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391A - 디코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코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391A
KR19990078391A KR1019990010936A KR19990010936A KR19990078391A KR 19990078391 A KR19990078391 A KR 19990078391A KR 1019990010936 A KR1019990010936 A KR 1019990010936A KR 19990010936 A KR19990010936 A KR 19990010936A KR 19990078391 A KR19990078391 A KR 1999007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mpeg1
region
mpeg2
bi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727B1 (ko
Inventor
수에요시마사히로
마츠모토마사하루
미야사카슈지
후지타타케시
카타야마타카시
아베카주타카
니시오코수케
카와무라아키히사
이시토추쿠루
나카무라츄요시
오토무라에이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고,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C 디코딩 수단, 및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배치하고,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헤더 위치로 쉬프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코딩 장치{Decoding device}
본 발명은 MPEG2 멀티채널, 예를 들어 층 Ⅱ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거나,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과 MPEG1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ISO-IEC 13618-3.2에 규정된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의 MPEG2 멀티채널의 확장 영역의 디코딩은 이의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이 완료된 후에만 개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례의 MPEG2 멀티채널 디코딩 장치는 최소한[2 x 1152 x 역 양자화(reserve quantization)후의 하나의 샘플에 제공된 바이트 수] 바이트의 메모리를 확보하는데 필요하다.
한편,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과 MPEG1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한 종례의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이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인지의 여부는 다음 방식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ISO-IEC 13818-3에 규정된 MPEG2 멀티채널 결정 방법은 순환 여유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 CRC)를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비트 스트림이 MPEG2 멀티채널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MPEG1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일지라도, 멀티채널 스트림의 디코딩은 비트 스트림이 CRC(에러 검사)를 통과하는 경우 수행된다. 이것은 오동작을 야기한다.
다른 문제점은 ISO-IEC 13818-3에 규정된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코딩은 하나의 프레임 길이를 초과하는 비트 길이가 디코드될 때일지라도 계속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오동작을 야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례의 MPEG2 멀티채널 디코딩 장치는 대용량으로 이루어진 버퍼 메모리를 필요로 하므로 장치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MPEG2 멀티채널 및 MPEG1에 의해 정해진 양자의 비트 스트림은 디코드하는 종례의 디코딩 장치는 비트 스트림이 오동작을 야기하는 MPEG2 멀티채널 스트림의 CRC를 통과하는 경우 MPEG1 비트 스트림으로 MPEG2 멀티채널 스트림의 디코딩이 수행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용량으로 이루어진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여 MPEG2 멀티채널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고, 디코딩 장치가 MPEG1 및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양자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경우에 비트 스트림 내에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는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고,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및 MPEG1 측 영역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의 위치를 배치하고,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헤더의 위치로 쉬프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MC 헤더 검출 수단은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방식으로 제 1 처리를 실행한다. MC 디코딩 수단은 MC 헤더 검출 수단이 제 1 처리를 실행한 후에 소정의 제 2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MC 디코딩 수단에 의한 소정의 제 2 처리의 실행 후에, 디코딩 장치는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및 MC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은 MPEG2 오디오 멀티채널, 즉 층 I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포함한다. MPEG1 사이드 정보는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MC 헤더 검출 수단은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은 MPEG2 오디오 멀티채널, 층 Ⅱ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을 포함한다. MPEG1 사이드 정보는 할당 정보 스케일 팩터(scale factor)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MC 헤더 검출 수단은 할당 정보 및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의 위치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제 2 처리를 MC 사이드 정보를 헤더 위치로부터 판독하고, MC 사이드 정보에 대한 에러 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러 검사는 최소한의 CR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는 MPEG1에 의해 정해진 제 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제 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제 1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시키기 위한 MPEG1 디코딩 수단;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C 디코딩 수단; 및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의 위치를 배치하고,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헤더의 위치로 쉬프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MC 헤더 검출 수단은 MPEG1 검출 수단의 처리 방식으로 제 1 처리를 실행한다. MC 판독 수단은 CRC의 결과가 정상적일 때 MC 헤더 검출 수단이 제 1 처리를 실행한후 상기 위치에서 정보를 판독하고, 이 정보에 대한 CRC를 실행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및 MC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을 실행한다. CRC의 결과가 비정상적일 때, 디코딩 