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347A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347A
KR19990081347A KR1019980015222A KR19980015222A KR19990081347A KR 19990081347 A KR19990081347 A KR 19990081347A KR 1019980015222 A KR1019980015222 A KR 1019980015222A KR 19980015222 A KR19980015222 A KR 19980015222A KR 19990081347 A KR19990081347 A KR 1999008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housing
shutters
open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형
박홍수
임종락
한용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347A/ko
Priority to US09/299,881 priority patent/US6477138B1/en
Priority to JP12174099A priority patent/JP4157648B2/ja
Publication of KR1999008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347A/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의 디스크에 적합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각각 분리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셔터와, 제1 및 제2 셔터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부재가 일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각각의 부재가 연동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개구부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대형 카트리지와 호환성을 유지하여 하나의 디스크 장치에서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되고 소형 디스크에 적합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 디스크 형상의 기록매체(이하 "디스크"라 함)가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디스크에 적합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는 CD-ROM, DVD-ROM과 같이 재생전용과 재기록 가능 횟수에 따라 WORM(Write Once Read Many) 타입, Rewritable 타입, RAM 타입 등의 기록 가능형으로 대별되어진다. 기록 가능형의 디스크는 고밀도화에 따라 먼지나 손상 등에 대하여 약한 정보 기록면을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록 가능형 디스크는 외부의 오염원 또는 손상원으로부터 디스크를 보호하기 위하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카트리지는 도 1에서와 같이, 개구부(6)가 형성된 하우징(2)과, 개구부(6)를 개방하기 위한 셔터(4)를 구비하게 된다. 개구부(6)는 디스크(1)를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에 클램핑시키기 위한 공간(이하 "클램핑 공간"이라 함)과 디스크(1)의 정보 기록면상에 픽업이 억세스할 수 있는 공간(이하 "억세스 공간"이라 함)을 마련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개구부(6)는 일정폭 W를 확보해야만 한다. 카트리지가 디스크 장치에 로드되면 셔터(4)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오프너에 의해 구동되어 개구부(6)를 개방하게 된다. 카트리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이젝트 되면 셔터(4)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개구부(6)를 포획하는 형태로 폐쇄함으로써 외부의 오염원 또는 손상원으로부터 디스크(1)의 정보 기록면을 보호하게 된다. 현재, DVD에서 사용되는 카트리지는 직경이 120 mm인 디스크를 탑재하고 있다. 120 mm 직경의 디스크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수용되지만 휴대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거치형 정보기기에는 적용되고 있지만 소형의 정보기기에 적용하기에는 비교적 큰 사이즈 때문에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정보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디스크는 소형 정보기기에 적합하게 소형화(예를 들면, 80 mm)되어 디지털 카메라의 기억매체, 휴대용 컴퓨터의 외부 기억매체로서 활용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의 디스크가 수납되는 카트리지는 대형 카트리지와 대비할 때, 카트리지 하우징(2) 사이즈가 작아지고 셔터를 열었을 때의 공간 확보가 안되므로 대형 카트리지에서의 개구부(6)와 동일한 폭 W를 확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구부(6)를 작게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지만 클램핑 공간과 억세스 공간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개구부(6)에서 클램핑 공간과 억세스 공간이 줄어들게 되면 광픽업 사이즈와 클램핑 사이즈(클램퍼와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에 의한 클램핑력이 작용되는 면적)도 줄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 경우,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클램핑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면 디스크에 작용되는 클램핑력(Clamping force)의 분포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디스크가 진동에 대한 영향을 쉽게 받게 되어 서보 제어를 어렵게 하는 등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6)를 작게한다는 방안은 대형 카트리지가 로드되는 디스크 장치와는 호환되지 못하는 디스크 장치를 전제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 사이즈를 다르게 하면 대형 디스크와 소형 디스크 각각의 전용 디스크 장치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8-180636에 개시된 방안은 카트리지 아답터(adaptor)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크 장치에 사이즈가 다른 카트리지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개구부 사이즈가 다르다면 아답터를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하나의 디스크 장치에서 크기가 다른 디스크(카트리지)와 호환성을 가지도록 억세스 공간과 클램핑 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소형 디스크에 적합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디스크에 적합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카트리지와 호환성을 유지하여 하나의 디스크 장치에서 기록/재생이 되도록 하고 소형 디스크에 적합하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셔터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좌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우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와 셔터 구동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셔터와 셔터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좌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9b는 도 6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우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42,52 : 하우징 4 : 개구부
6,14,14′,44,44′,54,54′: 셔터 16 : 셔터헤드
18,28 : 피니언 20,20′,40,40′: 직선레크
22,22′,24,24′,32,32′: 스프링 56 : 벨트
58,58′: 벨트커넥터 60 : 스토퍼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진 하우징과,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와, 제1 및 제2 셔터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각각 분리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셔터와, 제1 및 제2 셔터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부재가 일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각각의 부재가 연동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셔터와 셔터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12)과, 하우징(12)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및 제2 셔터(14,14′)와, 제1 및 제2 셔터(14,1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시키기 위한 셔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셔터 구동부는 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18)에 치합되며 각각 제1 및 제2 셔터(14,14′)에 설치되는 직선레크(20,20′)를 구비한다.
