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712A -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712A
KR19990071712A KR1019980703989A KR19980703989A KR19990071712A KR 19990071712 A KR19990071712 A KR 19990071712A KR 1019980703989 A KR1019980703989 A KR 1019980703989A KR 19980703989 A KR19980703989 A KR 19980703989A KR 19990071712 A KR19990071712 A KR 1999007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eccentric
insertion core
clamping device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963B1 (ko
Inventor
마르셀 스트뢰슬레
쿠르트 츌리그
Original Assignee
마르셀 스트뢰슬레
시마인터컨티넨탈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셀 스트뢰슬레, 시마인터컨티넨탈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마르셀 스트뢰슬레
Publication of KR1999007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5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 F16B7/0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by rotating an eccenter-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20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20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 F16B2200/205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the hook being a separate re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lide Fastene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장치로서, 제1 편면부재(1)내에 삽입코어(2)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삽입코어는 제2 편면부재(19)의 일부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제2 편면부재(19)내의 구멍속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멍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는 돌기들(17,18)을 갖는 단부를 갖는 축상 이동가능한 슬라이드(7)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납작하며, 상기 삽입코어(2)는 상기 슬라이드(7)를 축상으로 안내하기위한 2개의 내부홈들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코어(2)내에 서 편심부가 회전가능하게 안내되며, 편심헤드(4)가 회전될 때 편심롤러(22)가 상기 슬라이드(7)내의 요홈(12)의 내벽(30)을 눌러주며 그에의해 상기 삽입코어(2)내로 슬라이드(7)가 이동하므로 상기 돌기가 상기 클램핑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따라 2개의 편면부재(profiled part)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clamp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CH-A-576 591에 개시된 클램핑장치는 분리가능 프레임들(frame) 및/또는 벽들의 편면부재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삽입코어(insert core)내로 안내되어 다른 편면부재의 긴구멍에 결합되도록 선단이 T-형으로된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볼트(bolt)가 설비된다. 이 볼트는 조임면으로서 역할하는 원추형 요홈을 편심적로 밀어주는 원추형 단부를 갖는 나사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타입의 또 다른 클램핑장치로서 EP-B1-0 506 607 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클램핑장치에서는 볼트가 복수의 래치(latch)를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갖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래치와 삽입코어의 내벽은 볼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가 선회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활강면으로 되어있다.래치의 자유단부 영역은 선회할 때 필요한 클램핑 압력을 가하도록 후크(hook)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또다른 클램핑장치로서 EP-B1-0 123 683 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클램핑장치에서는 스테이 볼트(stay bolt)가 확장된 단부를 갖는 로드(rod)에 의해 연장하여 확장된 단부와 뒤에서 결합하도록 내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들을 갖는 확산 핑거(finger)들을 구비하는 삽입코어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타입의 스냅(snap)고정은 또한 로드내에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핀(pin)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방향의 긴구멍을 갖는 일체로 성형된 슬리브(sleeve)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프랑스 특허 제2,152,941호에는 하우징(housing)내에 위치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요소를 갖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볼트와 활강면을 따라서 볼트내에 결합되는 나사를 갖고 있지 않고, 그 대신 하우징의 너비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편심부에 의해 래치요소가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에는 래치요소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요소를 선회시킬 수 있는 활강면이 없고, 그 대신 활강면은 래치요소 또는 래치요소를 이동시키는 압력전달부재의 하부영역의 편심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타입의 개선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본원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분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클램핑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선점들은 종속항에서 청구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폐쇄된 상태의 삽입코어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편심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클램핑장치와 그의 슬라이드의 일부의 평면도,
도 3은 클램핑장치의 편심부를 세로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5는 이러한 타입의 슬라이드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8은 삽입코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10은 측면과 상부에서본 탄성 체결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특수 래치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의 편심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실시예의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선A-A의 단면도,
도 15는 본 실시예의 상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선B-B의 단면도,
도 17은 본 실시예의 편심부의 단면도,
도 18은 이러한 타입의 편심부의 평면도,
도 19는 이러한 타입의 특수 래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클램핑 요소가 되는 일측으로 굽혀진 햄머헤드를 갖는 썰매형 슬라이드(sled-like slide)의 개략도,
도 21은 클램핑요소가 되는 양측으로 굽혀진 햄머헤드(hammer head)를 갖는 썰매형 슬라이드의 개략도,
도 22 및 23은 측면과 상부에서 본 탄성 체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2 및 23에 의한 체결판을 갖는 클램핑장치의 편심부를 세로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 및 26은 슬라이드의 다른 변형례의 사시도,
도 27 및 28은 특수 래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제1 편면부재(1)내에 삽입되어 제위치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재로 제조되는 삽입코어(2)를 나타낸다. 삽입코어(2)는 편심부(5)의 헤드(4)를 수용하기 위한 횡방향 구멍(3)을 구비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또는 강성 앵커(anchor), 즉 슬라이드(7)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채널(channel)(6)로 호칭되는 다이캐스팅(diecasting) 또는 천공으로서 제조될 수 있는 긴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편면부재(1)와 삽입코어(2)는 예를들어 종래의 문헌 CH-A-576 591, EP-B1-0 506 607 또는 EP-B1-0 123 683 내에 개시된 해당 요소들과 유사하다.
