컨디셔닝 성질을 부여하는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는 렌즈 보호 용액에서 가용성이고, 눈 조직에 비자극성이어야 한다. 다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R이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옥시알킬렌(-O-R-) 반복 단위를 가진 하나 이상의 사슬 또는 중합체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의 상이한 옥시알킬렌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블록 중합체를 포함하는데, 이 때, 상이한 반복 단위의 비는 계면활성제의 HLB를 결정한다. 만족할 만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예; 코코넛), 폴리소르베이트, 고급 알칸(C12-C18)의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에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부류의 예로는 폴리소르베이트 20(상표명 트윈 20으로 시판됨), 폴리옥시에틸렌(23) 라우릴 에테르(브리지 35), 폴리옥시에틸렌(40) 스테아레이트(미르지 52), 폴리옥시에틸렌(25)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아틀라스 G 2612)를 들 수 있다. 분자량 약 7,500 내지 약 27,000의 에틸렌 디아민의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부가물로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이 때, 상기 부가물의 약 40 중량% 이상이 폴리(옥시에틸렌)인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약 0.01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때, 연질 및 경질 콘택트 렌즈를 세척 및 컨디셔닝하는 데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계면활성제 군의 CTFA 화장품 성분 사전에서 채택된 명칭은 폴록사민이다. 그러한 계면활성제는 미시건주 와이언도트 소재의 BASF 와이언도트 코오포레이션에서 등록상표 "테트로닉"으로 시판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계면활성제 계열의 유사물은 상표명 "플루로닉"(BASF에서 시판됨)으로 시판되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인 폴록사머 계열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양쪽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타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설명을 고려하여 뉴저지주 07452 글렌 록 소재의 MC 퍼블리싱 컴퍼니의 맥커쳔 분과의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북미판) 및 워싱턴 D.C. 소재의 화장품, 화장도구 및 방향 협회에 의해 발간된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Handbook으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상표명 "미라놀"로 시판되는 유형의 재료가 있다. 또 다른 유용한 부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다양한 출처에서 시판되는 코코아미도프로필 비테인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피(w/v)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부피 %의 총량으로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액의 pH는 5.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7.8의 범위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적합한 완충제를 첨가할 수도 있는데, 그 예로는 붕산, 붕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중탄산나트륨, TRIS 및 다양한 혼합 인산염 완충액(Na2HPO4, NaH2PO4및 KH2PO4의 조합물을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붕산염 완충제가 특히 비구아나이드(biguanide)의 효능 증강에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완충제는 약 0.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소독/보존 용액은 붕산염 또는 혼합 인산염 완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완충제는 하나 이상의 붕산, 붕산나트륨 또는 칼륨 테트라보레이트, 칼륨 메타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완충제 외에도, 일부의 경우, 본 발명의 용액에 포착제를 포함시켜 렌즈 및/또는 단백질 침착물과 반응하고 렌즈상에 수집될 수 있는 금속 이온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및 그 염(2나트륨)이 바람직한 예이다. 이들은 통상 약 0.01 내지 약 0.3 중량% 범위로 첨가된다. 기타 적합한 포착제로는 글루콘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및 그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통상, 콘택트 렌즈 처리용의 본 발명의 수용액은 긴장도 작용제로 조정하여 염화나트륨 0.9% 용액 또는 글리세롤 용액 2.5%에 해당하는 정상적인 눈물 유체의 삼투압에 근접시키기도 한다. 상기 용액은 생리적 염수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면 거의 등장성으로 되고, 멸균수와 단순히 혼합되고 저장성 또는 고장성으로 되는 경우, 렌즈는 그 바람직한 광학적 매개변수를 상실할 것이다. 따라서, 과량의 염수는 찌르는 듯한 통증 및 눈의 자극을 일으킬 고장액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적합한 긴장도 조정제의 예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덱스트로스, 글리세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정제는 통상 약 0.01 내지 2.5 %(w/v),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w/v)의 양으로 각각 사용된다. 긴장도 조정제는 200 내지 450 mOsm/㎏의 최종 삼투압을 제공하는 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투압은 약 250 내지 약 350 mOsm/㎏이 보다 바람직하며, 약 280 내지 약 320 mOsm/㎏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액중에 수용성 점도 형성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완화 효과로 인해, 점도 형성제는 눈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렌즈 표면상의 피막에 의해 렌즈 착용자의 안락감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용성 점도 형성제에는 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등과 같은 셀룰로스 중합체가 있다. 그러한 점도 형성제는 약 0.01 내지 약 4.0 중량% 또는 그 이하의 양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액은 임의 성분으로 완화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액은 하나 이상의 항미생물성 작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항미생물성 작용제는 미생물과의 화학적 또는 생리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 항미생물 활성을 유도하는 비산화성 유기 약품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한 항미생물성 작용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및 비구아나이드이다.