하우징(12)에는 디스크가 수납되어지고 대형 카트리지의 개구부와 동일한 폭 W를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셔터(14,14′)는 개구부를 포획하도록 하우징(12)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 제1 및 제2 셔터(14,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하게 된다. 제1 셔터(14)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직선레크(20)에 형성된 핀(20a)이 셔터홀(14a)에 끼워짐으로써 제1 직선레크(14)와 체결된다. 제2 셔터(14′)는 제2 직선레크(20′)에 형성된 핀(20′a)이 셔터홀(14′a)에 끼워짐으로써 제2 직선레크(14′)와 체결된다. 제1 직선레크(14)는 하우징(12)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2a)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 직선레크(14)는 하우징(12)에서 제1 가이드홈(12a)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12a′)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홈(12a,12a′)은 개구부의 폭 W에 거의 일치하는 길이로 하우징(12)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직선레크(14,14′)는 하우징(12)의 회전축(12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피니언(18)에 치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셔터(14,14′) 중 어느 하나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니언(18)이 회전함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하게 되는 직선레크(20,20′)에 의해 다른 하나는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셔터(14,14′)는 디스크 장치에 로드되면서 디스크 장치에 설치되는 셔터 오프너에 의해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셔터 오프너에 연동되어 제1 및 제2 셔터(14,1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셔터헤드(16)를 추가로 구비한다. 셔터헤드(16)는 제1 및 제2 셔터(14,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로대(16a)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셔터(14,14′)에는 셔터헤드(16)를 안내하는 헤드 가이드홈(14b)가 형성된다. 셔터헤드(16)는 헤드 제1 및 제2 가이드홈(14b,14′b)의 단턱면을 밀게 되어 제1 밀 제2 셔터(14,14′)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제1 및 제2 셔터(14,14′)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2,22′)을 구비하게 된다. 이 스프링(22,22′)은 각각 하우징(1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12c,12c′)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직선레크(20,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셔터(14,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부를 개방한 후,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장치로부터 이젝트(eject)되면 스프링(22,22′)에 의한 복원력으로 셔터(14,14′)는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 스프링(22,22′)은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4,24′)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외 셔터(14,14′)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탄성부재도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DVD-RAM과 같이 양면 기록면을 가지는 디스크가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기록면이 상하 양면을 가지기 되어 디스크 카트리지를 뒤집어 가면서 디스크 장치에 로드되기 때문에 셔터는 어느 일측 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직선 구동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양방향의 구동특성을 만족하는 셔터(14,14′)와 그 구동부의 동작을 도 5a 및 도 5b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셔터헤드(16)가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및 제2 셔터(14,1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장치에 로드되면 디스크 장치에 설치된 셔터 오프너는 어느 한 쪽으로 셔터헤드(16)를 밀게 된다. 셔터헤드(16)가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 셔터(14)를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직선레크(20)는 제1 셔터(14)를 따라 좌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피니언(1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직선레크(20′)는 피니언(18)의 회전력으로 우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제2 직선레크(2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2 셔터(14′)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셔터헤드(16)에 의해 제1 셔터(14)가 우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면 이 구동력은 제2 셔터(14′)에 전달되어 제2 셔터(1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셔터(14,14′)가 하우징(12)의 측벽 쪽으로 밀착되면 W의 폭으로 개구부가 개방되어 디스크(1)의 정보 기록면이 노출된다. 도 5b는 셔터헤드(16)가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및 제2 셔터(14,1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셔터헤드(16)가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 셔터(14′)를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재2 셔터(14′)가 우측으로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제2 직선레크(20′), 피니언(18), 제1 직선레크(20)에 전달되어 제1 셔터(14)는 좌측으로 직선구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에서 셔터와 셔터 구동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에 셔터와 셔터 구동부의 구조를 알기 쉽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42)과, 하우징(42)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및 제2 셔터(44,44′)와, 제1 및 제2 셔터(44,4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시키기 위한 셔터 구동부를 구비한다. 셔터 구동부는 제1 직선레크(40), 제2 직선레크(40) 및 피니언(28)을 구비하게 된다.
