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743A - 칩 없는 서지 흡수기 - Google Patents

칩 없는 서지 흡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743A
KR19990081743A KR1019980031364A KR19980031364A KR19990081743A KR 19990081743 A KR19990081743 A KR 19990081743A KR 1019980031364 A KR1019980031364 A KR 1019980031364A KR 19980031364 A KR19980031364 A KR 19980031364A KR 19990081743 A KR19990081743 A KR 1999008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discharge
air chamber
housing
chip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558B1 (ko
Inventor
빙린 양
Original Assignee
빙린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948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0671B2/ja
Application filed by 빙린 양 filed Critical 빙린 양
Publication of KR1999008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20Means for starting arc or facilitating ignition of spark gap
    • H01T1/22Means for starting arc or facilitating ignition of spark gap by the shape or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소자, 특히 서지 흡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 속에 대향하여 배치된 방전전극(2)을 방전전극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에서 용착 고정한 칩 없는 서지 흡수기이고, 공기실(4) 속에 청정한 동시에 건조한 공기 또는 이들 공기를 주로한 혼합기체를 밀봉하여, 간단한 구조로 서지 작동전압 범위가 넓고 동시에 안정된 서지 작용을 실시할 수 있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칩 없는 서지 흡수기
본 발명은 전자소자 특히 서지 흡수기(surge absorber)에 관한 것이다.
서지 속에서도, 표유파, 노이즈, 정전방해 등은 최신 전자기기에 있어서 뿌리 깊은 장해이며, 특히 고전압 펄스파는 전자기기의 반도체소자의 동작 에러를 야기시키고, 반도체 또는 장치에 손상을 주는 일조차 있다. 이러한 문제는 서지 흡수기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된다.
종래의 서지 흡수기는 절연성의 마이크로갭을 갖는 방전칩 또는 방전코어를 만들어, 이 방전칩을 유리 하우징 속에 밀폐 밀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츠비시 머트리얼주식회사제 마이크로갭 서지 흡수기는, 세라믹스의 심에 도전성 박막을 성장시켜, 이 코어 양단에 금속의 갭형 전극을 부착한 후, 상기 도전성 박막표면을 레이져광선으로 제거하여 슬릿, 즉 마이크로갭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방전칩(방전코어)을 유리관 속에 밀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칩형 서지 흡수기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갭(가는 슬릿형상의 홈)의 폭에 따라서 방전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종래부터 마이크로 그루브(홈)(groove)로 간막이된 도전 필름으로 구성되는 서지 흡수기가 알려져 있지만, 그러한 서지 흡수기의 동작전압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은 곤란하고, 그 적용은 극히 제한된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 특허 제 4,727,350호에는 교차하는 마이크로 그루브를 갖는 도전 필름으로 덮여진 원통형의 튜브코어를 가지며 외측을 유리용기로 밀봉한 서지 흡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특개평 8-306467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소한 서지 흡수기를 제안하였다. 이 서지 흡수기에 의하면 하우징 속에 밀봉된 한쌍의 전극막대 사이에 튜브코어를 배치하고, 그 주위의 공기실에 불활성가스를 충전함으로써 종래에서는 대처할 수 없었던 고작동 전압까지 서지흡수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서지 흡수기는 모두 방전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우선 방전칩 또는 방전코어(튜브코어)를 만들어, 이 칩 또는 코어를 하우징 속에 밀봉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 제작공정이 다수에 걸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내릴 수 없어, 특히 최근과 같이 전자기기의 내부에 소자의 보호 또는 전원전압 변동에 대처하기 위해서 다수의 서지 흡수기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서지 흡수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기기의 비용상승에 직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제안된 서지 흡수기에 의하면, 방전전류는 튜브코어를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1만볼트 등의 고작동 전압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고, 또 서지 흡수시에 큰 에너지의 서지를 흡수할 수 없어, 이 잔류 전압에 