4차 암모늄 화합물의 대표예는 벤즈알코늄 할라이드 또는 예를 들면, n-알킬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균형 혼합물로 구성된 조성물이다. 기타 예로는 일반적으로 오닉스 코오포레이션에서 등록상표 폴리쿼터늄 1로 시판되는 폴리[(디메틸이미노)-2-부텐-1,4-디일 클로라이드], [4-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암모니오]-2-부테닐-w-[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암모니오]디클로라이드(약품 등록 번호 75345-27-6)와 같이, 안과 용도에 사용되는 중합체성 4차 암모늄 염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비구아나이드는 알렉시딘 또는 클로르헥시딘 또는 그 염과 같은 비스(비구아나이드), 및 중합체 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PHMB)와 같은 중합체 비구아나이드이다.
중합체 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제네카에서 시판됨), 그 중합체 및 수용성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나이드(PAPB)로도 지칭되는 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 중합체는 약 100,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진다. 그러한 화합물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 4,758,595호에 개시되어 있다.
항미생물성 작용제의 소독량은 이용되는 제제에 미생물 군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양이다. 소독량은 4 시간내에 2 로그 차수만큼, 바람직하게는 1 시간내에 1 로그 차수만큼 미생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양이 바람직하다. 소독량은 추천된 침지 시간 방안(FDA 약품 소독 효능 시험-1985년 7월, 콘택트 렌즈 용액 드래프트 가이드라인)에 사용할 경우 콘택트 렌즈상의 미생물의 양을 제거하는 양이다. 통상, 그러한 작용제는 약 0.00001 내지 약 0.5%(w/v) 범위의 농도로 존재하며, 상기 농도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약 0.00003 내지 약 0.5%(w/v)이다.
제2의 소독제/살균제는 용액 방부제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또 다른 살균제의 미생물 사멸 활성의 범위를 강화, 보충 또는 광범위화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용액중에서 서로 상용성이고 침전되지 않는 살균제의 미생물 사멸에 유효한 양을 약 0.00001 내지 약 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01 내지 약 0.1 중량%의 농도로 포함한다. 적합한 보충적인 살균제로는 티메로살 또는 기타 페닐머큐릭 염, 소르빈산, 알킬 트리에탄올아민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산-부가염은 무기 또는 유기산에서 유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염이 용이 수용성이고 사람에 대한 용도에 적합한 음이온, 예를 들면, 약학적-허용 음이온을 부여하는 산에서 유래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산의 예로는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아세트산, D-글루콘산, 2-피롤리디노-5-카르복실산, 메탄설폰산, 카르본산, 젖산 및 글루탐산이 있다. 염화수소염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액중의 살균제 또는 기타 성분의 양은 용액이 제조되는 시기에 용액내로 제형화되고 첨가되는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액은 습윤화 용액, 침지 용액, 세척 및 컨디셔닝 용액과 같은 특정 콘택트 렌즈 보호 제품, 뿐만 아니라 목적형 렌즈 보호 용액 등 및 이들의 혼합물내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목적 용액"으로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목적 용액이란 콘택트 렌즈를 세척, 약품 소독, 보관 및 세정하는 데에 그 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용액은 "다목적 용액계" 또는 "다목적 용액 포장"의 일부일 수 있다. 다목적 용액, 계 또는 포장을 사용하는 절차는 "다기능 소독 방안"으로 언급한다. 다목적 용액은 일부 착용자, 예를 들면, 약품 소독제 또는 기타 약품에 특히 민감한 착용자는 렌즈의 삽입전에 콘택트 렌즈를 또 다른 용액, 예를 들면, 멸균 염수 용액으로 세정 또는 습윤화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목적 용액"이란 용어 역시 일일 기준으로 사용되지 않는 주기적인 세척제 또는 단백질 제거용의 보충 세척제, 예를 들면, 통상 주 단위로 사용되는 효소 세척제의 가능성을 배제시키지 못한다. "세척"이란 용어는 디지털 조작(예를 들면, 렌즈를 용액으로 수동 마찰하는 것)으로 또는 렌즈와 접촉하고 있는 용액을 교반하는 부속 장치, 예를 들면, 기계적 세척 보조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용액이 느슨하게 지탱되는 렌즈 침착물 및 콘택트 렌즈의 표면상의 기타 오염물질을 헐겁게 하여 제거하기에 충분한 농도의 하나 이상의 세척제를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면활성제-함유 용액의 임계 마이셀 농도는 세척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다목적 용액은 75 cps 미만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cps,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cps 의 점도를 가지며, 전체 조성물중에 95% 이상의 물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는 렌즈를 본 발명의 수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세척한다. 