하우징(42)에는 대형 카트리지의 개구부와 동일한 폭 W를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셔터(44,4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하도록 하우징(42)에 설치된다. 제1 셔터(44)는 사출성형시에 셔터헤드가 일체화 된다. 이 제1 직선레크(40)는 하우징(42)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42a)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 직선레크(40)는 하우징(42)에서 제1 가이드홈(42a)에 수평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홈(42a′)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홈(42a,42a′)은 셔터(44,44′)의 이동 구간에 따른 개구부의 폭 W를 확보하도록 셔터의 이동 구간에 해당하는 하우징(42)의 폭에 거의 일치되는 길이로 하우징(12)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직선레크(40,40′)는 하우징(42)의 회전축(42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피니언(28)에 치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셔터(44,44′) 중 어느 하나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른 하나는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제1 및 제2 셔터(44,44′)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2,32′)을 구비하게 된다. 이 스프링(32,32′)은 각각 하우징(4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42c,42c′)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직선레크(40,40′)에 체결된다. 이 스프링(32,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지만 도 1에 도시된 인장 스프링과 그 외 셔터(44,44′)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탄성부재도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셔터(44,44′)와 그 구동부의 동작을 도 9a 및 도 9b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제1 직선레크(40)가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및 제2 셔터(14,1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직선레크(40)가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 셔터(44)를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피니언(28)은 제1 직선레크(40)에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직선레크(40′)는 피니언(28)에 의해 우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셔터(44′)는 제2 직선레크(44′)에 연동되어 우측으로 진선운동하게 된다. 결국, 제1 직선레크(40)에 의해 제1 셔터(44)가 우측으로 구동력을 받게 되면 이 구동력은 제2 셔터(44′)에 전달되어 제2 셔터(4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 셔터(44,44′)가 하우징(42)의 측벽 쪽으로 밀착되면 W의 폭으로 개구부가 개방되어 디스크(1)의 정보 기록면이 노출된다. 도 9b는 제1 직선레크(40)가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 및 제2 셔터(44,4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직선레크(40)가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 셔터(44′)를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재2 셔터(44′)가 좌측으로 구동되면 이 구동력은 제2 직선레크(40′), 피니언(28), 제1 직선레크(40)에 전달되어 제1 셔터(44)는 우측으로 직선구동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52)과, 하우징(52)에 직선구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및 제2 셔터(54,54′)와, 제1 및 제2 셔터(54,5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시키기 위한 벨트(56)를 구비한다.
하우징(52)에는 대형 카트리지의 개구부와 동일한 폭 W를 가지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셔터(54,5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하도록 하우징(42)에 설치된다. 이 제1 및 제2 셔터(54,54′)는 서로 겹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접변에서 돌기 형태의 스토퍼(60)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60)는 제1 및 제2 셔터(54,54′)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을 가지게 되면 겹침현상이 방지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셔터(54,54′)가 열려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인장 스프링,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셔터(54,54′)와 하우징(52) 사이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제1 셔터(54)는 제1 벨트커넥터(58)에 의해 벨트(56)에 연결되고 제2 셔터(54′)는 제2 벨트커넥터(58′)에 의해 벨트(56)에 연결된다. 벨트(56)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가요성(Flexible) 필름 타입의 스트립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벨트(56)는 스트링(String) 또는 와이어(Wire)등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기구적인 조립도의 단순성을 위해서는 스트립 타입이 바람직하다. 이 벨트(56)는 하우징(52)에 형성되는 돌기(52a,52a′)에 무한 궤도 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벨트(56)는 어느 하나의 셔터(54,54′)에 의해 회전력을 받게 되어 회전하게 되면 다른 하나를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구동시키게 된다.
