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16A - 허혈성질환치료제 - Google Patents

허혈성질환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16A
KR19990083516A KR1019990014995A KR19990014995A KR19990083516A KR 19990083516 A KR19990083516 A KR 19990083516A KR 1019990014995 A KR1019990014995 A KR 1019990014995A KR 19990014995 A KR19990014995 A KR 19990014995A KR 19990083516 A KR19990083516 A KR 1999008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apeutic agent
present
ischemic
agent
hypox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니시진우에몬
후쿠하라코키
Original Assignee
고니시 진우에몬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니시 진우에몬,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니시 진우에몬
Publication of KR1999008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부작용이 적고, 안심하고 투여 가능한 허혈성 질환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 허혈성 질환치료제의 유효성분은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이다.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은 저산소상태에 있어서의 해마체, 추체세포의 이상한 탈분극을 억제하는 것으로 세포장해를 방어하고, 세포사로의 이행을 지연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진다. 이 작용은 정상인 추체세포에 대해서는 나타나지 않고, 저산소 부하에 의한 병태 시에만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물질은 뇌경색 등의 허혈성 질환 및 허혈에 의한 신경기억에 기인한 수반증상을 치료, 예방하는 약제로서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허혈성 질환 치료제{A THERAPEUTIC AGENT FOR ISCHEMIC DISEASES}
본 발명은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의 새로운 약리작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뇌가 허혈로 함몰되면, 신경세포의 장해가 일어나서 괴사에 이른다. 이들은 허혈에 의해 뇌로의 산소, 에너지의 공급이 끊어지므로, 그 결과, 각각의 세포는 그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뇌조직이 허혈성 병변(病變)에 의해 불가역적인 괴사로 함몰되는 상태를 뇌경색이라 하고, 원인으로서 뇌혈전과 뇌색전이 일어나게 된다. 뇌혈전은 뇌를 관류(灌流)하는 동맥에 동맥경화성 병변이 진행되어 혈관협착이 일어나서 혈전형성을 수반하여 혈관폐색을 초래하는 것으로 되고, 뇌혈전은 심장질환에 기인하는 심장의 벽재혈전이나 대동맥, 경부동맥의 아테롬병변에 가하여진 혈전이 단리하여 뇌에 운반되고, 뇌동맥을 전색해서 일어나는 것이다.
종래에 신경세포가 허혈에 대해서 취약하게 되는 것은 임상적으로도 쉽게 인식되어지고, 여러 종의 신경세포는 불과 몇분의 허혈에 의해서도 장해를 받게되어 세포사에 이른다. 저산소모델은 임상에 있어서는 급성기의 허혈상태를 상정하는 것으로, 뇌신경세포를 사용한 경우, 뇌졸중 등의 모델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허혈상태의 해마체, 추체세포에서는 탈분극에 따른 현저한 신경흥분 후, 유도블럭이 생긴다. 그 후, 세포외 글루타민산, 세포내 칼슘이온이나 프리라디칼 등의 증가에 따른 세포독성에 의해 세포는 장해되고, 세포기능을 잃어 세포사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허혈상태에서의 신경장체의 과정에 있어서, 신경세포의 탈분극을 억제하는 약제는 허혈성질환을 치료, 예방하는 약제로서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의 약리활성에 관해서 각종의 시험연구를 행한 결과, 상기 물질이 허혈상태에 있어서의 신경세포의 이상한 탈분극을 억제하는 새로운 작용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 물질에서 확인된 새로운 약리작용은 정상인 상태에서는 인지되지 않고, 저산소에 의한 병상시에만 발현한다고 하는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상시에만 약효를 발현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안심하고 투여가능한 허혈성 징활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해마체 CA1영역의 추체세포에 있어서의 주입전류-막전위(Ⅰ-Ⅴ)의 관계에 미치는 본 발명 물질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의 흰색 점은 대조군, 흑점은 피험약 처치군이고, 피험약(본 발명 물질)의 용량은 도면 중에 나타난다.
도 2는 저산소부하에 따른 해마체 CA1영역의 추체세포에 있어서의 막전위 변화에 대한 본 발명 물질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의 흰색 점은 대조군(인공뇌 배수액 만), 백색 삼각형은 본 발명 물질 처치군(0.1NU/㎖)이고, 본페로니(Bonferroni)다중비교에 의해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로 유의차가 있는 것에 *을 붙였다.
도 3은 저산소 부하에 따른 해마체 CA1영역의 추체세포에 있어서의 막저항변화에 대한 본 발명 물질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의 흰색 점, 흰색삼각형 및 흑점은 도2와 동일하다.
