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745A - 다이캐스팅기계의다이캐스팅주형을통기시키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기계의다이캐스팅주형을통기시키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745A
KR19990072745A KR1019990005458A KR19990005458A KR19990072745A KR 19990072745 A KR19990072745 A KR 19990072745A KR 1019990005458 A KR1019990005458 A KR 1019990005458A KR 19990005458 A KR19990005458 A KR 19990005458A KR 19990072745 A KR19990072745 A KR 1999007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valve
vent valve
mold cavity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뷔저요안
구트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콘라드 바움가르트너
폰다렉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라드 바움가르트너, 폰다렉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콘라드 바움가르트너
Publication of KR1999007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14Machines with evacuated die cavity
    • B22D17/145Ve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기 위해, 주형 공동 및/또는 압력 챔버가 충전 작동 동안에 제1 통기 밸브 및 제2 통기 밸브에 의해 통기되는 것이 제안된다. 제1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 밖으로 안내하는 통기 채널과 연통하는 통기 채널부에 위치된다. 제1 통기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통기 밸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주물 재료에 노출되어 주물 재료에 의해 이동되는 충격 전달 부재가 제공된다. 제2 통기 밸브는 별개의 독립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폐쇄된다. 제2 통기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주조 피스톤이 충전 작동 동안에 지나는 경로의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DIECASTING MOULD OF A DIECASTING MACHINE}
본 발명은 압력 챔버 내에 위치하며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공동(cavity)으로 액체 주물 재료를 가압하도록 된 주조 피스톤이 제공된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 주형에는 주형 공동과 연통하며,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통기 밸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 채널이 제공된다. 충격 전달 부재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노출되어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완성된 주조 작업물 내의 포집된 공기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다이캐스팅 주형 및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공동은 각각 다이캐스팅 작업 동안에 통기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다이캐스팅 기계 및 다이캐스팅 주형의 공동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주물 재료로부터 배출된 가스도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킬 때, 가능하다면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주형 공동이 통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통기 밸브가 가능한 한 늦게 폐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편 액체 주물 재료가 통기 밸브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을 피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기 밸브를 갖는 통기 조립체가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설계의 도움으로, 매우 신속히 작동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밸브 조립체가 실현될 수 있다. 폐쇄 작동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충격 전달 부재에서의 램(ram) 압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통기 채널은 복귀부를 포함하며 단면적의 변화를 갖는다. 더욱이, 통기 채널은 충격 전달 부재와 통기 밸브의 실제 밸브 본체 부재 사이에서 임의의 최소 길이를 가져야 하며, 액체 주물 재료가 통기 밸브에 도달하기 전에 통기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모퉁이가 많다. 충격 전달 부재와 통기 밸브 사이에서 통하는 모퉁이가 많은 통기 채널의 설계에 의해, 주물 재료의 실제 유동을 인도하는 비산(splash)이 통기 밸브로 진입하여 통기 밸브를 차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한 밸브 조립체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체로 진공 펌프가 통기 밸브에 연결된다.
