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404A - 콤팩트디스크이탈장치 - Google Patents

콤팩트디스크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404A
KR19990072404A KR1019990003667A KR19990003667A KR19990072404A KR 19990072404 A KR19990072404 A KR 19990072404A KR 1019990003667 A KR1019990003667 A KR 1019990003667A KR 19990003667 A KR19990003667 A KR 19990003667A KR 19990072404 A KR19990072404 A KR 1999007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ressing portion
holding
compact disc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히라에이이찌
기구치코우이찌
가와시마가츠히코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0380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222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7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90618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6Means for locking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2Auxiliary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101,201,206)는, CD 수납 케이스(301,302)의 디스크 보지부(309)상에 재치되며 상측으로부터 압압될 때 CD 수납 케이스의 보지편(391)을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압압부(141,143,202)와, 상기 압압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CD를 해당 CD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수단(142,203)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스프링 수단은 상기 압압부로부터 다른 방사방향으로 연출하는 적어도 2개의 판스프링을 지니며, 상기 판스프링은 각각 선단부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CD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당접하도록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CD 이탈장치(101,201,206)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간단하고 저렴한 코스트로 CD 이탈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 비해 강한 부세력으로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 및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DEVICE FOR DETACHING COMPACT DISC}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이하, 'CD'라 칭함)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변형된 탄성체의 부세력(付勢力)을 이용하여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4a, 도 14b 및 도 15를 참조로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D 수납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는 주로 직경이 12㎝의 CD(12㎝CD)의 수납에 사용되는 CD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 이다. 도 14b는 주로 직경이 8㎝의CD(8㎝CD/싱글CD)의 수납에 이용되는 CD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 이다. 도 15는 도 14b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로서, CD 수납 케이스(302)의 중심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CD 수납 케이스(301,302)는, 개폐가능한 외(外)케이스(381)과, 그 외케이스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크 수납 요부(凹部)(383)를 구비하는 내(內)케이스(382)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 수납 요부(383)는 그 중심부에서 중심공을 지니는 디스크 보지부(保持部)(30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 보지부(309)는, 수직방향 단면이 대략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의 탄성변형 가능한 보지편(391)을 슬릿(392)을 개재하여 등각도 간격으로 환상으로 배열시켜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된 12㎝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1)와 도 14b에 도시된 8㎝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2)를 비교한 경우 주요 다른점은 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점이다.
제 1의 다른점은 12㎝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1)에는 보지편(391)이 30°간격으로 12개가 배치되어 있는 반면, 8㎝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2)에는 보지편(391)이 36°간격으로 10개가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물론, 상기 보지편의 수는 12㎝CD용 및 8㎝CD용 모두 일반적인 예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의 다른점은, 외케이스(381)와 디스크 보지부(309)간의 거리(도 15에서 는 거리(D))를 비교한 경우 8㎝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2)쪽이 12㎝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1)에 비해 거리(D)가 짧다는 점이다.
제 3의 다른점은, 12㎝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1)의 외케이스(381)가 수지제(樹脂製)로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8㎝CD용의 CD 수납 케이스(302)의 경우는 지제(紙製)로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CD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CD를 해당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장치는, 이미 몇가지 타입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은 종래의 CD 이탈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3018285 호 공보에 개시된 '콤팩트 디스크 취출기'가 거론되고 있다. 이 종래의 CD 이탈장치(401)를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302)에 장착된 상태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로하여 종래의 CD 이탈장치(4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CD 이탈장치(401)는 개략적으로 케이스 보지부(309)에 재치되는 압압부(411) 등을 구비하는 수지제의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에 취부된 금속제의 스프링(420)과, 상기 스프링(420)의 선단에 설치되며 스프링(420)의 부세력을 CD에 전달하는 수지제의 당접판(4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401)는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에 재치된 상태로 압압부(押壓部)(411)의 상면측이 손가락 끝으로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압압부(411)의 하면측에는 스프링(420)의 기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부(412)가 설치되어 있어, 이 스프링 지지부(412)를 지지점으로하여 스프링(420)을 탄성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압부(411)의 하측면에는, 디스크 보지부(309)중 어느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며 해당 슬릿의 양측의 보지편(391)과의 계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주방향이동규제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주방향이동규제부(413)의 양측면에는, 상기 양측의 보지편(391)의 하측면과의 계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돌기형의 수직방향이동규제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는 본체부(410)는 수지로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412)에 지지된 스프링(420)은, 압압부(411)에 설치된 슬릿을 통해 해당 압압부의 상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420)의 선단에는 수지제의 당접판(430)이 취부되어 있다. 