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187A - 선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187A
KR19990076187A KR1019980010903A KR19980010903A KR19990076187A KR 19990076187 A KR19990076187 A KR 19990076187A KR 1019980010903 A KR1019980010903 A KR 1019980010903A KR 19980010903 A KR19980010903 A KR 19980010903A KR 19990076187 A KR19990076187 A KR 1999007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djustment device
chassis
groove
shelf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률
Original Assignee
박종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률 filed Critical 박종률
Priority to KR101998001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187A/ko
Publication of KR1999007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87A/ko

Lin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 면에 수직으로 "T"홈(111)을 형성시킨 측면플레이트(1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의 "T"홈(111)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수직으로 가이드홈(122)을 형성시킨 섀시(121)와, 상기 섀시(121)의 가이드홈(122)에 결합시켜 상하 이동이 자유롭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하작동구(130)와, 상기 상하작동구(130)의 상면에 안치시켜 체결하는 선반(140)으로 구성하여 책장의 선반을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가 원하는 높이에 선반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서랍 등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반 조절장치
본 발명은 선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책장 등의 선반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선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책장(100)은 측면플레이트(110)의 내측 면에 다수개의 나사홀(112)을 전후 수직되게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사홀(112)에 결합시키는 볼트(113)틀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책장(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하고자 할 때, 측면플레이트(110)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형성시킨 나사홀(112)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나사홀(112)에 볼트(113)를 결합하여 선반(110)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반 조절장치는 책장(100)에 적재하는 책의 높이가 각기 다르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미세하게 선반(1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반의 미세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장(100)에 일부 서랍(150)을 설치한 경우에 서랍(150)의 위치가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서랍(1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책장의 선반을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가 원하는 높이에 선반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부 서랍을 설치한 책장의 서랍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선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 측면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 요부를 단면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에 서랍용 레일을 설치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에 걸이구를 설치하여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책장 110; 측면플레이트
111; "T"홈 112; 나사홀
113; 볼트 120; 섀시
121; 걸림편 122; 가이드홈
123; 지지편 124; 투입용홈
130; 상하작동구 131; 삽입공
132; 안치편 133; 체결공
134; 고정볼트 135; 너트
140; 선반 150; 가이드레일
160; 걸이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는 내측 면에 수직으로 "T"홈을 형성시킨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T"홈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수직으로 가이드홈을 형성시킨 섀시와, 상기 섀시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하작동구와, 상기 상하작동구의 상면에 안치시켜 체결하는 선반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 측면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 요부를 단면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에 서랍용 레일을 설치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에 걸이구를 설치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는 내측 면에 수직으로 "T"홈(111)을 형성시킨 측면플레이트(1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의 "T"홈(111)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수직으로 가이드홈(122)을 형성시킨 섀시(121)와, 상기 섀시(121)의 가이드홈(122)에 결합시켜 상하 이동이 자유롭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하작동구(130)와, 상기 상하작동구(130)의 상면에 안치시켜 체결하는 선반(140)으로 구성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의 "T"홈(111)은 전후로 2 개이상의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섀시(120)는 후단에 "T"홈(111)에 걸리는 걸림편(121)을 형성하고 가이드홈(122)의 좌우에 지지편(123)을 형성하며 상단 정면에 투입용홈(124)을 형성시킨다.
상기 상하작동구(130)는 수평으로 삽입공(131)을 형성시키고 삽입공(131)에 고정볼트(134)를 삽입하되 고정볼트(134)를 체결하는 너트(135)를 섀시(120)의 가이드홈(122) 내부에 필요량만큼 투입한다.
여기서 상하작동구(130)의 상측에는 수평상태의 안치편(132)을 형성하고 지지편(132)에 체결공(133)을 형성시킨다.
또한 너트(135)는 최초 책장(100)의 재작시 섀시(120)의 내부에 삽입하고 필요에 따라 섀시(120)의 투입용홈(124)을 통하여 보충할 수 있도록 하며 사각너트를 사용하여 고정볼트(134)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선반 조절장치의 상하작동구(130)에 서랍용 가이드레일(150)을 설치하여 일부 서랍을 설치한 책장 또는 옷장 등에서 서랍의 위치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선반 조절장치의 상하작동구(130)에 걸이구(160)를 결합하여 옷 등의 길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작동구(130)의 안치편(132)에 선반(140)을 안치하고 체결공(133)을 통하여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시킨다.
선반(1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하작동구(130)의 삽입공(131)을 통하여 고정볼트(134)를 너트(135) 가체결한 상태에서 측면플레이트(110)의 "T"홈(111)에 걸림편(121)으로 고정시킨 섀시(120)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상하위치를 조절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가체결 상태의 고정볼트(134)를 너트에 완전히 체결한다.
따라서 상하작동구(130)와 너트(135) 사이에 섀시(120)의 지지편(123)이 협지되어 상하작동구(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선반(140)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하작동구(130)와 너트(135)의 섀시(120) 지지편(123) 밀착면을 요철부 형성시키거나 거칠게 성형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랍용 가이드레일(150) 또는 걸이구(160)를 상하작동구(130)에 부착하여 상기와 같이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 조절장치는 내측 면에 수직으로 "T"홈(111)을 형성시킨 측면플레이트(1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의 "T"홈(111)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수직으로 가이드홈(122)을 형성시킨 섀시(121)와, 상기 섀시(121)의 가이드홈(122)에 결합시켜 상하 이동이 자유롭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하작동구(130)와, 상기 상하작동구(130)의 상면에 안치시켜 체결하는 선반(140)으로 구성하여 책장의 선반을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가 원하는 높이에 선반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서랍 등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측 면에 수직으로 "T"홈을 2개 이상 형성시킨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T"홈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수직으로 가이드홈을 형성시킨 섀시와,
    상기 섀시의 가이드홈에 결합시켜 상하 이동이 자유롭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하작동구와,
    상기 상하작동구의 상면에 안치시켜 체결하는 선반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후단에 "T"홈에 걸리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의 좌우에 지지편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단에 전면으로 투입용홈을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는 수평으로 삽입공을 형성시키고 삽입공에 고정볼트를 삽입하되 고정볼트를 체결하는 너트를 섀시의 가이드홈 내부에 투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섀시의 지지편 밀착면에 요철부 형성시키거나 거칠게 성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하작동구의 상측에는 수평상태의 안치편을 형성하고 지지편에 체결공을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에 서랍용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에 걸이구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절장치.
KR1019980010903A 1998-03-28 1998-03-28 선반 조절장치 KR19990076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03A KR19990076187A (ko) 1998-03-28 1998-03-28 선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03A KR19990076187A (ko) 1998-03-28 1998-03-28 선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87A true KR19990076187A (ko) 1999-10-15

