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367A -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367A
KR19990081367A KR1019980015262A KR19980015262A KR19990081367A KR 19990081367 A KR19990081367 A KR 19990081367A KR 1019980015262 A KR1019980015262 A KR 1019980015262A KR 19980015262 A KR19980015262 A KR 19980015262A KR 19990081367 A KR19990081367 A KR 1999008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retardant
polyethyl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근
강상용
Original Assignee
이정국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1998001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367A/ko
Publication of KR1999008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367A/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90 내지 10 중량부로 된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 금속 수화물(b) 60 내지 130 중량부, 인계 난연제(c) 5 내지 20 중량부, 저온 충격보완제(d) 5내지 30 중량부 및 상용화제(e)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가연성 재료의 전기 절연성, 장기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저온 충격성, 압축 복원성이 우수하고,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 383 에 적합한 난연성과 화재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연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을 지닌다.

Description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a)에 금속수화물(b), 인계난연제(c), 저온 충격보완제(d) 및 상용화제(e)가 첨가되어 가연성 재료의 전기 절연성, 장기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저온 충격성, 압축 복원성이 우수하고,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국제전기전자협회규격) 383에 적합한 난연성과 화재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연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을 지닌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는 전선 및 광섬유 케이블의 쉬스(Sheath), 전기 배선에 전선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전선관 및 지중선 광통신 공사의 광섬유 케이블 수용을 위한 전선관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계 수지 조성물은 화재시 인체에 치명적인 다량의 연기 및 유해가스가 발생할 뿐 아니라 내열성이 취약하여 고온 하에 장기 옥외 폭로시 제품의 변형과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저온 상온에서 취약한 내충격성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시 문제시 되고 있다. 최근 전선 케이블 및 전선관의 빈번한 화재 발생으로 인한 막대한 물적, 인적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들 가연성 재료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난연성이 우수한 재료의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지의 방법에서는 통신선 및 전력선 케이블의 피복 및 절연에 대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만족하는 제조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61-213245호(1986), 소61-213246호(1986), 소61-213247호(1986) 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금속수화물, 보레이트 화합물, 티탄계 표면처리제를 혼합해서 제조한 무연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조성물에 사용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단독 사용시 충격강도의 향상은 가져올 수 있지만, 강인성이 떨어져서 전선관 및 슬리브로 사용시 압축 복원성에 문제가 발생되어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으며, 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여 연소시 조성물의 연기 발생량의 감소는 가져올 수 있지만, 실제 플라스틱의 연소 조건을 설정하여 난연성을 시험하는 IEEE 383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5-301996호(1993) 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극성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과 금속수화물을 혼합해서 제조한 박막 성형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극성폴리에틸렌수지혼합물(에틸렌 비닐초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에 비해 과량 첨가시 기계적 강도의 상승으로 압축 복원성등 전선관 특성에는 적합하지만, 산소지수 및 극성수지의 함량이 적게되어 충격강도와 신장율이 떨어지며, 상기 IEEE 383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5-220885호(1993) 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암모늄 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를 피복시킨 난연성 플라스틱 제품(파이프, 호스류)이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한시적으로는 난연성을 유지하게 되지만, 장시간 사용시 난연성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IEEE 383의 난연성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성형제품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연성 재료의 전기 절연성, 장기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저온 충격성, 압축 복원성이 우수하고,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 383에 적합한 난연성과 화재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연기 발생량이 적은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 90 내지 10중량부로 된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중량부, 금속 수화물(b) 60 내지 130 중량부, 인계 난연제(c) 5 내지 20 중량부, 저온 충격보완제(d) 5내지 30 중량부 및 상용화제(e) 5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혼합물(a)에서 폴리에틸렌 성분은 미국 표준 규격인 ASTM D-1238 방법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가 0.01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g/10분 이며, ASTM D-792 방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90 내지 0.970g/㎤,바람직하게는 0.895 내지 0.950g/㎤ 인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성분의 용융흐름지수가 0.01g/10분 미만이면 성형품 제조시 압출 가공성이 나쁘게 되며, 20g/10분 보다 크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제품 성형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염소화폴리에틸렌 성분은 염소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인 것이다. 