더욱이, 스프링(420)은 도 17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디스크 보지부(309)가 CD(10)의 개구에 끼워맞춤되어 해당 CD를 보지하는 상태가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압압부(411)를 압압하면, 보지편(391)은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디스크 보지부(309)에 의해 CD(10)를 보지하는 힘은 약해지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420)에 의해 CD(10)를 압압부세하는 힘이 디스크 보지부(309)에 의해 CD(10)를 보지하는 힘을 상회하게 되면, CD(10)는 당접판(430)을 통해 스프링(420)에 의해 들어올려져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되어 도 17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CD 이탈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종래의 CD 이탈장치(411)에 의한 CD의 이탈은 단일의 스프링(120)을 이용하여 CD(10)의 하면측(정보기록면측)의 일점을 압압부세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단일의 스프링에는 CD에 대한 부세력이 불충분하여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충분하게 이탈 및 상승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CD를 CD를 충분하게 상승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CD를 잡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CD 이탈장치(401)는 3개의 부재(본체부, 스프링 및 당접판)를 조립하는데 있어 번잡한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CD 이탈장치(401)는 복수의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코스트에 부가하여 조립을 위한 코스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렴한 코스트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본체부(410)의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성형시 금형을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제조가 간단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CD 이탈장치(401)에는 수평방향(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화살표(H)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종래의 CD 이탈장치(40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크 보지부(309)의 중심공을 통해 CD 수납 케이스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CD의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작은 케이스에서 많은 CD 수납 케이스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CD 수납 케이스에 대한 박형화(薄型化)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하기 위해, CD 수납 케이스의 두께는 점차 얇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8㎝CD용의 CD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그 경향이 강하다. 이와 같은 CD 수납 케이스의 박형화에 따라, 예컨대 외케이스(381)와 디스크 보지부(309) 사이의 거리(도 15에서는 거리(D))는 종래에 비해 매우 짧게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CD 이탈장치(401)를 박형의 CD 수납 케이스에 사용한 경우에는, 압압부(411)의 두께 때문에 압압부(411)의 상면측과 외케이스(381)가 매우 근접한 상태로 된다. 한편, 외케이스(381)는 일반적으로 수지 또는 제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용이하게 만곡되어 버린다. 즉, 충격 등에 의해 내측이 만곡된 외케이스(381)는, 압압부(411)를 압압시 보지편(391)을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디스크 보지부(309)에 의해 CD를 보지하는 힘을 약하게 한다. 그 결과, 스프링(420)의 부세력에 의해 CD(10)는 CD 수납 케이스(302)내에 수용된 상태로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CD가 CD 수납 케이스내에서 손상될 염려가 있다. 특히, 싱글CD에서는 외케이스(381)가 지제로 되거나 또는 거리(D)가 매우 짧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간단하게 압압부(411)가 압압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매우 강한 부세력으로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 및 상승시켜 간단하게 CD를 잡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CD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한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CD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얇은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에 확실하게 장찰할 수 있음은 물론 쉽게 외부로 떨어져나가지 않는 CD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CD 수납 케이스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CD 이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다음의 (1)∼(3)기재의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1)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는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상에 재치되며 상측으로부터 압압될 때에 CD 수납 케이스의 보지편을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 시키는 압압부와,
상기 압압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CD를 해당 CD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수단을 지니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압압부로부터 다른 방사방향으로 연출하는 적어도 2개의 판스프링을 지니며, 상기 판스프링은 각각 선단부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CD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당접하도록 대략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매우 강한 부세력으로 CD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 및 상승시킬 수 있으며 간단하게 CD를 잡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 취부되는 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은 각각 상기 기부로부터 연출하도록 해당 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는 지지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수단의 기부는 상기 지지축을 개재하여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 취부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는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중심공에 삽입되는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압부와 상기 몸통부가 접속하는 부분에는 상기 각각의 보지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는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가 상기 콤팩트 디스크 수납 케이스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를 지니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압부는 정보표시수단을 지닌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에 의하면, 적은 부품수로 CD 이탈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기 때문에, CD 이탈장치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에 확실하게 장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상기 압압부 및 상기 스프링 수단은, 금속제 박판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CD 이탈장치는 또한,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CD 이탈장치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대해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이동 규제수단과,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CD 이탈장치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이동 규제수단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압부가 정보 표시수단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CD 이탈장치를 금속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종래에 비해 재료의 두께를 얇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는 단일의 금속제판을 타발(打拔)가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CD 이탈장치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CD 이탈장치를 CD 수납 케이스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어, 장착된 CD 이탈장치가 임의로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1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CD 이탈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3a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의 압압부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압압부의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3c는 도 3a의 압압부의 측면도.