의해 회로에 기류(dynamic current)(잔류 전압에 기인하여 보호대상 전자기기에 흐르는 전류)가 생겨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튜브코어의 상태에 따라 작동 전압에 불균일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대량 생산 가능하며, 동시에 광범위의 서지전압, 서지내량(surge permissible dose)에 적용 가능한 서지 흡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고범위의 작동 전압에서 서지흡수를 실시할 수 있고, 또 서지흡수시의 저항을 현저하게 저하함으로써 큰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흡수하여, 종래 서지흡수 후에 잔류하는 전압 및 이 잔류전압에 의해 생기는 기류를 확실하게 해소하고, 또한 방전전압, 방전속도 및 서지내량(서지전류)을 서지 흡수기의 각부를 임의로 설계함으로써 미세조정 가능한 개량된 서지 흡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서지 흡수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방전전극에 단자를 설치하고 또한 방전전극 표면에 볼록부를 설치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쪽 방전전극에 볼록부가 설치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한쪽 방전전극에 볼록부가 원추형상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한쪽 방전전극 전체가 원추형상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양 방전전극의 표면에 각각 원추형상의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양 방전전극의 표면에 대향하는 원추형상의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양 방전전극이 각각 전체로서 원추형상을 갖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양 방전전극이 원추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양 방전전극을 다른 형상으로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간단히 실현하기 위해서 리드전극의 주위에 절연체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절연체에 절개부를 넣어, 리드전극의 일부를 제거하여 공기실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의해 얻어진 공기실을 갖는 절연체를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서지 흡수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복수의 공기실을 설치한 도 13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서지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도 15의 서지전압을 흡수한 상태의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2: 하우징 2, 28: 방전전극
3, 20: 리드선 또는 단자 4, 30: 공기실
6: 볼록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 속에 리드단자를 갖는 한쌍의 방전전극을 소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하고, 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을 용융하여, 하우징의 양단을 전극 또는 리드단자에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방전전극은 하우징 속에 있어서 정확하게 소정 간격으로 대향 유지되고, 이 대향 유지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을 가열하여 이 하우징에서 전극 또는 리드단자를 용착 밀봉하여, 이에 의해 방전전극 사이의 간격은 임의로 선택가능하고, 또 매우 정확한 간격 조정을 실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에 있어서 칩 없는 서지 흡수기의 유형으로서, 예컨데 이시즈카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가스튜브 피뢰기(arrester)가 있다. 이 종래장치는 전극을 유리 등의 절연체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유지 대향 배치한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가스튜브 피뢰기에 있어서는 대향 전극간의 간격은 절연관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고 있고, 절연관과 전극과는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종류가 다른, 즉 간격이 다른 대향전극을 얻기 위해서는 절연관의 길이를 여러 종류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고, 실제로는 광범위한 방전전압 및 서지내량에 적용한 칩 없는 서지 흡수기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 전극 간격은 절연관의 길이로 결정되기 때문에 절연관이 유리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도 가열에 의해 절연관과 전극을 용착하면, 중요한 전극 간격이 변화하여, 이 때문에 가열 용착을 이용할 수 없고 절연관과 전극과는 대향면에서 용접을 실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용접시에 발생하는 플럭스, 그의 밖의 것을 따라 공기실 속에는 큰 오염이 생겨, 실제로 방전 특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 전극은 하우징과 무관계로 양자간의 위치가 정밀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하우징을 