유럽 특허 출원 제0 612 573호에는 통기 채널, 통기 채널 내에 위치된 통기 밸브 및 통기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작동 수단으로 구성된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기 위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밸브 조립체가 기재되어 있다. 작동 수단은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노출된 충격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충격 전달 부재는 통기 밸브의 가동 폐쇄 요소에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충격 전달 부재는 통기 밸브의 가동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행정의 일부로 제한되는 작동 행정을 갖는 가압 부재로서 설계된다. 더욱이, 통기 밸브의 폐쇄 요소는 충격 전달 부재의 작동 행정을 넘는 경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작동 수단은 충격 전달 부재로부터 통기 밸브의 가동 폐쇄 부재로 충격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한 밸브 조립체는 실제로 매우 신뢰성 있게 작동된다할지라도 특히, 큰 체적을 갖는 주형 공동의 경우에 있어서 통기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통기 효율은 통기 채널 내의 단면적의 방향 전환 및 변화에 의해 특히 제한되는데, 이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배기된 가스에 대한 유동 저항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에 논의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통기 밸브 및 통기 채널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그러나, 모퉁이가 많은 설계로 인한 통기 채널의 유동 저항이 능률적인 통기를 방해하기 때문에 그러한 설계로 수행된 시험은 밸브 및 통기 채널의 단면적 증가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통기 밸브의 크기의 증가는 밸브 조립체의 가동 부품의 질량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통기 밸브를 폐쇄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이에 상응하여 증가하거나 통기 밸브의 폐쇄 시간은 요구되지 않는 긴 시간으로 증가한다. 더욱이, 통기 밸브 및 통기 채널의 단면적의 증가는 또한 요구되지 않는 밸브 조립체의 치수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통기 효율이 성취되며 여전히 신뢰성 있는 작동을 유지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력 챔버 내에 위치되며 액체 주물 재료를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공동으로 가압하도록 된 주조 피스톤이 제공된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이캐스팅 주형에는 주형 공동과 연통하며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채널이 제공된다. 충격 전달 부재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노출되며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이동된다. 그럼으로써, 주형 공동 및/또는 압력 챔버는 제1 통기 밸브 외에 제2 통기 밸브에 의해 충전 작동 동안에 통기된다. 제2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이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 폐쇄된다. 더욱이, 제1 통기 밸브는 통기 채널로 전진하며 충격 전달 부재를 가격하는 주물 재료에 의해 이후에 폐쇄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폐쇄되는 제2 통기 밸브가 제공되어 통기 효율과 관련한 평균 채널 단면적을 적어도 배가시킴으로써, 동시에 제2 통기 밸브로 안내하는 통기 채널부가 유동 저항이 관계하는 한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통기 효율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 통기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은 충전 작동의 개시 이후에 경과된 시간 또는 주조 피스톤의 위치 또는 주조 피스톤이 이동하는 경로 또는 압력 챔버의 충전율 또는 주형 공동의 충전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2 통기 밸브는 주물 재료가 통기 밸브까지 전진할 때 폐쇄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전에 논의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제1 통기 밸브 및 제2 통기 밸브로 구성된다. 제1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주물 재료에 노출되어 주물 재료에 의해 작동되도록 된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통기 밸브는 이러한 작동을 위한 분리 독립 수단을 포함한다.
도1은 다이캐스팅 주형과 다이캐스팅 주형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가 초기 위치에 있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개략 단면도.
도2는 다이캐스팅 주형과 다이캐스팅 주형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가 제1 작동 단계에 있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다이캐스팅 주형과 다이캐스팅 주형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가 제2 작동 단계에 있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개략 단면도.
도4는 다이캐스팅 주형과 다이캐스팅 주형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가 제3 작동 단계에 있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개략 단면도.
도5는 다이캐스팅 주형과 다이캐스팅 주형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가 제4 작동 단계에 있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개략 단면도.
도6은 밸브 조립체의 상세 평면도.
도7은 도6의 선 A-A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제1 단면도.
도8은 도6의 선 B-B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제2 단면도.
도9는 도6의 선 A-A에 따른 다이캐스팅 기계 내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a, 5b : 주형 절반부
10 : 밸브 조립체
11, 12 : 제1 및 제2 통기 밸브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기계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 기계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디자인 및 일반적인 작동 모드가 추가로 설명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본적인 이러한 특징 및 방법의 단계가 논의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기본 요소로서, 압력 챔버(1)와, 압력 챔버(1)의 내부에 위치되며 유압으로 구동되는 주조 피스톤(2)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압력 챔버(1)에는 압력 챔버(1)를 액체 주물 재료로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구멍(4)이 제공된다. 압력 챔버(1)의 출구 단부에는, 2개의 주형 절반부(mould halves)(5a, 5b)로 구성된 다이캐스팅 주형(5)이 위치된다. 연결 채널(6)은 압력 챔버(1)로부터 2개의 주형 절반부(5a, 5b) 사이에 위치된 주형 공동(8)까지 통한다. 다이캐스팅 주형(5)의 상부면에는, 밸브 조립체(10)가 배치된다. 통기 채널(9)은 밸브 조립체(10)와 주형 공동(8)을 상호연결한다. 밸브 조립체(10)에는 2개의 연결관(14, 15)에 의해 각각 진동 펌프(18)에 연결된 2개의 통기 밸브(11, 12)가 각각 제공된다. 각각의 연결관(14, 15)에는 비복귀 밸브(A, B)가 각각 제공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된 통기 밸브(11)는, 도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될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충격 전달 부재는 주형 공동(8)으로부터 통기 채널(9)로 전진하는 다이캐스팅 재료에 의해 작동된다. 제2 통기 밸브(12)는, 통기 밸브(12)와 제어 장치(19)를 연결하며 도1에 점선(16)으로 나타나 있는 분리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주조 피스톤(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 장치(19)에 연결된 센서(17)도 제공된다.