이것은 렌즈를 본 발명의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처음에 렌즈의 각 면에 용액을 몇 방울 떨어뜨리고, 렌즈를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약 20초 동안 마찰한다. 이어서, 렌즈를 본 발명의 용액 수 ㎖내에 침지시킬 수 있다. 렌즈는 용액중에 4 시간 이상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는 마찰 단계 후에 그리고 다시 용액내에 침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새로운 용액으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액이 항미생물성 작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용액은 렌즈를 세척시킬 뿐만 아니라, 소독도 한다. 그러나, 기타 "비-약품" 소독 수단, 예를 들면, 열 소독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효소 세척제를 콘택트 렌즈를 처리하는 본 발명의 용액과 함께, 특히 고레벨의 단백질 침착물에 민감한 환자의 경우에 특히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경우, 효소 정제는 미국 특허 제 5,096,607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용액내에 직접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 양태에서, 그 방법은 콘택트 렌즈를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0.005 내지 1.0 중량%의 1종 이상의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탄소 원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분지 또는 비분지 지방족, 고리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포스폰산 화합물의 예로는 상기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이 있으며, 상기 화학식 2에 따른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학식 3에 따른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포스폰산 화합물은 염 형태일 수 있는 1 또는 2개의 포스폰산 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을 고수할 의도는 없이, 본 발명의 화합물내 포스폰산 기는 단백질 분자에 부착되고 그 분자들을 렌즈 재료로부터 느슨하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상기 부착은 가까이 존재하는 칼슘 또는 기타 이온과의 중간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하거나 또는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액으로 렌즈를 마찰하는 단계, 눈에 렌즈를 직접 착용하기 전에 10분 내지 4 시간의 범위내인 전체 시간 동안 용액을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접 착용(direct placement)"이란 상기 용액이 눈에 "삽입" 또는 착용하기 전에 상이한 콘택트 렌즈 용액에 의해 렌즈로부터 희석되거나 또는 세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용액을 사용하여 상습 대체 렌즈(FRL: frequent replacement lens)를 세척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렌즈는 눈에 최대 약 3개월간 사용한 후에 대체하도록계획되거나, 또는 눈에 최대 약 2주 동안 사용한 후에 대체하도록 계획된 것이다. 렌즈는 메타크릴산(MAA)에서 유래한 약 0.0 내지 5 몰%의 반복 단위,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한 10 내지 99 몰%의 반복 단위 및 약 0.5 내지 5 몰%의 교차 결합성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 결합성 반복 단위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및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단량체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가 눈의 외부에 있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용액에 콘택트 렌즈를 침지시키는 단계와는 별도로, 또는 그 단계에 추가하여, 친수성 콘택트 렌즈상의 단백질의 축적은 안약과 같은 용액을 투여함으로써 추가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과적으로 안전한 용액은 용액을 눈에 적하하기에 적합한 용기에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로서, 몇가지 실시예를 하기에 제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양태를 단지 추가로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이 용액은 몬산토(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서 등록상표 디퀘스트 2016으로 시판되는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의 4나트륨염(4나트륨 에티드로네이트로도 지칭됨)의 필요량을 유리 비커내로 계량한 다음, 그 용액을 레누(ReNuR) 다목적 용액으로 전체 부피에 이르기까지 채움으로써 제조하였다. 생성 용액의 pH는 약 7.1 내지 7.3 사이였다. (필요하다면, 용액의 pH는 표 1에 나타낸 대로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의 적당량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최종 생성물은 하기 표 1에 제시한 조성을 가졌다.