도 3d는 도 3a의 압압부의 선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3e는 도 3a의 압압부의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CD 이탈장치의 스프링부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스프링부의 정면도.
도 4c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의 제 3변형예에 사용되는 스프링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d는 도 4c의 스프링부의 선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4e는 도 4d의 스프링부를 도 3의 압압부의 저면측에 취부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의 제 1변형예에 사용되는 압압부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압압부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5c는 제 1실시형태의 제 2변형예에 따른 CD 이탈장치를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에 장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d는 도 5c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2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D 이탈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CD 이탈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에 도 6의 CD 이탈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선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CD 이탈장치를 장착한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에 CD를 수납하는 과정 또는 CD를 이탈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a는 CD가 디스크 보지부와 감합하기 직전의 상태 또는 CD를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시킨 직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b는 CD가 디스크 보지부와 감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c는 CD 이탈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CD를 이탈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른 CD 이탈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D 이탈장치의 정면도.
도 14a는 주로 12㎝CD의 수납에 이용되는 CD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
도 14b는 주로 8㎝CD의 수납에 이용되는 CD 수납 케이스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b의 선Ⅵ-Ⅵ에 따른 단면도로서, CD 수납 케이스의 중심부를 확대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CD 이탈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CD 이탈장치를 이용하여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CD를 이탈 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CD101,103,201,206: CD 이탈장치
141,144: 압압부142,145,203: 스프링부
151: 각인152: 절결부
221: 중심공241: 돌출편
251: 계합부301,302: CD 수납 케이스
309: 디스크 보지부391: 보지편
392: 슬릿
이하, 도 1 내지 도 5 및 도 14a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101)는 주로 도 14a에 도시된 12㎝CD용 CD 수납 케이스(301)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1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다. 도 2는 상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도 1의 CD 이탈장치(101)의 투시도 이다. 도 3a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101)의 압압부의 평면도 이다. 도 3b는 상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도 3a의 압압부의 투시도 이다. 도 3c는 도 3a의 압압부의 측면도 이다. 도 3d는 도 3a의 압압부의 선Ⅳ-Ⅳ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 3e는 도 3a의 압압부의 정면도 이다.
이 CD 이탈장치(101)는 개략적으로 CD 수납 케이스(301)의 디스크 보지부 (309)상에 재치되며, 상측으로부터 압압될 때 각각의 보지편(391)을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압압부(141)와, 압압부(141)에 설치되며 디스크 보지부(309)에 보지된 CD(10)를 해당 CD가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부(스프링 수단)(1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 (101)에 의하면, 압압부(141)를 압압하여 스프링부(142)에 의해 CD(10)를 부세하는 힘이 디스크 보지부(309)에 의해 CD(10)를 보지하는 힘을 상회할 때, CD(10)를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CD 이탈장치(101)에 있어서, 스프링부(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141)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하는 2개의 판스프링(142B)을 지니고 있다.또한, 각각의 판스프링(142B)은 각각의 선단부가 탄성적으로 CD(10)의 하면측으로 당접하도록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141)는 대략 원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측에는 지지축(보스)(141D)이 형성되어 있다(도 3d참조). 이 지지축(141D)을 개재하여 후술하는 스프링부(142)의 기부가 압압부(141)의 저면측에 취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압압부(141)의 저면측에는 CD 수납 케이스(301)의 디스크 보지부(309)의 중심공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의 몸통부(14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3d 및 도 3e 참조). 더욱이, 압압부(141)와 몸통부(141C)가 접속하는 부분에는 CD 수납 케이스(301)의 각각의 보지편(391)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테이퍼부(141B)가 형성되어 있다(도 3e 참조).
이 몸통부(141C)는 CD 수납 케이스(301)의 디스크 보지부(309)의 보지편 (391)과 계합하여 CD 이탈장치(101)가 CD 수납 케이스(301)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돌기형 빠짐 방지부(141F)와, 스프링부(142)의 판스프링(142B)을 통과시키도록 한쌍의 절결부(141E)를 구비하고 있다.