도2 내지 도5는 4개의 상이한 작동 단계에서의 다이캐스팅 기계와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작동 단계에서, 액체 주물 재료(G)는 충전 구멍(4)을 통해 압력 챔버(1)로 충전된다. 이후에, 주형 공동(8)으로의 액체 주물 재료(G)의 공급 작동이 개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조 피스톤(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향해, 즉 다이캐스팅 주형(5)을 향해 이동된다.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작동 단계에서, 압력 피스톤은 충전 구멍(4)이 폐쇄될 정도까지 다이캐스팅 주형(5)을 향해 이동되었다. 이 때에, 진공 펌프(18)는 기동되며, 2개의 비복귀 밸브(A, B)는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압력 챔버(1)와 주형 공동(8) 내의 가스가 2개의 개방된 비복귀 밸브(A, B)를 통해 각각 흡입되어 배기될 수 있다.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작동 단계에서, 압력 피스톤은 주조 피스톤(2)의 우측에 위치된 압력 챔버(1)의 일부가 액체 주물 재료(G)로 완전히 충전되는 정도까지 우측으로, 즉 다이캐스팅 주형(5)을 향해 이동되었다. 그러나, 액체 주물 재료는 주형 공동(8)에 아직 도달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제2 통기 밸브(12)는 폐쇄된다. 이러한 작동은 라인(16)을 통해 공압으로 수행된다.
압력 챔버(1)의 충전율은 공지되어 있으며 압력 챔버의 기하학적 형상, 충전된 액체 주물 재료(G)의 양 및 주조 피스톤(2)의 절대 위치를 각각 기초로 하여 계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2 통기 밸브(12)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주조 피스톤(2)의 절대 위치가 사용된다. 주형 공동(8)은 대체로 20 ms 내지 80 ms 내에 주물 재료(G)로 채워지기 때문에, 제2 통기 밸브(12)는 액체 주물 재료(G)가 주형 공동(8)으로 진입하기 전에 폐쇄된다. 액체 주물 재료(G)가 제2 통기 밸브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만 제2 통기 밸브(12)가 폐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것은 주형 공동(8)이 완전히 충전되어 주물 재료가 통기 채널(9)로 전진하자마자의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실제 주물 재료(G)를 인도하는 비산(splash)이 제2 통기 밸브(12)로 진입하여 제2 통기 밸브를 막히게 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서는 제2 통기 밸브(12)를 일찍 폐쇄하는 것이 고려된다. 더욱이, 제2 통기 밸브(12)를 일찍 폐쇄하는 것은, 임의의 작동 매개 변수의 변동이 밸브 조립체의 신뢰성 있는 작동 모드에 대해 중요하지 않다는 이점을 제공하며, 예컨대 압력 챔버(1)로 충전되는 액체 주물 재료(G)의 양의 변동과 같은 변동은 그러한 다이캐스팅 기계의 작동 원리에 의해 완화된다. 더욱이, 비교적 간단한 제어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제2 통기 밸브(12)의 정확한 폐쇄 시점은 임의의 개별적인 경우에 존재하는 작동 매개 변수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주조 피스톤(2)의 절대 위치 대신에, 주조 피스톤의 상대 위치도 제2 통기 밸브(12)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작동의 개시 이후에 경과된 시간, 압력 챔버(1)의 충전 레벨 또는 주형 공동(8)의 충전 레벨이 제2 통기 밸브(12)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예는 결코 궁극적인 것이 아니다.