구성 성분 중량/부피 %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 HCl(ICI 케미컬 컴퍼니에서 상표명 코스모실 CQ로 시판되는 20 % w/w 용액으로서) 0.00047
붕산 0.64
붕산나트륨 0.12
에데테이트 2나트륨 0.11
염화나트륨 0.49
폴록사민(BASF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테트로닉 1107 1.00
4나트륨 에티드로네이트(몬산토 컴퍼니에서 등록상표명 디퀘스트 2016으로 시판되는 30%(w/w) 용액으로서) 0.10
염산, 1N pH 조정에 필요한 만큼
수산화나트륨, 1N pH 조정에 필요한 만큼
정제수 100%로 조정
실시예 2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질 히드로겔 렌즈(FDA 군 III, 부필콘 A, 함수량 45%의 렌즈)를 단백질 침착물로 코팅한 다음, 몇가지 시험 용액중의 하나로 처리하였다(다양한 양의 디퀘스트 2016 화합물을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게). 그 다음, 이들 렌즈를 레누 1 단계 효소 정제와 함께 레누 MPS로 구성되는 대조군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그 렌즈를 시험관내 단백질 침착 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수성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는데, 이 용액은 대략 0.70%의 염화나트륨, 0.17%의 염화칼륨, 0.22%의 중탄산나트륨 및 염화칼슘 0.0005%, 2수화물로 구성되었다. 전해질 용액은 염화물 및 중탄산염을 필요한 증류수의 총부피의 약 90%까지 첨가한 다음, 그 용액을 완전히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pH를 측정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1N HCl 또는 1N NaOH로 7.2±0.1로 조정하였다. 그 용액은 280 내지 320의 증량몰 삼투압 농도(osmolality)를 가졌다. 그 다음, 적당량의 라이소자임 단백질을 전해질 용액에 첨가하여 용액이 라이소자임 0.10% 농도를 가지도록 하였다. 생성 용액을 보통의 속도로 대략 30분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측정하였다(필요에 따라, 1N HCl 또는 1N NaOH로 7.2±0.1로 조정함). 붕산염 완충 염수 용액도 제조하였는데, 이 용액은 대략 0.85%의 붕산, 0.09%의 붕산나트륨 및 0.45%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였다. pH를 측정하였다(필요에 따라, 1N HCl 또는 1N NaOH로 7.2±0.1로 조정함). 용액의 중량몰 삼투압 농도는 280 내지 320 mOsm/㎏이었다.
단백질 침착물은 유리 바이얼내에 각각의 렌즈를 위치시킨 다음, 렌즈를 대략 5 ㎖의 전해질(단백질-함유)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다수의 연질 히드로겔 렌즈상에 침착시켰다. 그 다음, 상기 바이얼을 캡핑하고 약 80℃의 열 수조에서 약 20분 동안 40 rpm으로 진탕시켰다. 이어서, 렌즈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렌즈를 붕산염 완충 염수로 부드럽게 마찰하여 임의의 느슨하게 결합된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일단 단백질 침착물에 적용시킨 다음, 렌즈를 본 발명의 용액 또는 대조군 용액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였다. 본 발명의 용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렌즈의 양쪽에 시험 용액을 몇방울 떨어뜨리는 단계, 그 다음, 렌즈를 대략 20초 동안 마찰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그 다음, 렌즈를 붕산염 완충 염수로 세정하였다. 대조군 용액에 의한 처리 과정은 렌즈의 양쪽에 몇방울의 레누 MPS 를 떨어뜨리는 단계, 그 다음, 렌즈를 대략 20초 동안 마찰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그 다음, 렌즈를 새로운 레누 MPS로 세정하고, 대략 4 시간 동안 하나의 레누 효소 정제를 포함하는 대략 10 ㎖의 레누 MPS에 침지시켰다. 이어서, 렌즈를 새로운 레누 MPS로 마찰하고 세정한 다음, 최종적으로 붕산염 완충 염수로 세정하였다.
