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772A -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772A
KR19990083772A KR1019990030966A KR19990030966A KR19990083772A KR 19990083772 A KR19990083772 A KR 19990083772A KR 1019990030966 A KR1019990030966 A KR 1019990030966A KR 19990030966 A KR19990030966 A KR 19990030966A KR 19990083772 A KR19990083772 A KR 1999008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all
web phone
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522B1 (ko
Inventor
최상기
Original Assignee
최상기
네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기, 네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상기
Priority to KR101999003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5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4Data transmission during pauses in telephone conver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웹폰 또는 인터넷폰에서의 간편한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웹폰에 별도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를 위한 버튼이 마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웹폰에서 상기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상기 웹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도중에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이전의 통화를 유지하거나 종료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 관한 데이터를 웹전화번호부에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음번에 쉽게 동일한 그룹과 다자 통화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Method of accessing web phone directory}
본 발명은 웹폰 또는 인터넷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전화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웹 서핑을 하고 있는 도중에도 원터치로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웹전화번호부를 액세스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웹폰이란 인터넷에 용이하게 접속하여 정보 검색이나 이메일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인 전화 통화도 할 수 있는 전화기를 일컫는다. 웹폰은 전통적인 전화선로나 ISDN 또는 ADSL과 같은 새로운 전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될 수도 있고, 랜(LAN)과 같은 패킷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넷폰이란 일반 컴퓨터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설치하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일컫는다. 인터넷폰에는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인터넷폰끼리만 통화가 가능한 것과, 일반 전화와도 통화가 가능한 것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전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웹폰의 경우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전화를 걸어서 모뎀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을 하고, 일반적인 전화 통화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바로 교환기를 거쳐서 접속할 수 있다.
랜(LAN)을 통해서 접속되는 웹폰 또는 인터넷폰의 경우에는 인터넷망에 바로 연결이 되어 있으므로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패킷 데이터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화통신망으로 접속시켜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패킷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화통신망으로 접속시켜주는 웹서버를 마련하여두고, 웹폰의 전화통화 데이터를 이 웹서버와 주고받도록 하면 유선전화기나 휴대폰 등의 일반적인 전화기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대방이 패킷망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웹폰 또는 인터넷폰인 경우에는 이러한 변환없이도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웹폰 또는 인터넷폰은 인터넷 접속이 용이하기 때문에, 자주 걸게 되는 전화번호를 웹상의 서버에 마련하여 두고 필요시에 액세스하여 전화를 걸도록 할 수가 있다. 즉, 개인별 전화번호부가 마련되어 있는 웹전화번호부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전화번호를 클릭함으로써 전화를 걸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웹폰 또는 인터넷폰에 별도의 전화번호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웹폰 또는 인터넷폰을 사용하여 전화를 걸 때에도 자신의 전화번호부를 사용하여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중인 전화를 끊거나 보류시키고 웹전화번호부 사이트에 접속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웹사이트를 서핑하고 있는 도중에 웹전화번호부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몇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화중에도 웹전화번호부를 쉽게 액세스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접속통화를 유지하면서 웹전화번호부를 사용하여 신규 통화자와 접속할 수 있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전화번호부를 사용하여 다수의 상대방과 그룹통화를 한 경우에 그 리스트를 저장하여 다음번에 동일한 그룹과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그룹접속통화를 재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웹폰이 통신망을 통해 일반 전화기와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랜에 연결되어 있는 웹폰이 서버를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웹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웹폰의 전면 패널의 일예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웹폰에 마련된 디렉토리 버튼을 사용하여 웹전화번호부를 액세스할 때의 웹폰의 표시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폰과 웹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웹폰은 특별히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위에서 설명한 웹폰과 인터넷폰 모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웹폰이 통신망을 통해 일반 전화기와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은 웹폰(100)이 교환기(200)를 통해 인터넷망(300)이나 전화통신망(400)에 연결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의 웹폰(100)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전화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화통신망(400)을 통해서 일반전화기(710, 720)로 연결된다. 전화통신망(400)에는 유선전화망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나 호출기 등의 무선전화망도 포함된다.
웹폰(100)은 또한 인터넷망(300)을 통해서 전화번호부 서버(500)에 연결되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거나, 기억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를 걸거나 할 수 있다.