제2 통기 밸브(12)가 폐쇄되었을 때, 진공 펌프(18)의 비복귀 밸브(A)는 폐쇄될 수 있다. 주형 공동(8) 내에 여전히 잔류하는 임의의 가스는 제1 통기 밸브(11)를 통해 각각 흡입되어 배기될 수 있다. 제1 통기 밸브(11)는 통기 채널(9)로 전진하는 주물 재료(G)가 도2 내지 도5에는 도시되지 않은 충격 전달 부재에 도달할 때까지 개방되어 있다.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충격 전달 부재는 제1 통기 밸브(11)의 밸브 본체 부재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밸브(11)는 이동하는 주물 재료(G)가 갖는 운동 에너지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제4 작동 단계는 도5에 도시된다.
도6은 밸브 조립체(10)의 상세 평면도를 도시한다. 밸브 조립체(10)로 통하는 통기 채널은 도면 부호(9)로 나타내며, 제1 통기 밸브(11)로 통하는 채널부는 도면 부호(9b)로 나타내며, 제2 통기 밸브(12)로 통하는 채널부는 도면 부호(9a)로 나타낸다. 제2 통기 밸브(12)로 통하는 채널부(9a)는 배기 가스에 대한 유동 저항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직선 형상으로 된다. 충격 전달 부재(20) 및 제1 통기 밸브(11)의 밸브 본체 부재(30)로 통하는 채널부(9b)에는 모퉁이가 많다. 채널부(9b)의 이러한 설계는 주물 재료가 밸브 본체 부재(30)까지 도달하기 전에 밸브 본체 부재(30)가 적시에 폐쇄 위치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실제 주물 재료(G)를 인도하는 주물 재료의 비산을 막고 주물 재료(G)의 유동이 충격 전달 부재(20)에 도달한 후에 주물 재료의 유동을 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충격 전달 부재(20)는 채널부(9b)의 측면 지부(9c)의 단부에 위치된다. 더욱이, 감쇠 챔버(9d)는, 충격 전달 부재(20)와 충격 전달 부재(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요소에 대해 요구되는 충격 압력이 설정될 수 있는 충격 전달 부재(20)의 영역에 제공된다. 더욱이, 도6에서는 볼 수 없는 스프링 조립체를 편의시키기 위해 제공된 2개의 푸시 로드(38, 39)가 도시되어 있다.
도7은 도6의 선 A-A에 따른 밸브 조립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밸브 조립체(10)는 휴지 위치에 있다. 더 상세한 이해를 위해, 공통 수직면에 위치된 2개의 푸시 로드(38, 39)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는, 충격 전달 부재(20), 밸브 채널(34) 내에 수용된 밸브 본체 부재(30) 및 2개의 푸시 로드(38, 39) 외에, 스프링 부재(25)에 의해 편의된 작동 피스톤(24), 포핏 밸브(27), 구동판(23), 압력판 부재(35) 및 스프링 조립체(36)도 나타나 있다. 밸브 본체 부재(30)는 통기 채널부(9b)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밸브 본체 부재(30) 상에 위치되어 진공 펌프(18)에 연결된 출구 채널(41)로 진입하기 위해 통과할 수 있는 축방향 리세스(33)가 제공된 칼라(32)를 포함한다. 충격 전달 부재(20)에는 후방으로의 이동시에 구동판(23)과 결합하는 칼라(21)가 제공된다. 구동판(23)의 상부면은 밸브 본체 부재(30)와 결합하며, 구동판의 하부면은 작동 피스톤(24)과 결합한다. 구동판의 배면 상에, 압력판 부재(35)에 의해 충격 전달 부재(20)뿐만 아니라 밸브 본체 부재(30)와 작동 피스톤(24)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휴지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조립체(36)가 위치된다. 스프링 조립체(36)는 구동판(23)을 통과하는 푸시 로드(38, 39)에 의해 다이캐스팅 기계 내에 밸브 조립체를 장착할 때 편의된다. 따라서, 충격 전달 부재(20)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충격 전달 부재를 가격하는 주물 재료(G)의 운동 에너지의 영향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충격 전달 부재(20)의 폐쇄 이동 경로는 밸브 본체 부재(30) 및 작동 피스톤(24)의 폐쇄 이동 경로의 일부로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주물 재료(G)로부터 가동 부품(20, 23, 24, 30)으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는 임의의 적절한 한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밸브 본체 부재(30)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충격 전달 부재(20)는 충격 운동량을 전달해야만 한다. 이러한 충격 운동량에 의해, 구동판(23)은 밸브 본체 부재(30) 및 작동 피스톤(24)과 함께 최종 위치까지 아이들링 방식으로 이동된다. 폐쇄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작동 피스톤(24), 구동판(23) 및 밸브 본체 부재(30)를 최종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작동 피스톤(24)은 공기 채널(28)을 통해 공급된 가압 공기에 의한 공압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작동 피스톤(24)이 포핏 밸브(27)를 떠나자마자 작동 피스톤의 전체 전방면은 가압 공기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각각 폐쇄 이동은 지지되며, 작동 피스톤(24)은 최종 위치에 유지된다.
