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703A -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703A
KR19990081703A KR1019980015820A KR19980015820A KR19990081703A KR 19990081703 A KR19990081703 A KR 19990081703A KR 1019980015820 A KR1019980015820 A KR 1019980015820A KR 19980015820 A KR19980015820 A KR 19980015820A KR 19990081703 A KR19990081703 A KR 19990081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glasses
spring
lens fram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휘
Original Assignee
이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재 filed Critical 이휘재
Priority to KR101998001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703A/ko
Priority to US09/248,121 priority patent/US6033069A/en
Publication of KR1999008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성을 단순화하면서 날씬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절첩된 안경의 부피가 작고, 가벼워 취급과 외관 및 착용감이 좋고 조립이 신속 용이하도록 한 것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테(4)의 양측단부에 구성된 결합편(6)중 일측에 얇은 두께의 연결편(10)을 용착 구성하고, 연결편(10) 상에는 결합편(20)을 축핀(24)으로 회전 자재하게 결합하되, 상기 결협편(20)내에는 스프링(28)과 탄지구(30)를 탄력 설치하므로서, 안경다리(40)의 절첩시 스프링(28)이 압축되면서 안경다리(4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본 발명은 안경의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분의 외관을 단순화 하면서 날씬한 다리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절첩된 안경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또한 조립이 신속 용이하도록 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경은 도5에서와 같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렌즈테(102)의 외측 단부에 렌즈를 교환할 수 있게 서로 구성된 결합편(104)을 축핀(106)으로 나사 결합하고, 상기 결합편(104)에 연결편(108)을 용착 구성하되, 연결편(108)은 비교적 두껍게(두개의 결합편이 전면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 구성되어 있고, 연결편(108) 단부에 스프링이 탄력 설치된 지지편(110)을 연결하고, 지지편(110)상에 안경다리(112)를 결합 설치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안경(100)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렌즈테(102)의 외측 단부에 용착 구성된 결합편(104)이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지지편(110)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편(108)이나 지지편(110)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외관이 투박하게 되고, 따라서 절첩된 안경의 부피가 크지게 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안경의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특히 연결편(108)을 지지편(110)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 연결구(114)와 결합할 때 스프링을 당겨 올린 다음 조립하게 되므로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외관이 단순하면서 미려하고, 또한 절첩된 안경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조립이 신속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테의 양측단부에 한쌍의 결합편을 용착 구성하되, 일측 결합편에 연결편을 용착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 스프링이 탄력 설치된 지지편을 연결하고, 지지편상에는 안경다리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4 - 본 고안 안경의 사시도.
도 5 - 종래 안경다리의 연결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안경 (4)--렌즈테
(6)--결합편 (8)--용접부
(10)--연결편 (12)--통공
(14)--연결부 (16)--절개부
(18)--통공 (20)--결합편
(22)--결합부 (24)--축핀
(26)--중공부 (28)--스프링
(30)--탄지구 (32)--축봉
(34)--탄지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렌즈테(4)의 양측단부에 용착 구성된 한쌍의 결합편(6) 중 일측 결합편(6)의 전면에 연결편(10)을 용착하되, 연결편(10)은 평판을 프레스하여 용접부(8)와 연결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부(14)상에는 통공(12)이 약간 편심되게 뚫려 있다.
이때, 연결편(10)의 두께(T)는 결합편(6)의 두께(T1)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한다.
또한 양측에 절개부(16)를 구성하므로서, 상대적으로 상하에 통공(18)이 뚫린 결합부(22)가 형성되게 한 결합편(20)의 결합부(22)를, 상기 연결편(10)의 연결부(14)에 끼워 연결부(14)에 구성된 통공(8)과 결합편(20)에 구성된 통공(18)이 서로 일체되게 한 다음, 축핀(24)으로 나사 결합되게 하므로서, 연결편(10)상에 결합편(20)이 절첩 가능케 구성한다.
상기 결합편(20)내에 구성된 중공부(26)내에는 스프링(28)과 탄지구(30)를 탄력 설치하되, 탄지구(30)에 구성된 축봉(32)이 스프링(28)내에 끼워지면서 탄지편(34)이 스프링(28)의 상면을 탄지케 하고, 탄지편(34) 일측에 구성된 눌름편(36)은 결합편(20)의 절개부(16)상에 위치케 함과 동시에 연결편(10)과 탄접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연결편(10)상에는 여러 형태의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40)은 안경다리, (42)는 모서리, (44)는 상면, (46)은 저면, (48)은 측면, (50)은 타측 모서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렌즈테(4)의 양측단부에 용착된 일측 결합편(6)상에 두께(T)가 비교적 얇은 연결편(10)을 용착 구성하고, 연결편(10)에 스프링(28) 및 탄지구(30)가 탄력 설치된 결합편(20)을 연결 구성하므로서, 외관이 단순하면서 투박하지 않고 날씬한 형태의 안경(2)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렌즈테(4)와 안경다리(40)를 연결하는 연결편(10)의 두께(T)가 렌즈테(4)에 용착 구성된 한쌍의 결합편(6) 중 일측 결합편(6)의 두께(T1)와 유사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결편(10)의 형상이 매우 날씬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결합편(20)내에 끼워진 스프링(28)이 종래와 같이 당겨지면서 안경다리가 탄력적으로 절첩되는 구성이 아니고, 도2에서와 같이 눌리면서 안경다리(40)가 탄력적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결합편(20) 자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안경다리(40)가 탄력적으로 절첩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도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40)를 내측으로 절첩시키면 축핀(24)을 축으로 안경다리(40)와 함께 결합편(20)도 회전 이동하고, 동시에 결합편(20)내에 탄력 설치되 눌름편(36)이 연결편(10)의 모서리(42)에 의해 눌리면서 스프링(28)을 압축시키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안경다리(40)를 내측으로 계속 회전시켜 일정각도 이상 절첩시키면 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안경다리(40)는 힘을 가하지 않드라도 내측으로 완전히 절첩되어 눌름편(36)의 상면(44)이 연결부(14)의 측면(48)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안경다리(40)를 펼치고자 할 경우에 절첩되어 있던 안경다리(40)를 외측으로 당겨 회전시키게 되면 안경다리는 축핀(24)을 축으로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때 눌름편(36)은 연결편(10)의 모서리(42)에 의해 눌리면서 스프링(28)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경다리(40)를 외측으로 계속 이동시켜 일정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눌름편(36)이 밀리면서 외력을 가하지 않드라도 안경다리(40)는 외측으로 확개되어 눌름편(36)의 상면(46)이 연결편(10)의 저면(46)과 접하여 안경다리(4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동시에 안경(2)의 착용중 안경다리(40)가 외측으로 확개시키면 눌름편(36)이 연결편(10)의 타측 모서리(50)에 의해 눌리면서 일정각도 회전하다가 더 이상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는 축핀(24)으로부터 타측 모서리(50)까지의 거리가 스프링(28)의 압축 가능한 길이보다 길이 때문이다.
