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044A -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 Google Patents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044A
KR19990084044A KR1019990038231A KR19990038231A KR19990084044A KR 19990084044 A KR19990084044 A KR 19990084044A KR 1019990038231 A KR1019990038231 A KR 1019990038231A KR 19990038231 A KR19990038231 A KR 19990038231A KR 19990084044 A KR19990084044 A KR 19990084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s
walking
heel
foot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화 filed Critical 정인화
Priority to KR101999003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4044A/ko
Priority to KR2019990020918U priority patent/KR2001721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8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044A/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걷는 방법에 있어 착용하는 신발의 변형으로 인체 및 발목에 특히 아킬레스건의 강화에 역점을 두며, 동일시간의 걷는 운동량을 더욱 증대 시키며 신체의 균형감각을 길러 유연성을 높이는 역방향 워킹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대부분 착용하는 신발의 뒷굽이 높아 인체가 지탱하는 힘의 구심점이 발목의 복사뼈로 집중 되어야할 중심이 뒷꿈지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신체의 균형이 무너지고 무릅관절의 변형, 허리의 통증과 요통 증상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있어 역동작하는 워킹화는 아치형의 굴곡면에 대나무통을 밟는 형태로 신발의 앞쪽과 뒤쪽이 낮고 아치형의 자리는 역으로 더욱 높게 처리하여 뒷꿈치로 변형되어 가는 중심을 원래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반작용을 이용하는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현대인은 편의만을 위해 자동차를 이용, 자기 발로 걷는 것도 잊어버리고. 콘크리트속에서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어야 할 저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결국 자연에의 회복이 절실히 요구되는바 본 발명은 현대인에게 가장 알맞는 걷기 운동법을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를 이용하여 자연 치유력과 저력을 부활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발바닥의 면적은 몸의 약 2%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98%를 지탱하고 있다. 발은 대략 구조상 뼈가 양쪽발을 합쳐 52개로 몸의뼈 전체의 약 4분의1을 차지하며 인대가 112개 모여있고 수킬로 미터의 혈관, 역시 수킬로 미터의 신경이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중요한 발이 우리의 신체중에 가장 푸대접을 받고 있다. 몸의 건강을 유지 시키고 전신의 자유를 보장해주는 발. 현대인은 발바닥의 장심을 잃어가고 있다. 이유는 걷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발바닥은 원기의 샘이 집중되어 있고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경락과 지압점이 분포되어 있는 전신을 비취이는 거울이며 대지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몸에 활력을 준다고 생각한다. 몸중에서 비교적 작은 장소에 이 만큼 집약되어 있는 점으로도 알 수 있듯 발은 참으로 중요한 곳이다. 체중 60kg인 사람이 보통으로 걷기 시작했을 때는 몸무게의 약 20%가 더해져 72kg의 무게가 가해지고, 빠른 걸음의 경우는 35%가 추가돼 80kg의 무게가 가하여진다. 뛰어오르거나 달리거나 하면 체중의 배 이상의 무게가 발에 가하여지는 것이다. 이렇게 고생하는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고 걸으면 몸을 지탱하고 있는 발의 힘이 반감하여 무릎, 허리, 상반신에 부담이가고,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어 그 결과 여러 가지 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중요한 발의 건강을 지키고 고장나 가는 발의 부자유를 온전하게 부활 시키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발의 병은 대부분이 맞지 않는 신발이 원인이다. 그러나 신발은 우리 생활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제2의발, 또는 제2의 발바닥이다. 따라서 신발은 발의 보호뿐만 아니라, 발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감각기관으로 발아래 상황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이 있다. 그러나 현대인은 신발을 대수로이 여겨 패션이며, 유행으로 선택하여 발에 부자유스러운 모양을 강요하여 뼈나, 건, 근육에 이상한 부담을 주어 아킬레스건의 염증, 무릅관절염, 어깨걸림, 외무반지, 감입발톱, 등 나쁜 신발이 몸에 가져오는 트러블이나 병이 증가한다. 신발의 선택은 실제로 신고 걷는다는 기능성이 중요한데, 특히 여성의 하이힐은 가로폭이 일반적으로 좁고 발끝에도 여유가 없으며, 발이 꽉조이는 것에다, 발뒤꿈지가 10cm 정도의 가느다란 것을 이용한다. 바로 하이힐은 발뒤꿈지가 너무 높기 때문에 체중이 발가락 부근쪽으로 집중되고 발끝이 조여지기 때문에 뼈, 건, 근육이 부자연스러워 부담을 준다. 발과 허리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추간판 헤르니아, 척추분리증, 변형성 척수증, 등은 발의 기능 저하가 허리 부위의 기능저하를 초래하는 것이다.