상기 처리 이후에, 현미경 상 분석법을 사용하여 렌즈를 평가하여 처리 결과로서 제거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현미경 상 분석법은 렌즈를 디지털로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그레이 스케일 상 분석(gray scale image analysis)에 의해 표면 찌꺼기를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절차는 "암시야" 배경을 가진 현미경 아래에 각각의 렌즈를 놓고, 이어서 렌즈를 통해 입사광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렌즈상의 표면 찌꺼기는 광을 산란시키며, 콘택트 렌즈상의 선명한 표면보다 더 가볍게 보인다. 조명된 렌즈의 디지털 상을 얻고, NIH 이미지 V.1.46 소프트웨어(내셔널 인스티튜트 오브 헬스)를 사용하여 그 광 강도에 근거하여 픽셀을 계수하고/분리하였다. 렌즈를 덮는 원형 패턴내 90824 픽셀값은 0 내지 255 레벨의 그레이 스케일을 사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0의 값은 "백색"으로 정의되는 반면, 255의 값은 "흑색"으로 정의되었다. (침착물은 광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보다 가벼운 값은 덜 선명한 표면을 나타낸다). 10개의 렌즈로 구성되는 각 군에 대해 처리 전후에 상기 값들의 평균(평균 밀도)을 기록하였다. 픽셀 밀도내 변화율(%)이 높을수록, 단백질은 양호하게 제거된다. 시험 용액으로 처리한 렌즈의 밀도값을 양성 대조군 용액으로 처리한 렌즈의 밀도값과 비교하였다. 이 자료로부터, 각각의 렌즈에 대한 단백질의 상대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표2에 제시하였으며, 여기서, 단백질의 상대 제거율은 대조군 용액과 비교된 픽셀 밀도의 변화율(%)로서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번호 대조군에 상대적인 픽셀 밀도의 변화율(%)(대조군=100%)
1 (0.01%의 디퀘스트 2016) 82%
2 (0.01%의 디퀘스트 2016) 59%
3 (0.01%의 디퀘스트 2016) 0.0%
4 (0.05%의 디퀘스트 2016) 83%
5 (0.05%의 디퀘스트 2016) 76%
6 (0.10%의 디퀘스트 2016) 76%
7 (0.10%의 디퀘스트 2016) 91%
8 (0.10%의 디퀘스트 2016) 133%
9 (0.25%의 디퀘스트 2016) 79%
10 (0.25%의 디퀘스트 2016) 167%
각각의 실시예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 10개의 렌즈로부터 수집한 자료에 근거한 것이다. 표 2에 제시된 자료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농도의 평균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렌즈 처리용 용액 및 처리 방법은 대조군 용액(효소적 세척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의 단백질 제거율에 필적하는 단백질 제거율을 제공하였다. 우수한 세척 효과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본 발명의 용액은 또한 대조군 용액과 필적하는 소독 효과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렌즈로부터 단백질 침착물을 방지 또는 제거하는 추가의 포스폰산 화합물을 시험함으로써,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시험관내 단백질 침착 절차를 사용하여, 연질 히드로겔 렌즈(FDA 군 III, 부필콘 A)를 단백질 침착물에 적용시킨 다음, 포스폰산 화합물을 다양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1에 기재한 용액과 유사한 다양한 시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단백질 침착물에 일단 적용시킨 다음, 렌즈를 본 발명의 용액 또는 양성 대조군(비교용) 용액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였는데, 상기 대조군 용액은 서브틸리신, 탄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붕산을 포함하는 레누 1 단계 효소 정제와 함께 레누 MPS로 구성되었다. 그러한 처리 이후에, 현미경 상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처리의 결과로서 제거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미경 상 분석법은 렌즈를 디지털로 사진 촬영하는 단계 및 각각의 렌즈를 "암시야" 배경을 가진 현미경 아래에 놓고 입사광을 렌즈를 통해 통과시키는 그레이 스케일 상 분석법에 의해 표면 찌꺼기를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조명된 렌즈의 디지털 상을 얻고, 그 광의 강도에 근거하여 픽셀을 계수하고/분리하였다. 시험 용액으로 처리한 렌즈의 밀도값은 양성 대조군 용액으로 처리한 렌즈의 밀도값과 비교하였다. 이 자료로부터, 각각의 렌즈에 대한 단백질의 상대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표 3a, 표 3b 및 표 3c에 제시하는데, 여기서는 픽셀 밀도의 변화율(%)를 나타낸다. 표 3a, 표 3b 및 표 3c는 (1) 주어진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용액을 이용하는 픽셀 밀도의 변화율(%), (2) 비교용 효소 용액을 이용하는 픽셀 밀도의 변화율(%), 및 마지막 칼럼에서는, (3) 상기 (1)과 (2)를 비교하는 픽셀 밀도의 상배 변화율(%)를 나타낸다. 표 3a, 표 3b 및 표 3c의 화합물은 다음 두가지 기준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시키는 시험 결과에 의해 단백질-제거 활성을 나타냈다: (1) 약 80% 이상의 상대 변화율(%) 및/또는 (2) 상기 화합물의 15% 이상의 변화율(%). 음성 대조군(레누 MPS 용액)에 대한 변화율(%)의 평균값은 약 15%였다.
