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547A - 오르가노폴리실록산조성물을습기-경화하는연속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르가노폴리실록산조성물을습기-경화하는연속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547A
KR19990077547A KR1019990006909A KR19990006909A KR19990077547A KR 19990077547 A KR19990077547 A KR 19990077547A KR 1019990006909 A KR1019990006909 A KR 1019990006909A KR 19990006909 A KR19990006909 A KR 19990006909A KR 19990077547 A KR19990077547 A KR 1999007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tv
mixer
raw mixtur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662B1 (ko
Inventor
브라운루돌프
뵈를헬무트
트라예르베르네르
스타이네르요한
펠베르토마스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598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75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Publication of KR1999007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8/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8/901Room temperature curable silicon-containing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RTV-1 조성물의 3단계 연속제조방법은, 1단계에서 α,ω-디히드록시폴리오르가노실록산, 필러 및 선택적으로 또 다른 성분의 원혼합물을 제조하고,
2단계에서, 가스혼재물(gas inclusions)의 원혼합물을 감압하에 유리시키고, 선택적으로 또 다른 성분과 혼합시키며, 3단계에서 탈기시킨 원혼합물을 가교제, 축합촉매 및 선택적으로 1 및 2 단계에서 첨가하지 않은 추가성분을 혼합시켜 구성한다.

Description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습기-경화하는 연속제조방법{Process for the continuous preparation of moisture-curing or 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이 발명은 RTV-1 조성물의 3단계 연속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기를 제거시켜 저장할 수 있고, 습기를 넣어 실온에서 가교시킬 수 있으며 RTV-1 조성물로서 공지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종래에 널리 공지되었다.
그 RTV-1 조성물의 제조에서는 1단계에서 성분 전부를 첨가할 수 없다.
그 성분중 일부를 혼합시킨 후에 다른 성분을 혼합하기 전에 일정한 반응시간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이유로, 2단계 프로세스로 처리하였다.
예로서, 특허문헌 EP-A-234,226에서는 그 성분의 일부를 연속적인 밀폐혼합기내에서 1단계로 혼합시키고, 왕복 혼련기(reciproceting kneader)에서 2단계로 나머지 성분을 혼합시켜 그 조성물을 이 혼련기내에서 균질화시킨 다음 감압하에 탈기하였다.
RTV-1 조성물은 여러가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배합시켜 다수의 여러가지의 제품, 예로서 칼라, 투명성 또는 점도를 달리하는 각종의 서로다른 제품을 제조하였다.
특허문헌 EP-A-234226의 프로세스에서는 그 제품을 변형시킬 경우 예로서 칼라를 변화시킬 경우 왕복훈련기 전체를, 변형시킨 조성물에 따라 그 조성물로 클린링(cleaning)시키거나 최소한 퍼징(purging)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처리에서는 큰 손실이 수반되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의 변형결과, 시간과 RTV-1 조성물의 손실이 적은 RTV-1 조성물의 연속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하지 않은 플랜트다이어그람(plant diagram)
도 2는 이 발명에 의한 플랜트다이어그람
도 3은 이 발명에 의한 플랜트다이어그람
도 4는 이 발명에 의한 플랜트다이어그람
〈도면에 나타낸 주요부분의 부호설명〉
1: 혼합터빈(mixing turbine)
2: 왕복 단축식 혼련기(reciprocating single-screw kneader)
3: 정혼합기(static mixer)
4: 동혼합기(dynamic mixer)
5: 통기혼련기(vented kneader)
M: 모터(motor)
이 발명은 1단계에서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필러 및 선택적으로 또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원혼합물(raw mixture)을 제조하고, 2단계에서 가스혼재물(gas in clusions)의 새로운 혼합물을 감압하에 유리시키며, 선택적으로 또 다른 성분과 혼합시키고, 3단계에서 그 탈기시킨 원혼합물과 가교제, 축합촉매 및 선택적으로 1 및 2단계에서 아직까지 첨가하지 않은 추가성분을 혼합시키는 RTV-1조성물의 3단계 연속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발명은 그 탈기단계가 전성분을 혼합시킨 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나,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과 필러를 혼합시킨후 어느 한 시점에서 제공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얻어진 제품의 품질은 전성분을 혼합시킨후 탈기를 실시한 경우와 같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3공정은 용량이 적고 퍼징(purging)에 의해 용이하게 클린징할 수 있는 간단한 혼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은 다음식(I)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O-[R2SiO]m-H (I)
위식에서,
R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C1-C4-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기에 의해 치환시킬 수 있는 1가의 C1-C8-탄화수소래디컬 이며,
m은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이 점도 0.05∼1000Pa.s를 갖도록 하는 값을 가진다.