신체의 역학적 기초인 발에 지나친 부담을 주어 발의 고장을 일으키며, 연관성이 있는 허리 및 신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 편상화를 사용 발의 관절을 보호하기보다는 멋의 강조로 하이힐은 무리한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신체의 지지대의 구심점을 발의 복사뼈에 실려야 하는데 특히 발뒤꿈치를 높힌 신발의 사용은 그 구심점이 발뒤꿈지 쪽으로 변형되어 신체의 균형 유지가 어렵고 신경과 근육의 긴장과 이완이 역행하여 무릅관절의 무리와, 혈액순환에 압박을 주며, 척추의 변형을 유도하여 허리 및 요통의 원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습성으로 인한 발의 고통을 역동작의 방법으로 자연 치유력과 발의 구심점을 원래로 부활시키기 위함으로, 하루 중 일부분을 착용하는 신발의 변형으로 종아리뼈, 경골, 복사뼈, 발목, 척골, 지골을 긴장과 이완을 이용 유연성을 기르며, 아치형의 접점에 지압을, 아킬레스건의 강화를 위한 역방향의 자연을 응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대표도
도2는 편상화와 하이힐의 중심점 이동도
도3은 걷는 동안의 무게 중심의 변화도
도4는 발뼈의 이완과 체중 지탱의 변화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아리 뼈 2: 경골 3: 복사 뼈 4: 발목 5: 척골 6: 지골
본 발명은 자연에의 동작을 하루중 일부분을 역동작 하므로써 한쪽으로 치우치는 신체의 기능을 균형있는 조화를 이루도록 역 방향으로 설계하는 방법이다. 이는 인간 본래는 맨발로 생활 하였고 발의 보호를 위해 신발을 이용하였으나 편상화라는 신체에 적당한 신발을, 멋을 위해 신발 뒤꿈치를 인위적으로 높이 올려 사용 하므로써, 전신의 모든 부분과 반사대를 통하여 서로 연관을 맺고 있는 발기능에 무리한 부담을 주어 신체적인 고통을 주고 있다. 특히 발의 요추나 선골에서 갈라진 신경은 허리와 밀접한 관계로 인하여 허리의 통증, 요통의 원인을 제공한다. 종전의 신발은 보행시 발뒤꿈지로 지면을 찰 때 체중과 발을 뒤로 밀어내는 압력과 같은 저항력이 있다고 보며, 발뒤꿈지 닿기, 발끝떼기 단계에서 발의 반사적인 쿵쿵 울림현상으로 발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신발의 대부분에 충격 완화장치를 한다. 또한 현제 신발의 대부분이 충격완화 목적으로 발바닥의 장심이 있는 아치형의 자리는 지면과 접촉치 않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고안은 하루중 착용하는 현제의 신발을 이용하되, 일정시간 30분-60분정도 걷기운동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여 종전의 자세를 역으로 교정하므로써 신체가 요구하는 본래 형태를 유지하려는 것이다. 역동작이란 자연의 거스립니다.
(실시 예 1)
뒷걸음질은 앞으로 걷는 것보다 건강에 유익하다.
인간은 앞으로 걷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모두가 평생을 앞으로만 걷는다. 걸음걸이는 두 다리의 속도나 보폭에 있어서 똑같이 조화롭게 움직여야 하고 양 무릎은 똑같은 높이로 올라가야 하며 발은 발전체가 앞으로 구르는 듯한 동작으로 뒤꿈치가 바닥에 닿아야 한다. 발, 다리 및 몸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신의 독립적인 부위들과 연관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의 행동을 뒷걸음질로 걸을 경우, 텍사스 엘파소에 있는 윌리암 보몬트 메디칼 센타의 티모시 W 플린 의학박사는 거꾸로 가는 동작이 대퇴시 두근의 근력을 강하게 하면서 섬세하고 다치기 쉬운 무릅관절을 받쳐주는 동시에 무릅에 가하는 압박을 40%나 줄여 준다고 한다. 플린은 트레드밀 테스트를 통해서 시속 4마일의 속도로 앞으로 걸을 때 피실험자의 박동수가 분당 106박으로 오른 반면, 뒤로 걷기를 시켰을 경우 156박으로 늘어났다고 펜실바니아주 스포츠 의학지에 보도했다. 또한 뒤로 달리기를 하는 동안 산소 섭취는 평균 최대 산소 소비량의 84%였고 앞으로 달리는 동안 측정된 수치는 60%였다. 이러한 결과나 또는 뒷걸음질은 평생 앞으로만 걷는 인간의 근육이 특정 부위는 잘 발달하며, 특정부위는 약해져 가고 잘 사용하지 않아 저항력도 약한 것이다. 바로 뒷걸음질도 자연에의 역방향 운동법이다.