상기 염소화폴리에틸렌 중의 염소 함유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얻어진 조성물의 인장특성 및 난연성이 좋지 않고, 염소함유량이 50 중량% 보다 높으면 난연성은 우수하지만 압축 복원성 및 열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때 염소화폴리에틸렌은 ASTM D-1646 방법으로 측정한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3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이며, ASTM D-792 방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1.05 내지 1.30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난연 성분으로 금속수화물(b)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수화물(b)은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 내지 1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20 중량부 사용되며, 60 중량부 미만의 경우 난연제로서의 역할이 미흡하며, 130 중량부 보다 큰 경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연소시 연기 밀도가 증가하게 되며, 금속수화물(b)의 평균 입경은 0.7 내지 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 또는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금속수화물(b)과의 난연성 상승 효과를 위하여 인계 난연제(c)를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 사용한다. 인계 난연제(c)를 단독으로 사용시 자체 발화가 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서 ASTM D-1238 방법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가 0.5 내지 5g/10분인 일반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초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난연제 5 내지 2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마스터 뱃치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저온충격보완제(d)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 사용하며, α-올레핀인 코모노머(Co-Monomer)가 프로필렌, 부텐, 옥텐등이 사용되고, 함량이 20 내지 40 중량% 인 것이다. 코모노머의 20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40 중량% 보다 큰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된다. ASTM D-1238 방법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가 0.1 내지 10g/10분(230℃, 2.16kg)이고, 0.1g/10분 미만인 것은 조성물의 유동성이 떨어지고, 10g/10분 보다 큰 경우에서는 신장율이 저하된다. 또한 ASTM D-1646 방법으로 측정한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19 내지 50이고, ASTM D-792 방법으로 측정한 밀도가 0.850 내지 0.870g/㎤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폴리에틸렌 혼합물(a)과 금속수화물(b)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e)를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 사용한다. 상기 상용화제(e)는 폴리올레핀 주쇄(Main Chain)에 극성 단량체를 도입한 후 분산성 향상 등을 위하여 일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때 극성 단량체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무수물,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말레오피마린산, 무수테트라히드로프탈산, 바람직하게는 무수말레인산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상용화제는 극성 단량체와 중합개시제를 폴리올레핀과 함께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시켜 공중합체를 얻는 폴리올레핀 용융 반응법과, 적당한 용매 존재 하에서 극성 단량체, 중합개시제 및 폴리올레핀을 용해시켜 공중합체를 얻는 용액 중합법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로 수지안정제와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성형 가공시 및 장기 내후성 증진을 위해 사용된 수지 안정제는 2,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로서,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흑분말이 첨가될 수 있는데, 이때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30㎚ 보다 큰 경우에는 전기 절연성에 나쁜 영향을 주고 10㎚ 미만의 경우에는 분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카본 블랙은 옥외 폭로시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필요시 흑색이외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자외선 안정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헨셀믹서, 혼합기(Kneader) 및 반버리(Banbury) 믹서 등과 같은 통상적인 혼합 설비를 이용하여 160 내지 21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가연성 재료의 전기 절연성, 장기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저온 충격성, 압축 복원성이 우수하고,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 383에 적합한 난연성과 화재시 일반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연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을 지닌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폴리에틸렌 혼합물(a), 금속 수화물(b), 인계난연제(c), 저온 충격보완제(d), 상용화제(e), 수지 안정제(f) 및 안료(g)가 사용된다.
