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270A -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 Google Patents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270A
KR19990075270A KR1019980009361A KR19980009361A KR19990075270A KR 19990075270 A KR19990075270 A KR 19990075270A KR 1019980009361 A KR1019980009361 A KR 1019980009361A KR 19980009361 A KR19980009361 A KR 19980009361A KR 19990075270 A KR19990075270 A KR 1999007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type
accommodating
predetermined length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재
Original Assignee
장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재 filed Critical 장성재
Priority to KR101998000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5270A/ko
Publication of KR1999007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270A/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대형 쌕에 배낭형 쌕을 서로 결합시켜 평상 시에는 요대형 쌕만을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요대형 쌕내에 수납되어 있는 배낭형 쌕을 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요대형 쌕 뿐만이 아니라 배낭형 쌕을 동시에 그리고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소정 길이의 요대가 각각 형성된 수납 몸체부와, 수납 몸체부와 소정 길이의 요대 사이에는 연결부가 부착되며, 수납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의 상면부는 제 2 수납부의 저면부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제 2 수납부의 내측면부에 저부 모서리부가 결합되어 있는 배낭형 쌕이 제 2 수납부에 내설되며, 제 1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1 지퍼부가 수납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부설되며, 제 2 수납부를 개폐하여 배낭형 쌕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2 지퍼부가 수납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배낭형 쌕 내에 형성된 제 3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3 지퍼부가 배낭형 쌕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일단이 배낭형 쌕의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배낭형 쌕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멜빵이 형성되고, 일단이 배낭형 쌕의 또 다른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배낭형 쌕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또 다른 멜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본 발명은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대형 쌕(SACK)에 배낭형 쌕을 서로 결합시켜 평상 시에는 요대형 쌕만을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요대형 쌕내에 수납되어 있는 배낭형 쌕을 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요대형 쌕 뿐만이 아니라 배낭형 쌕을 동시에 그리고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쌕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부대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허리에 차는 요대형 쌕과 사람의 등에 멜빵을 부착하여 메는 배낭형 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되고 있는 요대형 쌕은 일반적으로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요대,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지퍼(ZIPPER)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요대형 쌕은 수납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요대를 사람의 허리 부근에 부착시킴으로써 착설되는데, 이렇게 착설된 쌕에 물건을 수납시키기 위하여 수납부상에 부설되어 있는 지퍼부를 개방한 다음에, 그 수납부내에 물건을 수납시키게 된다. 상기 수납부를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부상에 부설되어 있는 지퍼부를 폐쇄시킨다.
한편, 상술한 배낭형 쌕은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이 수납부의 일측면부에 멜빵이 부설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지퍼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멜빵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하나의 멜빵은 사람의 좌측 어깨에 착용되고, 또 다른 멜빵은 사람의 우측 어깨에 착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배낭형 쌕의 수납부에 물건을 수납시키기 위하여, 수납부상에 부설되어 있는 상기 지퍼부를 개방한 다음에, 상기 수납부상에 물건을 수납시키고 지퍼부를 닫음으로써 수납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에 물건이 수납된 배낭형 쌕을 착용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멜빵이 사람의 좌측 및 우측의 어깨에 각각 매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되는 종래의 요대형 쌕 및 배낭형 쌕은 그 작용이 각각 달라서 현재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 때문에 수요자는 각각에 대한 쌕을 구입하여야 하며, 또한, 각각의 쌕을 착용하여야만 되는 불편함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요대형 쌕은 수납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요대형 쌕을 착용하고 있는 수요자가 보다 많은 양의 물건을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가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요대형 쌕 및 배낭형 쌕이 가지고 있는 문제로 인하여, 상기 두 종류의 쌕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쌕이 현실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사정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요대형 쌕에 배낭형 쌕을 서로 결합시켜 평상 시에는 요대형 쌕만을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요대형 쌕내에 수납되어 있는 배낭형 쌕을 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요대형 쌕 뿐만이 아니라 배낭형 쌕을 동시에 그리고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양측에 소정 길이의 요대가 각각 형성된 수납 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 몸체부와 소정 길이의 상기 요대 사이에는 연결부가 부착되며,