빠짐방지부(141F)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의 화살표방향으로 형성되며, 몸통부(141)의 외벽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141F)는 스프링부(142)에 배치되는 슬릿과는 다른 슬릿내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방지부(141F)는 몸통부(141C)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에 대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판스프링에 대해 거의 90°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압부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로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각형 형상 이나 곡선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스프링부(142)의 평면도 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프링부의 정면도 이다.
스프링부(142)는 개략적으로 압압부(141)의 저측면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는 대략 원통형의 기부(142A)와, 이 기부(142A)로부터 압압부(141)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하는 한쌍의 판스프링(14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부(142)의 기부(142A)는, 개공(142D)과, 해당 개공의 주위에 형성되며 압압부(141)에 스프링부(142)가 취부될 때 해당 압압부의 지지축(141D)과 계합하는 4개의 계합편(142C)을 지니고 있다.
이 4개의 계합편(142C)은, 압압부(141)에 스프링부(142)가 취부될 때 지지축(141D)을 계지하여 스프링부(142)가 압압부(141)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프링부의 계합편의 수, 형상 등은 본 실시형태로 개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부를 압압부에 취부하는 방법은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프링부와 압압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스프링부(142)의 각각의 판스프링(142B)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142A)로부터 경사지게 하측으로 향하는 강하부분(B1)과, 그 강하부분(B1)의 최후에서 상향으로 방향이 변하는 굴곡부(B2)와, 그 굴곡부(B2)로부터 경사져 상향으로 연장하는 상승부분(B3)를 구비하여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판스프링의 선단부에는 만곡철 형상으로 형성된 당접부(B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당접부(B4)는 도 1(도 4b)에 도시된 CD(1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압부(141)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부(142)의 판스프링(142B)은 CD 이탈장치(101)를 CD 수납 케이스(301)에 장착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직선상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슬릿(392)을 통해 디스크 보지부(309)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도 1을 참조로하여 CD 수납 케이스(301)에 CD(10)를 수납할 때 와 CD 수납 케이스(301)로부터 CD(10)를 이탈시킬 때의 CD 이탈장치(10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CD(10)를 수납할 때의 CD 이탈장치(101) 및 CD 수납 케이스(301)의 디스크 보지부(30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 이탈장치(101)를 구비한 CD 수납 케이스에 대해 CD(10)의 수납을 개시하면, 먼저 만곡철 형상으로 굴곡하는 당접부(134)가 CD(10)의 하면측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CD에 대해 스프링부(142)가 당접하는 부분을 만곡시키기 때문에 스프링 부분의 예리한 선단부는 CD의 하면측(정보기록면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D가 하강을 더 계속하면, 스프링부(142)가 도 1의 하방으로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CD(10)의 개구(11)의 연부가 각각의 보지편(391)에 당접할 때 CD(10)를 압압하면, 보지편(391)이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디스크 보지부(309)의 직경이 감소한다. CD(10)를 더 계속하여 압압하면, CD(10)의 개구(11)가 디스크 보지부(309)와 끼워맞춤되어 CD(10)의 수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CD 수납 케이스(301)로부터 CD(10)를 이탈시킬 때의 CD 이탈 장치(101) 및 CD 수납 케이스(30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압압부(141)를 통해 각각의 보지편(391)에 압압을 가하면, 보지편(391)은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이 보지편(391)의 탄성변형에 의해 해당 보지편이 CD(10)의 개구(10)의 연부에 가하는 부세력은 감소한다.
그리고, 스프링부(141)로 CD(10)를 부세하는 힘이 디스크 보지부(309)로 CD(101)를 보지하는 힘을 상회하면, 스프링부(141)의 부세력(복원력)에 의해 CD(10)가 상승하여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한다.
상술된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101)에 의하면, CD 이탈장치(101)의 스프링부(142)의 판스프링(142B)이 압압부(141)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하게 되면, CD(10)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킨채로 평행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CD 이탈장치가 압압부(141)와 스프링부(142)의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적은 부품수로 CD 이탈장치(101)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몸통부(141C)나 테이퍼부(141B) 등을 구비한 압압부(141)의 형상은 도 16에 도시한 종래의 CD 이탈장치(401)의 본체부(410)에 비해 복잡하지 않으므로, 성형할 때 금형을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며,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CD 수납 케이스(301)로부터 CD를 이탈시킬 때 스프링부(142)의 부세력을 조정할 목적으로 스프링부의 두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제 1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101)의 제 1변형예에 사용되는 압압부의 평면도 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압압부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다.