도 1은 대표도로 일반 신발과 역으로 아치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깊이 만큼 밖으로 돌출된 것이다. 깊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통 크기를 부착하는 모양으로 하며 신발의 앞꿈지와 뒤꿈지에서 대각을 이루듯 형성한다. 본 고안의 역방향 워킹화는 신발의 밑바닥 면을 도 1-2의 중심부에 1-1의 끝과 1-3의 끝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설정하며 그 중앙부에 충격완화를 위하여 홈을 설정한다. 1-1은 걸음걸이의 순서상 발바닥의 뒤꿈지를 지면에 먼저 부착하고 1-2은 편상화 처럼 평평한 단계로 1-3은 발의 앞꿈지를 지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1-1은 역으로 1-4와 같이 계단을 오를 때 형태와 비슷하며, 1-3은 역으로 1-5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1-1(접촉단계)에서 1-2(발딛기 중간단계)에서 1-3(추진단계)은 발뒤꿈지 접촉에서 발가락 떼기 까지의 단계로 정상적인 신발 착용시 발딛기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표1. 걷기에 있어서 압박선의 단계
정상적인 보행법은 발뒤꿈지를 지면에 붙이고 나서 발끝으로 걷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높은 하이힐의 구두를 신은 경우 발뒤꿈치와 발끝이 동시에 지면에 붙어 발과 허리에 부담이 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동시에 지면에 붙는 동작을 일정시간 본 고안의 신발을 이용하므로 단계별로 걷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이힐은 아킬레스건을 짧아지게 한다. 이러한 아킬레스건을 강화 시키기 위해서는 발끝서기로 계단 끝에 서서 발목 뒤쪽이 쭉 당겨질 때까지 뒤꿈지를 들어 올리며 발끝서기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착용화는 뒤꿈지를 든 채 걷는방식의 연속 동작의 반복으로 아킬레스건을 강화시키며, 장딴지의 하퇴삼두근, 뒤꿈지를 올리는 근육 등이 강화 되는 것이다.
도2-1은 정상적인 신체의 걸음걸이시 체중이 발에 미치는 구심점으로 복사뼈(A)에 집중하는 것이다. 그러나 2-2의 뒷굽이 높은 하이힐의 경우 구심점은 (A)에서 (B)로 중심점이 옮겨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착용화는 (B)의 중심점을 원래의 (A)쪽으로 되돌리려는 노력이다. 이런 작은 차이는 발과 허리의 밀접한 관계로 디스크, 척추 전만증의 작은 원인이 되며, 몸의 중심이 흩어지고 , 허리의 스트레스를 부르며, 발바닥의 경락과 반응점의 작용을 방해하며, 결국 발의 고장은 척추에 여러 가지 만곡을 일으키게 된다.
도3-1은 걷는 동안의 무게 중심의 변화로 편상화를 착용한 정상인의 경우 무게중심의 축은 약 2"를 오르내린다. 그러나 뒤꿈치축이 높을 경우 3-2의 경우처럼 골반 부위의 정상적인 리드미컬한 흐름이 변형된다. 본 고안의 착용화 3-3은 무게중심의 축의 폭이 더욱커지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리 허리 강화 트레이닝으로써 효과가 높으며, 흔들림을 견디는 것 만으로도 체력의 구성인 평행성 감각이 발달된다. 바로 불안정한 신체에 본 고안의 착용화는 신체의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다. 불안정한 등뼈를 균형있는 자세로의 교정은 무게 중심 이동에 잘 적응하는 평행감각과 척추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도4-1은 발뒤꿈지의 체중 지탱점과 4-2는 지골과 중앙골의 사이에 체중 지탱점이다. 본 고안의 착용화는 일반적인 신발의 지면 접촉면과 접촉면이 훨씬 크다 이것은 발앞쪽에서 발뒤꿈지 까지의 뼈와 근육을 충분히 이완 시켜주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발의 반사부위를 마사지 하듯 이완과 긴장이 연속 됨은 혈액순환이 왕성해진다. 발목의 상하운동, 발끝의 선형운동에도 도움이 된다.