(a) 폴리에틸렌 혼합물
a1 : 밀도가 0.943g/㎤ 이고, 용융흐름지수가 0.11g/10분(190℃/2.16kg) 인 것
(대림산업(주) "대림포리 TR-402")
a2 : 밀도가 1.21g/㎤ 이고, 염소함량이 40중량%이며, 용융흐름지수가 25g/10분
(190℃/2.16kg) 인 것(소화전공 "404B")
(b) 금속수화물
b1 : 평균 입경이 0.8㎛ 이고, 비중이 2.36인 수산화마그네슘을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것
b2 : 평균 입경이 1.0㎛ 이고, 비중이 2.42인 수산화알루미늄을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실란으로 표면 처리한 것
(c) 인계난연제
c : 일본화학공업(주) tp-10을 사용하여 일반 폴리에틸렌에 20% 농축한 마스터뱃치를 제조하여 사용
(d) 저온충격보완제
d : 밀도가 0.863g/㎤ 이고, α-올레핀인 옥텐 함량이 28 wt%이며, 용융흐름지수가 0.5g/10분(230℃/2.16kg) 인 것 (듀폰 다우일래스토머즈, "Engage 8180")
(e) 상용화제
e : 극성 단량체로 무수말레인산을 사용하여 용융 반응법으로 제조한 것으로, 밀도가 0.947g/㎤이고, 용융흐름지수가 15g/10분 인 것(대림산업(주), "SX-810")
(f) 수지 안정제
f : 2,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요시토미, "Yoshinox SR")
(g) 안료
g : Cabot 사 9A32
(실시예 1)
a1 40 중량부 및 a2 60 중량부로 구성된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하여 b1 100 중량부, c 10 중량부, d 8 중량부, e 8 중량부, f 0.6 중량부, g 2.5 중량부를 온도 조절이 되는 건식혼합기(헨셀믹서)에서 혼합한 다음 연속식 니더(Buss-KNEADER)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하였다. 연속식 니더는 수지 공급부, 혼합부, 다이등 3개부분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도 범위는 150 내지 170℃, 니더 속도는 150 내지 200 RPM으로 조절하였다. 니더의 다이(DIE)를 거쳐 고온 건조한 공기로 냉각시키고, 2차 가공이 용이한 펠렛 형태로 절단하였다. 이들 펠렛을 압축성형기(Wabash社)를 사용하여 인장 특성 시험, 연기밀도 시험, 충격강도 및 산소지수 시험용 시편을 성형하였다. 또한 파이프 압출기(Battenfeld社)로 사용하여 압축 복원성, 가공성 및 난연성(IEEE 383) 시험용 시편을 성형하였다. 압출기는 4개 부분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도는 140 내지 160℃, 스크류 속도는 30 내지 50 RPM 및 파이프 인취속도는 1.5 내지 3.0m/min으로 조절하였다. 압축 및 압출 성형된 시험편은 하기와 같은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ASTM D-638에 따라 시험하였다(시험편 : 아령형 4호형, 인장속도 : 200mm/분)
(2) 저온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시험하였다(시험온도 : -30℃, 회전 추 무게 : 5 파운드)
(3) 난연성 : IEEE 383
스파이럴 슬리브(22mm X 2mm) 2개조를 시험용 케이블에 쉬스(Sheath)한 상태에서 IEEE 383(1974)에 따라 시험하였다
(4) 산소지수
ASTM D-2863에 따라 시험하였다.
(5) 연기밀도
ASTM E-662에 따라 비플레밍(Non-Flaming)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 두께 : 0.5 mm)
(6) 압축 복원성
KS C 8454(1992)에 따라 시험하였다.