탄화수소래디컬 R의 예로는 메틸래디컬등 선상 및 환상의 포화 및 불포화 알킬래디컬, 페닐래디컬등 아릴래디컬, 톨릴래디컬등 알카릴래디컬 및 벤질래디컬등 아랄킬래디컬이 있다.
바람직한 래디컬 R에는 탄소원자 1-6개를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래디컬이 있으며, 특히 메틸래디컬이 바람직하다.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은 각각의 경우 23℃에서 측정한 점도 100-700,000mPa.s, 특히 20,000∼350,000mPa.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TV-1 조성물에 혼합하는 필러의 예로는 비보강필러, 즉 50m2/g 까지의 BET 표면적을 가진 필러, 예로서 석영, 백악, 규조토, 칼슘실리케이트,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제오라이트, 알루미늄, 티타늄, 철 및 아연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산화물등 금속산화물 분말, 바륨설페이트, 칼슘카르보네이트, 석고, 실리콘니트리드, 실리콘카바이드, 보론니트라이드, 유리섬유 및 폴리머분말, 즉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분말; 보강필러, 즉 50m2/g이상의 BET 표면적을 가진 필러, 예로서 소성실리카, 침전실리카, 노블랙(furnace black)및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등 카본블랙, BET 표면적이 높은 실리콘-알루미늄 혼합산화물; 및 석면 또는 합성섬유등 섬유상 필러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필러는 예로서 오르가노실란 또는 오르가노실록산 또는 스테아릴산과의 처리에 의해, 또는 히드록시기의 에테르화에 의해 소수성화하여 알콕시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일종의 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최소한 2종의 필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히드록시기와 축합시킬 수 있는 기를 가진 실란 및 이들 실란의 올리고머 축합생성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사용한 가교제는 특히 일반식(II)의 실란이 바람직하다.
R1 nSiX(4-n)(II)
위식에서,
R1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C1-C4-알콕시알킬, 아미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 아미노-C1-C6-알킬-엔아미노 또는 시아노기에 의해 치환시킬 수 있는 1가의 C1-C10-탄화수소래디컬이며,
X는 수소, 플루오린, 클로린 또는 브로민원자, C1-C4-알콕시, C1-C4-아실옥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C1-C4-디알킬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N-C1-C4-알킬)-C1-C6-알킬아미도 또는 Si-O-N=결합 C3-C6-케톡시모기 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그 가교제와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의 축합을 촉진하는 축합촉매의 예로는 아민, 틴(tin), 아연, 지르콘, 티탄 및 알루미늄의 유기화합물이 있다.
이들의 축합촉매중에서, 부틸티타네이트와 유기틴화합물, 예로서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n-부틸틴디라우레이트 및 산소에 의해 실리콘에 결합되고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시킬 수 있는 가수분해기로 작용하는 최소한 2종의 1가의 탄화수소래디컬을 분자당 가진 실란 또는 이 실란의 올리고머와 디오르가노틴디아실레이트의 반응생성물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이들의 반응생성물중에서 틴원자의 모든 원자가가 기 ≡SiOSn≡ 의 산소원자 또는 SnC-결합된 1가의 유기래디컬에 의해 결합되어있다.