바이러스 등의 외계로부터의 침습이나 내적인 병태상태의 진행에 대해서, 과인반응에 대한 억제작용과 기능저하에 대한 증강작용으로 되도록 2상성으로서 생체는 그 항상성을 유지하고, 생체기능을 조정하여 정상화하기 위해서 각종 생체 기능조정물질을 생산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백신바이러스를 접종한 염증조직에 있어서 생산된 생체기능조정물질, 상기 물질을 병태 조직으로부터 추출하는 제조방법과 함께 그들의 약리활성에 대해서 여러가지 보고가 되어지고 있다(특공소 63-39572호 공보, 특공소 63-25600호 공보, 특공평3-43279호 공보, 특허 제 2594222호 공보 등).
또는 실제의 의약품으로서는 백신바이러스 접종 집토끼 염증피부 추출물제제가 있다. 이 제제는 예를 들면, 의료약 일본의약품집(1994년 8월판, 일본의약정보센터1편, 약업시보사 발행)의 1434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백신바이러스를 접종한 집토끼의 염증피부조직으로부터 추출분리된 비단백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약제이고, 요통증, 경견환증후군, 견관절주위염, 변형성관절증, 증후성신경통, 피부질환(습진, 피부염, 두드러기)에 따른 괴양, 알레르기성후염, 스몬병후유증상의 냉감, 통증, 이상지각 등에 대한 적응이 인지되어지고, 피하, 근육주사, 정맥주사용의 주사제와 함께, 정제가 의료용 의약품으로서 제조 승인 받아 시판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 허혈성 질환치료제의 유효성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백신바이러스 접종 염증조직으로부터 추출된 비단백성의 생체기능 조정물질이고, 상기의 의료약 일본의약품집에도 게재되어 있는 백신바이러스 접종 집토끼 염증피부 추출물제제는 의약품의 제조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어 입수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특허공보 등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의 백신바이러스 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이 본 발명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어, 이들의 제조 방법이나 바람직한 투여량 등도 문헌 중에 설명되어 있다.
환자에 대한 투여방법은 주사제에 의해 피하, 근육주사, 정맥주사 투여와 함께 정제에 의한 경구투여가 시판약제로는 알려지고 있지만, 그 밖의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그 치료에 최적인 상기 이외의 제형에 의한 투여방법도 가능하다. 투여량은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의 종류에 의해서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시판제제로 알려져 있는 투여량은 상기 의료약 일본의약품집(1434항)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내벅으로 1일 16노이로트로핀 단위(NU), 주사제로는 1일 3.6 내지 7.2NU를 투여하도록 의료용 의약품으로서 나타내어지고 있지만, 질환의 종류, 중증도, 환자의 개인차, 투여방법, 투여기간등에 있어서, 정정증감 가능하다.
이하에,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의 신규한 약리작용에 관한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해마체, 추체세포를 사용한 저산소 모델의 시험계
체중 140 내지 200g의 웅성 위스타계 쥐로부터 적출한 뇌를 95% 산소 + 5%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에서 통기하여 평형화한 4℃의 인공뇌 배수액(124mM염화나트륨, 5mM염화칼륨, 2.6mM염화칼슘, 1.3mM황산마그네슘, 1.24mM인산2수소칼륨, 26Mm탄산수소나트륨, 10mM글루코오스)으로서, 15분 간 냉각한 후, 해마를 분리하여 마이크로스라이서에서 약 400㎛의 두께로 얇게 자른다. 다음으로, 얇게 자른 표체를 상기 혼합가스로서 평형화하여 실온에 보관한 인공뇌 배수액 중에 30분간 인큐이베이션한 후, 세포내 기록용 쳄버로 이동하고, 34℃±0.2℃로 가온한 인공뇌 배수액(pH7.4)를 사용하여 유량 1.5mL/분으로서 관류한다. 약 30분 간의 인큐베이션 후, 해마체, 추체세포의 세포내 기록을 개시한다.
세포 내 기록으로는 4M초산칼륨 용액을 채운 선단저항 40 내지 90Ω의 유리전극(선단지름 1 내지 2㎛)을 사용한다. 유리전극은 실체현미경하로 해마체, CA1영역의 추체세포층에 삽입한다. 추체세포에 전극을 날입 후, 얻어진 정지막 전위는 세포 내 기록용 앰프로서 증폭하여 기록한다. 막의 입력 저항은 0.2nA의 음성전류(200ms폭, 0.2Hz간격)를 통전하여 측정한다. 실험에는 정지막 전위가 -55mV 이상으로서 일정하게 한 추체세포를 사용한다.
