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009A -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009A
KR19990075009A KR1019980008960A KR19980008960A KR19990075009A KR 19990075009 A KR19990075009 A KR 19990075009A KR 1019980008960 A KR1019980008960 A KR 1019980008960A KR 19980008960 A KR19980008960 A KR 19980008960A KR 19990075009 A KR19990075009 A KR 1999007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nitial additional
idling
air amount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721B1 (ko
Inventor
정연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8000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7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F02D31/003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엔진의 공회전 운전상태의 공기량 제어에 있어서,
엔진의 공회전시 전기 부하나 파워 스티어링 작동 및 라이에이타 팬 작동시공회전수가 감소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공기량을 보상하기 위한 초기 추가 보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보정 시간 만큼 초기 추가 공기량을 구하여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을 공회전 스피드 콘트롤 기구에 더 추가하여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의 보상 후에 각 해당 부하량에 따라 정하여진 기본 공기량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전기장치의 동작을 정상상태(실내등이 어두워지는 현상등등)로 유지하고, 공회전 엔진 회전수의 급격한 저하 방지 및 공회전 안정도를 향상시키며, 공회전 피이드 백의 제어를 원활하게 하여 차량의 주행 성능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부하, 파워 스티어링 및 라디에이타 팬의 작동시 밧데리 전압강하
에 따른 유량 감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회전 회전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 있어서 공회전 상태란 엔진의 불완전한 진동을 최소화 시키면서 시동이 꺼지지 않을 정도의 공기와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가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여기서, 종래의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공회전 운전상태에서 전기부하(즉, 야간에 헤드 램프나 우천시윈도우 브러쉬나 열선 기능을 작동할 경우), 파워 스티어링 구동 혹은 라디에이타 팬을 작동할 경우에 갑작스런 부하 상승에 의해 엔진 알터네이타의 출력 전류가 저하되어 밧데리 전압강하에 따른 공기 유량이 감소하여 엔진의 공회전수가 감소하고, 따라서 엔진이 불완전한 연소를 하게되고 불완전한 연소에 따라 엔진이 심하게 진동을 하거나, 심지어는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런 조건은 주행거리가 많은 노화된 차량일수록 확률이 높다.
종래 기술은 이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작동시 이때 밧데리 전압이 약 1V(볼트) 정도의 전압강하가 2초 가량 발생하며 동시에 ECU 맵(MAP)에 저장된 데이터값인 공회전 목표회전수 900 RPM이 적용되면서 보정량(%) A 만큼 부하 해당 보정량의 유량이 상승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A 만큼 유량을 보상하여도 운전자로 하여금 공회전 회전수의 저하나 엔진 부하의 변동 및 전기 부하의 변화가 느껴지게 되었으며 특히, 스피드 댄서티(SPEED DENSITY) 방식의 흡기량 계측을 하는 싱글 코일(SINGLE COIL) 타입의 공회전 바이패스 콘트롤 솔레노이드는 전류에 의해 유량 변동이 심하므로 가솔린 엔진의 정확한 공회전 제어가 어려워 실제 엔진의 원활한 공회전 작동상태와는 많은 차이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부하, 파워스티어링 부하 및 라디에이타 팬의 작동에 따른 공회전 회전수의 저하를 방지하여 공회전 안정도를 향상시키며 공회전 피이드 백 제어를 원활하게 하여 정확한 공회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공회전시 유량 제어 도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공회전시 유량 제어 도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의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부하 해당 보정량 B: 초기 추가 보정량
T: 초기 추가 보정 시간 ISC: 공회전 스피드 콘트롤
RPM: 엔진 회전수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은, 엔진의 공회전시 전기 부하나 파워 스티어링 작동 및 라디에이타 팬 작동시 공회전수가 감소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공기량을 보상하기 위한 초기 추가 보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보정 시간 만큼 초기 추가 공기량을 구하여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을 공회전 스피드 콘트롤 기구에 더 추가하여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의 보상 후에 각 해당 부하량에 따라 정하여진 기본 공기량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이 엔진의 공회전시 전기 부하나 파워 스티어링 작동 및 라디에이타 팬 작동시 공회전수가 감소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공기량을 보상하기 위한 초기 추가 보정 시간(T)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보정 시간(T) 만큼 초기 추가 공기량(B)을 구하여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B)을 공회전 스피드 콘트롤(ISC) 기구에 더 추가하여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B)의 보상 후에 각 해당 부하량에 따라 정하여진 기본 공기량(A)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가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작동되면 유량의 보정량(%)은 부하 해당 보정량(A)에 초기 추가 보정 시간(T : 0.5초 정도)만큼 늘어난 초기 추가 보정량(B)를 합한 총보정량(C)의 유량이 공급됨으로서 엔진회전수의 저하되는 양을 줄일 수가 있고, 줄었다가 복귀되는 시간도 종래 방식보다는 단축 되었으며, 밧데리 전압강하도 작아 졌으며, 밧데리 전압의 복귀되는 시간도 단축되었다.