상기 수납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의 상면부는 제 2 수납부의 저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2 수납부의 내측면부에 저부 모서리부가 결합되어 있는 배낭형 쌕이 상기 제 2 수납부에 내설되며,
상기 제 1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1 지퍼부가 상기 수납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제 2 수납부를 개폐하여 상기 배낭형 쌕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2 지퍼부가 상기 수납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배낭형 쌕 내에 형성된 제 3 수납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3 지퍼부가 상기 배낭형 쌕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일단이 상기 배낭형 쌕의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멜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낭형 쌕의 또 다른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멜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의 사용의 일례를 나타 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의 사용의 또 다른 일례 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상의 A-A' 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2상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요대 20 : 수납 몸체부
30 : 연결부 40 : 제 1 수납부
41 : 제 1 지퍼부 50 : 제 2 수납부
51 : 제 2 지퍼부 60 : 배낭형 쌕
70 : 제 3 수납부 71 : 제 3 지퍼부
72,73 : 멜빵 74 : 길이 조정부
75 : 걸이부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의 사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의 사용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상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상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에 소정 길이의 요대(10)가 각각 형성된 수납 몸체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 몸체부(20)와 소정 길이의 상기 요대(10) 사이에는 연결부(30)가 부착되며,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40)의 상면부는 제 2 수납부(50)의 저면부와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제 2 수납부(50)의 내측면부에 저부 모서리부가 결합되어 있는 배낭형 쌕(60)이 상기 제 2 수납부(50)에 내설되며,
상기 제 1 수납부(4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1 지퍼부(41)가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하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제 2 수납부(50)를 개폐하여 상기 배낭형 쌕(60)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2 지퍼부(51)가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배낭형 쌕(60) 내에 형성된 제 3 수납부(7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3 지퍼부(71)가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일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멜빵(72)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또 다른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또 다른 멜빵(7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도 1 및 도 3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평상 시에는 요대형 쌕으로 이용되는데, 이렇게 이용하기 위해서 배낭형 쌕(60)은 수납 몸체부(20)의 제 2 수납부(50)에 수납되고, 이 제 2 수납부(50)는 수납 몸체부(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지퍼부(51)를 잠금으로써 폐쇄되게 함으로써, 제 2 수납부(50)에 수납되어 있는 배낭형 쌕(60)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배낭형 쌕(60)이 상기 제 2 수납부(50)에 수납되게 하기 위해서는 배낭형 쌕(60)의 재질이 얇은 천이나 비닐재, 또는 이와 유사한 직물지 등이 양호할 것이다. 왜냐하면 배낭형 쌕(60)은 그 부피를 작게 해서 제 2 수납부(50)에 수납되게 하기 위하여, 임의로 구긴 상태 또는 접은 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배낭형 쌕(60)을 상기 제 2 수납부(50)에 수납시킨 상태가 되면, 본 발명의 쌕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대형 쌕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요대형 쌕은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게 되는데, 즉 수납 몸체부(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요대(10)를 사람의 허리 둘레에 착용하거나, 상황에 따라 또 다른 부위에 착용함으로써 쌕을 사람의 몸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수납 몸체부(20)의 일측 하부에 부설되어 있는 제 1 지퍼부(41)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제 1 수납부(40)에 물건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 즉 요대형 쌕으로 본 발명의 쌕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요대(10)와 수납 몸체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서로 결합(이러한 결합을 위해 재봉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되게 함으로써 그 쌕을 착용하는데 있어 보다 유연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상기 요대(10)의 단부상에는 클립(11)을 구비하여 요대(10)의 착탈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또 다른 형태, 즉 배낭형 쌕으로도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몸체부(20)의 일측 상부에 부설되어 있는 제 2 지퍼부(51)를 개방하여 배낭형 쌕(60)을 제 2 수납부(50)로부터 외부로 인출하여 접혀져 있는 배낭형 쌕(60)을 펼친다. 이렇게 외부로 인출된 배낭형 쌕(60)의 내부에는 제 3 수납부(7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3 수납부(70)에 물건을 수납시키기 위하여 배낭형 쌕(60)의 일측 상부에 부설되어 있는 제 3 지퍼부(71)를 개방하게 된다. 