RTV-1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추가성분, 예로서 안료 및 가용염료등 착색성분, 방향성물질, 실온에서 액상인 트리메틸실록시-말단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가소제 또는 유기가소제, 살균제, (CH3)3SiO1/2및 SiO4/2단위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크릴로니트릴, 스트렌, 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등 순수유기질수지(여기서, 이와같은 순수유기질수지, 특히 스티렌과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는 말단단위 각각에서 Si-결합히드록시기를 가진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존재하에서 프리래디컬에 의한 상기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부식억제제, 에스테르화 및/또는 에테르화할 수 있는 폴리글리콜, 산화억제제, 열안정제, 용제, 전기특성에 영향을 주는 재료, 즉 전도성 카본블랙, 난연제(flame retardants), 광안정제 및 스킨형성시간 연장제, 즉 SiC-결합메르캅토알킬래디컬을 가진 실란 및 셀발생제(cell-generating agents), 즉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하게, 결합제(coupling agents),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작용실란을 첨가시킬 수 있다.
1단계에서 그 원혼합물(raw mixture)을 제조하는 적합한 혼합기에는 연속적으로 폐쇄된 기계적인 혼합기, 특히 축방향으로 그 재료가 유동하는 혼합터빈 또는 단축 또는 쌍축혼련기 예로서, 왕복혼련기가 있다.
혼련기를 사용할 때, 진공포인트(vacuum points)점등 환기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2단계에서의 적합한 혼합기는 1단계에서와 같은 혼련기가 바람직하나, 그 혼련기는 환기장치를 가지며 감압하에 탈기장치에 의해 작동한다.
그 내압은 10kPa이하가 바람직하다.
3단계에서의 적합한 혼합기는 정혼합기 및 동혼합기가 바람직하다.
1단계는 2가지 이상의 섭스텝(sub-steps)으로 나눌 수 있다.
예로서,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가교제 및 가소제의 프리믹스(premix)를 제1혼합기내에서 제조한 다음, 제2혼합기내에서 필러와 함께 혼합시켜 원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혼합물은 그 성분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과 필러 및 또다른 성분을 그 혼합기내 여러가지 지점에서 혼합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1 및 2단계는 또 구조의 길이가 비교적 긴 혼합기내에서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로서, 그 원혼합물을 스크루혼련기(screw kneader)의 전면영역에서 제조한 다음, 그 혼련기의 하류영역에서 감압하에 탈기할 수 있다.
2단계에서는, 비휘발성분, 예로서 금속염이 탈기중에 축합촉매로서 혼합할 수 있다.
3단계에서는 결합제와 선택적으로 착색성분 및 아직도 존재하지 않은 가교제나 촉매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모든 백분율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중량을 붙인 것으로 하며, 또 모든 점도는 25℃의 온도에서 실시한 것으로 한다.
그 실시예는 도 1∼도4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에 해당되는 플랜트내에서 실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이 발명에 의하지 아니함):
혼합터빈(1)/왕복단축혼련기(2)
도 2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이 발명에 의함):
혼합터빈(1)/왕복단축혼련기(2)/정혼합기(3)
도 3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이 발명에 의함):
혼합터빈(1)/왕복단축혼련기(2)/동혼합기(4)
도 4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이 발명에 의함):
혼합터빈(1)/환기혼련기(5)/동혼합기(4)
대비실시예 1a
도 1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80,000㎟/s) 71%,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 23.5%,
올리고머아세톡시실란혼합물(crosslinker ES 24, Wacker-Chemie GmbH 제품) 5.5%의 혼합물 730kg/h를 혼합터빈(1)에 유입구(6)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또, 소성실리카(BET 표면적 150㎡/g)62kg/h을 혼합터빈(1)에 스크루(7)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그 혼합터빈(1)은 회전속도 1400rpm으로 작동하였다.
그 원혼합물을 유입구(8)를 통하여 왕복단축스크루(2)로 이동시켰다.
여기서, Sn촉매(촉매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은 유입구(9)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실리콘오일중 카본블랙 50농도의 페이스트 16kg/h을 유입구(10)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가스는 포오트(11)를 통하여 RTV-1 조성물에서 탈기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그 RTV-1 조성물은 안정성있는 특성을 가졌으며, 시-랩(ClE-Lab)시스템 L*:22, a*:0.1 및 b*: -0.3에 의해 칼라파라미터(color parameter)를 나타내었다.