도 2는 웹폰(100)이 랜(LAN)으로 서버(250)에 연결되어 있어서 서버(250)를 통해 인터넷망(300)에 연결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의 웹폰(100)에서도 도 1의 웹폰(100)과 마찬가지로 인터넷망(300)을 통해서 전화번호부 서버(500)에 연결되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거나, 기억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를 걸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웹폰(100)에서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웹폰에서 다이얼한 데이터가 인터넷폰 서버(550)로 전달되고, 이 데이터는 다시 인터넷폰 서버(550)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망 인터페이스장치(650)로 보내진다. 전화망 인터페이스장치(650)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 전화망(400)을 통해 원하는 상대에게 전화를 걸게 된다. 또한, 웹폰(100)에서의 음성 데이터는 패킷 형태로 인터넷망(300)을 거쳐 인터넷폰 서버(550)에 전달되고, 인터넷폰 서버(550)에서는 이들 패킷을 순차적으로 취합하여 전화망 인터페이스장치(650)로 보낸다. 그러면, 전화망 인터페이스장치(650)에서는 이 장치(650)가 연결되어 있는 전화망(400)에 맞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화망(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웹폰(100)에서의 음성이 상대방 전화기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대방 전화기에서의 음성은 이와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웹폰(100)에 전달되게 되어, 양자 사이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웹폰(1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웹폰(100)은 웹으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웹폰(10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하기 위한 표시부(151)를 구비한다. 표시부(151)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CD)가 사용된다.
입력부(152)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거나 웹을 서핑하는 동안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웹폰(100)의 기능을 조작하거나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버튼이나 키보드와 같은 형태 또는 표시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음향회로부(153)는 일반적인 전화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와 증폭기 등을 구비한다.
망접속부(154)는 일반전화회선, ISDN 회선, ADSL 회선, LAN 회선 등의 통신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51), 입력부(152), 음향회로부(153), 망접속부(154)의 동작을 제어하고, 망접속부(154)로부터의 신호로부터 통화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통화신호를 음향회로부(153)로 보낸다. 또한, 제어부(150)에는 웹브라우저가 내장되어 있어서, 웹서버로부터의 문서 파일을 분석하여 표시부(151)에 표시하고, 입력부(152)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웹서버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웹폰(100)의 전면패널의 실시예이다. 도 4에서 110은 표시부(151)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며, 120 내지 124는 입력부(152)로 사용되는 각종 버튼을 나타낸다.
입력부(152)에는 특히 디렉토리 버튼(120)이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다른 작업중에도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름으로써 바로 웹전화번호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화화면 버튼(121)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을 검색하고 있는 도중에도 이전 사용화면 혹은 전화통화로 복귀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그룹저장 버튼(122)은 다수의 상대방과 회의 통화를 한 후 해당 통화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다음에 동일한 상대방들과 회의 통화를 할 때에는 이 저장된 그룹을 호출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회의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웹폰(100)에는 또한 일반적인 전화통화를 위한 기능버튼(123)과 다이얼 버튼(124)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웹폰에 마련된 디렉토리 버튼을 사용하여 웹전화번호부를 액세스하는 절차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웹폰(100)을 사용하여 웹을 서핑하고 있던 도중에, 또는 웹폰(100)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면, 웹폰(100)의 제어부(150)는 통신선로를 통하여 웹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가 있는 웹서버(500)에 접속한다. 그러면,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사용자의 웹전화번호부 화면이 웹폰(100)의 표시부 화면(110)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 리스트(1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웹폰(100)은 웹전화번호부로부터 해당 전화번호를 가져와서 새로운 통신채널을 잡고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다. 웹폰(100)에 연결된 통신선로가 ISDN이나 ADSL처럼 전화통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선로인 경우에는 인터넷 선로를 끊지 않고 전화를 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웹폰(100)에 두 회선 이상의 통신선로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터넷폰과 같이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전화통화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인터넷 선로를 끊지 않고 전화를 걸 수 있다. 통상적인 유선전화 1회선만을 사용하는 웹폰에서는 인터넷과 음성통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인터넷망을 끊고 전화를 걸게 된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리스트(10) 중에서 하나의 전화번호를 클릭하여 전화를 걸고 있는 경우의 화면이다.