Family

ID=6586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903A KR19990076187A (ko) 1998-03-28 1998-03-28 선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268A (ko) * 2018-02-09 2020-07-20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직동 안내 장치 및 직동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268A (ko) * 2018-02-09 2020-07-20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직동 안내 장치 및 직동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68600B2 (en) 2018-02-09 2022-03-08 Thk Co., Ltd. Linear motion guid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ar motion guid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2186B1 (en) Fastening device
US5222791A (en) Securing apparatus for the front panel of a drawer
US8844210B2 (en) Upmount overhead brackets for office partition systems
US5570941A (en) Supporting rail fitting or assembly for drawer
JPH0870940A (ja) 組立式書架
KR19990076187A (ko) 선반 조절장치
JP4388508B2 (ja) 収納棚
JP3760867B2 (ja) 収納ラック
KR100515223B1 (ko) 선반의 설치간격 조절 구조
JP4388506B2 (ja) 棚板取付構造
JP4388507B2 (ja) 収納棚
JP2542263Y2 (ja) 引出し付き机
JPH0247856Y2 (ko)
JP4558993B2 (ja) 机上への支杆の取付構造
JPH0335169Y2 (ko)
JPH0221956Y2 (ko)
KR200355552Y1 (ko) 드레스룸
JP4616508B2 (ja) 横桟への棚板支持装置
JPH0535715Y2 (ko)
JP3838118B2 (ja) 収納ラックの棚受け板の取り付け構造
JPS6244669Y2 (ko)
WO1999038415A9 (en) Organ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S634444Y2 (ko)
JPH0565239U (ja) 吊戸棚の取付け構造
JP3479621B2 (ja) 自立型間仕切装置における安定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