슬라이드(7)는 채널(6)내에서 채널(6)의 내부 단부영역(8)내에 수용되는 나선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8')(도 3에는 단순히 윤곽만 도시함)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서 슬라이드(7)는 넓고 납작한 형상이며 또한 3부분 즉, 상부 결합부(9), 중간 편심부(10) 및 하부 바닥부(11)로 되어 있으며, 편심부(10)는 비대칭 절결부(cutout)(12)를 갖는다. 결합부(9)는 검모양으로 약간 연장되어, 90°만큼 회전되고, 또한 지지부 또는 래치들(15,16)을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는 역할을 하는 축(14)용의 구멍(13)(도 1)을 갖는 탭(tab)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래치들(15,16)은 그 자체가 EP-B1-0 506 607로부터 공지된 것으로서, 편면부재(19)의 일부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기 위해 편면부재(19)의 구멍속으로 삽입되어 구멍을 부분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돌기들(17,18)(도 1)을 가지며, 또한 이 래치들(15,16)은 납작한 것으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 돌기들(17,18)과 교대로 적층되는 다시말해 결합부(9)의 양측에 균일하게 할당되는 것이 좋다.
클램핑장치의 편심부(5)는 직경 D의 편심헤드(4), 편심목(neck)(20) 및 편심플랜지(frange)(21)를 가지며, 이들은 동심원상에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또한 편심부는 편심헤드(4)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며 직경 d를 갖는 편심롤러(22)와, 편심헤드와 동축이며 공칭직경 d'를 갖는 편심정지롤러(23)를 갖는다. 여기서 D>d 이고, d=d'또는 d≒d'이다. 편심목(20)은 편심헤드(4)의 일부를 압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3은 슬라이드(7)의 편심부(10)의 중간영역내에 위티한 절결부(12)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절결부(12)는 편심롤러(22)를 수용하여 슬라이드(7)가 이동할 때 그와 상호작용하도록 특수하게 설계되어 있다.
도 1 및 2는 폐쇄된 위치에 있는 클램핑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폐쇄된 위치에서 슬라이드(7)가 후퇴 즉, 내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래치들(15,16)이 선회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이 위치에서 돌기들(17,18)이 편면부재(19)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둥근 편심헤드(4)는 삽입코어(2)의 구멍(3)내의 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스패너(spanner)를 사용하여 선회가능 하도록 동심원상에 4각 소켓(socket) 또는 6각 소켓(26) 또는 다른 회전수단을 갖고 있다.
도 4는 슬라이드(7)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서 연속하는 절결부(12)는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경계벽(27,28)과, 이 평행 경계벽(27,28)에 거의 수직하며 슬라이드(7)의 세로축에 평행한 하부 경계벽(29)과, 결합부(9) 부근의 우측영역에서 아치형이 되고 또한 좌측영역에서 비스듬하도록 설계된 상부 경계벽(30)에 의해 경계된다. 벽들(27∼30)은 슬라이드(7)의 납작한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편심헤드(4)의 축(25)과 편심롤러(22)의 축(31)은 축(25)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또한 클램핑장치가 폐쇄될 때는 슬라이드(7)를 후퇴시키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즉 다시말해 슬라이드(7)를 실질적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하향으로 밀어주는 평면(32)(도 2)을 획정한다.
슬라이드(7)의 하부(11)는 비교적 넓은 오목부(33)를 갖고 있으며, 이 오목부의 벽들(34,34')은 슬라이드(7)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되어 있어 압축 스프링을 보유하여 안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4 및 5에 의한 변형례에서는 슬라이드(7)의 결합부(9)가 도 1 및 2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되지 않고, 구멍(13) 대신 구멍(13')을 형성하도록 이동 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약360°만큼 굽혀져 있다.
삽입코어(2)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납작한 2개의 외피(shell)를 나사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8은 예를들어 긴 평행육면체 형상의 일체형의 삽입코어를 나타낸 것이다. 삽입코어(2)의 내부채널(6)은 그의 중앙에 슬라이드(7)의 납작한 경계부들(58,59)(도 2)이 이동할 수 있는 안내구로서 역할하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긴홈들(35,36)을 갖고 있다.