또한 결합편(20)내에 스프링(28)을 끼워 설치함에 있어서도, 스프링(28)과 탄지구(30)를 결합편(20)의 중공부(26)에 끼운 다음 결합편(20)의 절개부(16)를 연결편(10)의 연결부(14)에 밀어 넣은 다음 통공(18)(8)을 통하여 축핀(24)을 결합하면 되므로 결합편(20)내에 스프링(28)의 설치가 매우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경을 제작함에 있어서, 안경태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비교적 얇은 박형으로 구성하고, 동시에 연결편에 연결되어 안경다리에 탄력을 부여하는 결합편내에는 스프링이 압축되어 탄성이 부여되게 구성하므로서, 구조적으로 안경의 전체적인 형상이 단순하면서 날씬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절첩된 안경의 부피가 작고 가벼워 취급과 착용감이 좋고, 외관이 미려할뿐 아니라 조립이 신속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렌즈테(4)의 양측단부에 용착된 한쌍의 결합편(6)중 일측 결합편(6)상에, 두께(T)가 얇은 연결편(10)을 용착 구성하고, 연결편(10)의 연결부(14)상에는 절개부(16)가 형성된 결합편(20)을 위키시킨 다음 축핀(24)으로 상호 결합되게 하고, 상기 결합편(20) 내에 구성된 중공부(26)상에는 스프링(28)과 탄지구(30)를 끼워 설치하므로서, 안경다리(40)의 절첩 작동시 탄지구(30)가 스프링(28)을 압축시키면서 작동되게 하여서 된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KR1019980015820A 1998-04-25 1998-04-25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KR19990081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20A KR19990081703A (ko) 1998-04-25 1998-04-25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US09/248,121 US6033069A (en) 1998-04-25 1999-02-11 Coupling device for eye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820A KR19990081703A (ko) 1998-04-25 1998-04-25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03A true KR19990081703A (ko) 1999-11-15

Family

ID=1953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820A KR19990081703A (ko) 1998-04-25 1998-04-25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33069A (ko)
KR (1) KR199900817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9476A1 (en) * 2000-10-04 2002-04-11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A spectacle frame with arms which can be opened out resiliently
DE60207046T2 (de) * 2002-05-02 2006-08-03 Jens F.A. Thiele Holding A/S Brillenfassung und zugehörige Scharnieranordnung
US6679604B1 (en) 2002-08-16 2004-01-20 Nelson David Bove Spectacles with a pivotable and translatable temple arm
US20090225271A1 (en) * 2008-03-07 2009-09-10 Ramak Radmard Eyeglasses
US8142012B2 (en) * 2008-03-07 2012-03-27 Ramak Radmard Eyeglasses
TWI352835B (en) * 2008-06-19 2011-11-21 High Rainbow Ent Co Ltd Glasses, elastic element and the assembly method t
DE202008011154U1 (de) * 2008-08-21 2008-12-24 Theo Bvba Elastisches Brillenscharn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891A (en) * 1997-02-18 1998-04-14 Wei; Mo Sui Temple mounting structure of an eye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3069A (en) 200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335B1 (en) Foldable eyewear
JP3114086U (ja) 事務用キャビネットの折り畳み装置
KR19990081703A (ko)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KR101241505B1 (ko) 박판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KR910020465A (ko) 절첩식 안경테
TWI668484B (zh) 收折式眼鏡
KR20190033761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221803Y1 (ko) 안경의 절첩구조
KR200467457Y1 (ko) 안경다리 탄성구조
CN208636596U (zh) 镜框与镜脚组装结构
CN213276150U (zh) 铆接结构眼镜框架
KR200246407Y1 (ko) 안경경첩의 지지몸통에 유동간의 결합구조
KR102141013B1 (ko) 분할된 안경테의 연결구조체
CN213843689U (zh) 折叠眼镜
KR101914059B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TWM494325U (zh) 半框式鏡框與鏡片連接結構和眼鏡
KR200221806Y1 (ko) 안경의 절첩구조
KR200257497Y1 (ko) 안경다리의 완충장치
TW202416018A (zh) 眼鏡副鏡架之組合結構
US2887821A (en) Doll
KR200292615Y1 (ko) 절첩형 안경의 관절구조
TWM485418U (zh) 眼鏡鉸鍊裝置
JP3015376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198483Y1 (ko) 티타늄재 안경테의 경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