가열하여 용착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히 정확하고 또한 복잡한 종류의 전극 간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속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각각 리드 또는 단자에 접속된 한쌍의 방전전극 및 상기 양 방전전극간에 설치된 공기실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속에는 청정 건조공기 또는 청정 건조공기와 불활성가스, 또는 질소가스와의 혼합가스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속에 미리 정해진 공기갭을 갖고 한쌍의 방전전극을 밀봉하고, 이 공기실 속에는 청정 건조공기 또는 이 청정 건조공기와 불활성가스 또는 질소가스와의 혼합기체를 밀봉함으로써, 극히 간단한 구조로 고범위의 작동전압의 서지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 또, 공기실 속의 절연방전시의 기체 저항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서지전압에 의해 기체의 절연 파괴가 생긴 때에는 극히 낮은 작동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작동 전압의 서지에 대해서도 순간적으로 이것을 흡수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은 잔류 전압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 있어서, 단순히 전극간에 공기갭을 설치한 서지 흡수기는 상기한 가스튜브 피뢰기로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실 속에 밀봉하는 공기를 충분히 청정하고 동시에 건조공기로 하여, 대면하는 전극간에 있어서 공기실 속을 안정된 상태에서 절연 파괴함으로써 극히 유용한 서지흡수 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칩 없는 서지 흡수기에 있어서, 공기실에 밀봉되는 청정 건조공기는 그 습도가 5%이하 및 그 청정도가 99.99%(0.5㎛DOP)에서 통상 공기를 여과한 청정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칩 없는 서지 흡수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방전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방전전극은 공기갭에 접하는 평탄한 방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의 하우징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밀폐된 용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실에서 밀봉되는 공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공기가 아니고, 청정 건조공기이며, 그 청정정도가 99.99%(0.5㎛DOP)에서 통상 공기를 여과한 청정도이상이며, 또 건조도에 관해서는 5%이하의 습도 바람직하게는 3%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서지작동전압을 조정하기 위해서 공기실에 밀봉되는 공기에 다른 불활성가스 등을 혼합할 수 있고, 이러한 혼합불활성 가스로서는 알콜 또는 네온 등이 적합하다. 물론, 이러한 불활성가스 대신에 질소를 이용할 수 있도 있다.
상기와 같은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대용량의 메모리로 고속 동작하는 컴퓨터를 리셋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인 상당히 복잡한 전자회로에도 널리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컴퓨터 디스플레이나 그 외의 전자장치의 빈번한 ON/OFF조작에 의해서 생기는 서지파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전화기, 라디오, 팩시밀리, 모뎀, 프로그램제어의 전화교환기 등 전화선에 접속되는 장치나, 앰프, 테이프레코더, 자동차무선, 무선트랜시버, 센서신호선 등 안테나나 신호선에 접속되는 장치,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 정전방지가 필요한 장치, 가전, 컴퓨터제어에 의한 전자장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과전압 방지장치로서도 기능한다. 즉,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정전기에 의한 유해한 영향을 해결하는 유효한 전자소자라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하우징(1)(통상 유리용기), 방전전극(2)(예컨데 두멧(dumet)전극), 상기 방전전극(2)에 각각 접속되는 2개의 리드(3), 또는 2개의 리드레스단자(3)(도 2 참조) 및 상기 방전전극 사이에 공기실(에어챔버)(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소모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고전압 부유파나 서지펄스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이 흡수기의 반응 특성은 고휘도에서 소광까지 서서히 약해져 가는 LED(발광 다이오드)나 방전관의 발광현상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이상과 같이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하우징(1) 속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방전전극(2) 사이에 공기실이 형성되고, 양 방전전극(2) 사이에 서지 전극이 인가된 때, 공기실(4)의 절연 파괴가 생겨 이 서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방전칩 또는 방전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는 하우징(1)속에 한쌍의 방전전극(2)이 단순히 대향 배치되어 있다. 