도 11의 (A)와 (B)는 제1 및 제2 셔터(54,54′) 중 어느 하나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벨트(56)는 회전하게 되어 다른 셔터(54,54′)를 반대 방향으로 밀게되는 동작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셔터헤드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셔터(54,54′) 각각에 셔터헤드 역할을 대신하는 돌기(54a,54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크 장치에 설치된 셔터 오프너는 이 돌기(54a,54a′)를 이용하여 셔터(54,54′)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양분된 셔터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면서 타측의 셔터를 반대방향으로 구동하게 되지만 디스크 장치에 설치되는 셔터 오프너의 구조 변경에 의해 양분된 셔터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를 종래의 대형 카트리지와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억세스 공간과 클램핑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억세스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재만 확보되면 대형 카트리지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기존의 대형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에서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지만 어댑터나 트레이 로드방식에서 사용되는 트레이 등을 예로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가 종래의 대형 카트리지와 동일한 폭을 가지기 때문에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픽업, 스핀들 모터, 클램퍼 등의 구조변경 없이 소형의 디스크를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의 기록면을 가지는 디스크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양면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셔터가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특성으로 설명되었지만 단면의 기록면을 가지는 디스크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향후,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지탈 카메라, 캠 코더, 휴대용 컴퓨터 등의 소형 정보 통신기기에 보조 기억매체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형 정보 통신기기에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별도의 중계장치 없이 거치형 정보 기기에 로드하여 데이터 편집, 수정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개구부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대형 카트리지와 호환성을 유지하여 하나의 디스크 장치에서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되고 소형 디스크에 적합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개구부가 형성되어진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와,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개구부가 형성되고 디스크가 수납되어지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각각 분리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셔터와,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부재가 일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각각의 부재가 연동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단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상기 셔터의 개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되는 제1 직선레크와,
    상기 제2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직선레크와,
    상기 제1 및 제2 직선레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직선레크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셔터의 개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재가 일체화되고 상기 하우징에 직선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직선레크와,
    상기 제1 직선레크와 나란하게 직선 구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직선레크와,
    상기 제1 및 제2 직선레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직선레크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형성되는 돌기에 무한 궤도 형태로 체결되는 벨트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면 다른 하나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상기 벨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가요성 필름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스트링과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19980015222A 1998-04-28 1998-04-28 디스크 카트리지 KR19990081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22A KR19990081347A (ko) 1998-04-28 1998-04-28 디스크 카트리지
US09/299,881 US6477138B1 (en) 1998-04-28 1999-04-27 Disc cartridge with gearing shutters and disc driver for driving the same
JP12174099A JP4157648B2 (ja) 1998-04-28 1999-04-28 連動されるシャッタを有する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駆動するディスク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222A KR19990081347A (ko) 1998-04-28 1998-04-28 디스크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347A true KR19990081347A (ko) 1999-11-15

Family

ID=6589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222A KR19990081347A (ko) 1998-04-28 1998-04-28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13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43A (ko) * 2001-02-01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KR100442351B1 (ko) * 2002-01-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호환가능형 기록재생장치용 디스크 카트리지
KR101029923B1 (ko) * 2004-12-03 2011-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매체 카트리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43A (ko) * 2001-02-01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KR100442351B1 (ko) * 2002-01-24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호환가능형 기록재생장치용 디스크 카트리지
KR101029923B1 (ko) * 2004-12-03 2011-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매체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712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6215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disk cartridge with pull-out type case
WO1987003414A1 (en) Disk cartridge having shutter and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JP4157648B2 (ja) 連動されるシャッタを有する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駆動するディスク駆動装置
KR19990081347A (ko) 디스크 카트리지
WO2004040569A1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583309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100330027B1 (ko) 디스크카트리지아댑터
JP3106587B2 (ja) ディスクケース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9990071346A (ko) 디스크 수납용 카트리지
KR100298931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100289527B1 (ko) 수동형 셔터를 갖는 카트리지
JP352171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18230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97007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752083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333804B1 (ko) 다중셔터를갖는디스크수납용카트리지
US20080019046A1 (en) Disk Cartridge
KR100560394B1 (ko) 디스크카트리지
JPH1026973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アダプタ
JPH116679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33462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記憶装置
JPH0929334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アダプタ
RU2037889C1 (ru) Дисковая кассета и затвор для нее
JPH04172650A (ja) カートリッジシャッタ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