삽입코어(2)의 넓은 일측면상에는 편심헤드(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횡방향 구멍(3)이 있고, 삽입코어(2)의 반대쪽 넓은 측면상에는 횡방향 구멍(3)과 동축으로 둥근 요홈(37)이 형성되어 있어, 이 요홈(37)내에서 편심정지롤러(23)가 회전될 수 있다. 이 요홈(37)(도 8)은 예를들어, 초승달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축(25)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평면(39)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다른 요홈(38)과 연통하며, 슬라이드(7)의 이동축과 수직을 이룬다. 도 3 또는 도 6에 의한 삽입코어(2)의 내부에는 내부채널(6)과 연통하며, 홈들(35,36)에 평행한 다른 2개의 홈들(40,41)이 형성되어 있다. 홈들(35,40)은 슬라이드(7)의 이동축과 삽입코어(2)의 좁은 일측면간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홈들(36,41)은 상기 이동축과 상기 삽입코어(2)의 좁은 다른측면간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의하면 탄성 체결판(43)(도 1)에 대한 넓은 활강면을 형성하도록 삽입코어(2)의 큰 내벽(42)의 연장부들로서 홈들(40,41)의 상부벽들이 구비되어 있다. 삽입코어(2) 및/또는 체결판(43)의 치수가 다를 경우 이들 홈들(40,41) 이 없어도 된다.
도 9 및 10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판(43)은 U형으로 굽혀진 단부와 활강면(44)에 수직한 횡방향 띠(45) 및 활강면(44)에 평행한 탭(46)을 가지며, 횡방향 띠(45)는 양측면에서 굽혀져서 체결판(43)의 활강면(44)에 수직한 2개의 탭들(47,48)을 포함한다.
체결판(43)은 스프링 편을 형성하도록 U형의 탭들(46,47,48)에 의해 획정된 공간 아래까지 절삭한 다음 하향으로 눌러서된 설편 또는 박판(49)을 갖는다. 횡방향 띠(45)의 반대쪽에 있는 체결판(43)의 단부영역 중앙에는 개방된 긴구멍 형상의 포크형 개구(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개구의 표면은 반원과 사각에 의해 한정된다.
도 6,7,8은 본 발명에 의한 삽입코어를 예시한 것으로, 이 삽입코어는 그의 좁은 세로방향의 양측면 중앙에 골조(rib)(51,52)를 갖고 있어 활강설편을 형성하며, 이 설편은 대응하는 편면부재와 홈접속을 형성 한다. 이들 골조들은 다른 변형례에서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이들 골조(51,52)가 편면부재내에서 삽입코어의 측방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장치는 하기와 같은 기능을 한다.
체결판(43)(도 9,10)은 삽입코어(2)의 내부체널(6)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외부 활강면(44)이 횡방향구멍(3)이 위치한 삽입코어(2)의 넓은 내벽(42)(도 6)과 접촉하고, 횡방향 띠(45)는 삽입코어(2)의 하부 영역(도 2)내에 위치하고, 그리고 탭(46)은 구멍(8)의 영역내에서 삽입코어(2)의 다른 넓은 내벽(42)(도 1)과 접촉함으로써, 스프링 설편(49)은 삽입코어(2)의 벽(42)에 대하여 활강면(44)를 눌러주는 힘을 생성한다. 맞춤상태에서 편심목(20)이 구멍(50)에 삽입되면, 그 결과 스프링 설편(49)의 스프링힘 때문에 이 구멍의 외곽이 체결판(43)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편심부(5)에 대해 이동하는 체결판(43)에 의해 편심헤드(4)를 외측으로 밀어준다.
다음에 하나의 편면부재(1)내에 클램핑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래치들(15,16,...)은 편심정지롤러(23)의 초승달 형상의 단부가 삽입코어(2)내의 초승달 형상의 요홈(38)에 삽입되는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편심헤드를 회전시켜서 도 1에서와 같이 외향으로 즉, 상향으로 당겨야 한다. 이 경우에 편심헤드(4)의 단부표면상의 핑거 또는 치구에 의해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편심헤드(4)의 표면이 적어도 삽입코어의 표면과 동일 레벨이 되는 정도까지 편심부(5)가 삽입코어(2)속으로 삽입된다. 왜냐하면 이 압력에 의해 편심정지롤러(23)의 초승달 형상의 단부가 삽입코어(2)내에 있는 피삽입형의 초승달형상의 요홈(38)속으로 삽입되기 때문이다.
이 위치에서 삽입코어(2)는 편면부재(1)내로 수용되어 스프링 설편(49)의 스프링력 때문에 편심헤드(4)가 편면부재(1)내의 대응하는 둥근 구멍(53)을 통하여 밖으로 나올 때까지 눌려져서 제위치에 삽입 고정된다. 제위치에 고정된후 클램핑장치는 동작상태가 된다.
