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187A -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187A
KR19990075187A KR1019980009258A KR19980009258A KR19990075187A KR 19990075187 A KR19990075187 A KR 19990075187A KR 1019980009258 A KR1019980009258 A KR 1019980009258A KR 19980009258 A KR19980009258 A KR 19980009258A KR 19990075187 A KR19990075187 A KR 1999007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information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user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176B1 (ko
Inventor
유진희
추희정
위선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1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확인 및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가 급히 통신과 접속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가 있는 장소로부터 이동해야 하는 경우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일시에 텍스트 파일로 개인용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은 후 외부 통신포트를 통해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연결시켜서 상기 파일을 PDA로 다운로드 시킴으로써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에도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확인하거나 작성할 때 이용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이하 "PDA"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A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PDA란 종래의 전자수첩과 같은 형태에 통신기능을 부가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컴퓨팅기능과 통신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주소록, 전화수첩, 스케줄 관리, 메모 등 개인의 정보를 정리하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이나 팩스 통신 등에 의한 정보의 수집이나 교환이 가능하며 그 이용분야는 사용자의 계층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또한 근래에 들어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면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이하 "PC"라 함),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각종 사무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는 통신포트가 구비되어서 상기 각종 사무기기와 연결하여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부가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상기 중에서 PDA는 특히 PC와 연결됨으로써 각종 필요한 문서파일을 PC로 업로드(Upload)하거나 PC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비교적 소형인 PDA의 기동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들고 다니기에는 크기가 커서 기동성은 떨어지지만 많은 용량의 일을 처리할 수 있는 PC와의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나 요즘은 인터넷의 급증으로 인해 PC를 소유한 사용자 상호간에 전자메일의 송/수신이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수신된 전자메일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해야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전자메일이 많은 경우에는 전자메일을 확인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급히 상기 통신과 접속할 수 있는 장소를 떠나야 하는 경우에는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미처 다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한 전자메일을 PDA에 다운로드 시켜서 이동중에도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도모될것으로 기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PC를 이용해 통신에 접속함으로써 가능하였다. 이때 수신된 전자메일이 많은 경우에는 전자메일의 내용을 모두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급히 상기 통신과 접속하고 있는 PC가 있는 장소를 떠나야 할 경우에는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미처 다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D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급히 통신과 접속하고 있는 PC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도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모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DA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확인함에 있어서, 전자메일의 내용을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포트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전자메일을 확인하는 처리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처리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급히 통신과 접속하고 있는 PC가 있는 장소로부터 이동해야 하는 경우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일시에 텍스트(Text) 파일로 PC로 다운로드 받은 후 외부 통신포트를 통해 PDA를 연결시켜서 상기 텍스트 파일을 PDA로 다운로드 시킴으로써 상기 PDA를 이용하여 이동중에도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포트를 통해 PC와 연결된 PDA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PDA(120)의 중앙처리장치(100)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PDA(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1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사용자와 PDA(120)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가지는 키패널(Key Panel) 또는 터치패널(Touch Panel)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한다. 표시부(104)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PDA(12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모뎀(106)은 외부로부터의 통신데이터 또는 팩스데이터를 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108)는 RS-232C와 같은 시리얼 통신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시리얼 통신포트를 통하여 PC(122)와 PDA(12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음성처리부(112)는 PC(122)로부터 텍스트 파일로 전송되어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합성하여 스피커(114) 및 이어폰(118)을 통해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116)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메일을 위한 텍스트 파일로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PC(122)는 인터넷(124)과 접속되어 인터넷(124)의 메일서버(Mail Server)를 통해 전송되는 전자메일을 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의 메일서버로부터 PC에 수신된 전자메일을 PDA에 다운로드하여 PDA를 통해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10)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에게 수신된 전자메일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PC(122)를 이용해 인터넷(124)에 접속한 후 메일서버와 연결하여 수신된 전자메일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수신된 전자메일이 있으면 사용자는 수신된 전자메일을 하나씩 디스플레이시켜서 읽어보게 된다. 그런데 종종 사용자는 시간이 없어서 수신된 전자메일을 모두 확인하지 못하고 외출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이동중에라도 전자메일을 모두 확인하고 싶을 때는 메일서버로부터 PC(122)로 모든 전자메일을 일시에 텍스트 파일로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PDA(120)를 PC(122)에 연결시킨 후 PDA(120)의 키입력부(102)를 통해 상기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하기 위한 키를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PDA(120)의 중앙처리장치(100)는 (200)단계에서 상기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키입력에 응답하여 (202)단계로 진행하여 PC(122)로부터 상기 지정된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메모리부(110)에 저장시킨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00)는 (204)단계에서 다운로드가 완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202)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상기 (202)∼(204)단계를 수행하고, 이와 달리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면 (206)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PDA(120)에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PDA(120)에는 상기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드로 전자메일 읽기모드와 전자메일 듣기모드가 구비되는데 전자메일 읽기모드는 PDA(120)의 표시부(104)로 전자메일의 내용을 문자로 디스플레이시켜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하는 모드이고, 전자메일 듣기모드는 PDA(120)에 구비되는 스피커(114)를 통해 전자메일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전자메일 읽기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206)단계에서 (208)단계로 진행하여 전자메일의 내용을 표시부(104)에 문자로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자가 전자메일 듣기모드를 선택하였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210)단계에서 (212)단계로 진행하여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메모리부(110)로부터 독출하고, (214)단계로 진행해서 음성처리부(112)를 제어하여 상기 독출된 전자메일의 내용을 음성으로 합성한 후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자메일 읽기모드 및 전자메일 듣기모드가 모두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PDA(120)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전자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DA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처리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10)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PDA(120)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작성하기 위해 PDA(120)에서 전자메일 쓰기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전자메일 쓰기모드라 함은 사용자가 마이크(116)를 통해 상대방에게 보낼 전자메일을 음성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하기 위해 PDA(120)에 미리 설정된 모드를 의미한다. 