걷는다는 행위는 허리에 좋으며, 뇌의 움직임도 생생하게 하기도 하고, 스트레스도 발산하며, 내장을 강화하여 심신 건강을 유지 시키는 훌륭한 건강법이다. 그러나 발에서의 이상은 몸자세를 불균형적인 상태로 변형 시킨다. 발목, 무릅,허리, 엉덩이의 통증은 자세의 토대, 발의 구조적 결함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하루 중 일정시간 (30분) 역방향 워킹화 착용으로 근육에 반작용을 주어 그러한 현상을 막아주는데 있다. 종전의 신발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게 닳아 있는 것은 바로 인체 불균형의 증거다. 또한 신발의 뒤꿈지가 높은 신발의 사용으로 체중 부하 시에 힘의 중심 방향이 변형되어 슬관절, 발관절 등의 하지의 기능장애와, 특히 발의 아치들의 붕괴가 발생한다. 이 경우 아치 부분에 마치 대나무 통을 밟는 듯 역방향으로 형성하며 또한 신발의 안쪽 아치 접촉면에 한하여 지압봉으로, 발바닥의 반사존을 자극하여 신체 기능에 도움이 되고 특히 무릅관절을 유연하게, 피의 흐름을 좋게 한다. 본 발명의 역방향 워킹화의 기능성은 하루중에 일정시간에 한하여 역동작을 이용한 자연적인 방법으로 몸의 중심이동을 크게하여 신체 균형감각을 키우며, 동일시간의 걷기운동량을 배가 시키며, 아킬레스건의 강화에 도움이되며, 발관절의 부드러운 긴장과 발관절의 자세이완을 시키는 작용으로 발 건강에 걷기 운동에 효율적인 워킹화다.

Claims (1)

  1. 종전 신발의 아치부분이 오목한 형태를 대나무 통을 밟는 듯 역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하며, 전족부와 후족부의 양끝에서 비스듬히 볼록면 지면 하단에 대각선으로 있는 사다리형으로, 볼록면에 충격완화를 위해 일정구를 타공하여 역동작으로 하지자세를 이완시키며, 근과 건의 반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기능성 워킹화.
KR1019990038231A 1999-09-08 1999-09-08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KR19990084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231A KR19990084044A (ko) 1999-09-08 1999-09-08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KR2019990020918U KR200172186Y1 (ko) 1999-09-08 1999-09-29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231A KR19990084044A (ko) 1999-09-08 1999-09-08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18U Division KR200172186Y1 (ko) 1999-09-08 1999-09-29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044A true KR19990084044A (ko) 1999-12-06

Family

ID=5476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231A KR19990084044A (ko) 1999-09-08 1999-09-08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40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6603B2 (en)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US9788597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KR102080154B1 (ko) 신경 장애들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JP3051742B1 (ja) 靴底およびそれを含む靴ならびにサンダル
KR100652012B1 (ko) 후방밸란스 워킹화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EP0600145B1 (en) Sports shoes
CN204812332U (zh) 具有锻炼足尖足跟及平衡能力的多功能休闲鞋
KR200172186Y1 (ko)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US20120000093A1 (en) Perfect Gait Shoe
EP2949234A1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84044A (ko) 역방향 기능성 워킹화
JP2004344434A (ja) 履物
RU2759112C1 (ru) Обувь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и расслабления мышц ступни и голени (варианты) и комплект для повышения общей физической подготовленности организма
RU159056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обувь
KR10095777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2493950B1 (ko)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KR102338412B1 (ko) 발바닥 근육 강화용 패드, 이를 포함하는 인솔
KR200419430Y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RU230103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ов стопы
KR20060048563A (ko) 자세교정 및 다이어트용 신발
Karparova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TRAINING OF RECREATIONAL RUNNERS WITH FLAT FEET.
Mirzaeva et al. TECHNOLOGICAL SOLUTION CONSTRUCTION OF ORTHOPEDIC SHOES CONSIDERING BIOMETHERICS OF LOWER EXTREM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