편심헤드(4)를 스패너에 의해 회전시키면 편심롤러(22)는 절결부(12)의 벽(30)의 경사부를 눌러주므로 그에 의해 슬라이드(7)도 하향으로 눌리게 되어 결국 래치들(15,16)이 펴져서 클램핑장치가 폐쇄된다. 클램핑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편심헤드(4)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들(15,16)이 펴지는 작용을 중지하여 래치들(15,16)을 편면부재(19)의 밖으로 당긴다. 래치들(15,16)의 동작모드는 EP-B1-0 506 607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경우에서와 동일하다. 결합부(9)도 또한 CH-A-576 591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경우와 같이 T형의 헤드단부로 설계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삽입코어(2) 및/또는 슬라이드(7)의 다른 부분들은 서두에서 언급한 특허들에 의한 장치들내의 것들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편심롤러(22)의 높이는 슬라이드(7)의 두께와 클램핑장치가 제위치에 고정되는 편면부재(1)의 대응하는 벽(54)의 두께(a)의 합보다 큼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 스프링 설편(49)의 방위는 비스듬한 가는 사선 "/" 과 같다. 그러나 이 스프링 설편(49)은 또한 비스듬한 역스래쉬 "\"와 같이 반대로 설계할 수도 있다.
체결판(43)을 구속 보유하기 위하여 탭(47,48)의 단부들(55,56)을 굽혀서, 삽입코어(2)내의 축(25)에 평행한 대응하는 외부 홈내에 끼울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변형례에서는 삽입코어(61)가 2개의 긴 외피(66,67)로 구성되며, 이 외피들은 4개의 나사(62,63,64,65)에 의해 접속되어 클램핑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외피들(66,67)사이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결합부(69)를 갖는 슬라이드(68)와, 편심부, 즉 체결부(70)와 바닥부(71)가 수용된다. 편심부(70)는 편심부(73)를 안내하는 연속 절결부(72)를 갖는다. 편심부(7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내의 각 구멍 또는 홈으로 설계된 대응하는 요홈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평행하고 납작한 측면경계 또는 경계부분(74,75)을 갖는 평판형이 되도록 설계된다. 결합부(69)에는 래치들(78,79)이 부착된 축(77)을 지지하기 위한 횡방향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외피(67)는 편심부(7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둥근 횡방향 구멍(80)을 갖는다. 코일 스프링(81)은 하우징의 바닥과 슬라이드의 바닥부분(71)간에 클램프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드(68)를 외향으로 밀어준다.
도 13 및 도 14에 의한 하부 외피(66)(도 12)는 길고 얇은 U-형 골조와 같은 좁은 측벽(83)으로 둘러싸인 넓은 하우징벽(82)을 갖는다. 측벽의 2개의 더 긴 부분은 측벽(83)보다 높이가 낮은 궁형 골조(84)에 의해 접합된다. 래치들의 영역내에서 하우징벽(82)은 2개의 사각형 구멍(85,86)을 가지며, 그의 단부영역은 경사면(88)의 단부를 갖는 상승연부(87)의 형상으로 된다. 하우징벽(82)은 가급적 궁형 골조(84)에 대하여 접촉하는 원으로 둘러싸인 작은 요홈(89)을 갖는다. U-형 측벽(83)의 자유단부들은 각각 래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좁은 검모양의 연장부(90,90')를 갖는다. 이 U-형 측벽(83)은 나사들(62,63,64,65)(도 11)용의 나사구멍들을 갖는다.
도 15 및 도 16에 의한 상부 외피(67)는 넓은 하우징벽(91)과, 클램핑장치의 바닥을 형성하는 얇은 U-형 골조와 같은 좁은 측벽(94)과 경계를 이루는 2개의 중단부(92,93)를 갖는 골조형상의 경계부와, 래치 영역내의 2개의 직선형 골조(95,96)로 구성된다. 상부 외피(67)는 편심부(73)의 중공의 구멍(clear opening)(80)(도 12)을 포함한다. 래치의 영역내에서 하우징벽(91)은 2개의 사각형 구멍(97,98)을 갖고 있으며, 그의 단부 영역은 연부(99)와 경사면(100)을 갖는 두꺼운 부분의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골조형 경계는 나사(62,63,64,65)(도 11)용의 나사구멍들을 갖는다. 직선형 골조와 같은 부분(95,96)의 자유단부들은 각각 래치를 덮도록 연장부(90,90')와 함께 측방으로 좁은 검모양의 연장부(101,101')를 가질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의한 편심부(73)는 주로 공통표면의 선(102)을 가지며 상부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3개의 원통형 영역을 갖는다. 다른 2개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중간영역은 편심부(73)의 축(104)과 편심롤러(103)의 축(105)간의 편심률이 ε인 편심롤러(103)를 형성한다. 그의 하부 단부표면상에서 편심부(73)는 압축스프링(107)(도 12)을 유지하는 원통형 요홈(106)을 가지며, 또한 상부 단부표면상에서 편심부(73)는 육각형 소켓(108)을 갖는다.