실제로 이러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의하면 하우징(1)의 내부에 한쌍의 방전전극(2)이 대향하여 배치된다. 통상의 경우, 한쪽의 방전전극(2)이 하측의 지그에 설치된 구멍 속에 삽입되고 동시에 하우징이 이 구멍 속으로 떨어져 들어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삽입상태에서 방전전극(2)의 외부직경은 하우징(1)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어, 하우징(1) 속에 방전전극(2)이 삽입하는 것에 어떠한 지장은 없다. 실제로 하부틀 속에 있어서 한쪽의 방전전극(2)과 하우징(1)은 직립하고 있다. 다음에 상부틀에 설치된 구멍에 다른쪽의 방전전극(2)이 삽입되고 이렇게 상부틀이 하부틀에 위치 결정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다른쪽 방전전극(2)의 외부직경도 하우징(1)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상하틀이 밀접한 상태에서 상부틀에 유지된 다른쪽 방전전극(2)은 수직방향으로 낙하하여 한쪽 전극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상부틀에 배치된 다른쪽 방전전극(2)은 소정 간격만큼 윗쪽으로 끌어 올려지고, 그 위치를 유지한다. 이 올림고정 유지기구로는 임의의 기구가 이용되지만, 요구되는 정밀도에 따라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거리가 정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하여 준비가 완료되면, 양 방전전극(2)간의 간격은 미리 구해져 있는 값으로 정확하게 조정되게 된다. 다음에 상하틀은 고온도 속에 놓이거나 또는 처음부터 고온도 속에서 상기 조립 준비작업이 이루어져, 상하틀과 함께 방전전극(2) 및 하우징(1)이 가열된다. 통상 600℃의 가열상태에 있어서, 하우징(1)은 용융하고, 그 양단은 도 1에 있어서는 양 방전전극(2)과 견고하게 용착 고정된게 된다. 물론, 이 때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1)이 양단은 방전전극(2)이 아닌, 리드단자(3)와 용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쪽이든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도 속에서의 가열상태 그리고 냉각시에 있어서 상하 방전전극(2)은 지그 속에 있어서 정확하게 그 위치가 결정되고, 이렇게 전극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하우징(1)에 의한 용착이 실시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매우 정확한 방전전극 간격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이 간격은 상하로 지지된 방전전극의 유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간격으로 조정 가능하며, 종래에 있어서 가스튜브 피뢰기와는 달리, 매우 간단하고 동시에 정확하게 광범위한 칩 없는 서지 흡수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특징적인 것은, 상기 공기실(4)속에 밀봉되는 기체가 청정 건조공기 또는 이 청정 건조공기와 불활성가스 또는 질소와의 혼합체인 것에 있다.
공기의 청정도는 통상 청정도가 99.99%(0.5㎛DOP)에서 통상 공기를 여과한 청정도이상이고 또 그 건조정도는 5%이하의 습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3%이하의 습도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상의 공기를 니폰무키 가부시키가이샤제 아토모스 초ULPA필터로 여과하여, 0.05㎛의 미립자를 99.9999%이상 수집한 공기를 집적하여 이용하였다.
이러한 청정 건조공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기실(4)의 절연 파괴 전압은 극히 안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절연 파괴는 양 방전전극(2)속에 인가되는 서지전압이 소정 작동전압을 초과하면, 도 1에 있어서 공기실(4)과 접하는 표면(5)의 일부에 약간 절연 파괴의 원인이 생기고, 이 절연 파괴가 순간적으로 공기실(4) 전체에 미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청정 건조공기가 매우 단시간에 균일하게 절연 파괴되게 되고, 이 결과 양 방전전극간에서 큰 절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칩 없는 서지 흡수지는 대향 방전전극이 공기실(4) 속에 배치되어 있어, 방전전극간에 어떠한 절연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방전시에 생기는 동 분자가 절연체 표면에 부착하여 실질적인 방전전극 간격을 감소시키는 등의 불이익한 현상을 제거하여, 안정되고 동시에 긴 수명의 서지 흡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작동전압, 절연전류(서지내량) 및 작동속도에 관해서는 주로서 공기실(4)의 체적, 방전전극(2)사이의 갭길이, 밀봉기체의 종류 및 압력에 의해서 결정되고, 이 어떠한 요소를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폭넓은 서지 작동전압의 서지 흡수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약 50∼13000볼트의 작동전압을 상기 각 요소의 선택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방전전극 간격과 작동전압의 몇 개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방전전극 간격(㎜) 방전전압(V)