이 제 1변형예의 압압부(143)의 상면측에는, 정보표시수단으로서 시일(seal)을 점착하기 위해 요부(143G)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압부(143)에 정보표시용으로 시일을 점착시킴으로써, 예컨대 CD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CD의 종류를 간단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도 5c 및 도 5d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제 2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c는 제 1실시형태의 제 2변형예에 따른 CD 이탈장치를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에 장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이다. 도 5d는 도 5c의 평면도 이다.
제 2변형예의 CD 이탈장치(103)는, 주로 압압부(144)의 표면적이 비교적 크다는 점과, 정보표시수단으로서 각인(151)이 형설되어 있다는 점과, 압압부(144)의 성형시 성형된 압압부(144)를 간단하게 금형으로부터 떨어뜨리기 위한 절결부(15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다르다.
압압부(144)는, 원통형의 디스크 보지부(309)의 직경과 거의 같은 정도거나, 또는 약간 작은 직경을 지니도록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압부(144)는 CD 이탈장치(103)가 CD 수납 케이스(301)에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크 보지부(309)의 돌출된 부분의 거의 전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압부(144)를 비교적 크게 성형함으로써, 매우 많은 정보 또는 큰 정보를 압압부(144)의 상면측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은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압압부의 상면측에 인쇄 또는 도장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표시수단으로서의 각인은 도 5d에 표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점자 정보 등의 각인도 가능하다.
이하,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제 3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c는 제 1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의 제 3변형예에 사용되는 스프링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의 스프링부의 선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e는 도 4d의 스프링부를 도 3의 압압부(141)의 저면측에 취부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 3변형예의 CD 이탈장치(104)는 스프링부의 구성이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다르다.
본 변형예에 사용되는 스프링부(145)는, 개략적으로 압압부(141)의 저면측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는 대략 원형의 기부(145A)와, 이 기부(145A)에서 압압부(141)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14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145)의 기부(145A)는 개공(145D)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부(145)는 압압부(141)의 지지축(141D)이 기부(145A)의 개공(145D)을 관통하기 위해 압압부(141)의 저면측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부(141)에 스프링부(145)가 취부된 때는, 지지축(141D)의 하단이 조여져 스프링부(145)가 압압부(141)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 및 도 14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제 2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 상술하는 제 2실시형태에 관한 CD 이탈장치는 주로 도 14b에 도시된 8㎝CD 수납 케이스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201)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각각 도 6의 CD 이탈장치(201)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8 및 도 14b를 참조로 하여 CD 이탈장치(201)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201)는 개략적으로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상에 재치되며 압압될 때 디스크 보지부의 보지편을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압압부(202)와, 압압부(202)에 설치되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CD를 해당 CD가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한쌍의 스프링부(203)를 지닌다. 압압부(202) 및 스프링부(203)는 금속제박판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CD 이탈장치(201)가 CD 수납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압압부(202)의 상측면은 CD를 CD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시킬 때 손가락 끝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압압부(202)의 하측면은 상측면에 작용된 압압력을 CD 수납 케이스측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압압부(202)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판스프링으로서, 본 발명의 스프링 수단을 이루는 스프링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부(203)는 압압부(202)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하며 압압부(20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부(203)는 전술된 제 1실시형태의 스프링부(142)와 동일 모양으로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그 선단에는 만곡철(灣曲凸)형상의 당접부(2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당접부(231)는 압압부(20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당접부(231)를 통해 스프링부(203)의 부세력이 CD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CD 이탈장치(201)는 CD 수납 케이스(302)의 보지편(391)과 계합하여 CD 이탈장치(201)가 디스크 보지부(309)에 대해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이동 규제수단과, 디스크 보지부(309)의 보지편(391)과 계합하여 CD 이탈장치(201)가 디스크 보지부(309)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규제수단을 