도 19는 래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래치는 한쪽 단부 영역에는 돌기부(109)를 가지며, 다른쪽 단부영역에는 구멍(110)을 가지며, 중간영역에서는 이동축(112)에 대해 수직선을 기준으로 각 α만큼 경사진 면(113)을 갖는 연장부(111)를 갖는다. 도 19에 나타낸 3개의 각도는 α=β=γ의 관계를 갖는 것이 좋다.
도 19의 특수한 실시예에 의한 래치는 그의 외측이 축(112)에 대칭이고, 또한 구멍(110)의 직경방향의 횡축에 대칭이 되도록 설계된 2개의 연장부(114,115)를 가지며, 또한 그의 크기는 고정 상태에서 복수의 래치의 연장부(114,115)가 구멍들(85,86,97,98)의 공간내에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11 내지 도 19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장치는 하기와 같은 기능을 한다.
스프링(81)은 세로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68)를 외향으로 밀어주는 한편 스프링(107)은 횡방향으로 편심부(73)를 외향으로 밀어준다. 편심롤러(103)는 코너가 둥근 어느정도 사각형으로 된 절결부(7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편심부(73)가 회전하면 슬라이드(68)는 편심롤러(103)의 편심률 때문에 세로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1 및 도 12는 폐쇄된 상태에 있는 클램핑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사면(100 또는 88)의 압력 때문에 경사면(113)(도 19)에 대하여 선회하는 래치들에 의해 편심롤러(103)는 절결부(72)의 영역내의 슬라이드의 바닥부(71)에 압력을 가하므로 표면선(102)(도 17)이 궁형 골조(84)의 오목한 측면내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돌기부(109)가 편면부재(19)(도 12) 밑에서 결합되어, 그 부분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므로, 편심부(73)는 구멍(80), 바닥부(71) 및 골조(84)간의 제위치에 단단히 고정되고, 그결과로서 슬라이드(68)가 안정한 위치를 유지한다.
클램핑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 편심부(73)를 육각 스패너에 의해 약 180°만큼 회전시키면 그에 의해 편심롤러(103)가 회전하는 동안에 슬라이드(68)를 외향으로 당긴다. 이러한 동작중에 구멍들(85,86,97,98)의 앞쪽 경계(116)(도 12)는 래치의 연장부들(114,115)에 대한 정지구로서 역할하며, 그에 의해 직선 위치를 취하므로, 클램핑장치를 제2 편면부재(19)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제1 편면부재(1)로부터 클램핑장치를 해방하기 위해서는 도 12에 의한 폐쇄된 상태로 하되 래치가 제2 편면부재(1) 밑에서 결합되지 않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상태에서 편심롤러(103)가 골조(84)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편심부(4)를 스프링(107)의 작용에 반하여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클램핑장치를 편면부재(1)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편심부(73)의 전체 높이를 오목부(89)의 바닥과 외피(67)의 외면간의 거리보다 작게한다.
클램핑 요소로서는 L 또는 T의 형상으로 되거나 또는 도 20에 나타낸 소위 굽혀진 햄머헤드(117)라 부르는 슬라이드 헤드를 사용해도 좋다.
도 20에 의하면 일공정 단계에서, 슬라이드의 결합부는 변위 방향에 대한 수직선을 중심으로 90°와 360°사이의 각도로 위로 굽혀진 중간 연장부(117)를 가지며, 다른 공정단계에서는, 슬라이드에 연장부(117)를 결합하는 목(118)이 이동방향의 축상을 90°회전한다.
도 21에 의한 슬라이드의 결합부는 세로축에 대칭으로 배치된는 2개의 연장부(119,120)를 가지며, 일공정 단계에서는, 이동방향에 대한 수직선을 중심으로 90°와 360°사이의 각도로 한 방향으로 제1 연장부를 구부리고, 또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제2 연장부를 구부리고, 또 다른 공정단계에서는 슬라이드에 2개의 연장부들을 공통으로 결합하는 목(121)이 세로방향의 축상에서 90°회전한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의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도 22 및 23에 의한 체결판(43')은 각각의 L-형상의 절결부(122 또는 123)에 의해 형성되며, 또한 하향으로 굽히는, 다시말해서 이것과 대응하여 상향으로 굽혀진 체결판(43')의 단부(126)와 동일한 평면이 될 때까지 굽혀지는 2개의 측면 박편(124,125)을 갖는다.