장치는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만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는 MPEG1에 의해 정해진 제 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제 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것을 제공하는데, 제 1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고,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PEG1 디코딩 수단;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C 디코딩 수단; 및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배치하고,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헤더 위치로 쉬프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MC 헤더 검출 수단은 MC 디코딩 수단의 처리 방식으로 제 1 처리를 실행한다. MC 디코딩 수단은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MC 사이드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0)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인 경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MPEG1 호환 영역만이 디코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MC 디코딩 수단은 MC 헤더 검출 수단이 제 1 처리를 실행한후 상기 위치에서 정보를 판독하고, 이 정보에 대한 CRC를 실행한다.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인 경우, 디코딩 장치는 CRC의 결과가 정상적일 때일지라도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드하는 것이 아니라, MPEG1 호환 영역만을 디코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MPEG1에 의해 정해진 제 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제 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시키기 위한 디코딩 장치가 제공되는데, 제 1 비트 스트림이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비트 스트림이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MPEG1 호환 영역이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PEG 디코딩 수단;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기 위한 MC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는 MC 디코딩 수단에 의해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시에 소모된 비트 스트림의 길이가 하나의 프레임의 스트림 길이를 초과하고, MPEG1 호환 영역만을 디코드하는 경우 디코딩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스트림 길이는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확장 스트림이 비트 스트림 내에 포함될 때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와 확장 스트림 길이의 합을 포함하고, 확장 스트림이 포함되지 않을 때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스트림 길이는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n-ad-byte를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의 합에서 감산함으로써 얻어진 값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확장 스트림이 비트 스트림 내에 포함될 때의 확장 스트림 길이를 포함하고, 확장 스트림이 포함되지 않을 때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에 따르면,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는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방식으로 계산되므로,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은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이 완료되기 전에 개시된다. 그 후,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은 멀티채널 스트림 디코딩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디코드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MPEG1 및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양자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은 비트 스트림이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에 대한 CRC를 통과할 지라도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인 경우 비트 스트림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MPEG1 호환 영역만이 디코드된다. 더욱이,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은 한 프레임 길이를 초과하는 비트 스트림의 길이가 디코드되는 경우 종료되고, MPEG1 호환 영역만이 디코드된다. 이것은 오동작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기술된 본 발명은 소용량을 가지는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여 MPEG2 멀티채널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고,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은 디코딩 장치가 MPEG1 및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양자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경우에 비트 스트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 및 그 밖의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 다음 설명을 읽거나 이해시에 당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명백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디코딩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멀티채널 헤더의 검출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멀티채널 헤더를 배치시키기 위한 처리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MPEG1 디코딩부 22 : 멀티채널(MC) 디코딩부
23 : MC 헤더 검출부 31 : MPEG1 사이드 정보 보유부
41 : 데이터 보유 버퍼 42 : PCM 출력 버퍼
57 : 포인터 쉬프트 서브부 100 : 디코딩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MPEG2 멀티채널, 층 Ⅱ에 의해 정해진 확장 스트림을 가지고 있지 않는 형태의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경우를 예로서 취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MPEG2 멀티채널, 층 Ⅱ에 의해 정해진 확장 스트림을 가지고 있지 않은 형태의 비트 스트림(1)의 디코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디코딩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 장치(100)는 비트 스트림(1)의 MPEG1 호환 영역(1A)을 디코딩하기 위한 MPEG1 디코딩부(21); 비트 스트림(1)의 MC 영역(1B)을 디코딩하기 위한 멀티채널(MC) 디코딩부(22); MC 영역(1B)의 헤드 위치(POS)를 배치하고, 비트 스트림을 판독하기 위한 스트림 판독 위치를 MC 영역(1B)의 헤드 위치(POS)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MC 헤더 검출부(23); 계산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데이터 보유 버퍼(41); 및 디코드된 PCM 데이터를 보유하고, 데이터 외측(outside)을 출력시키기 위한 펄스 부호 변조(PCM) 출력 버퍼(42)를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MPEG2 