0.040.080.120.150.22.52.83.23.9∼4.3 120∼450250∼700330∼1,000500∼1,500700∼2,0002,400∼5,0003,500∼7,0004,000∼12,0008,000∼15,000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는 청정 건조공기에 의해서 절연파괴시의 공기실(4) 속의 허용전류밀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며, 이것은 청정 건조공기의 절연파괴시의 저항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파괴가 순간적으로 실시되며, 동시에 방전전극(2)간에 허용 가능한 방전전류가 크기 때문에, 큰 서지전압이라고 해도, 이 서지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잔류전압이 생기거나 또 이에 의한 일정 기류가 계속하는 등의 결점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1)을 형성하는 용기는 예를 들면 내부직경 0.66㎜의 국제기준 DO-34형의 유리다이오드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내부직경에 적응하도록 양 방전전극(2)이 용기 양단에 삽입되어, 이들 방전전극(2)을 두멧전극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합된 상태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과 방전전극(2)을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 밀봉작업은 청정 건조공기실 속에서 실시되고, 이 결과 공기실(4) 속에는 청정 건조공기가 밀봉되게 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으로서 다른 플라스틱 또는 수축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으로서 또한 국제기준 DO-35형(내부직경 0.76㎜), DO-41형(내부직경 1.53㎜)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대용량 서지 흡수기로서는 외부직경 3.1㎜의 유리다리오드 용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실(4)에 밀봉되는 청정 건조공기에는 알콜, 네온, 헬륨, 질소를 혼합할 수 있으며, 이들 혼합정도를 적당하게 선택함에 따라 서지전압, 서지내량 또는 반응속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실(4) 속에 청정 건조공기를 밀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몇 개의 요소의 조합에 의해 서지 특성을 변환하게 한 때, 예컨데 서지전압을 50볼트에서 15000볼트로 선택하면서, 각 설정전압에서의 작동정밀도를 10볼트정도의 극히 미세조정 가능한 폭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청정 건조공기에 의해, 공기실(4) 속의 공기구성분자의 분포가 극히 균일화되어, 이에 의해 미리 결정된 공기실(4)의 체적, 밀봉기체의 종류 또는 압력에 의해 일단 설정된 서지전압이 극히 안정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청정 건조공기 때문에 그 절연시의 저항은 극히 낮은 값이 되고, 이 결과 공기실(4)이 절연 파괴된 때 허용되는 서지 전류를 크게할 수 있어, 큰 서지전압이라도 순간적으로 서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종래의 일본국 특개평 8-306467호에 있어서 서지전압을 6000볼트로 한 경우, 10500볼트를 인가한 때에 서지 흡수기에 의해서 1050암페어의 서지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지만, 서지 흡수후에 있어서도 4500볼트의 잔류전압이 남고, 이 결과 회로에는 450암페어의 기류가 발생하게 되었지만, 동일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서지 흡수기에 의하면 잔류전압 및 기류를 거의 0으로 할 수 있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방전전극(2)의 외부를 향한 단부에 리드선이 아닌 단자(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실시형태(도 2)에 의하면, 양 방전전극(2)에 공기실(4)을 향한 표면(5)에 각각 볼록부(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6)에 의해 서지전압이 인가된 때에 공기실(4) 속의 절연 파괴가 쉽게 유발된다. 이 작동전압과는 달리, 절연파괴시의 서지내량(전류)은 이들 볼록부(6)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실(4)의 체적(특히 방전전극의 면적), 밀봉기체의 종류 및 압력에 의해 거의 결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실시형태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3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볼록부(6)가 한쪽의 방전전극(2)의 표면(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한쪽 볼록부(6)에 의해서도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실(4) 속의 절연 파괴가 이 볼록부(6)에 의해 유발되어 안정된 서지전압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볼록부(6)는 공기실(4) 속이 절연 파괴를 유발하기 때문에, 이 볼록부(6)의 형상 또는 다른쪽의 방전전극(2)과의 거리에 의해 작동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한쪽에서 서지흡수시에 있어서 서지내량은 공기실(4)의 체적에 의해 결정되고,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달리 도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지 작동전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히 큰 서지내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3에 있어서는 한쪽 방전전극(2)에서 원주형상의 볼록부(6)가 돌출하고 있지만, 도 4에 있어서는 원추형상의 볼록부(6)가 돌출하여 있다.