도8은 도6의 선 B-B에 따른 밸브 조립체(10)의 제2 통기 밸브(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통기 밸브(12)는 폐쇄 피스톤(45), 구동판(48), 압력판(49), 2개의 스프링 부재(50, 51)뿐만 아니라 밸브 채널(54) 내에 수용된 밸브 본체 부재(52)를 포함한다. 다시, 가동 폐쇄 피스톤(45)에는 후방 이동시에 구동판(48)과 결합하는 칼라(46)가 제공된다. 구동판(48)은 밸브 본체 부재(52)를 상부면과 결합시킴으로써, 밸브 본체 부재(5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판(48)은 밸브 본체 부재(52) 및 폐쇄 피스톤(45)과 함께 2개의 스프링 부재(50, 51)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다. 밸브 본체 부재(52)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 매체는 폐쇄 피스톤(45)으로 안내하는 채널(44)을 통해 공급된다. 그러한 압력 매체는 폐쇄 피스톤(45)의 전방면 상에 작용하여 폐쇄 피스톤을 구동판(48) 및 밸브 본체 부재(52)와 함께 단부 정지 부재를 향해 후방으로 스프링 부재(50)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그럼으로써, 밸브 채널(54)로 전진하는 밸브 본체 부재(52)의 헤드(53)는 밸브 채널(54)을 밀봉한다.
제2 통기 밸브(12)가 분리 독립 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으로 인해, 통기 밸브(12)로 통하는 통기 채널부(9a)는 직선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유동 저항이 매우 낮다. 그러나, 제2 통기 밸브(12)는 주물 재료가 제2 통기 밸브까지 전진하기 전에 폐쇄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9는 2개의 주형 절반부(5a, 5b)로 구성된 다이캐스팅 주형(5) 상에 장착된 밸브 조립체의 도6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9에 도시된 장착 위치에서, 스프링 조립체(36)는 다이캐스팅 주형(5) 중 하나의 주형 절반부(5b)에 대해 맞닿는 2개의 푸시 로드(38, 39)에 의해 편의된다. 더욱이, 밸브 본체 부재(30)는 개방 상태, 즉 작동 피스톤(24)의 스프링 부재(25)의 영향 하에 있다. 따라서, 주형 공동(8) 내의 가스는 도9의 화살표(57)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통기 채널(9) 및 밸브 채널(34)을 통해 출구 채널(41)로 유동할 수 있다. 주물 재료(G)가 충격 전달 부재(20)에 도달하자마자, 충격 전달 부재는 전방면을 가격하는 주물 재료의 충격으로 단부 정지부로 신속히 이동된다. 충격 전달 부재(20) 상에 제공된 칼라(21)는 이러한 충격력을 구동판(23)으로 전달한다. 충격 전달 부재가 단부 위치에 도달하여 밸브 본체 부재(30) 및 작동 피스톤(24)과 함께 폐쇄 스프링 부재(25)에 대항하여 계속 이동하자마자 구동판(23)은 충격 전달 부재(20)로부터 구동판(23)에 전달된 운동 에너지의 영향으로 충격 전달 부재로부터 해제된다. 그럼으로써, 통기 밸브(11)는 폐쇄되며, 밸브 본체 부재의 헤드(31)는 밸브 채널(34)로 전진한다. 통기 밸브(11)의 폐쇄 이동은 폐쇄 피스톤(24)에 영향을 주는 압력 매체의 힘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한 압력 매체는 폐쇄 피스톤이 제어 밸브(27)로부터 해제되자마자 폐쇄 피스톤(24)의 전체 전방면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통기 밸브(11)의 폐쇄 이동에 대해 요구되는 에너지가 주형 공동(8)으로부터 통기 채널(9)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G)에 의해 상승되므로, 통기 밸브(11)는 작동 피스톤(24)의 지지없이도 대체로 폐쇄될 수 있다.