시험 번호 포스폰산 화합물* 화합물의 중량 %(w/v) 화합물의 경우 변화율(%) 효소의 경우 변화율(%) 대조군에 대한 화합물의 상대 변화율(%)
1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75 10 6 167
2 메틸렌디포스폰산 3나트륨염, 4수화물 0.10 10 6 167
3 2-메틸벤질포스폰산 0.10 27 18 150
4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30 8 6 133
5 메틸렌디포스폰산 3나트륨염, 4수화물 0.01 8 6 133
시험 번호 포스폰산 화합물* 화합물의 중량 %(w/v) 화합물의 경우 변화율(%) 효소의 경우 변화율(%) 대조군에 대한 화합물의 상대 변화율(%)
6 2-아미노에틸포스폰산 0.10 23 19 121
7 2-아미노에틸포스폰산 0.01 23 19 121
8 2-메틸벤질포스폰산 0.10 53 58 91
9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30 30 33 91
10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15 5 6 83
11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03 27 33 82
12 아미노메탄포스폰산 0.10 26 32 81
13 (4-아미노벤질)포스폰산 0.10 26 39 67
14 포스포노아세트산 0.01 24 37 65
15 DL-2-아미노-4-포스포노부티르산 0.10 18 28 64
16 n-데칸포스폰산 0.10 20 32 63
17 포스포노아세트산 0.10 23 37 62
18 벤질 포스폰산 0.10 19 31 61
19 1-히드록시에틸리딘-1,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0.003 20 34 59
20 2-포스포노프로피온산 0.10 18 31 58
21 4-포스포노부티르산 0.10 17 31 55
22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6칼륨염 0.10 27 53 51
23 포스포노아세트산 0.10 14 28 50
24 아미노메탄포스폰산 0.10 14 32 44
시험 번호 포스폰산 화합물 화합물의 중량 %(w/v) 화합물의 경우 변화율(%) 효소의 경우 변화율(%) 대조군에 대한 화합물의 상대 변화율(%)
25 2-포스포노부티르산 0.10 11 31 35
26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6나트륨염 0.10 18 53 34
27 메틸렌 디포스폰산 0.10 10 31 32
28 3-포스포노프로피온산 0.10 8 28 29
* 표 3a, 표 3b 및 표 3c의 모든 화합물들은 시판되는데, 예를 들면, 화합물 1, 4, 9, 10, 11 및 19는 몬산토 컴퍼니(세인트 루이스)에서 시판되며; 화합물 2, 5 및 13은 알드리치 컴퍼니(위스콘신)에서 시판되며; 화합물 3, 8, 12 및 24는 랭카스터 컴퍼니(펜실베니아)에서 시판되며; 화합물 14, 17 및 23은 시그마 케미컬 컴퍼니(세인트 루이스)에서 시판되며; 화합물 20, 21, 25, 27 및 28은 오크우드 리서치 케미컬스(사우스 캐롤라이나)에서 시판된다.
표 3에 제시된 자료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용액, 및 그것을 사용하여 렌즈를 처리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시험 기록에서 음성 대조군보다 양호한 단백질 제거율을 제공하였다. 선택된 또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효소 세척제를 이용한 양성 대조군 용액의 것에 필적하거나 또는 훨씬 더 양호한 단백질 제거율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소독 등의 콘택트 렌즈의 처리 용도로 종래 기술보다 편리하고 간편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용 조성물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렌즈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는 안과적으로 안전한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비산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Z는 원자가가 n과 동일한 연결 라디칼로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이 때,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며, Z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및 아민-함유 라디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이 때, 아민-함유 라디칼은, 탄소 원자가 2차 또는 3차 아민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로 차단되어 있는 것으로서, 아민-함유 라디칼중의 탄소 원자의 수가 n+1 이상인 라디칼이며, 상기 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및/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 때,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및/또는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2. 제1 항에 있어서, 렌즈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과적으로 안전한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비산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X1는 포스폰산, 히드록시, 아민 또는 수소 기이며; X2및 X3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 및 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이 때, 페닐상의 치환체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및/또는 알킬 기이고,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3. 렌즈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포스폰산 화합물의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비산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된다.