멀티채널, 층 Ⅱ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1)은 MPEG1 사이드 정보(11), MC 사이드 정보(12), MPEG1 샘플 및 MC 샘플을 포함한다. MPEG1 샘플은 제 1 MPEG1 샘플 정보 블록(13) 및 제 2 MPEG1 샘플 정보 블록(15)을 포함하는 6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MC 샘플은 제 1 MC 샘플 정보 블록(14) 및 제 2 MC 샘플 정보 블록(16)을 포함하는 6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샘플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코딩하기 위해 6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을 지라도, 블록의 수는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샘플은 소정 수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거나, 분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RAM은 비트 스트림(1)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뿐 만 아니라, 데이터 보유 버퍼(41) 및 PCM 출력 버퍼(42)로서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버퍼용으로 이용된 버퍼는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소정의 매체는 정보의 입/출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보유 버퍼(41) 및 PCM 출력 버퍼(42)는 별도의 버퍼로서 도시되어 있다. 버퍼의 구조는 본 발명의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버퍼들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디코딩 장치의 동작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첫째, MPEG1 디코딩부(21)는 헤더 정보, 할당 정보 및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MPEG1 사이드 정보(11)를 수신하여 이러한 정보를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데이터 보유 버퍼(41)로 출력시킨다. MC 헤더 검출부(23)는 데이터 보유 버퍼(41) 내에 보유된 MPEG1 사이드 정보(11)의 헤더 정보, 할당 정보, 및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MC 사이드 정보(12)의 헤더 어드레스를 계산하고,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헤더 어드레스로 쉬프트시킨다.
MC 헤더 검출부(23)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MC 헤더 검출부(23)는 데이터 보유 버퍼(41)의 MPEG1 사이드 정보 보유부(31) 내에 보유된 헤더 정보(51), 할당 정보(52), 및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53)를 수신하여, MPEG1 스케일 팩터의 스트림 길이를 계산하기 위해 MPEG1 스케일 팩터 스트림 길이 계산 서브부(54) 내에 이러한 정보를 보유한다. 또한, 헤더 정보(51) 및 할당 정보(52)는 MPEG1 샘플의 스트림 길이를 계산하기 위해서 MPEG1 샘플 스트림 길이 계산 서브부(55) 내로 입력된다. 이 때, MPEG1 스케일 팩터의 스트림 길이 및 MPEG1 샘플의 스트림 길이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을 계산하기 위해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 내로 입력된다.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에 의해 계산된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은 포인터 쉬프트 서브부(57) 내로 입력되므로, 스트림 판독 포인터는 쉬프트될 수 있다.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에 의한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의 계산 절차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단계(S301 내지 S309)는 MPEG1 스케일 팩터 스트림 길이 계산 서브부(54)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한 계산을 나타낸다. 단계(S310 내지 S316)는 MPEG1 샘플 스트림 길이 계산 서브부(55)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한 계산을 나타낸다.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 및 서브밴드(Subband : sb)의 쉬프트량(jump_bit)을 개시하고(단계 S301), 채널(ch)을 개시한다(단계 S302). 이 때,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는 0이다(단계 S303).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가 0이라고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을 6만큼 증가시킨다.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가 0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케일 팩터 계산 정보(scfsi[sb][ch])가 2인지의 여부를(단계 S304) 결정한다.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가 2가 않거나,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이 단계 S306에서 6만큼 증가후인 것이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을 12 만큼 증가시킨다(단계 S307).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가 2인 것이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을 6만큼 증가시킨다( 단계 S305).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이 단계 S305에서 6만큼 증가하거나,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이 단계 S307에서 12 만큼 증가한 후,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1 만큼 증가된 채널(ch)이 2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8).
1 만큼 증가된 채널(ch)이 2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가 0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3). 1만큼 증가된 채널(ch)이 2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2차 한도(sublimit)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09).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2차 한도(sublimit)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채널(ch)을 개시한다(단계 S302).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는 0, 1, 2, 또는 3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의 값이 0일 때,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은 각각의 루프에 대해 18 만큼 증가한다.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의 값이 1일 때,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은 각각의 루프에 대해 12 만큼 증가한다.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의 값이 2일 때,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은 각각의 루프에 대해 6 만큼 증가한다.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scfsi[sb][ch])의 값이 3일 때,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은 각각의 루프에 대해 12 만큼 증가한다.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2차 한도(sublimit)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그룹(gr)을 개시하고(단계 S310), 서브밴드(sb)를 개시한다(단계 S311).