도 24는 설편(124,125)이 홈(40,41)의 다른 측벽(127,128)을 누르는 모양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요홈(33)(도 4)을 없애거나 또는 임의의 스프링(8')을 끼우기 위한 2개의 평행구멍들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에 의한 슬라이드(129)는 탭(130)을 형성하는 수축된 만곡 단부를 가지며 또한 슬라이드(129)의 다른 단부 영역내에 위치하며 좁은 단부의 연부(133)와 평행한 2개의 천공된 구멍들(131,132)을 갖는다. 탭(130)의 내벽(134)은 절결부(72)에 대한 견부(57)를 갖는 경우(도 11, 도 12)에서와 똑같이, 적어도 중간영역에서 절결부(136)의 내벽(135)의 일부와 동일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129)(도 25)의 연장측 경계(74',75')는 요홈(92,93)(도 16)또는 홈(35,36)(도 6)에 의해 안내될 수 있으며, 만일 후자일 경우에는 탭(130)은 없어도 되며, 요홈(136)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만일 필요할 경우, 나사(64,65)(도 11)대신 1개의 나사에 의해 2개의 외피들을 결합하기 위한 긴구멍(137)을 중앙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수정예로서, 슬라이드(138)에 상향으로 굽혀진 4개의 탭(139,140,141,142)과 하향으로 굽혀진 4개의 탭(143,144,145,146)을 갖는 천공부를 형성함으로써, 홈(35,36)(도 6) 또는 요홈(92,93)(도 16)을 생략할 수 있으나, 이 때 삽입코어는 탭(139-146)의 단부에 대응하는 활강면들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정예로서, 래치 조립체를 도 27에서와 같이 천공부로서 설계한 래치(147)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래치(147)는 만곡 단부(148), 외향으로 굽혀진 2개의 절삭탭(115',113') 및 각이 진 단부(109')를 갖는다.
단부(148)는 긴구멍(131 또는 132)(도 25)내에 도입된다. 탭(115',113')은 연장부(115)및 표면(113)(도 19)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단부(109')는 돌기(109)(도 19)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도 28에 의한 2개의 탭(115',113'), 만곡된 단부(150) 및 각이 진 단부(151)를 갖는 래치(149)는 탄성을 증가시키도록 단부(151)의 영역내에 2개의 노치들, 즉 절삭부(152,153)를 추가로 갖는다.
요홈(37,38)의 다른 형상에 따른 도 8에 나타낸 벽(116)과 골조(84)로서 설계된 도 14에 나타낸 벽은 클램핑 위치에서 슬라이드의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지지하는 정지구 역할을 하므로, 클램핑장치가 고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5에서 경계부(74',75')는 슬라이드를 지지하는 래치를 구성하며, 결합영역(154)은 클램핑 요소, 즉 래치를 지시하는 부위인 슬라이드의 경계부를 구성하며, 경계부는 클램핑장치 또는 래치를 지지한다. 그러한 래치들은 동시에 예를들어 천공부(12(도 2), 72,(도 11) 또는 131, 132 및136(도 25))의 경계를 형성한다.

Claims (9)

  1. 2개의 편면부재(1,19)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클램필 장치로서, 제1 편면부재(1)내에 삽입코어(2,61)를 삽입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삽입코어는 제2 편면부재(19)의 일부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제2 편면부재(19)내의 구멍속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멍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는 클램핑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단부를 갖는 슬라이드를 지니며, 상기 삽입코어(2,16)는 외벽들과, 상기 외벽들중 하나를 거쳐서 슬라이드내에 결합되는 활강면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코어(2,61)는 적어도 일부가 2개의 넓은 외벽들과 2개의 좁은 외벽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넓은 외벽들중 하나를 거쳐서 그들이 결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납작한 평판형으로 된 2개의 상호 대향하는 경계부들(74,75;74',75';154)을 구비하며, 또한 삽입코어(2;61)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기 2개의 납작한 경계부들(74,75;74',75';154)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긴 측방 활강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넓은 외벽들중 제1의 넓은 외벽은 편심부(5;73)의 헤드를 삽입하는 구멍(3;80)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삽입코어의 내부속으로 상기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도록 편심부의 편심롤러(22;103)와 상호작용하는 절결부(12;72)와 벽(30;57)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삽입코어(2)의 긴 활강면들에 의해 안내되는 2개의 납작한 외부 평행 경계부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코어(2)의 상기 제1외벽의 구멍(3)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편심부(5)의 헤드(4)는 상기 편심롤러(22)의 공칭직경보다 더 큰 직경과, 수축부(20)를 통하여 편심부(5)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포크형 구멍(50)을 갖는 삽입코어(2)의 내부공동내의 상기 외벽의 내측에서 활강하도록 배치되는 탄성 체결판(43)과, 상기 외벽내의 구멍(3)을 통하여 편심부(5)를 밀어주도록 상기 포크형 구멍(50)의 영역내에 스프링 압력을 가하는 상기 체결판(43)의 경계부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7)내의 연속 절결부(12)는 