  4.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 원자의 수가 1 내지 10인 방법.
  5.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b, c 및 d가 모두 0인 방법.
  6.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이 추가로 항미생물성 작용제를 함유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항미생물성 작용제가 중합체 비구아나이드, 비스(비구아나이드), 4차 암모늄 화합물, 중합체 4차 화합물 및 그 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8.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이 약 6 내지 약 8의 pH와 약 250 내지 350 mOsm/㎏의 중량몰 삼투압 농도(osmolality)를 가지는 방법.
  9.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를 상기 용액으로 마찰하는 단계, 그 다음, 렌즈를 용액내에 침지시키는 단계의 순차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하고 약 6 내지 약 8의 pH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처리용 비산화성 수용액: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Z는 원자가가 n과 동일한 연결 라디칼로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이 때,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며, Z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및 아민-함유 라디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이 때, 아민-함유 라디칼은, 탄소 원자가 2차 또는 3차 아민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로 차단되어 있는 것으로서, 아민-함유 라디칼중의 탄소 원자의 수가 n+1 이상인 라디칼이며, 상기 치환된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및/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 때,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및/또는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11. 제10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을 함유하고 약 6 내지 약 8의 pH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처리용 비산화성 수용액: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며; X1는 포스폰산, 히드록시, 아민 또는 수소 기이며; X2및 X3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 및 메틸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이 때, 페닐상의 치환체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히드록시, 아민, 카르복시 및/또는 알킬 기이고, 상기 알킬 및 알콕시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12.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화합물의 생리적 상용성 염을 함유하고 약 6 내지 약 8의 pH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처리용 비산화성 수용액: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a, b,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로부터 선택된다.
  13. 제10 항 내지 제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b, c 및 d가 모두 0인 수용액.
  14. 제10 항 내지 제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폰산 화합물의 농도가 0.003 중량/부피 % 이상인 수용액.
  15. 제10 항 내지 제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항미생물성 작용제를 추가로 함유하며, 약 250 내지 350 mOsm/㎏의 중량몰 삼투압 농도를 가지는 수용액.
  16. 콘택트 렌즈를 다목적 용액으로 세척 및 소독하는 비산화적 방법으로서, (a) 1종 이상의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을 약 0.005 내지 1.0 중량/부피 % 함유하며, 이 때, 상기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포스폰산 기 및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안과적으로 안전한 용액과 콘택트 렌즈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처리된 콘택트 렌즈를 착용자의 눈에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연질 콘택트 렌즈를 다목적 용액 또는 효과적인 다목적 용액으로 소독 또는 세척 및 소독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성분 (i) 하나 이상의 포스폰산 기 및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1종 이상의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그 생리적 상용성 염 0.005 내지 1.0 중량/부피(%), (ii) 계면활성제의 유효량, (iii) 살균제의 유효량, 및 (iv) 완충제 및 긴장도 작용제의 유효량을, 제형물로 함유하는 안과적으로 안전한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켜서, 최소로 추천된 침지 기간내에 콘택트 렌즈의 허용 가능한 소독을 달성하는 단계, 및 (b) 처리된 렌즈를 착용자의 눈에 직접 넣으므로써, 눈에 넣기 전에 상이한 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게 하고 기타 용액이 렌즈의 일일 세척에 일반적으로 불필요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메타크릴산(MAA)에서 유래한 약 0.0 내지 5 몰%의 반복 단위,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한 10 내지 99 몰%의 반복 단위 및 약 0.5 내지 5 몰%의 교차 결합성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렌즈를 세척하는 데에 상기 용액을 사용하며, 그 렌즈는 최대 약 14일의 착용 기간 후에 대체하도록 계획 또는 조정하는 방법.