(2) 정상인 산소 상태에서의 피험약의 영향
본 실험은 정상인 산소상태에서 실시한다. 즉, 추체세포의 막전위 및 막저항에 대한 피험약의 작요은 피험약의 처치 5분 내지 처치 10분 내지 20분 후에 -0.1 내지 -0.5nA의 음성전류(200ms폭, 0.2Hz간격)를 통전할 때의 막전위변화(주입전류-막전위의 관계)를 지표로, 피험약의 처치전후로 비교하고, 대응의 어떤 t-검정으로서 해석한다.
피험약으로서 본 발명 물질(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피부 추출물 제제: 상품명 노이로트로핀)을 인공뇌 배수액으로서 최종 농도가 0.03 내지 0.3NU/㎖로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한다.
상기 피험약 처치 전후에서의 추체세포에 있어서의 주입전류-막위전위의 관계를 도1에 나타내었다. 도면 중의 각 점(측정치)은 4예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피험약의 작용은 처치 10 내지 20분 후에 평가한다. 본 발명물질의 0.03 내지 0.3NU/㎖처치는 막전위(회귀직선의 Y절편)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막저항(회귀계수)은 0.1NU/㎖ 이상의 용량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3) 저산소상태에 있어서의 피험약의 효과
우선, 정상인 산소상태에 있어서, 피험약의 처치 전 5분간, 처치 후 10분 간으로 하고, 막전위와 막저항을 측정한다. 그 후, 인공뇌 배수액 중의 산소를 질소로 치환하여 저산소 부하(기록용 챔버 내의 인공뇌 배수액의 산소분압은 60mmHg 이하)를 행함과 동시에 피험약을 처치하여 20분간으로 한 막전위 및 막저항을 측정한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피험약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설정하고, 동일한 측정을 행한다. 저산소상태에서의 추체세포의 막전위 및 막저항에 대한 피험약의 작용은 대조군과 피험약군의 막전위 및 막저항의 추이를 비교하고, 일원배치분산 분석에 의해 해석한다.
정상(저산소부하 전) 및 저산소상태에 있어서의 추체세포의 막전위의 변화에 의한 본 발명물질의 효과를 도2에, 막저항의 변화에 대한 효과를 도3에 나타낸다. 도2의 각 측정치는 5 내지 6예의 평균치±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각 피험약처치군에 있어서의 막전위의 기초값은 각각 -69.1±0.9, -67.9±1.5 및 -67.6±0.4mV으로 하였다. 또한 도3의 각 측정치는 4 또는 5예의 평균치±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각 피험약처치군에 있어서의 막저항의 기초값은 각각 28.2±1.2, 30.3±2.9 및 33.1±2.0MΩ으로 하였다.
추체세포는 저산소부하 6분 전후로부터 현저한 탈분극을 나타내고, 20분 후에는 -10mV 이하로 되고, 플라토에 달한다(도 2). 한편, 막저항은 저산소부하의 1 내지 2분 이내에 감소하고, 그 후 대략 일정하게 추이되었다(도 3). 본 발명 물질의 0.1NU/㎖처치에서는 저산소부하에 따른 탈분극을 억제하는 경량이 있고, 0.3NU/㎖ 처치에서는 탈분극의 유의한 억제작용이 나타났다(도 2). 또한, 어느 용량의 본 발명 물질 처치에 있어서도, 막저항은 유지,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도 3). 동일하게 특허 제2594222호 공보의 실시예 1기재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얻어진 본 발명 물질을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시판의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피부 추출물 제제와 동일하게 저산소 부하에 따른 탈분극에 대해서 용양의존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약리시험결과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물질은 저산소에 의한 해마체, 추체세포의 이상한 탈분극을 억제하는 것으로 세포장해를 방어하고, 세포사로의 이행을 지연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진다. 이 작용은 정산인 추체세포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저산소 부하에 의한 병태 시에만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허혈상태에 있어서의 신경세포의 이상한 탈분극을 억제하는 기서로서, 전기생리학적으로는 Na+-K+펌프의 활성화, Na+또는 Ca2+의 저해, K+또는 Cl-채널의 활성화가 시사된다. 이와 같은 허혈상태에서의 신경장해의 과정에 있어서의 신경세포의 탈분극을 억제하는 약제는 허혈에 의한 직접적으로 유인되는 질환인 뇌경색을 치료하여 그 악화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고, 허혈에 따른 해마체의 장해에 근거하여 뇌혈관성 치매 등의 기억, 의식장해를 개선, 방어하는 것에 의해 이상한 탈분극에 대한 억제작용의 상기 작용기서를 고려하고, 허혈에 의한 중추 및 말초 신경장해, 특히 운동신경 및 지각신경계의 이상흥분에 기인한 수반증상도 개선하는 가능성이 있고, 본 발명 물질은 각종의 허혈성 질환을 치료, 예방하는 약제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백신바이러스접종 염증조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허혈성뇌질환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염증조직이 피부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4. 제3항에 있어서, 토끼의 염증피부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5. 제1항에 있어서,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6. 제1항에 있어서,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KR1019990014995A 1998-04-27 1999-04-27 허혈성질환치료제 KR19990083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61998 1998-04-27
JP98-134619 1998-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16A true KR19990083516A (ko) 1999-11-25

Family

ID=1513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995A KR19990083516A (ko) 1998-04-27 1999-04-27 허혈성질환치료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53352A1 (ko)
KR (1) KR19990083516A (ko)
CN (1) CN1235054A (ko)
AU (1) AU2402399A (ko)