비대칭으로서, 상기 슬라이드의 세로축에 적어도 거의 수직한 2개의 경계벽들(27,28), 상기 세로축에 평행한 경계벽(29) 및 클램핑 요소를 둘러싸는 상기 슬라이드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궁형이고 반대 영역에서 비스듬하도록 설계된 경계벽(30)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5)는 상기 편심헤드(4)와 동축으로 상기 편심롤러(22)와 인접해서 배치되어 상기 삽입코어(2)의 상기 제2의 넓은 외벽내의 둥근 요홈(37)내에 삽입되는 편심정지롤러(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요홈(37)은 적어도 거의 초승달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다른 요홈(38)과 연통하며, 상기 편심정지롤러(23)는 상기 다른 요홈(38)내의 적당한 회전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거의 초승달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코어의 상기 제1 외벽(91)의 상기 구멍(8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편심부(730의 편심헤드는 상기 편심부(73)의 상기 편심롤러(103)의 공칭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편심부의 단부면들중 하나는 상기 편심부(73)를 외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107)을 지지하는 원통형 요홈(1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활강면들은 상기 삽입코어의 외벽들중 적어도 하나의 벽상의 홈들(35,36) 또는 긴홈 형상의 구멍들(92,93)내의 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7;68)는 납작한 형상의 경계부에 대해 90°만큼 축상에서 회전하며, 또한 클램핑 요소(15,16;117;119,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결합부(9;118;121)를 구비하며, 납작한 평판형으로 설계된 슬라이드의 상기 경계부(154)는 천공물로 된 클램핑 요소(147)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구멍(131,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KR10-1998-0703989A 1995-11-28 1996-11-26 2개의편면부재를분리가능하게결합하는클램핑장치 KR10045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5-3377 1995-11-28
CH03377/95A CH690655A5 (de) 1995-11-28 1995-11-28 Klemm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üc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712A true KR19990071712A (ko) 1999-09-27
KR100455963B1 KR100455963B1 (ko) 2005-04-08

Family

ID=425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989A KR100455963B1 (ko) 1995-11-28 1996-11-26 2개의편면부재를분리가능하게결합하는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116808A (ko)
EP (1) EP0864048B1 (ko)
JP (1) JP3953517B2 (ko)
KR (1) KR100455963B1 (ko)
CN (1) CN1076797C (ko)
AT (1) ATE184685T1 (ko)
AU (1) AU714305B2 (ko)
BG (1) BG62744B1 (ko)
BR (1) BR9611567A (ko)
CA (1) CA2237124C (ko)
CH (1) CH690655A5 (ko)
CU (1) CU22569A3 (ko)
CZ (1) CZ292511B6 (ko)
DE (1) DE59603108D1 (ko)
DK (1) DK0864048T3 (ko)
ES (1) ES2138381T3 (ko)
GR (1) GR3031942T3 (ko)
HK (1) HK1010903A1 (ko)
HU (1) HU222076B1 (ko)
MX (1) MX9804152A (ko)
PL (1) PL185989B1 (ko)
RU (1) RU2180712C2 (ko)
SK (1) SK281253B6 (ko)
TR (1) TR199800944T2 (ko)
WO (1) WO1997020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0550C (zh) * 2005-10-14 2008-08-13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展览架组件连接锁
JP4651559B2 (ja) * 2006-03-03 2011-03-16 株式会社ケノス 照明付枠材
CN100516562C (zh) * 2007-06-26 2009-07-22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三卡锁具
JP2008089183A (ja) * 2007-12-10 2008-04-17 Kenos:Kk 枠材用ジョイント
US8277326B2 (en) * 2009-01-14 2012-10-02 Digideal Corporation Removable player station and locking mechanism for electronic games
BR112013006737A2 (pt) * 2010-09-23 2016-06-14 Syma Intercontinental Sa placa corrediça
US20120298810A1 (en) * 2011-05-27 2012-11-29 Deming Chen Clamp for section tubes
US8408835B1 (en) * 2012-01-05 2013-04-02 Zhijun Zhang Clamp for section tubes with rigid hooked lever
JP5989502B2 (ja) * 2012-10-23 2016-09-07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CN103452975B (zh) * 2013-06-25 2015-07-15 常州霍克展示器材制造有限公司 型材连接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5007A (de) * 1971-09-10 1974-10-15 Swoboda Hellmuth 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eines elementes mit einem eine hinterschneidung aufweisenden profil.