대비실시예 1b
도 1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대비실시예 1a에서와 같이, 원혼합물은 혼합터빈(1)내에서 제조한 다음, 유입구(8)을 통하여 왕복단축혼련기(2)내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Sn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을, 유입구(9)를 통하여 계량하여 혼합시킨 다음, 실리콘오일중에서 티타늄디옥사이드 50%농도의 페이스트 24kg/h을 유입구(10)를 통하여 계량하여 혼합시켰다.
가스는 포오트(11)를 통하여 RTV-1 조성물에서 처리시켰다.
그 얻어진 RTV-1조성물은 안정성있는 특성을 가지며, 시-랩 시스템(ClE-Lab system) L*: 96.5, a*: -0.5 및 b*: 1.0에 의해 칼라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대비실시예 1c
도 1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우선, 대비실시예 1a에서와 같이 흑색의 RTV-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비실시예 1b의 조성물로 직접 변형시켰다.
8시간후, 백색의 RTV-1 조성물이 아직도 흑색의 선조(streak)를 갖고 있으므로 그 테스트를 정지하였다.
순수백색의 RTV-1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그 플랜트를 클리닝(cleaning)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2a
도 2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80,000㎟/S) 71%,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23.5%,
올리고머아세톡시실란 혼합물(crosslinker ES 24, Wacker-Chemie GmbH 제품)5.5%로 이루어진 혼합물 730kg/h을 계량하여 유입구(6)을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하였다.
또, 소성실리카(BET 표면적 150㎡/g) 62kg/h을 계량하여 스크루(7)를 통해 혼합터빈(1)에서 혼합하였다.
그 혼합터빈(1)은 회전속도 1400rpm으로 작동시켰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원혼합물을, 유입구(12)를 통하여 왕복 단축혼련기(2)로 이송시켰다.
여기서, Sn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을 계량하여 유입구(13)를 통하여 혼합시켰다.
가스는 그 포오트(14)를 통하여 RTV-1 조성물에서 제거하였다.
탈기시킨 원혼합물은 유입구(15)를 통하여 정혼합기(static mixer)(3)로 이송시켰다.
여기서, 실리콘오일중에서 카본블랙 50% 농도의 페이스트 16kg/h을 계량하여 유입구(16)를 통하여 혼합시켰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있는 특성을 가지며,
시-랩시스템(ClE-Lab system) L*= 22, a*: 0.0 및 b*: -0.3에 의해 칼라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b
도 2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실시예 2a에서와 같이, 원혼합물을 혼합터빈(1)과 왕복 단축혼련기(2)내에서 제조하고, 탈기시켜 유입구(15)를 통하여 정혼합기(3)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실리콘오일 중에서 티타늄 디옥사이드 50% 농도의 페이스트 24kg/h을 계량하여 유입구(16)을 통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을 가지며, 시-랩시스템 L*: 96.5, a*: -0.5 및 b*: 1.0에 의해 칼라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c
도 2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우선, 실시예 2a에서와 같이 흑색의 RTV-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b의 조성물로 직접 변형시켰다.
3시간후, 그 RTV-1조성물은 실시예 2b의 칼라파라미터를 얻었다.
실시예 3a
도 3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80,000㎟/s) 71%,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23.5% 및 올리고머아세톡시실란(crosslinker ES 24, Wacker-Chemie GmbH 제품)혼합물 5.5%로 이루어진 혼합물 730kg/h을 계량하여 유입구(6)을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시켰다.
또, 소성실리카(BET 표면적 150㎡/g) 62kg/h를 계량하여 스크루(7)을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시켰다.
그 혼합터빈(1)은 회전속도 1,400rpm으로 작동하였다.
그 원혼합물은 유입구(17)을 통하여 왕복 단축혼련기(2)로 이송하였다.
가스는 포오트(18)를 통하여 그 RTV-1 조성물에서 제거하였다.