이 때,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L 채널(alc_size[gr][sb][0])의 할당 크기값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에 가산한다(단계 S312).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서브밴드(sb)가 접합 서브밴드(joint_sb)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13). 서브밴드(sb)가 접합 서브밴드(joint_sb)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R 채널(alc_size[gr][sb][0])의 할당 크기값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에 가산한다(단계 S314).
R 채널(alc_size[gr][sb][0])의 할당 크기값이 단계 S314에서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에 가산된 후, 또는 서브밴드(sb)가 단계 S313에서 접합 서브밴드(joint_sb)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서브밴드 한계(sublimit)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15).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서브밴드 한도(sublimit)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단계 S315),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L 채널(alc_size[gr][sb][0])의 할당 크기값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쉬프트량(jump_bit)에 가산한다(단계 S312).
1 만큼 증가된 서브밴드(sb)가 서브밴드 한도(sublimit)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때,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그룹(gr)이 12 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16). 그룹(gr)이 12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서브밴드(sb)를 개시한다(단계 S311). 그룹(gr)이 12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포인터 쉬프트량 계산 서브부(56)는 포인터 쉬프트량의 계산을 완료한다.
상술한 처리 다음으로,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는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배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며, MC 사이드 정보는 MC 헤더 검출부(23)에 의해 쉬프트된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치(POS)로부터 판독되고, MC 디코딩부(22) 내로 입력된다. MC 디코딩부(22)는 입력된 MC 사이드 정보(12)에 대한 CRC(에러 검사)를 먼저 수행한다.
CRC의 결과가 받아들여질 경우, MC 디코딩부(22)는 데이터 보유 버퍼(41) 내에 보유될 비트 스트림(1)의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치로부터 판독된 MC 사이드 정보(12)를 출력시킨 다음,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MPEG1 사이드 정보(11)의 스케일 팩터의 헤드 위치로 쉬프트시킨다.
MC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MC 영역(1B) 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가 안인 경우, MPEG1 디코딩부(21)는 비트 스트림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로부터 판독하고, MPEG1 사이드 정보의 스케일 팩터 및 제 1 MPEG1 샘플 정보 블록(13)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킨다. 이 때, MPEG1 디코딩부(21)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제 1 MC 샘플 정보 블록(14)의 헤드로 쉬프트시킨다.
후속적으로, MC 디코딩부(22)는 제 1 MC 샘플 정보 블록(14)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로부터 판독하고, 제 1 MC 샘플 정보 블록(14)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킨다. 이 때, MC 디코딩부(22)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제 2 MPEG1 샘플 정보 블록(15)의 헤드로 쉬프트시킨다.
상술한 일련의 동작, 즉, n 번째 MPEG1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키고,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MPEG1 디코딩부(21)로 쉬프트시키며, n 번째 MC 샘플 정보 블록을 디코딩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키고,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MC 디코딩부(22)로 쉬프트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2 ≤ n ≤ 6(n은 정수)의 범위 내에서 반복된다. 이 때, MC 디코딩부(22)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다음 프레임의 MPEG1 사이드 정보(11)의 헤드로 쉬프트시킨다.
대조적으로, 스트림 판독 포인터가 MPEG1 사이드 정보(11)의 스케일 팩터의 헤드 위치로 MC 디코딩부(22)에 의해 쉬프트된 후, MC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MC 영역(1B)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인 경우, MPEG1 디코딩부(21)는 비트 스트림을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치로부터 판독하고, MPEG1 사이드 정보(11) 및 제 1 MPEG1 샘플 정보 블록(13)의 스케일 팩터를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즉 n 번째 MPEG1 샘플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정보를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2 ≤ n ≤ 6(n은 정수) 범위 내에서 반복된다. 이 때, MPEG1 디코딩부(21)는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다음 프레임의 MPEG1 사이드 정보(11)의 헤드로 쉬프트시킨다.