CA (1) CA22700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465A (ko) * 2015-03-11 2016-09-21 (주)베스트룸 고분자 분산형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741A (ko) 1999-04-15 2001-03-15 고니시 진우에몬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CN1312080A (zh) 2000-02-18 2001-09-12 日本脏器制药株式会社 含有脂肪酸的组合物
AU2003280684B2 (en) 2002-10-31 2009-06-25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Remedy for fibromyalgia
CN1207005C (zh) * 2002-10-31 2005-06-22 威世药业(如皋)有限公司 含生物活性物质的兔皮和其用途
KR101307999B1 (ko) * 2004-12-01 2013-09-12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건조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34646A1 (en) 2004-12-17 2006-06-22 Ansari Aftab A Method for treatment of HIV infection
CN101732348B (zh) 2008-11-11 2015-01-14 威世药业(如皋)有限公司 牛痘疫苗致炎兔皮提取物在制备急性脑血管疾病治疗药物中的用途
TWI737229B (zh) 2013-04-30 2021-08-21 日商日本臟器製藥股份有限公司 製劑的製造方法、製劑製造的管理方法及製劑的檢查方法
WO2018056412A1 (ja) 2016-09-23 2018-03-2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シュワン細胞分化促進剤及び末梢神経再生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254A (en) * 1987-11-06 1991-01-15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of treating ischemic diseases
JP2539665B2 (ja) * 1988-06-20 1996-10-02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神経疾患治療剤
US5733871A (en) * 1991-11-08 1998-03-3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nal damage associated with ischemia, hypoxia or neurodegeneration
JP2732379B2 (ja) * 1995-12-18 1998-03-30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知覚異常改善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465A (ko) * 2015-03-11 2016-09-21 (주)베스트룸 고분자 분산형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402399A (en) 2000-11-02
CA2270050A1 (en) 1999-10-27
CN1235054A (zh) 1999-11-17
EP0953352A1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ccardi Mast-cell stabilization to decrease neurofibroma growth: preliminary experience with ketotifen
Gorsky et al. The efficacy of pilocarpine and bethanechol upon saliva production in cancer patients with hyposalivation following radiation therapy
Park et al. Asivatrep, a TRPV1 antagonist,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Phase 3, randomized, vehicle-controlled study (CAPTAIN-AD)
Zhu et al.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t doses of oral tranexamic acid on melasma: a multicentre prospective study
US11826404B2 (en) Plasminogen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PAI-1 overexpression
Draelos et al. A phase 3 randomized, double-blind, vehicle-controlled trial of azelaic acid foam 15% in the treatment of papulopustular rosacea
Canavero et al. Drug therapy of trigeminal neuralgia
CN107427502A (zh) 使用川地匹坦的治疗方法
KR19990083516A (ko) 허혈성질환치료제
KR20170066432A (ko) 정신병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Zeng et al. Qingnao dripping pills mediate immune-inflammatory response and MAPK signaling pathway after acute ischemic stroke in rats
JP2000016942A (ja) 虚血性疾患治療剤
JPH10194978A (ja)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Riseman The treatment of angina pectoris: A summary of ten years' objective study
Kral Psychiatric problems in the aged: a reconsideration
Rosenberg et al. Clinical pharmacology of DP‐b99 in healthy volunteers: First administration to humans
EP1207878A2 (de) Behandlung der migräne durch verabreichung von alpha-liponsäure oder derivaten derselben
EP255683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Ahmad et al. Oxybutynin-Induced Hyperthermia in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KR20000076874A (ko) 케모카인 생산 촉진제
Khan et al. Safety Evaluation of Sankhaholi (Evolvulus alsinoides Linn.) in the Manage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A Randomized Standard Control Trial
RU2783255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строй акустической травмы
Knowles et al. Sleep deprivation: outcome of controlled single case studies of depressed patients
Silva et al. Spinal myoclonus: Is it an anesthetic mystery?
Prashar et al. Factors Affecting Tear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