결국, 운전자에게 부하 변동에 의한 엔진의 떨림이나 차량 주행성의 변화나 전기 장치의 부하 강하가 없어지므로 공회전의 피이드 백 제어를 원할하게 해 줌으로서 차량 주행 상태가 안정성을 갖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을 때, 운전자의 조건에 따라 전기부하가 갑자기 상승하거나 혹은 파워 스티어링이 동작하거나 라디에이타 팬이 동작하여 엔진에 부하가 걸려 엔진 발전기의 출력 전류가 저하되어 밧데리 전압이 강하될 때 공회전수는 저하되며, 엔진이 정지할 수도 있고, 엔진의 떨림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엔진회전수가 저하될 때 ECU는 판단하여 초기 추가 보정 시간(T)를 제어하여 초기 추가 보정량(B) 만큼 공기량을 결정하고 또한, 각 부하별로 정하여진 기본 공기량(A)을 ECU로부터 제어 받는다.
그래서, 총보정량(C)은 상기 기본 공기량(A)에 초기 추가 보정량(B)을 합한 공기량이 되며, 상기 총보정량(C)이 스로틀 바디의 바이 패스 라인에 있는 스피드 액츄에이터를 통해 추가 공기를 보상함으로 도 2에 도시된 엔진회전수 그래프 처럼 공회전의 목표 회전수(900RPM)에 다시 복원하는 시간이 종래 기술보다 많이 단축되었으며 변화폭도 줄게 되었다.
따라서, ECU 맵(MAP)에 의해 단계별로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이 과정을 통하여 공기 유량 및 연료 유량이 조절되며,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술로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종래에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은 밧데리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차량의 전기장치의 동작을 정상상태(실내등이 어두워지는 현상 등등)로 유지하며, 공회전 엔진 회전수의 급격한 저하 방지 및 공회전 안정도를 향상시키며, 공회전 피이드 백의 제어를 원활하게 하여 차량의 주행성능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엔진의 공회전 운전상태의 공기량 제어에 있어서,
    엔진의 공회전시 전기 부하나 파워 스티어링 작동 및 라이데이타 팬 작동시공회전수가 감소할 때 일정 시간 동안 공기량을 보상하기 위한 초기 추가 보정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보정 시간 만큼 초기 추가 공기량을 구하여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을 공회전 스피드 콘트롤(ISC) 기구에 더 추가하여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추가 공기량의 보상 후에 각 해당 부하량에 따라 정하여진 기본 공기량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의 공회전 제어 방법.
KR1019980008960A 1998-03-17 1998-03-17 가솔린엔진의공회전제어방법 KR10030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60A KR100300721B1 (ko) 1998-03-17 1998-03-17 가솔린엔진의공회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60A KR100300721B1 (ko) 1998-03-17 1998-03-17 가솔린엔진의공회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09A true KR19990075009A (ko) 1999-10-05
KR100300721B1 KR100300721B1 (ko) 2001-10-27

Family

ID=3752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60A KR100300721B1 (ko) 1998-03-17 1998-03-17 가솔린엔진의공회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59B1 (ko) * 2000-12-27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기부하 변동시 엔진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44A (ja) * 1983-06-30 1985-01-21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アイドルアツ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59B1 (ko) * 2000-12-27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기부하 변동시 엔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721B1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3375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EP07659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enerator for a vehicle
JP2010503581A (ja) 車両のハイブリッドドライブ機構の駆動方法
EP1013498A2 (en) Output control system for series hybrid vehicle
GB2256507A (en) Wheel slippage suppressive throttle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54446A (en) Idle revolution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27010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idle speed of an engine
KR100300721B1 (ko) 가솔린엔진의공회전제어방법
JP3395535B2 (ja)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JP3265496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流量調整装置
JP2007126968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772352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338195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2841440B2 (ja) 車両制御装置
JPH06249117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制御装置
KR100270048B1 (ko) 공회전시 운전영역별 최적공기량 적용 방법
JP3835094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232477B1 (ko) 자동차 엔진의 제어장치
JP2000002144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525642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KR100300701B1 (ko) 아이들알.피.엠제어방법
JP3648826B2 (ja) エンジン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総合制御装置
KR100254208B1 (ko) 아이들시 배터리 보상방법
JP4044636B2 (ja) 駆動ユニットの出力設定要素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5030335A (ja) 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