  19.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렌즈의 효소적 세척법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렌즈의 완전한 세척법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포스폰산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및/또는 아민 기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98-0706716A 1996-02-28 1997-01-28 콘택트렌즈를포스폰산화합물을포함하는수용액으로처리하는방법 KR100426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0496P 1996-02-28 1996-02-28
US60/013,304 1996-02-28
US3318396P 1996-12-17 1996-12-17
US60/033,183 199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308A true KR19990087308A (ko) 1999-12-27
KR100426114B1 KR100426114B1 (ko) 2004-06-23

Family

ID=2668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716A KR100426114B1 (ko) 1996-02-28 1997-01-28 콘택트렌즈를포스폰산화합물을포함하는수용액으로처리하는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883407B1 (ko)
JP (1) JP4271728B2 (ko)
KR (1) KR100426114B1 (ko)
CN (1) CN1165346C (ko)
AR (1) AR005977A1 (ko)
AT (1) ATE216600T1 (ko)
AU (1) AU720287B2 (ko)
BR (1) BR9707740A (ko)
CA (1) CA2247862C (ko)
DE (1) DE69712190T2 (ko)
ES (1) ES2176673T3 (ko)
WO (1) WO1997031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38B1 (ko) * 2000-11-15 2008-08-01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가수분해성 붕해에 대한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안정화 방법 및 당해 방법에 따라 저장한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6498T2 (de) * 1997-11-12 2003-01-16 Bausch & Lomb Behandlung von kontaktlinsen mit wässrigen, alkalicarbonat-haltigen lösungen
SG192187A1 (en) * 2011-02-28 2013-08-30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Phosphine-containing hydrogel contact lenses
US9993490B2 (en) 2014-07-22 2018-06-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hosphonic acid compounds and scree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5818B (de) * 1964-03-18 1966-09-29 Monsanto Co Verwendung wasserloeslicher Polyphosphonsaeure-verbindungen als Potenzierungsmittel fuer Bakterizide
JPS62215517A (ja) * 1986-03-14 1987-09-22 Sunstar Inc 毛髪洗浄用組成物
US4812173A (en) * 1987-05-01 1989-03-14 Ciba-Geigy Corporation Stabilized hydrogen peroxide contact lens disinfecting solution
EP0690728B1 (en) * 1993-01-07 1998-11-25 Polymer Technology Corporation Preservative system for contact lens solu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38B1 (ko) * 2000-11-15 2008-08-01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가수분해성 붕해에 대한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안정화 방법 및 당해 방법에 따라 저장한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3407A1 (en) 1998-12-16
JP4271728B2 (ja) 2009-06-03
AU720287B2 (en) 2000-05-25
DE69712190T2 (de) 2002-10-02
ATE216600T1 (de) 2002-05-15
JP2000506912A (ja) 2000-06-06
CA2247862A1 (en) 1997-09-04
AR005977A1 (es) 1999-07-21
KR100426114B1 (ko) 2004-06-23
DE69712190D1 (de) 2002-05-29
CA2247862C (en) 2001-09-25
ES2176673T3 (es) 2002-12-01
EP0883407B1 (en) 2002-04-24
CN1165346C (zh) 2004-09-08
AU1711297A (en) 1997-09-16
WO1997031659A1 (en) 1997-09-04
BR9707740A (pt) 1999-07-27
CN1212630A (zh)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8937A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including phosphonic compounds
AU734700B2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n alkali carbonate
US6143244A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 biguanide disinfectant and a complementary phosphate-borate buffer system
EP1140224B1 (en) Contact lens cleaner comprising biguanide, tyloxapol and poloxamine
US6309596B1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 biguanide disinfectant stabilized by a poloxamine
EP0880365B1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n aqueous solution including sulfobetaine compounds
US20100086514A1 (en) Contact Lens Care Solutions with a Low Molecular Weight Oligomer
US20080218686A1 (en) Lens care solutions for use with contact lenses or contact lens cases that contain silver
US20080197324A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acid copolymer
US20080214421A1 (en) Contact lens care composition
US6514528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uptake of biguanide disinfectants by poly(ethylene)
EP0883407B1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including phosphonic compounds
US5922279A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n aqueous solution including pyrrolidone compounds
MXPA98006971A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that includes composites fosfoni
TW455628B (en)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including phosphonic compounds and cleaning aqueous solution thereof
MXPA00004563A (en)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n alkali carb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