도 5는 더욱 다른 형상의 볼록부(6)를 나타내고, 한쪽의 방전전극(2)의 공기실에 접하는 표면(5) 전체가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을 이루며, 그 정점이 다른쪽의 전극과 가장 근접하는 볼록부(6)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볼록부(6)의 선단을 다른쪽 방전전극(2)에 근접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실(4) 속의 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이 결과 서지내량이 커지는 이점이 있다. 또,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도 3, 도 4와 달리, 볼록부(6)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도 6, 도 7의 실시형태는 상기한 도 3, 도 4의 한쪽 볼록부를 양쪽 방전전극에 응용한 실시형태이며, 이 결과, 공기실(4)의 체적을 충분히 취하면서 양 볼록부(6)의 대향갭 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낮은 서지 작동전압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상기한 도 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쪽 원추 방전전극(2)을 양측에 배치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양 방전전극(2)의 원추정점이 근접함으로써, 서지 작동전압을 낮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실(4)의 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서지 흡수기의 정전용량을 감소시키고 또 서지내량을 증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형태는 양 방전전극(2)이 각각 원추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것으로, 이 결과 공기실(4)이 외부에서 광학적으로 거의 실드되는 효과가 있다. 즉, 이러한 형상에 의해 도 9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해 서지 흡수기의 서지전압이 변동하는 이른바 명암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광이 강한 경우, 서지 흡수기의 서지전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공기실(4) 속으로의 광의 진입이 적기 때문에 외부광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명암효과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상기한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이 변형예에 의하면 양 방전전극(2)은 한쪽이 볼록형의 표면형상을 갖고, 다른쪽이 이것에 대응한 오목형의 표면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양 방전전극(2)의 표면형상을 선택함으로써 방전이 유발되는 갭길이와 서지내압을 결정하는 공기실(4)의 체적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도 12, 도 13에는 본 발명에 관한 서지 흡수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0에 있어서 리드 및 전극을 일체로 하는 리드선(20)의 주위에 절연체(22)가 피복된다. 이 절연체(22)는 플라스틱과 석영분의 혼합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결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2)의 주위에 절연체(22)가 감겨 고정된 상태로 된다. 도 12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체(22)의 거의 중앙부에 절단기(24)가 절개부(26)를 형성한다. 이 결과, 도 12의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22)는 그 일부가 리드선(20)을 포함한 상태로 잘려지고, 리드선(20)의 양단부에 전극부(28)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단기(24)에 의한 절개부는 본 발명에서 공기실(3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실(30)이 형성된 절연체(22)의 주위를 수축 플라스틱(32)으로 시일함으로써, 상기 공기실(30)은 완전하게 밀봉되고, 이 밀봉작업을 청정 건조공기 속에서 실시함으로써 상기 공기실(30)에 본 발명의 특징인 청정 건조공기가 밀봉되게 된다. 따라서 극히 간단한 제조공정에 의해 칩 없는 서지 흡수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3의 칩 없는 서지 흡수기에서는 상기 리드선의 직경이 0.8㎜, 절연체(22)의 외부직경이 4.5㎜로 선택되어 있다.