지닌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이동 규제수단은 CD 수납 케이스(302)중 어느 하나의 보지편(391)상에 재치되는 돌출편(241)과, 상기 보지편(391)에 인접하는 슬릿(392)에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제 1계합편(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41)은 압압부(202)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방향으로 연출되며, 스프링부(203)에 대해 거의 90°를 이루는 위치에서 압압부(202)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241)은, 약 36°의 각도로 확대되는 대략 부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편(241)은 CD 이탈장치(201)가 CD 수납 케이스(302)에 장착될 때 보지편(391)에 부분적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CD용 CD 수납 케이스에 설치된 디스크 보지부(309)는 10개의 보지편(391)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방향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슬릿(392)에 대해 직교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보지편(391)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241)은 이같은 구성을 지니는 8㎝CD용 CD 수납 케이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압압부(202)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계합편(242)은 돌출편(241)의 양측 연부에 형성되며, 디스크 보지부(309)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출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제 1계합편(242)은, 상기 돌출편(241)이 중첩하는 보지편(391)에 인접하는 슬릿(392)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CD 이탈장치의 제 2이동 규제수단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계합편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향으로 굴곡된 갈고리형의 계합부(251)로서, CD 수납 케이스의 보지편(391)의 하측면과 계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302)에 CD 이탈장치(201)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선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9 및 10을 참조로하여 CD 수납 케이스(302)에 장착된 CD 이탈장치(20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CD 이탈장치(201)의 압압부(202)는 디스크 보지부(309)를 이루는 보지편(391)상에 재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202)로부터 연출하는 스프링부(203)는 슬릿(392)을 통해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보지편(391)의 하측면)으로 연장된다. 또한, 전술된 스프링부(203)는 대략적으로 V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어, 스프링부(203)의 선단측은 슬릿(391)을 통해 디스크 보지부(309)에서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203)가 삽입된 슬릿(392)에 대해 직교하는 한쌍의 보지편(391)의 선단부에는, 돌출편(241)이 각각 중첩된다. 그리고, 그 보지편(391)에 인접하는 슬릿(392)에 제 1계합편(242)이 각각 삽입된다. 이 제 1계합편(242)에 의해 CD 이탈장치(201)의 수평방향 및 원주방향이동이 규제된다.
제 1계합편(242)에 설치된 계합부(251)는 보지편(391)의 하측면(도 9의 지면안쪽)에서, 상기 돌출편(241)이 중첩되는 보지편(391)에 인접하는 보지편과 각각 계합한다. 이에 따라, CD 이탈장치(201)의 수직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11은 CD 이탈장치(201)를 장착한 도 14b의 CD 수납 케이스(302)에 CD를 수납하는 과정 또는 CD를 이탈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11a는 CD(10)가 디스크 보지부(309)와 끼워맞춤하기 직전의 상태 또는 CD(10)를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시킨 직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11b는 CD(10)가 디스크 보지부(309)에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1c는 CD 이탈장치(201)를 이용하여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CD(10)를 이탈시키는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로하여 CD(10)를 수납할 때에 CD 이탈장치(201) 및 CD 수납 케이스(302)의 디스크 보지부(309)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 이탈장치(201)를 구비한 CD 수납 케이스에 대해 CD(10)의 수납을 개시하면, 먼저 만곡형으로 굴곡하는 당접부(231)가 CD(10)의 하측면에 당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CD에 대해 스프링부(203)가 당접하는 부분을 만곡시킴으로써 스프링부(203)의 예리한 선단부가 CD의 하측면(정보기록면측)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D(10)의 하강이 더 계속되면, 스프링부(203)가 도 11에서 하방으로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CD(10)의 개구(11)의 연부가 각각의 보지편(391)에 당접할 때 CD를 압압하면, 보지편(391)이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디스크 보지부(309)의 직경이 감소한다. CD(10)로의 압압이 더 게속되면, CD(10)의 개구(11)가 디스크 보지부(309)와 끼워맞춤하여 CD 이탈장치(201) 및 CD(10)는 도 11b에 도시된 상태에 이른다.
도 11b에 있어서, CD(10)는 방사방향으로 작용하는 보지편(391)의 부세력에 의해 디스크 보지부(309)에 보지된다. 한편, 탄성변형된 스프링부(203)는 CD(10)의 하측면에서 상향으로 부세력을 가하게 된다. 도 11b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프링부(203)의 부세력보다 보지편(391)에 의해 CD(10)를 보지하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스프링(203)의 부세력에 의해 CD(10)가 상승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c 및 도 11a를 참조로하여, CD 수납 케이스(302)로부터 CD(10)를 이탈시킬 때 CD 이탈장치(201) 및 CD 수납 케이스(30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202)를 통해 각각의 보지편(391)에 압압을 가하면, 보지편(391)은 디스크 보지부(309)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이 보지편(391)의 탄성변형에 의해 해당 보지편이 CD(10)의 개구(11)의 연부에 가하는 부세력은 감소한다.