CH576591A5 (ko) * 1974-04-09 1976-06-15 Syma Intercontinental Sa
DE2616440C3 (de) * 1976-04-14 1979-11-08 Albrecht 7000 Stuttgart Streib Lösbare Verbindung zweier Teile eines Gestells
DE2941008C2 (de) * 1979-10-10 1981-09-10 Gebrüder Vieler GmbH, 5860 Iserlohn Gestell
DE3128595C2 (de) * 1981-07-20 1990-12-06 Gebrüder Vieler GmbH, 5860 Iserlohn Gestell aus lösbar verbindbaren Profilstangen
CH657190A5 (de) * 1982-11-01 1986-08-15 Syma Intercontinental Sa Klemm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uecke.
DE3562654D1 (en) * 1984-03-19 1988-06-16 Exibelco Gmbh Connecting lock
DE3437805A1 (de) * 1984-10-16 1986-04-17 Exibelco GmbH, Basel Verbindungselement
DE3607849C1 (de) * 1986-03-10 1987-08-13 Connec Ag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Klemmverschluss zum Ioesbaren Angreifen an Hinterschneidungen aufweisenden Profilen od.dgl.
ES2032936T3 (es) * 1988-11-28 1993-03-01 Exibelco Gmbh Elemento de union.
US4974987A (en) * 1989-07-06 1990-12-04 Matrix Exhibits, Inc. Locking devices for exhibit framework systems
DE59000537D1 (de) * 1989-08-11 1993-01-14 Vieler Gerd & Bernd Kg Gestell mit einem profilstangen kuppelnden verbinder.
DE3927979C5 (de) * 1989-08-11 2008-05-21 Vieler International Gmbh + Co. Kg Gestell aus lösbar durch einen Verbinder miteinander kuppelbaren Profilstangen
RU2089759C1 (ru) * 1991-03-25 1997-09-10 Сима Интерконтиненталь, АГ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профильных деталей
DE4216439C2 (de) * 1992-05-19 1997-02-06 Intur System Profil Gmbh & Co Spannschloß
DE4219871A1 (de) * 1992-06-17 1994-04-28 Exibelco Gmbh Basel Verbind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0903A1 (en) 1999-07-02
ATE184685T1 (de) 1999-10-15
AU714305B2 (en) 1999-12-23
CZ292511B6 (cs) 2003-10-15
DK0864048T3 (da) 2000-04-03
ES2138381T3 (es) 2000-01-01
RU2180712C2 (ru) 2002-03-20
CN1202954A (zh) 1998-12-23
SK71198A3 (en) 1998-12-02
WO1997020148A1 (de) 1997-06-05
TR199800944T2 (xx) 1998-09-21
GR3031942T3 (en) 2000-03-31
KR100455963B1 (ko) 2005-04-08
HUP9902102A2 (hu) 1999-11-29
BG62744B1 (bg) 2000-06-30
CA2237124A1 (en) 1997-06-05
AU7559196A (en) 1997-06-19
EP0864048A1 (de) 1998-09-16
CU22569A3 (es) 1999-08-03
DE59603108D1 (de) 1999-10-21
CZ164998A3 (cs) 1999-02-17
BR9611567A (pt) 1999-03-30
CH690655A5 (de) 2000-11-30
CN1076797C (zh) 2001-12-26
JP2000500847A (ja) 2000-01-25
US6116808A (en) 2000-09-12
JP3953517B2 (ja) 2007-08-08
PL326980A1 (en) 1998-11-09
MX9804152A (es) 1998-09-30
EP0864048B1 (de) 1999-09-15
PL185989B1 (pl) 2003-09-30
HUP9902102A3 (en) 2001-12-28
HU222076B1 (hu) 2003-04-28
SK281253B6 (sk) 2001-01-18
BG102523A (en) 1998-12-30
CA2237124C (en)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62B1 (ko)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KR19990071712A (ko) 2개의 편면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장치
US6971254B2 (en) Securit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10101349A (ko)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KR100777763B1 (ko) 선회 가능한 너트를 구비한 너트 조립체
US20230299532A1 (en) Adapter
US4690582A (en) Connecting element for structural framework
RU98112009A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фасонных деталей
US5174788A (en) Fuseblock adapter
FR2551807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un objet sur les deux ailes laterales d'un element de support
RU2173415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профильных деталей
JPH073967A (ja) 竪樋取付具
RU2776409C2 (ru) Кронштейн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а, содержащий монтажный элемент
JPH0257552A (ja) 組立て式箱のコーナ連結具
KR200313891Y1 (ko) 경첩
KR900001732B1 (ko) 구조 부재 연결기
CN116950521A (zh) 一种导向机构、滑动装置和滑动门
JP2997654B2 (ja) 天井直付型照明器具取付け用アダプター
JPS5854542Y2 (ja) 障子の引寄せ装置
KR20010027232A (ko) 냉장고용 핸들
KR20040070991A (ko) 경첩
JPH0949299A (ja) 樋受具
JP2001160454A (ja) コネクタ支持機構
EP1127393A1 (en) Mounting system
JPH0662730U (ja) ケーブル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