부수적으로, 다음 처리는 상술한 MC 디코딩부(22)에 의한 동작 중에 수행된다. 판독이 진행 중에 있는 프레임의 헤드에서 스트림 판독 포인터의 위치까지의 스트림 길이가 MC 사이드 정보의 n-ad-byte의 길이를 동작이 진행중인 프레임 길이에서 감산함으로써 얻어진 경우, MC 디코딩부(22)는 MC 영역(1B)의 디코딩을 종료한다. 이 때, MC 디코딩부(22)는 가장 최근의 MPEG1 디코딩부(21)에 의해 디코드된 MPEG1 사이드 정보(11) 또는 MPEG1 샘플 정보 블록 부분에 뒤이어 MPEG1 사이드 정보(11) 또는 MPEG1 샘플 정보 블록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쉬프트시킨다. 그 후, MPEG1 디코딩부(21)에 의한 디코딩만이 수행된다.
CRC의 결과가 받아들일 수 없을 경우, MC 디코딩부(22)는 제 1 MPEG1 샘플 정보 블록(1B)을 MPEG1 디코딩부(21)에 의해 디코드되게 할 수 있고, PCM 출력 버퍼(42)로 출력되게 할 수 있도록 제 1 MPEG1 샘플 정보 블록(13)의 헤드로 스트림 판독 포인터를 쉬프트시킨다. 이 때, 제 2 MPEG1 샘플 정보 블록(15)은 디코드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MPEG1 호환 영역(1A)만이 디코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C 영역(1B)의 헤더는 ISO-IEC 13818-3에 규정된 디코딩 방법에서와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은 전체 MPEG1 호환 영역(1A)의 디코딩을 사전에 완료하지 않고서도 분석될 수 있다. 이것은 장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종례 장치에서 발생하는 다음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다. 즉, MC 영역(1B)이 없는 MPEG1 호환 영역(1A) 만을 가지고 있는 비트 스트림이 입력될 때, MC 영역(1B)이 아닌 실제 MC 영역(1B)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 부분의 디코딩은 비트 스트림이 MC 영역(1B)에 대한 CRC를 통과하도록 발생하는 경우 개시되는데, 오동작을 야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이 MC 영역(1B)에 대한 CRC를 통과하는 경우일지라도, MC 영역(1B)의 디코딩은 MC 영역(1B)내의 채널의 수가 제로이거나 MC 영역(1B)이 하나의 프레임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 이상으로 디코드되게 한 경우 종료되므로, 오동작의 발생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C 헤더(MC 사이드 정보(12))의 검출은 MPEG1 호환 영역(1A)의 스케일 팩터가 검출되기 전에 동시에 수행된다. MC 영역(1B)의 디코딩은 전체 MPEG1 호환 영역(1A)이 디코드되기 전에 MC 헤더 위치를 배치함으로써 가능해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본 발명의 목적에 비추어 보아, MC 헤더가 검출되는 시간은 비트 스트림이 층 Ⅱ에 따른 경우의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53)의 디코딩후, 또는 비트 스트림(1)이 층 Ⅰ에 따른 경우 할당 정보(62)의 디코딩후의 소정의 포인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확장 스트림이 없는 비트 스트림이 비트 스트림(1)으로서 이용된다. 멀티채널 디코딩이 스트림 길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허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의 결정에 있어서, 본 발명은 디코드된 스트림의 길이가 한 프레임의 엔코드된 음향 정보의 스트림 길이를 초과할 때, MC 영역(1B)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지만, MPEG1 호환 영역(1A)만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것에 비추어 보아, 후속적으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디코딩에 효과적인 스트림 길이의 상한치로서(기본 프레임 길이) + (확장 스트림 길이) - (n-ad-bytes)의 최소한의 길이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확장 스트림을 가지고 있는 스트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정해진 비트 스트림이 별도 디코딩을 위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이것은 종례에 이용된 것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트 스트림이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에 대한 CRC를 실수로 통과시킬 때일지라도,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이 실제로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멀티채널 확장 영역내의 채널의 수 및 한 프레임내의 비트 스트림의 잔량에 기초하여 종례의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오동작의 발생이 감소되는 디코딩 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양상으로 변경, 생략 및 추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및 의의 내에서 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로서,
    상기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는 MPEG1 디코딩 수단과,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는 MC 디코딩 수단 및,
    상기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상기 헤더의 위치로 쉬프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는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은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해 상기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MC 디코딩 수단은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한 후 소정의 제 2 처리를 실행하는 디코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C 디코딩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제 2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해 상기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및 상기 MC 디코딩 수단에 의해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을 교대로 실행하는 디코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은 MPEG2 오디오 멀티채널, 층 I에 의해 규정된 비트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MPEG1 사이드 정보는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은 상기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특정하는 디코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은 MPEG2 오디오 멀티채널, 층 II에 의해 규정된 비트 스트림을 포함하며,
    상기 MPEG1 사이드 정보는 할당 정보 및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은 상기 할당 정보 및 상기 스케일 팩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특정하는 디코딩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 2 처리는 상기 MC 사이드 정보를 상기 위치에서 판독하고, 상기 MC 사이드 정보에 대한 에러 검사를 실행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사는 최소한 CRC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8. MPEG1에 의해 규정된 제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제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 스트림은 상기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는 MPEG1 디코딩 수단과,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는 MC 디코딩 수단 및,