물성결과에 있어서 인장특성은 조성물의 강인성과 관련된 인자로서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충격강도는 저온(-30℃)에서 성형품이 충격에너지에 견디는 정도에 대한 척도가 되며, 난연성은 조성물의 자기 소화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 383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산소지수는 플라스틱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최적 산소요구량을 의미하며, 숫자가 높을수록 난연성이 우수하며, 압축 복원성은 외력(750N)에 의해 성형품(파이프)의 갈라짐과 깨어짐 등을 시험하는 것으로서, 외력 제거 후 시험편의 외경 감소율이 10% 이하가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물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인장강도 신장율 저온충격강도 난 연 성 연기밀도 압축복원성
IEEE 383 산소지수
kg/㎠ % kgcm/cm - % - %
실시예 1 98 450 28 PASS 30 85 8.2
(실시예 2)
상용화제(e) 함량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3)
수산화마그네슘(b1) 대신 수산화알루미늄(b2)을 사용하고, 상용화제(e)의 함량을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a1)과 염소화폴리에틸렌(a2)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5)
수산화마그네슘(b1) 함량을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6 내지 7)
표 2와 같이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단위 : 중량부)
폴리에틸렌 혼합물 금속수화물 인계난연제 저온충격보완제 상용화제 수지안정제 안료
a1 a2 b1 b2 c d e f g
실시예 2 40 60 100 - 10 8 10 0.6 2.5
실시예 3 40 60 - 100 10 8 15 0.6 2.5
실시예 4 50 50 100 - 10 8 8 0.6 2.5
실시예 5 50 50 120 - 10 8 8 0.6 2.5
실시예 6 30 70 110 - 14 12 12 0.6 2.5
실시예 7 30 70 110 - 10 8 8 0.6 2.5
인장강도 신장율 저온충격강도 난 연 성 연기밀도 압축복원성
IEEE 383 산소지수
kg/㎠ % kgcm/cm - % - %
실시예 2 102 500 30 PASS 30 85 7.8
실시예 3 96 440 27 PASS 30 78 9.0
실시예 4 108 400 20 PASS 27 81 7.5
실시예 5 115 390 27 PASS 32 81 8.2
실시예 6 95 600 35 PASS 34 83 9.2
실시예 7 90 570 30 PASS 32 83 9.8
(비교예 1 내지 2)
폴리에틸렌(a1)과 염소화폴리에틸렌(a2)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비교예 3)
수산화마그네슘(b1)의 함량을 적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비교예 4)
인계난연제(c)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비교예 5)
인계난연제(c),저온충격보완제(d) 및 상용화제(e)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비교예 6)
인계난연제(c) 및 저온충격보완제(d)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단위 : 중량부)
폴리에틸렌 혼합물 금속수화물 인계난연제 저온충격보완제 상용화제 수지안정제 안료
a1 a2 b1 b2 c d e f g
비교예 1 100 - 100 - 10 8 8 0.6 2.5
비교예 2 - 100 100 - 10 8 8 0.6 2.5
비교예 3 40 60 50 - 10 8 8 0.6 2.5
비교예 4 40 60 50 - - 8 8 0.6 2.5
비교예 5 30 70 110 - - - - 0.6 2.5
비교예 6 50 50 120 - - - 8 0.6 2.5
인장강도 신장율 저온충격강도 난 연 성 연기밀도 압축복원성
IEEE 383 산소지수
kg/㎠ % kgcm/cm - % - %
비교예 1 150 40 5 FAIL 28 85 5.4
비교예 2 60 700 26 PASS 34 90 20.0
비교예 3 100 500 30 FAIL 25 100 8.0
비교예 4 100 520 32 FAIL 21 100 8.0
비교예 5 85 400 14 FAIL 29 83 9.4
비교예 6 110 400 20 FAIL 28 81 8.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다량의 금속수화물(b)과 인계 난연제(c)가 혼합된 경우에도 저온 충격 보완제(d) 및 상용화제(d)의 첨가로 인하여 우수한 인장특성, 저온충격강도 및 압축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폴리에틸렌 혼합물(a)과 난연성 첨가제(b, c)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실제 플라스틱 연소 조건에 해당하는 IEEE 383에 적합한 난연성과 연기 발생량이 적은 특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는 전선 및 광섬유 케이블 슬리브, 쉬스(Sheath), 전기 배선에 전선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전선관 및 지중선 광통신 공사의 광섬유 케이블 수용을 위한 전선관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 10 내지 90 중량부와 염소화폴리에틸렌 90 내지 10 중량부로 된 폴리에틸렌 혼합물(a) 100 중량부, 금속 수화물(b) 60 내지 130 중량부, 인계 난연제(c) 5 내지 20 중량부, 저온 충격보완제(d) 5내지 30 중량부 및 상용화제(e) 5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성분은 용융흐름지수가 0.01 내지 20g/10분, 밀도가 0.890 내지 0.970g/㎤ 인 것이고, 염소화폴리에틸렌 성분은 염소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30 내지 120, 밀도가 1.05 내지 1.3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수화물(b)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을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평균 입경이 0.7 내지 5.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난연제(c)가 일반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초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난연제 5 내지 2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마스터 뱃치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충격보완제(d)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α-올레핀인 코모노머(Co-Monomer)는 프로필렌, 부텐, 옥텐등이고, 함량이 20 내지 40 중량% 이며, 용융흐름지수가 0.1 내지 10g/10분(230℃, 2.16kg)이고,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19 내지 50이고, 밀도가 0.850 내지 0.87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e)가 폴리올레핀 주쇄에 극성 단량체를 도입한 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한 것이고, 상기 극성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말레오피마린산 또는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전선 케이블 슬리브, 쉬스 및 전선관.