그 탈기시킨 원혼합물은 유입구(19)를 통하여 동혼합기(dynamic mixer)(활동혼합기)(4)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Sn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와 실리콘오일중에서 카본블랙 50% 농도의 페이트스 16kg/h을 계량하여 유입구(20)를 통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이 있으며 시-랩시스템 L*: 22, a*: 0.0 및 b*: -0.3에 의해 칼라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b
도 3 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실시예 3a 에서와 같이, 원혼합물을 혼합 터빈(1)과 왕복단축혼련기(2)에서 제조하여, 탈기하고 유입구(19)를 통하여 동혼합기(활동 혼합기)(4)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Sn 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0.08Kg/h 와 실리콘오일중에서 티타늄 디옥사이드 50% 농도의 페이스트 24Kg/h 을 계량하여 유입구(20)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을 안정성이 있었고 시-랩 시스템 L*:96.5, a*:-0.5 및 b*: 1.0 에 의해 칼라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c
도 3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우선, 실시예 3a에서와 같이, 흑색의 RTV-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3b의 조성물로 직접 변형시켰다.
그 다음으로 4개 공정 각각에서 동혼합기(활동혼합기)(4)를 통하여 10kg을 조작하였다.
각 공정에서, 생성물은 4-5분간 최대의 회전속도로 동혼합기(활동혼합기)(4)내에서 교반시켰다.
20분후에 그 RTV-1 조성물을 실시예 3b의 칼라파라미터를 가진다.
스크랩의 양은 50kg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4a
도 4에 나타내 플랜트 다이어그람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80,000㎟/s)71%,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 23.5% 및 올리고머아세톡시실란혼합물(crosslinker Es24, Wacker-Chemie GmbH 제품) 5.5%로 이루어진 혼합물 730kg/h을 계량하여 유입구(6)를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시켰다.
또, 소성실리카(BET 표면적 150m2/g) 62kg/h을 계량하여 스크루(7)를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터빈(1)은 회전속도 1400rpm으로 작동하였다.
그 원혼합물은 유입구(21)를 통하여 환기 혼련기(5)로 이송하였다.
가스는 포오트(22)를 통하여 RTV-1 조성분에서 제거하였다.
탈기시킨 원혼합물은 유입구(23)를 통하여 동혼합기(활동혼합기)(4)로 이송시켰다.
여기서 Sn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을 계량하여 유입구(24)를 통하여 혼합시켰으며, 실리콘오일중에서 카본블랙 50% 농도의 페이스트 16kg/h을 계량하여 유입구(25)를 통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이 있고, 시-랩시스템 L*: 22, a*: 0.0 및 b*: -0.3에 의해 칼라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b
도 4 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실시예 4a 에서와 같이, 혼합터빈(1)과 환기혼련기(5)에서 원혼합물을 제조하여 탈기시키고, 유입구(23)를 통하여 동혼합기(활동혼합기)(4)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Su 촉매(catalyst SK, Wacker-chemie GmbH 제품) 0.08Kg/h 을 계량하여 유입구(24)를 통하여 혼합시키고, 실리콘 오일중에서 티타늄 옥사이드 50%농도의 페이스트 24Kg/h 를 계량하여 유입구(25)를 통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 있는 특징이 있었고, 시-랩 시스템 L*:96.5 , a*:0.5 및 b*:1.0 에 의해 칼라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c
도 4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우선, 실시예 4a에서와 같이하여 흑색의 RTV-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4b의 조성물로 직접 변형시켰다.
그 다음으로, 10kg은 5단계 각각에서 동혼합기(활동 혼합기)(4)내에서 조작하였다.
각 단계에서 그 생성물은 4-5분간 최대의 회전속도로 동혼합기(활동 혼합기)(4)내에서 교반시켰다.
20분후, 그 RTV-1 조성물은 실시예 4b의 칼라파라미터를 가졌다.
스크랩(scrap)의 양은 50kg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5a
도 3에 나타낸 플랜트 다이어그람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350,000㎟/s)61%,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 37% 및 3-(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로 이루어지며, 실온에서 최소한 1일간 저장한 프리믹스(premix) 80%와, α,ω-비스(트리메틸실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100㎟/s) 16%와, 상품 crossliker ET/14(Wacker-Chemie GmbH 제품) 4%로 이루어진 혼합물 705kg/h을 계량하여 유입구(6)을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하였다.