상기한 도 13에 있어서는 수축 플라스틱을 공기실(3)의 밀봉에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수축 플라스틱 대신에 경질 플라스틱관에 절연체(22)를 삽입 밀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상기한 도 13의 약간 다른 변형예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연체(22)에 형성되는 절개부, 즉 공기실(30)을 2개 설치하고 동시에 절개 방향을 축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 결과, 절연체(22)의 강도를 증가할 수 있음과 동시에 2개의 공기실(3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서지 작동전압을 높은 전압까지 선택 가능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절연체(22)에 형성되는 절개부, 즉 공기실(30)의 수는 2이상 임의의 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만 볼트의 높은 서지전압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작동 가능한 서지 흡수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5에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용한 때의 원서지파형을 나타내고, 그 서지전압은 11,120볼트이다. 그리고 도 16에는 도 14에 도시한 서지전압이 도 1의 발명에 관한 5,000볼트 서지 흡수기에 인가된 때의 방전전압을 나타내며, 5,280볼트로 서지흡수작용이 동작하고, 약 70ns로 거의 전압이 300볼트정도로 낮게 하여 거의 잔류전압이 없고 또 기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 속에 대면한 방전전극 사이에 설치된 공기실 속에 청정 건조공기 또는 이 청정 건조공기를 주로 한 혼합기체를 밀봉함으로써, 수명이 길고 내성이 우수하며, 전기기기로의 적용 범위가 넓은 서지 흡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속에 리드단자를 갖는 한쌍의 방전전극을 소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하고, 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을 용융하여, 하우징의 양단을 전극 또는 리드단자에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속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각각 리드 또는 단자에 접속된 한쌍의 방전전극 및 상기 양 방전전극 사이에 설치된 공기실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실 속에는 청정 건조공기 또는 청정 건조공기와 불활성가스 또는 질소가스와의 혼합가스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실에 밀봉된 청정 건조공기는 그 습도가 5%이하 및 그 청정도가 99.99%(0.5㎛DOP)에서 통상 공기를 여과한 청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방전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방전전극은 공기실에 접하는 평탄한 방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한쌍의 방전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방전전극에는 공기실에 접하는 면에 방전을 유발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없는 서지 흡수기.
KR10-1998-0031364A 1998-04-27 1998-07-29 칩없는서지흡수기 KR100361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61298 1998-04-27
JP10-117612 1998-04-27
JP18948698A JP3390671B2 (ja) 1998-04-27 1998-07-03 チップなしサージアブソーバの製造方法
JP10-189486 1998-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43A true KR19990081743A (ko) 1999-11-15
KR100361558B1 KR100361558B1 (ko) 2003-04-11

Family

ID=4938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364A KR100361558B1 (ko) 1998-04-27 1998-07-29 칩없는서지흡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5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1585A (ja) * 1988-06-09 1989-12-15 Okaya Electric Ind Co Ltd 放電型サージ吸収素子
DE4033927A1 (de) * 1990-10-25 1992-04-30 Hoechst Ceram Tec Ag Ueberspannungsableiter
JPH05144542A (ja) * 1991-11-22 1993-06-11 Okaya Electric Ind Co Ltd 放電型サージ吸収素子
JPH0722152A (ja) * 1993-06-30 1995-01-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9667A (ja) * 1993-07-08 1995-01-31 Mitsubishi Materials Corp 放電型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54585A (ja) * 1997-11-19 1999-06-0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サージアブソーバの封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558B1 (ko)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975B1 (ko) 칩이 없는 서지 흡수기
US7636228B2 (en) Arrester
EP0952646B1 (en) Surge absorber without chips
US5559663A (en) Surge absorber
CA1162599A (en) Four terminal pulse supressor
US5373414A (en) Surge absorber
KR100361558B1 (ko) 칩없는서지흡수기
JP5003888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KR100335806B1 (ko) 서지흡수관
CN100389529C (zh) 一种含有压敏电阻片的电涌保护器模块
KR101607727B1 (ko) 서지 업소버
US4277812A (en) Excess voltage arrester
KR100295198B1 (ko) 어레스터
KR100799785B1 (ko) 서지 업소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04828B1 (ko) 서지흡수기
KR100257585B1 (ko) 갭형 서어지흡수기
JP4239422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H07320845A (ja) 放電型サージアブソーバ
JP2005277161A (ja) 避雷器
TW200810307A (en) Surge arrester
CN103069671A (zh) 电涌吸收器及其制造方法
Hong et al. A microgap surge absorber fabricated using conventional semiconductor technology
JP2002110311A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34247A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2006286213A (ja)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