    상기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상기 헤더 위치로 쉬프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는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은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의 처리 방식으로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MC 디코딩 수단은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위치에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에 대한 CRC를 실행하며,
    상기 CRC의 결과들이 정상적일 때,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상기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 및 상기 MC 디코딩 수단에 의한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을 교대로 실행하고,
    상기 CRC의 결과들이 비정상적일 때,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에 의한 상기 MPEG1 호환 영역의 디코딩만을 실행하는 디코딩 장치.
  9. MPEG1에 의해 규정된 제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제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 스트림은 상기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는 MPEG1 디코딩 수단과,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는 MC 디코딩 수단 및,
    상기 MPEG1 사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헤더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판독 위치를 상기 헤더 위치로 쉬프트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처리를 실행하는 MC 헤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은 상기 MPEG1 디코딩 수단의 처리 방식으로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MC 디코딩 수단은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채널들의 수가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용 MC 사이드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로인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 내의 채널들의 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MPEG1 호환 영역만이 디코드되는 디코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C 디코딩 수단은 상기 MC 헤더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처리를 실행한후, 상기 위치에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에 대한 CRC를 실행하며,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 내의 채널들의 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CRC의 결과들이 정상적인 경우 조차도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MPEG1 호환 영역만을 디코드하는 디코딩 장치.
  11. MPEG1에 의해 규정된 제1 비트 스트림 및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제2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 스트림은 MPEG1 호환 영역 및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MPEG1 호환 영역은 MPEG1 사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PEG1 호환 영역을 디코딩하는 MPEG1 디코딩 수단과,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을 디코딩하는 MC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C 디코딩 수단에 의한 상기 MPEG2 멀티채널 확장 영역의 디코딩시에 소모된 상기 비트 스트림의 길이가 한 프레임의 스트림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디코딩을 종료하고, 상기 MPEG1 호환 영역만을 디코드하는 디코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상기 스트림 길이는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확장 스트림이 상기 비트 스트림 내에 포함될 때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와 확장 스트림 길이의 합을 포함하고, 확장 프레임이 전혀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스트림 길이는 MPEG2 오디오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확장 스트림이 비트 스트림 내에 포함될 때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와 확장 스트림 길이의 합에서 MPEG2 멀티채널에 의해 규정된 n_ad_bytes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포함하고, 확장 스트림이 전혀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MPEG1 기본 프레임 길이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KR1019990010936A 1998-03-30 1999-03-30 디코딩 장치 KR100299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83363 1998-03-30
JP10083363A JPH11282496A (ja) 1998-03-30 1998-03-30 復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91A true KR19990078391A (ko) 1999-10-25
KR100299727B1 KR100299727B1 (ko) 2001-10-29

Family

ID=1380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36A KR100299727B1 (ko) 1998-03-30 1999-03-30 디코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95319B1 (ko)
EP (1) EP0948141B1 (ko)
JP (1) JPH11282496A (ko)
KR (1) KR100299727B1 (ko)
CN (1) CN1119864C (ko)
DE (1) DE699251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419A1 (en) 2001-05-24 2009-01-29 Indra Laksono Multimedia system and ser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291457B2 (en) 2001-05-24 2012-10-16 Vixs Systems, Inc. Channel selection in a multimedia system
CN1304955C (zh) * 2004-02-16 2007-03-1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内存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100773539B1 (ko) * 2004-07-14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306819C (zh) * 2004-07-30 2007-03-21 联合信源数字音视频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解码控制方法及装置
WO2006126859A2 (en) 2005-05-26 2006-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ncoding and decoding an audio signal