KR1019980015262A 1998-04-29 1998-04-29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9990081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62A KR19990081367A (ko) 1998-04-29 1998-04-29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62A KR19990081367A (ko) 1998-04-29 1998-04-29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367A true KR19990081367A (ko) 1999-11-15

Family

ID=658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262A KR19990081367A (ko) 1998-04-29 1998-04-29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1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823A (ko) * 2001-04-02 2002-10-14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파형전선관
KR100382285B1 (en) * 2002-03-20 2003-05-09 Buyng Sang Cho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wire tube for protecting cable
KR100384130B1 (ko) * 2001-04-09 2003-05-14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난연 저발연 선박용 케이블 및 그 시스체용 조성물
KR100469986B1 (ko) * 2001-09-18 2005-02-04 하용운 광케이블용 도포제 조성물
KR100646480B1 (ko) * 2005-02-22 2006-1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자동차의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호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823A (ko) * 2001-04-02 2002-10-14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파형전선관
KR100384130B1 (ko) * 2001-04-09 2003-05-14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난연 저발연 선박용 케이블 및 그 시스체용 조성물
KR100469986B1 (ko) * 2001-09-18 2005-02-04 하용운 광케이블용 도포제 조성물
KR100382285B1 (en) * 2002-03-20 2003-05-09 Buyng Sang Cho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wire tube for protecting cable
KR100646480B1 (ko) * 2005-02-22 2006-1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자동차의 고무호스 형성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호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663B2 (en) Crack-resistant, flame retardant, halogen-free, cable assembly and coating composition
KR100665394B1 (ko) 절연전선
JP510570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US4845146A (en) Flame-retard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
US20100101822A1 (en) Stress/Thermal Cracking Resistant Cable Sheath Material
KR101357170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US6303681B1 (en) Flame-retardant polyolefin-typ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flame retardant cables
CN108699324B (zh) 用于光纤电缆组件的聚合组合物
EP0370517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CN105593340B (zh) 具有高热机械强度的挠性防火热塑性组合物,特别地用于电缆的热塑性组合物
KR19990081367A (ko) 전선 케이블 슬리브 및 전선관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3723025B2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3955765B2 (ja) カラー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それを用いた着色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3586670B2 (ja) 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を用いた被覆電線の製造方法
CN104356467A (zh) 一种聚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制品
JP2868875B2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
JP2000336215A (ja) 架橋性難燃性樹脂組成物
CN114163725B (zh) 一种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449152B (zh) 阻燃抗静电聚丙烯组合物、阻燃抗静电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矿用管材及其应用
JP2006182875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782231B1 (ko) 난연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JP3978346B2 (ja) 密着性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を被覆層とする電線・ケーブル
JPH03227337A (ja) 難燃性組成物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JP2023117163A (ja) 難燃性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
CN116554584A (zh) 一种阻燃pe通信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