주물 재료(G)의 경화 후에, 주형(5)의 우측 주형 절반부(5b)가 제거된다. 그럼으로써, 공기 게이트는 스프링 조립체(36)의 영향을 받는 2개의 푸시 로드(38, 39)에 의해 방출된다.
전술한 밸브 조립체(10)에 의해, 통기 효율은 통상의 통기 밸브 조립체에 비해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동시에 밸브 조립체가 실질적으로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 있는 작동 모드는 2단계 통기 방법에 의해 보장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하나의 통기 밸브(12)가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분리 독립 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다른 통기 밸브(11)는 주형 공동(8)으로부터 통기 채널(9)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작동된다.
압력 챔버 내에 위치되며 액체 주물 재료를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공동으로 가압하도록 된 주조 피스톤이 제공된 본원 발명의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에는, 주형 공동과 연통하며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채널이 제공되며, 충격 전달 부재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노출되며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주형 공동 및/또는 압력 챔버는 제1 통기 밸브 외에 제2 통기 밸브에 의해 충전 작동 동안에 통기되며, 제2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이 완전히 채워지기 전에 폐쇄된다. 더욱이, 제1 통기 밸브는 통기 채널로 전진하며 충격 전달 부재를 가격하는 주물 재료에 의해 이후에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폐쇄되는 제2 통기 밸브가 제공되어 통기 효율과 관련한 평균 채널 단면적을 적어도 배가시킴으로써, 동시에 제2 통기 밸브로 안내하는 통기 채널부가 유동 저항이 관계하는 한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통기 효율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압력 챔버 내에 위치되며 액체 주물 재료를 다이캐스팅 주형의 주형 공동으로 가압하기에 적합한 주조 피스톤이 제공된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다이캐스팅 주형에는 주형 공동과 연통하며,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액체 주물 재료에 노출되며 액체 주물 재료에 의해 이동되는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채널이 제공됨-을 통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주형 공동 및/또는 압력 챔버는 충전 작동 동안에 제1 통기 밸브 외에 제2 통기 밸브에 의해 통기되며, 제2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이 완전히 충전되기 전에 폐쇄되며, 제1 통기 밸브는 통기 채널로 전진하며 충격 전달 부재를 가격하는 주물 재료에 의해 이후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통기 밸브는 별개의 독립 작동 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제2 통기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기준은 충전 작동의 개시 이후에 경과된 시간, 또는 주조 피스톤의 위치, 또는 주조 피스톤이 이동하는 경로, 또는 압력 챔버의 충전율, 또는 주형 공동의 충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의 반 이상이 주물 재료로 충전되기 전에, 양호하게는 주물 재료가 압력 챔버로부터 주형 공동으로 전진하기 전에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4.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 작동을 지지하기 위해 통기 채널 내에 진공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통기 밸브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기계의 다이캐스팅 주형을 통기시키는 방법.