또, 소성실리카(BET 표면적 150㎡/g) 67kg/h을 계량하여 스크루(7)을 통하여 혼합터빈(1)에서 혼합시켰다.
그 혼합터민(1)은 1,400rpm의 회전속도에서 조작하였다.
원혼합물은 유입구(17)를 통하여 왕복 단축혼련기(2)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Sn촉매(catalyst A42, Wacker-Chemie GmbH 제품)8.0kg/h를 계량하여 유입구(26)를 통해 혼합하였다.
가스는 포오트(18)를 통해 RTV-1 조성물에서 제거하였다.
그 탈기시킨 원혼합물은 유입구(19)를 통해 동혼합기(활동혼합기)(4)로 이송하였다.
여기서,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6kg/h,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 3.6kg/h 및 실리콘오일중에서 카본블랙 50% 농도의 페이스트 16kg/h을 계량하여 유입구(20)를 통해 혼합시켰다.
얻어진 RTV-1 조성물은 안정성이 있고, 시-랩시스템 L*: 22, a*: 0.0 및 b*: -0.3에 의해 칼라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이 발명에 의해 시간과 RTV-1 조성물의 손실이 적은 RTV-1 조성물의 3단계 연속 제조방법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얻어진 제품의 품질은 전성분을 혼합시킨 후 탈기 (degassing)를 할 경우와 같이 우수하다.
3단계는 용량이 적고 퍼징(purging)에 의해 쉽게 클리닝을 할 수 있는 간단한 혼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RTV-1 조성물의 3단계 연속 제조방법에 있어서,
    1단계에서는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필러 및 선택적으로 또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원혼합물(raw mixture)을 제조하고, 2 단계에서는 감압하에서 가스혼재물(gas inclusions)의 원혼합물을 유리시키며, 선택적으로는 그 원혼합물을 또 다른 성분과 혼합시키고, 3단계에서는 그 탈기시킨 원혼합물과 가교제, 축합촉매 및 선택적으로는 1 및 2단계에서 첨가하지 않은 추가성분을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3단계 연속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1단계에서는 연속적인 밀폐 혼합기 및/또는 혼련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계 연속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2단계에서는 혼련기 또는 탈기장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계 연속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3단계에서는 동혼합기(dynamic mixers)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3단계 연속 제조방법.
KR1019990006909A 1998-03-05 1999-03-03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습기-경화하는 연속제조방법 KR100312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9548.1 1998-03-05
DE19809548A DE19809548A1 (de) 1998-03-05 1998-03-05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it Feuchtigkeit vernetzbaren Organopolysiloxanmas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547A true KR19990077547A (ko) 1999-10-25
KR100312662B1 KR100312662B1 (ko) 2001-11-03

Family

ID=785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909A KR100312662B1 (ko) 1998-03-05 1999-03-03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습기-경화하는 연속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18495B1 (ko)
EP (1) EP0940445B1 (ko)
JP (1) JP3054139B2 (ko)
KR (1) KR100312662B1 (ko)
CN (1) CN1183184C (ko)
CA (1) CA2264124C (ko)
DE (2) DE19809548A1 (ko)
ES (1) ES2163231T3 (ko)
PL (1) PL194575B1 (ko)
TW (1) TW4827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30B1 (ko) * 2006-08-03 2011-02-14 와커 헤미 아게 가교 가능한 유기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생산하는 연속적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574B1 (en) * 1999-12-21 2003-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vulcanizable silicone compositions from premix
DE10227590B4 (de) * 2002-06-20 2017-04-27 Wacker Chemie Ag Zu ausblutungsfreien Elastomeren kondensationsvernetzbare Organopolysiloxanmassen
DE10228842A1 (de) * 2002-06-27 2004-02-05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us zwei Komponenten bestehenden additionsvernetzenden Siliconmassen
DE10313941A1 (de) * 2003-03-27 2004-10-14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hochviskosen Siliconmassen
CN1322059C (zh) * 2004-12-10 2007-06-20 广州市白云化工实业有限公司 一种单组分湿气固化硅酮组合物的连续化制造工艺
TWI389979B (zh) * 2005-02-28 2013-03-21 Shinetsu Chemical Co Room temperature hardened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CN100347264C (zh) * 2005-12-05 2007-11-07 叶照光 一种硅酮密封结构胶全自动生产、灌装、分装方法
US8481655B2 (en) 2011-07-27 2013-07-09 Wacker Chemical Corporation Copper complexes of amino-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s and their use