그리고, 스프링부(203)에 의해 CD(10)를 부세하는 힘이 디스크 보지부(309)에 의해 CD(10)를 보지하는 힘을 상회하면, 스프링부(203)의 부세력(복원력)에 의한 CD(10)는 상승하여 디스크 보지부(309)로부터 이탈한다. CD 수납 케이스에서 이탈된 CD(1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접부(231)에 지지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하여, 제 2실시형태에 관한 CD 이탈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역시, 상술된 제 2실시형태에 관한 CD 이탈장치와 동일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 동일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에 따른 CD 이탈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 이다. 도 13은 도 12의 CD 이탈장치의 정면도 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압압부(202)는 중심공(221)을 지니며, 대략 링(ring)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 1이동 규제 수단은, CD 수납 케이스(302)의 슬릿(392)에 삽입되는 4개의 제 1계합편(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계합편(243)은 압압부(202)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며, 디스크 보지부(309)의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출되어 있다. 이 제 1계합편(243)은 해당 제 1계합편이 삽입된 슬릿(392)에 인접하는 보지편(391)과 계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CD 수납 케이스에 장착된 CD 이탈장치(206)의 수평방향 및 원주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 2이동 규제수단은, CD 수납 케이스(302)의 디스크 보지부(309)의 중심공에 삽입되는 한쌍의 제 2계합편(252)과, 각각의 제 2계합편(25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계합부(253)로 구성되어 있다.
제 2계합편(252)은 상기 압압부(202)의 중심공(221)의 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압압부의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출되어 있다. 이 제 2계합편(252)이 디스크 보지부(309)의 중심공에 삽입됨으로써, 그 선단의 계합부(253)는 보지편(391)의 하면측에서 보지편(391)과 계합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른다. 이에 따라, CD 수납 케이스에 장착된 CD 이탈장치(206)의 수직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스프링부(203)는 압압부(202)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이동 규제수단의 제 2계합편(252)은 압압부(202)의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상에 형성되어 스프링부(203)에 대해 대략 90°를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론, 상술된 변형예의 CD 이탈장치(206)의 압압부(202)의 상면에 정보표시수단으로서 시일을 점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표시용의 시일을 압압부(202)에 점착시키는 것에 의해, 예컨대 CD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CD의 종류를 간단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은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압압부(202)의 상면에 점자정보 등의 각인을 형성하는 수단도 가능하다. 더욱이, 압압부(202)의 상면에 인쇄 또는 도포 등의 실시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제 2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는 주로 8㎝CD용 CD 수납 케이스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사용대상은 8㎝CD용 CD 수납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계합편의 배치, 수, 형상 등을 변경하는 등의 설계변경을 행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를 12㎝CD용 CD 수납 케이스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편(241)이 약 60°의 각도로 확장되는 대략 부채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CD 이탈장치를 12㎝CD용 CD 수납 케이스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CD 이탈장치의 스프링부의 수, 배치, 형상 등은 상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CD 수납 케이스 및 CD의 형상이나 두께 등에 상응하게 적절하게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컨대 스프링부를 증설시킨 경우에는 보다 확실하게 CD를 CD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탈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가 금속재료로 형성되므로, 종래와 거의 동등한 강도를 지니지만 종래에 비해 두께가 얇은 CD 이탈장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는, 예컨대 단일의 금속제판을 타발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간단하게 CD 이탈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는 단일의 금속제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형태의 CD 이탈장치는 스프링 수단으로 복수의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많은 부세력을 CD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CD 수납 케이스의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된 CD를 보다 높게 상승시켜 간단하게 CD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적절하게 개선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에 유의 해야할 것이다.