KR20070003593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EP1946294A2 (en) 2005-06-30 2008-07-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09500657A (ja) * 2005-06-30 2009-01-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するための装置とその方法
AU2006266579B2 (en) * 2005-06-30 200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n audio signal
US8577483B2 (en) 2005-08-30 2013-1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US7987097B2 (en) 2005-08-30 2011-07-26 Lg Electronics Method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US7788107B2 (en) 2005-08-30 2010-08-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coding an audio signal
AU2006285538B2 (en) 2005-08-30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EP1946302A4 (en) 2005-10-05 2009-08-19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US7672379B2 (en) 2005-10-05 2010-03-02 Lg Electronics Inc. Audio signal processing, encoding, and decoding
US7646319B2 (en) 2005-10-05 2010-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and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7696907B2 (en) 2005-10-05 2010-04-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and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8068569B2 (en) 2005-10-05 2011-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and encoding and decoding
US7751485B2 (en) 2005-10-05 2010-07-06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using pilot based coding
KR100857115B1 (ko) 2005-10-05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그리고 인코딩 및 디코딩방법 및 이의 장치
US7716043B2 (en) 2005-10-24 2010-05-11 Lg Electronics Inc. Removing time delays in signal paths
US7936933B2 (en) * 2005-11-18 2011-05-03 Microsoft Corporation Accelerating video data decoding
CN101361275B (zh) * 2006-02-23 2013-04-03 Lg电子株式会社 处理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KR100904435B1 (ko) * 2006-04-03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089B2 (ja) * 1993-12-27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蓄積配送装置及び映像蓄積配送システム
JP3491365B2 (ja) * 1995-01-31 2004-01-26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データ復号方法および復号装置
JPH09282849A (ja) * 1996-04-08 1997-10-3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TW432806B (en) * 1996-12-09 2001-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dio decoding device
KR100215476B1 (ko) * 1997-06-02 1999-08-16 윤종용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및 dvd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8141A2 (en) 1999-10-06
US6295319B1 (en) 2001-09-25
DE69925189T2 (de) 2005-10-13
EP0948141B1 (en) 2005-05-11
DE69925189D1 (de) 2005-06-16
EP0948141A3 (en) 2000-07-19
JPH11282496A (ja) 1999-10-15
CN1235427A (zh) 1999-11-17
CN1119864C (zh) 2003-08-27
KR100299727B1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727B1 (ko) 디코딩 장치
US6282631B1 (en) Programmable RISC-DSP architecture
KR100904626B1 (ko) Mp3용 트릭 플레이
US20080046235A1 (en) Packet Loss Concealment Based On Forced Waveform Alignment After Packet Loss
US9570082B2 (en) Method, medium, and apparatus encoding and/or decoding multichannel audio signals
US20040186933A1 (en) Data transmit method and data transmit apparatus
US20120301118A1 (en) Optical disc play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ecoding unit in the optical disc player system to read encoded bitstream data from a buffer memory
KR960020477A (ko) 데이터 재생 장치
US5485469A (en)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for unequal quantized data with encoded bit count per frame control of writing and/or reading speed
US20040008975A1 (en) Input buffer management for the playback control for MP3 players
US20080147218A1 (e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20080215343A1 (en)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system
US7149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ata streams
EP24698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ntially parsing bitstreams based on removal of emulation prevention byte
US7324858B2 (en) Replay apparatus, replay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KR100268485B1 (ko) 엠펙비디오데이타디코딩방법
US20010031007A1 (en) Audio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8204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P3 decoding
US699313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coding audio data
US7420993B2 (en) Variable length code multiplexer and variable length code demultiplexer
US7509294B2 (en) Synthesis subband filter for MPEG audio decoder and a decoding method thereof
EP0795964A2 (en) Digital audio signal processor having small input buffer
JP2518519B2 (ja) 符号化処理タイミング可変の音声処理方式
KR20080033889A (ko) 스트림 데이터 재생 시스템
KR20000060285A (ko) 디지탈 오디오 디코더 및 그에 따른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