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통기 밸브와 제2 통기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기 밸브는 주형 공동으로부터 통기 채널로 전진하는 주물 재료에 노출되며 주물 재료에 의해 작동하도록 된 충격 전달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통기 밸브는 작동을 위한 별개의 독립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통기 채널의 직선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기 밸브는 통기 채널의 상기 직선 부분의 단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모퉁이가 많은 추가 통기 채널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통기 밸브는 상기 추가 통기 채널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채널의 직선 부분 및 상기 추가 통기 채널부는 공통 통기 채널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채널의 직선 부분의 단면적은 상기 추가 통기 채널부의 평균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전달 부재는 모퉁이가 많은 상기 추가 통기 채널부에 위치되며, 상기 충격 전달 부재는 주물 재료의 유동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통기 밸브 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전달 부재는 제1 통기 밸브의 밸브 본체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행정의 일부로 제한되는 작동 행정을 갖는 가압 부재로서 설계되며, 제1 통기 밸브의 밸브 본체 부재는 충격 전달 부재의 작동 행정을 넘는 경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2개의 통기 밸브의 2개의 밸브 본체 부재 각각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편의되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한 부분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또는 주조 피스톤이 지난 경로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또는 충전 작동의 개시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또는 주형 공동의 충전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05458A 1998-02-19 1999-02-18 다이캐스팅기계의다이캐스팅주형을통기시키는방법및장치 KR19990072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9998 1998-02-19
CH19980399/98 1998-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745A true KR19990072745A (ko) 1999-09-27

Family

ID=418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458A KR19990072745A (ko) 1998-02-19 1999-02-18 다이캐스팅기계의다이캐스팅주형을통기시키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98903B1 (ko)
EP (1) EP0937524A1 (ko)
JP (1) JPH11320068A (ko)
KR (1) KR19990072745A (ko)
CN (1) CN1096905C (ko)
AU (1) AU750419B2 (ko)
BR (1) BR9900736A (ko)
CA (1) CA2262193C (ko)
PL (1) PL331547A1 (ko)
SK (1) SK21599A3 (ko)
TW (1) TW3897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46974T1 (de) * 1999-01-06 2003-08-15 Fondarex Sa Ventileinrichtung
CN1093015C (zh) * 2000-08-31 2002-10-23 谭廷清 带有排气通道的压铸模及其模芯间隙参数确定方法
KR20030004001A (ko) * 2001-07-12 2003-01-14 김기동 금형 내 공기빼기시스템
DE10144945B4 (de) * 2001-09-12 2005-05-04 Alcan Bdw Gmbh & Co. Kg Verfahren zum Steuern eines Vakuumventils einer Vakuumdruckgießvorrichtung sowie Vakuumdruckgießvorrichtung
DE50312004D1 (de) * 2003-08-25 2009-11-19 Fondarex Sa Verfahren zum Vakuum Druck- oder Spritzgiessen
GB0408044D0 (en) * 2004-04-08 2004-05-12 Composite Metal Technology Ltd Liquid pressure forming
CN1322950C (zh) * 2004-08-11 2007-06-27 杨然森 合金铸件的温室低压铸造方法及其铸造机
CN1986110B (zh) * 2005-12-23 2010-11-24 宁波久腾车灯电器有限公司 基站组合件的模具
WO2010110742A1 (en) 2009-03-27 2010-09-30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iquid-forged article
ITMI20110903A1 (it) * 2011-05-20 2012-11-21 Freni Brembo Spa Impianto e metodo per l'iniezione in stampo di alluminio semisolido
CH705077B1 (fr) * 2011-06-09 2016-01-29 V D S Vacuum Diecasting Service S A Dispositif de vanne pour l'évacuation d'air d'un moule.