Claims (22)

  1. 복수의 탄성변형 가능한 보지편(保持片)을 슬릿을 개재하여 환형으로 배열하여서 된 중심공을 갖는 대략 원통형의 디스크 보지부를 지니며, 해당 디스크 보지부를 콤팩트 디스크의 개구에 끼워맞춤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보지하도록 이루어진 콤팩트 디스크 수납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디스크 보지부상에 재치되며 상측으로부터 압압(押壓)될 때 상기 보지편을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압압부와,
    상기 압압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해당 콤팩트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압압부를 압압하며,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한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부세하는 힘이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의한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보지하는 힘을 상회할 때,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보지부로부터 이탈 시키도록 되어있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압압부로부터 각각 다른 방사방향으로 연출(延出)하는 적어도 2개의 판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각각 선단부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보지된 콤팩트 디스크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당접하도록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 취부되는 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각각 상기 기부에서 연출하도록 해당 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는 지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지지축을 통해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의 상기 기부는
    개공(開孔)과,
    상기 개공의 주위에 설치되며 상기 압압부에 상기 스프링 수단이 취부될 때 상기 압압부의 상기 지지축과 계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합편을 지니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합편은, 상기 개공에 삽입된 상기 지지축과 계합하여 상기 스프링수단과 상기 압압부를 고정 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의 상기 기부는 개공을 지니며,
    상기 압압부의 상기 지지축을 상기 기부의 상기 개공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축의 하단을 조임으로써 상기 스프링 수단과 상기 압압부를 고정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저면측에는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중심공에 삽입되는 몸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압압부와 상기 몸통부가 접속하는 부분에는 상기 각각의 보지편의 선단부에 당접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가 상기 콤팩트 디스크 수납 케이스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압압부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되며,
    상기 빠짐방지부는 상기 몸통부에 한쌍이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빠짐방지부는 해당 몸통부의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상에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에 대해 약 9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의 상기 압압부 및 상기 스프링 수단은 금속제 박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는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대해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이동 규제수단과,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보지편과 계합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가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이동 규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 규제수단은,
    상기 압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압부의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며, 적어도 상기 보지편중 어느 하나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양 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출하며, 상기 보지편에 인접하는 상기 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제 1계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 규제수단은,
    상기 제 1계합편의 선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갈고리 형상의 계합부로서 상기 보지편의 하측면과 계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3.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압압부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되며,
    상기 제 1이동 규제수단의 상기 돌출편은 상기 압압부의 직경방향으로 한쌍이 설치되고 각각 상기 판스프링에 대해 약 9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 규제수단은,
    상기 압압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디스크 보지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계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5. 제 10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 규제수단은,
    상기 압압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압부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계합편으로서 상기 디스크 보지부의 상기 중심공에 삽입되는 것과,
    상기 제 2계합편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계합부로서 상기 보지편의 하면측과 계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중심부에 개구를 지니며,
    상기 제 2계합편은 상기 압압부의 상기 개구의 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압압부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연출되며,
    상기 제 2이동 규제수단의 상기 제 2계합편은, 상기 압압부의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상에 한쌍으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판스프링에 대해 약 9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8. 제 1항 내지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정보표시 수단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수단은 압압부의 상면에 점착된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수단은 압압부의 상면에 마련된 각인(刻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 수단은, 압압부의 상면에 실시된 인쇄 또는 도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22. 제 1항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는 만곡철(灣曲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이탈장치.
KR1019990003667A 1998-02-04 1999-02-04 콤팩트디스크이탈장치 KR19990072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8077A JPH11222288A (ja) 1998-02-04 1998-02-04 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上昇装置
JP10-38077 1998-02-04
JP10257305A JP2000090618A (ja) 1998-09-10 1998-09-10 コンパクトディスク離脱装置
JP10-257305 1998-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04A true KR19990072404A (ko) 1999-09-27

Family

ID=2637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667A KR19990072404A (ko) 1998-02-04 1999-02-04 콤팩트디스크이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9990072404A (ko)
CN (1) CN1227951A (ko)
TW (1) TW4484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80B1 (ko) * 2002-03-21 2004-12-03 (주)글로벌디지탈미디어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80B1 (ko) * 2002-03-21 2004-12-03 (주)글로벌디지탈미디어 기록매체 수납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951A (zh) 1999-09-08
TW448427B (en)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005A (en) Method of punching a punch guide hole in a blank holder of a punch assembly a punch assembly and a blank holder
US5988375A (en) Disc box structure
KR20000062407A (ko) 감압성 라벨을 디스크형 물체에 부착시키는 장치
EP1022743A1 (en) Case for disc-shaped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 dvd or the like
EP1045394B1 (en) Apparatus for holding a compact disk
KR19990072404A (ko) 콤팩트디스크이탈장치
US6732862B1 (en) Retaining structure of a disc holder
KR20210000741U (ko)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KR20030090158A (ko) 프레스 장치의 피어싱용 패드 구조
JP2000090618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離脱装置
US20050071862A1 (en) Disk device having clamp mechanism
EP1189227B1 (en) Optical disk
JPH08207978A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とその金型構造
JP4172866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用の合成樹脂製雄型嵌合部材
JPS5924523Y2 (ja) 活字ホイ−ル取付装置
JPH11135967A (ja) 電子機器
JPH08230445A (ja) リンクプレートの係止構造
KR19990025074A (ko) 디스크 장착 장치
JPH0332433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の製造装置
JPH0354994Y2 (ko)
KR200282989Y1 (ko) 씨디 케이스
KR0185627B1 (ko) 자동 펀치기
JPS61284344A (ja) ドリル保持装置
JPH09188376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係合具
JP2000226089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