배낭형 쌕(60)의 상기 제 3 수납부(70)에 물건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3 지퍼부(71)를 폐쇄시키고, 배낭형 쌕(60)의 양측부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멜빵(72,73)을 사람의 어깨에 착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쌕은 배낭형 쌕으로도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낭형 쌕으로 이용되는데 있어서, 상기 멜빵(72,73)에는 멜빵 길이 조절부(7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쌕을 걸어 두기 위하여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에는 걸이부(7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은 상황에 따라 요대형 쌕 또는 배낭형 쌕으로 혼용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 범위가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요대형 쌕 자체가 가지고 있는 수납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여 수요자가 보다 많은 양의 물건을 별도의 수단 없이도 배낭형 쌕에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요대형 쌕 및 배낭형 쌕을 서로 분리하여 소지하는 불편함을 예방할 뿐만이 아니라, 요대형 쌕, 즉 본 발명의 수납 몸체부에 배낭형 쌕이 항시 수납되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수납되는 물건의 부피 및 양에 따라 배낭형 쌕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아울러, 배낭형 쌕의 멜빵과 요대형 쌕의 요대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물건을 수납하여 운송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양측에 소정 길이의 요대(10)가 각각 형성된 수납 몸체부(20)와, 상기 수납 몸체부(20)와 소정 길이의 상기 요대(10) 사이에는 연결부(30)가 부착되는 요대형 쌕 및 일단이 배낭형 쌕(60)의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멜빵(72)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또 다른 하부 일측면부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배면부상에 부착되는 또 다른 멜빵(73)이 형성되어 있는 배낭형 쌕에 있어서,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40)의 상면부는 제 2 수납부(50)의 저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2 수납부(50)의 내측면부에 저부 모서리부가 결합되어 있는 배낭형 쌕(60)이 상기 제 2 수납부(50)에 내설되며, 상기 제 1 수납부(4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1 지퍼부(41)가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하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제 2 수납부(50)를 개폐하여 상기 배낭형 쌕(60)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2 지퍼부(51)가 상기 수납 몸체부(20)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며, 상기 배낭형 쌕(60) 내에 형성된 제 3 수납부(7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소정 길이의 제 3 지퍼부(71)가 상기 배낭형 쌕(60)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KR1019980009361A 1998-03-18 1998-03-18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KR1999007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361A KR19990075270A (ko) 1998-03-18 1998-03-18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361A KR19990075270A (ko) 1998-03-18 1998-03-18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270A true KR19990075270A (ko) 1999-10-15

Family

ID=6590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361A KR19990075270A (ko) 1998-03-18 1998-03-18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52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1195A1 (en) * 2011-11-10 2013-05-16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US9510661B2 (en) 2011-11-10 2016-12-06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US9801451B2 (en) 2011-11-10 2017-10-31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1195A1 (en) * 2011-11-10 2013-05-16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KR20140092856A (ko) * 2011-11-10 2014-07-24 씽크 탱크 포토, 인코포레이티드 백팩 및 웨이스트 백 휴대 시스템
US9510661B2 (en) 2011-11-10 2016-12-06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US9801451B2 (en) 2011-11-10 2017-10-31 Think Tank Photo, Inc.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6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briefcase to carry a supplemental bag
US20060153477A1 (en) Bag with pocket for containing shoulder belt
US9635914B2 (en) Sling bag with strap fastening arrangement
GB2260687A (en) Multipurpose bag and baby carrier
US20100133310A1 (en) Personal Gear Sling Carrier
RU2415619C2 (ru) Карман, снабженный закрепляющей деталью
US10368619B2 (en) Travel bag
US4164308A (en) Lady's handbag
US20040222059A1 (en) Combination carrying bag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KR19990075270A (ko) 요대형 및 배낭형 혼용 쌕
EP2399480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JP6071921B2 (ja) マルチウェイバッグ
JP2009189430A (ja) リュックサック
KR200403400Y1 (ko)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CN209807325U (zh) 可与拉杆箱配合使用的收纳桶
JP2021112450A (ja) バッグ
JP3202696U (ja) バッグ
KR20200033357A (ko)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KR102627475B1 (ko) 가방
CN212937948U (zh) 一种多功能西装服饰
KR200168534Y1 (ko) 배낭
JP3231163U (ja) リュックサック
JP3222882U (ja) バッグ
JP3089092U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