상대방이 전화에 응답하여 통화가 개시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방의 이름(11)과 통화시간(13)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웹전화번호부를 통해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전화를 보류 또는 종료하고 인터넷을 통해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접속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는 것만으로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통화도중에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면 화면(110)에는 도 5의 (d)에 도시한 화면이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의 통화를 종료하고 새로운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종료 버튼(14)을 누르고, 반대로 현재의 통화를 유지시킨 채로 새로운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유지 버튼(15)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원래의 통화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화면 버튼(121)을 누른다. 웹폰(100)에 통화화면 버튼(121)을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다시 한번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면 원래의 통화로 되돌아 가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종료 버튼(14)을 누른 경우에는 본 예에서는 "김영동"과의 전화통화는 끊어지고 새로 선택한 사람에게 전화를 걸게 되며, 그 동작은 도 5의 (a)에서 (c)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사용자가 통화유지 버튼(15)을 누른 경우에는 "김영동"과의 전화통화는 보류된다. 이때 "김영동"에게는 보류음악을 송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웹폰(100)의 화면은 다시 도 5의 (a)와 같이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이철희"를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웹폰(100)은 이철희에게 전화를 걸게 된다. 이철희와의 전화통화가 연결되면 도 5의 (e)에 도시한 것처럼 보류되어 있던 김영동과 새로 전화를 건 이철희가 모두 연결되어 다자(多者)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자 통화 도중에 그룹저장 버튼(122)을 누르면, 도 5의 (f)에 도시한 것처럼 김영동과 이철희와의 다자 통화 절차를 한번에 할 수 있도록 웹전화번호부에 해당 다자 통화의 상대방들이 등록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음에 김영동과 이철희와의 다자통화를 다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절차를 밟을 필요없이 웹전화번호부에 들어가서 그룹통화로 등록되어 있는 "김영동, 이철희"(16)를 클릭하면 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전화통화중에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면 도 5의 (d)가 화면에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그 대신에 도 5의 (a)의 화면이 나오게 해도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새로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이때 도 5의 (d)가 화면에 나타나서, 이전 통화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이때 도 5의 (a)의 화면에서 새로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지 않고 다시 디렉토리 버튼(120)을 누르면 이전 전화통화에 다시 연결되어 도 5의 (c)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웹폰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거나 웹을 서핑하고 있는 도중에도 디렉토리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웹전화번호부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람과 통화를 하는 도중에 그룹저장 버튼을 눌러서 기억시켜두면 다음에 이들과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웹전화번호부에 저장된 그룹링크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그룹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Claims (4)

  1. 웹브라우저를 내장하여 웹에 접속할 수도 있고 전화통화도 할 수 있는 웹폰에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저장된 웹전화번호부를 액세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폰에는 별도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를 위한 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웹폰에서 상기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상기 웹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상기 단계 뒤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를 때 제1의 사람과 통화중인 경우에는 그 통화를 종료할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를 웹폰에서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질의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화종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사람과의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질의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화유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사람과의 통화를 보류시키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에 대해서 사용자가 통화유지를 선택하여 상기 제1의 사람과의 통화가 보류되어 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상기 웹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사용자가 웹전화번호부에서 제2의 사람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웹폰에서 선택된 제2의 사람에게 전화를 거는 단계와,
    상기 제2의 사람에게 전화를 걸리면 상기 제1의 사람과, 상기 제2의 사람과, 상기 사용자 간의 다자 통화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 통화 중에 상기 사용자가 웹폰의 제2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상기 웹폰에서 상기 다자 통화의 상대방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웹전화번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웹전화번호부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다자 통화 상대방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KR1019990030966A 1999-07-29 1999-07-29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KR10032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66A KR100328522B1 (ko) 1999-07-29 1999-07-29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966A KR100328522B1 (ko) 1999-07-29 1999-07-29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772A true KR19990083772A (ko) 1999-12-06
KR100328522B1 KR100328522B1 (ko) 2002-03-13

Family

ID=3747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966A KR100328522B1 (ko) 1999-07-29 1999-07-29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87B1 (ko) * 2000-02-18 2002-05-02 최윤석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KR100427861B1 (ko) * 2000-02-21 2004-04-30 주식회사 세주씨엔씨 인터넷상의 전화정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477374B1 (ko) * 2000-11-17 2005-03-2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착신호 전송 통신 시스템
KR100636098B1 (ko) * 1999-10-0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폰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연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266B1 (ko) * 1996-12-13 1999-11-15 윤종용 인터넷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화 접속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098B1 (ko) * 1999-10-0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폰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334087B1 (ko) * 2000-02-18 2002-05-02 최윤석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KR100427861B1 (ko) * 2000-02-21 2004-04-30 주식회사 세주씨엔씨 인터넷상의 전화정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477374B1 (ko) * 2000-11-17 2005-03-2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착신호 전송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522B1 (ko)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367B2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method
KR100671483B1 (ko) Ip 전화 장치, enum 서버, 및 인터넷을 통한 통화방법
US7440444B2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stination user
EP1624661A2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all destination user using ring tone
US20060092922A1 (en) IP telephone apparatus, ENUM server, terminal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US20060029042A1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message
KR100796279B1 (ko) Ip 전화 장치
JP4426921B2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及び宛先ユーザ識別方法
JP4171593B2 (ja) データ送信・再生用プログラム
JP4995416B2 (ja) Ip通信装置およびip通信方法
KR20000018112A (ko) 유.무선/공중회선교환전화망.인터넷망 겸용 인터넷 전화기
KR100328522B1 (ko) 웹폰의 웹전화번호부 액세스 방법
JP2003259405A (ja) 電話システム
JP2003283700A (ja) 通信システム
JP3333490B2 (ja) ウェブブラウザを利用した通話方法および装置
JP3729655B2 (ja) 通話相手の情報管理装置
WO2001058101A1 (en) An internet telephone implement method using internet telephone interface utility and ip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US7012915B1 (en) Personalized LCD directory
JP2001111698A (ja) 通信システム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3250011A (ja) コンピュータ及び内線通話接続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10079143A (ko) 통신 장치의 발신자별 색채 변환부의 색채 변환 방법.
KR20050119887A (ko) 콜 제어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JP4016862B2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