KR20190067215A (ko) * 2016-10-31 2019-06-14 와커 헤미 아게 유기 규소 화합물에 기반한 저장 안정성 일액형 상온 경화성 조성물
CA3041729C (en) * 2016-10-31 2021-04-13 Wacker Chemie Ag One-part room-temperature curable compositions on basis of organosilicon compounds and titanium curing catalys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6477A (ko) * 1967-05-09 1968-11-11
DE3601324A1 (de) 1986-01-17 1987-07-23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bei raumtemperatur vulkanisierbaren silikonmassen
DE4103602A1 (de) * 1991-02-07 1992-08-13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htv-siliconmassen
DE4215205C1 (de) * 1992-05-08 1994-01-05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Flüssigsiliconkautschuken
JP3517478B2 (ja) * 1995-03-31 2004-04-12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1液型室温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の製造方法
JP3309770B2 (ja) * 1997-06-13 2002-07-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室温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の連続的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30B1 (ko) * 2006-08-03 2011-02-14 와커 헤미 아게 가교 가능한 유기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생산하는 연속적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4124A1 (en) 1999-09-05
EP0940445B1 (de) 2001-09-05
KR100312662B1 (ko) 2001-11-03
JPH11292982A (ja) 1999-10-26
CA2264124C (en) 2002-05-21
ES2163231T3 (es) 2002-01-16
CN1183184C (zh) 2005-01-05
US6218495B1 (en) 2001-04-17
JP3054139B2 (ja) 2000-06-19
DE59801380D1 (de) 2001-10-11
PL331757A1 (en) 1999-09-13
TW482795B (en) 2002-04-11
CN1229104A (zh) 1999-09-22
DE19809548A1 (de) 1999-09-09
EP0940445A1 (de) 1999-09-08
PL194575B1 (pl)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0388A (en) Self-adhering silicone compositions and preparations thereof
US3992355A (en) Heat-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7820770B2 (en) Crosslinkable compositions based on organosilicon compounds
CA1252939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room temperature-vulcanizable silicone compositions
US6020449A (en) Alkoxy-crosslinking RTV1 silicone rubber mixtures
US3884950A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heat stability
US4329274A (en) Heat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KR100312662B1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습기-경화하는 연속제조방법
CN103044920B (zh) 耐发动机油的单组份室温硫化脱甲醇硅橡胶及其制备方法
US3957717A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US6001948A (en) Alkoxy-crosslinking RTV1 silicone rubber mixtures
KR19980071705A (ko) 저-비율의 패키징에 적합한 이-성분 고속 경화 알티브이 접착성 밀봉제
DE19507878A1 (de) Verfahren zum Behandeln von Füllstoff in situ für RTV-Silicone
CN114456601A (zh) 一种脱醇型单组份室温硫化硅橡胶及其制备方法
EP093339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TV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AU735954B2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crosslinkable with elimination of alcohols to give elastomers
US3919136A (en) 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silicone rubber composition
US5122585A (en) One part heat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JPH11140326A (ja) 硬化性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US6265598B1 (en) Preparation of hydrolyzable group end-blocked organopolysiloxane
KR20010052011A (ko)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US4683320A (en) Novel organopolysiloxane,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3462386A (en) Organosilicon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them
JPH04300964A (ja) 改善された低モジュラス性をもつ室温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US20070282088A1 (en) Polyorganosiloxane Monocomponent Compound Crosslinking Into Silicone Elasto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