CN102223027A (zh) * 2011-06-14 2011-10-19 吴江市天龙机械有限公司 一种陀螺仪电机转子铸造工艺
CN104275457A (zh) * 2013-07-04 2015-01-14 上海乾通汽车附件有限公司 用于电磁阀阀体的压铸系统
CN103934428B (zh) * 2014-03-31 2016-04-20 清华大学 充氧-真空压铸模具装置和充氧-真空压铸工艺
CN104259430B (zh) * 2014-10-21 2016-03-30 湖南航天诚远精密机械有限公司 金属及其合金真空压铸成形装备及方法
CH713574A1 (de) * 2017-03-16 2018-09-28 Fondarex Sa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CN107020361B (zh) * 2017-04-17 2018-11-16 上海永茂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发动机零部件精密压铸模具
CN107345574B (zh) * 2017-07-31 2023-07-25 上海皮尔博格有色零部件有限公司 一种压铸模具的型腔排气系统
CN110076313B (zh) * 2019-05-05 2021-01-15 广东鸿图武汉压铸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排气和自然排气一体化的压铸模具
CN112170811A (zh) * 2020-09-21 2021-01-05 滁州市共赢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离合器压盘盖挤压铸造设备
CN112453345A (zh) * 2020-11-05 2021-03-09 东莞市兴茂压铸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铝合金压铸件的压铸系统及压铸工艺
EP4219043A1 (en) * 2022-01-26 2023-08-02 Fundación Azterlan Vacuum pressure process and apparatus for high pressure die casting
CN114628741B (zh) * 2022-03-15 2023-10-13 山东国创燃料电池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发动机的加水排气的测试方法及测试装置
CN117680649A (zh) * 2023-12-29 2024-03-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减压铸造成形装置以及减压铸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583B2 (ja) * 1981-12-28 1985-07-11 宇部興産株式会社 ダイカスト装置
JPH0238067B2 (ja) * 1987-01-13 1990-08-28 Nerima Kogyo Kk Shinkudaikasutochuzohohooyobisonosochi
US4787436A (en) * 1987-06-05 1988-11-29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Gas venting device for molding operations
JPH0815648B2 (ja) * 1987-09-03 1996-02-21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真空ダイカストマシンの運転方法
JP2676293B2 (ja) * 1992-03-13 1997-11-12 リョービ株式会社 層流射出成形機及び層流射出成形方法
DE4302798C1 (de) * 1993-02-02 1994-06-16 Hodler F & Cie Fondarex Sa Ventileinrichtung zum Entlüften von Druckgiessformen
JPH0899164A (ja) * 1994-09-28 1996-04-16 Olympus Optical Co Ltd ダイカスト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20068A (ja) 1999-11-24
CN1096905C (zh) 2002-12-25
PL331547A1 (en) 1999-08-30
AU1547499A (en) 1999-09-02
AU750419B2 (en) 2002-07-18
CA2262193A1 (en) 1999-08-19
EP0937524A1 (de) 1999-08-25
CN1229015A (zh) 1999-09-22
BR9900736A (pt) 1999-12-21
SK21599A3 (en) 1999-10-08
CA2262193C (en) 2004-01-20
US6298903B1 (en) 2001-10-09
TW389710B (en) 200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745A (ko) 다이캐스팅기계의다이캐스팅주형을통기시키는방법및장치
FI100951B (fi) Venttiililaitteisto painevalumuottien ilmanpoistoon
US3991971A (en) Shut-off mechanism for the vent passage of a casting mold
KR20030025799A (ko) 주형용 통기 밸브 조립체
KR20180106901A (ko) 다이­캐스팅 몰드 배기용 밸브 장치
MXPA99001687A (en) Method for ventilating a mold of foundry to the troquel, and apparatus to realize the met
US6513568B1 (en) Valve assembly for venting die casting molds
JPH09155534A (ja) 金属射出成形機の油圧回路
US7204402B2 (en) Pneumatic tool with as-cast air signal passage
JP2002096151A (ja) 金型用ガス抜き装置
JPH05138548A (ja) 打込機の自動反復装置
RU2079735C1 (ru) Клапан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ударного механизма
US20070175942A1 (en) Pneumatic tool with as-cast air signal passage
SU15743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акуумировани пресс-форм лить под давлением
SI9700244A (sl) Ventilski sklop za odzračevanje kalupov tlačnega liva
JPS6241817B2 (ko)
SU3041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ИЗДЕЛИЙ
JP2006336693A (ja) 高速油圧動作方法および高速油圧動作回路
JPH049077Y2 (ko)
JPH01214420A (ja) 型締シリンダーのための増圧機構を内蔵したプレフィル弁
CZ51299A3 (cs) Způsob odvětrávání tlakových odlévacích forem, rovněž ventilové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LT4520B (lt) Vožtuvo mazgas liejimo spaudimu formų vėdinimui
JPS5951397B2 (ja) プレス用の液圧ポンチ
JPH02147156A (ja) ガス抜き装置
KR830003263A (ko) 주형과 연합된 가스빼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