그러면 PDA(120)의 중앙처리장치(100)는 도 3의 (300)단계에서 전자메일 쓰기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전자메일 쓰기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해당동작을 수행하며, 전자메일 쓰기모드가 선택되었으면 (304)단계로 진행한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30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11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12)를 제어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메일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텍스트 파일로 저장시킨 사용자는 이후에 상기 PDA(120)를 PC(122)에 연결하여 PC(122)로 업로드 시킴으로써 상기 PC(122)와 연결된 인터넷(124)을 통해 상대방 PC로 전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PDA(120)를 PC(122)에 연결하여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 업로드를 위한 키를 입력시키면 중앙처리장치(100)는 이에 응답하여 (308)단계에서 (31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PC(122)로 전송한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0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310)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상기 (310)∼(312)단계를 수행하고, 전송이 완료되었으면 전송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PDA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음성으로 전자메일을 작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PC를 통해 좀더 빨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니텔, 나우누리, 천리안 등 국내에서 사용하는 네트위크 또는 회사내에서 사용하는 LAN망에서의 전자메일 송/수신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도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전자메일을 미리 작성할 수 도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메일의 내용을 음성으로 들을 수 도 있고 음성으로 전자메일을 작성할 수 도 있어서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포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인가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키가 입력되면 메일서버로부터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상기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부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전자메일 읽기모드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인가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메일 읽기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전자메일의 내용을 표시부에 문자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전자메일 듣기모드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인가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메일 듣기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전자메일 텍스트 파일을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한 후 음성합성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3.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포트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인가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전자메일 쓰기모드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인가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메일 쓰기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메일 쓰기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텍스트 파일을 상기 통신포트로 연결된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인가받으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파일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KR1019980009258A 1998-03-18 1998-03-18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KR10029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258A KR100296176B1 (ko) 1998-03-18 1998-03-18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258A KR100296176B1 (ko) 1998-03-18 1998-03-18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187A true KR19990075187A (ko) 1999-10-15
KR100296176B1 KR100296176B1 (ko) 2001-08-07

Family

ID=3752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258A KR100296176B1 (ko) 1998-03-18 1998-03-18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80A (ko) * 2001-02-28 2002-09-05 (주) 엘지텔레콤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의 이메일 첨부파일 전송방법
KR20030033498A (ko) * 2001-10-23 2003-05-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텍스트/음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1944B1 (ko) * 2000-02-29 2007-10-3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44B1 (ko) * 2000-02-29 2007-10-3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KR20020069880A (ko) * 2001-02-28 2002-09-05 (주) 엘지텔레콤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의 이메일 첨부파일 전송방법
KR20030033498A (ko) * 2001-10-23 2003-05-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텍스트/음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176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8653A1 (en) Workstation system, computer, data transfer method, data editing method, computer program gene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6980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conversion
US8620274B2 (en) Serv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updating method in the same
CA2286043A1 (en) Personal audio message processor and method
KR20000072493A (ko)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사용자 컴퓨터의터미널로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
KR10029617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메일 확인 및 작성방법
US6081828A (en) Computer system, and host computer and portable terminal suitable for the system
JP2006254119A (ja) 携帯通信端末連携システム
KR20020036136A (ko)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에서 편집한 데이터를데이터베이스로 공유하여 송/수신하는 시스템
JPWO2010110188A1 (ja) 通信端末制御システム
JP2000134311A (ja) Eメールを用いた携帯電話機の電話帳作成方法
US20020143723A1 (en) Personal data assistant (PDA) using a remote server for processing
KR20010097580A (ko) 인터넷을 이용해 단축번호별 전화번호부를 휴대폰에무선으로 자동 입력해주는 비즈니스모델
JP4487827B2 (ja) 携帯通信端末
WO2004070514A2 (en)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device
JP2005045630A (ja) 電子メール・サーバ
JP2002176484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497350B1 (ko) 일대일 통신기능을 갖는 컴퓨터
JP2002175133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それに装着する携帯通信端末と、接続用のケーブル
KR100652114B1 (ko) 고속 데이터 전송 모듈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전송방법
KR20100065448A (ko) 다양한 첨부파일 전송 방식을 갖는 전자 메일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297469A (ja) 携帯情報端末機
JPH11196215A (ja) 携帯端末の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及び装置
KR20030008901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그룹 컴퓨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방법
JPH1198248A (ja) 電話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